KR101441186B1 -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186B1
KR101441186B1 KR1020120075920A KR20120075920A KR101441186B1 KR 101441186 B1 KR101441186 B1 KR 101441186B1 KR 1020120075920 A KR1020120075920 A KR 1020120075920A KR 20120075920 A KR20120075920 A KR 20120075920A KR 101441186 B1 KR101441186 B1 KR 101441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floor
reinforcing material
floo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0485A (ko
Inventor
조봉규
조대영
박동형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7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186B1/ko
Publication of KR2014001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폴리프로필렌 60 내지 100 중량부, 충진제 20 내지 100 중량부, 안료 0.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그 재질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치수 안정성과 염전 바닥에의 안착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카드뮴(Cd), 납(Pb), 수은(Hg), 6가 크롬(Cr Ⅵ) 등의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아, 고품질 천일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연 건조시킨 염전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돌출부위가 없도록 염전 바닥을 평탄화하는 단계(S1); 염전 바닥에 복수의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2); 상기 보강재 간 테이핑하는 단계(S3); 상기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염전 바닥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어 염전 바닥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단계(S6); 상기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을 점검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용 바닥재 하부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염전용 바닥재를 염전 바닥에 직접 시공할 경우 바닥재가 염전 바닥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해충, 식물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소금 채취용 밀대의 이동이 불편한 단점과 이로 인해 염전용 바닥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 사이나, 염전바닥재 사이에 틈새가 없어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으로부터의 수분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The environmental friendly reinforcing plate for salt pan and th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plate}
본 발명은 치수안정성과 안착성이 우수하고,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주성분이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음식에 조미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더불어 식품 저장, 화학 공업의 원료로 사용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해수, 암염, 함수 등이 기초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바, 제조의 근원에 따라 천일염, 암염, 가공염 등의 종류로 구분이 되고 소금 생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암염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천일염이 널리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천일염은 해수를 염전저수지로 유입시킨 다음 바람과 햇빛에 의하여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미가공 상태의 굵고 반투명한 육각 결정의 소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이나 남해안에서 널리 생산되고 있다.
국내의 천일염전은 대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만조시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증발 과정을 거쳐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는 공정을 거친다.
천일염전의 결정지에는 채염을 위한 기반시설에서 발생된 녹, 보온덮개의 부스러기, 모래알갱이, 해충, 식물체와 같은 이물질, 해안의 갯벌에서와 저류지의 갯벌에서 유입된 불용분, 오염된 바닷물의 오염물질이 지반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장판이나 타일, 옹기와 같은 바닥 마감 부재(바닥재)로 결정지의 지면을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염전의 바닥재 상측으로 공급된 바닷물이 태양열과 바람에 의하여 증발되어 소금 결정체가 석출되면, 고무래 등을 이용하여 상기 바닥재의 표면을 긁어서 채염하게 되는데, 바닥재의 평탄도가 우수하여야 소금의 석출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고무래와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채염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닥재로 사용되는 타일과 옹기는 평탄도는 우수하나 고가에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약하여 쉽게 깨어지고, 깨어진 타일을 교체하는데 상당한 시간과 인건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주로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염전용 바닥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PVC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의 바닥재를 염전 바닥에 직접 시공할 경우, 바닥재가 염전 바닥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해충, 식물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소금 채취용 밀대의 이동이 불편한 단점과, 이로 인해 염전용 바닥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용 바닥재 하부에 설치되는 염전용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사용하여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를 염전 바닥에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염전용 바닥재 하부에 설치되는 염전용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사용하여 치수안정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를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60 내지 100 중량부, 충진제 20 내지 100 중량부, 안료 0.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건조시킨 염전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돌출부위가 없도록 염전 바닥을 평탄화하는 단계(S1); 염전 바닥에 복수의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2); 상기 보강재 간 테이핑하는 단계(S3); 상기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염전 바닥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어 염전 바닥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단계(S6); 상기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을 점검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그 재질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치수 안정성과 염전 바닥에의 안착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카드뮴(Cd), 납(Pb), 수은(Hg), 6가 크롬(Cr Ⅵ) 등의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아, 고품질 천일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용 바닥재 하부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염전용 바닥재를 염전 바닥에 직접 시공할 경우 바닥재가 염전 바닥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해충, 식물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소금 채취용 밀대의 이동이 불편한 단점과 이로 인해 염전용 바닥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 사이나, 염전용 바닥재 사이에 틈새가 없어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으로부터의 수분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가 염전 바닥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폴리프로필렌 60 내지 100 중량부, 충진제 20 내지 100 중량부, 안료 0.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프로필렌(Propylene)을 중합하여 만든 화합물을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은 중합시 배열 상태에 따른 구분인 이소택틱PP(isotactic PP), 신디오택틱 PP(syndiotactic PP) 및 어택틱 PP(atactic PP)를 모두 포함하며, 통상의 호모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프로필렌으로만 중합한 고분자), 임팩트 폴리프로필렌(impact polypropylene, 생산과정에서 보통의 중합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틸렌을 투입하여 생산한 공중합체),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소량의 에틸렌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입체규칙성을 낮춘 물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전체 함량 중 일부는 재활용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여 제품 단가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중량은 60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 중량부 이하시 치수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고, 100 중량부 이상 사용시 제품 단가가 높아지는바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진제는 상기 보강재의 제조시 폴리프로필렌과 함께 첨가되어 보강재의 치수안정성, 내충격성, 내열성, 지면 밀착성 등을 높히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무기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진제의 함량은 주재료인 폴리프로필렌의 중량을 고려할 때 20 내지 10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 중량부 미만 사용하면 강도 및 내충격성 등이 감소될 수 있고, 100 중량부 이상 사용할 경우 폴리프로필렌과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상기 중량의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료로는 천일염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검정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료의 함량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과 충진제의 함량을 고려할 때 0.5 중량부 이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상부에 설치되는 염전용 바닥재가 염전 바닥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해충, 식물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소금 채취용 밀대의 이동이 불편한 단점과, 이로 인해 염전용 바닥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 판재 형상으로, 두께는 3 내지 4 mm가 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그 재질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치수 안정성과 염전 바닥에의 안착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카드뮴(Cd), 납(Pb), 수은(Hg), 6가 크롬(Cr Ⅵ) 등의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아, 고품질 천일염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연 건조시킨 염전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돌출부위가 없도록 염전 바닥을 평탄화하는 단계(S1); 염전 바닥에 복수의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2); 상기 보강재 간 테이핑하는 단계(S3); 상기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염전 바닥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어 염전 바닥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단계(S6); 상기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을 점검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의 시공방법은 먼저, 염전 바닥을 자연 건조시켜 염전 바닥의 수분을 제거한다. 그 후 이물질을 제거하고 롤러를 이용하여 염전 바닥의 요철, 돌출부위를 평탄하게 하는 단계(S1)를 수행한다.
염전 바닥에 수분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염전용 보강재를 시공하면 보강재의 이음부 간이나 염전 바닥과의 밀착력이 좋지 않으므로 수분이 제거된 상태임을 확인하고, 날씨 조건도 습도가 낮은 날에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염전 바닥에 이물질이 미제거되거나 요철, 돌출부위에 그대로 있는 상태에서 염전용 보강재를 시공할 경우 염전 바닥과 보강재 간의 밀착력이 떨어지고, 요철 및 돌출부위로 인하여 보강재가 손상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요철이나 돌출부위가 없도록 롤러를 이용하여 바닥을 평탄하게 하는 단계는 필수적이다.
그 후 염전 바닥에 염전 바닥에 복수의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2)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는 그 재질로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고강도, 고내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치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나 여름철 고온현상이나 겨울철 저온현상에 의해 미세한 정도의 수축, 팽창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염전 바닥에 보강재를 시공할 때는 각 보강재간 0.5~1.5 cm의 간격을 두고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보강재를 염전 바닥에 시공한 후에는 보강재 간 테이핑하는 단계(S3)를 수행한다. 인접한 보강재 간에 테이핑을 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서 이후의 환경변화에 따라 각 보강재 간에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후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와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단계(S5)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염전용 바닥재를 상기 보강재 위에 깔 때는 보강재의 시공방향과 직교하도록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염전용 바닥재 간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이 겹치도록 까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염전용 바닥재 폭 간의 겹침부위 길이는 5~10 c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 재단 후에는, 포장상태로 있는 동안 발생되었던 권취응력을 풀어주고 수축에 의한 주름을 예방하기 위하여, 염전용 바닥재를 1~2시간 방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후, 염전용 바닥재 간의 겹침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도포량은 염전용 바닥재 ㎡ 당 0.2 ~ 0.5 k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를 가장자리에 여유분을 두는 이유는 염전용 바닥재를 염전 바닥에 시공 후 시공된 염전 바닥재 하부 및 염전 측벽에 여유분을 찔러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간의 틈새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염전용 바닥재과 염전 측벽 간에 틈새가 발생하면 염전용 바닥재 하부로 물이 스며들어 염전 바닥이 섬처럼 되는 문제점이 생기기 때문이다.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을 때 바람직하게는 "Z"자 형태로 밀어넣는 것이 염전 측벽 틈새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은 후에는 상기 염전 바닥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어 염전 바닥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단계(S6)를 수행한다.
염전 바닥 가장자리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면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사이 틈새를 차단하여 염전용 바닥재 하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흙으로는 난타리흙(물에 굳는 시멘트 역할을 하는 특수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을 점검하는 단계(S7)를 수행한다.
고무래로 시공된 표면을 밀어보면서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 상태를 점검하고, 만약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에 구멍이 발생되었거나 사용 중에 구멍이 발생될 경우 상기 구멍 부위보다 큰 크기의 바닥재를 접착제를 발라 상기 구멍 부위에 접착시켜 보수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용 바닥재 하부에 보강재를 설치하여, 염전용 바닥재를 염전 바닥에 직접 시공할 경우 바닥재가 염전 바닥 하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해충, 식물체,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소금 채취용 밀대의 이동이 불편한 단점과 이로 인해 염전용 바닥재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은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 사이나, 염전바닥재 사이에 틈새가 없어 염전 바닥과 염전 측벽으로부터의 수분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고품질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0 : 염전 바닥
20 : 본 발명의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30 : 염전용 바닥재
40 : 소금

Claims (13)

  1. 폴리프로필렌 60 내지 100 중량부, 충진제 20 내지 100 중량부, 안료 0.5 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되, 보강재의 두께는 3 내지 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2. 제1항에 있어서,
    충진제로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3. 제2항에 있어서,
    무기화합물(inorganic compound)로 탄산칼슘, 탈크, 실리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4. 제1항에 있어서,
    안료는 카본 블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5. 삭제
  6. 자연 건조시킨 염전 바닥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돌출부위가 없도록 염전 바닥을 평탄화하는 단계(S1);
    염전 바닥에 복수의 보강재를 시공하되, 각 보강재간 0.5 - 1.5Cm의 간격을 두고 시공하는 단계(S2);
    상기 보강재 간 테이핑하는 단계(S3);
    상기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
    상기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 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단계(S5);
    상기 염전 바닥 가장자리 테두리 부위에 흙을 채우고 밟아주어 염전 바닥의 가장자리를 정리하는 단계(S6);
    상기 시공된 염전용 바닥재 표면을 점검하는 단계(S7);를 포함하되, 상기 염전용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을 염전 측벽 내부 틈새로 밀어 넣을 때는 염전용 바닥재의 가장자리 여유분이 "Z"자 형태로 밀어 넣어 염전용 바닥재와 염전 측벽간에 틈이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된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깔 때는 보강재의 시공방향과 직교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된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에서,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 재단 후 염전용 바닥재를 1~2시간 방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된 보강재 상면에 염전용 바닥재를 깐 후 염전 바닥 상하, 좌우 길이보다 길게 여유분이 있도록 염전용 바닥재 가장자리를 재단하는 단계(S4)에서,
    상기 친환경 염전용 바닥재를 깔 때는 친환경 염전용 바닥재 간에 폭방향으로 적어도 일측이 겹치도록 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염전용 바닥재 간의 겹침 부위는 5~10 cm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염전용 바닥재 간의 겹침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 후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 시공방법.
  13. 삭제
KR1020120075920A 2012-07-12 2012-07-12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KR101441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20A KR101441186B1 (ko) 2012-07-12 2012-07-12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20A KR101441186B1 (ko) 2012-07-12 2012-07-12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485A KR20140010485A (ko) 2014-01-27
KR101441186B1 true KR101441186B1 (ko) 2014-09-18

Family

ID=5014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920A KR101441186B1 (ko) 2012-07-12 2012-07-12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1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07B1 (ko) * 2014-10-08 2015-03-04 박영대 염전바닥 및 염전바닥 시공 방법
KR20170014418A (ko) 2015-07-30 2017-02-08 (주) 온누리 염판 폐바닥재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판 폐바닥재의 재활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17B1 (ko) * 2006-09-20 2007-09-06 김학용 염전 토판 피복용 플라스틱 시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염전토판 피복 시공 방법
KR100921445B1 (ko) * 2009-01-30 2009-10-13 주식회사 세화 염전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239A (ko)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세화 친환경 염전장판
KR20110035685A (ko) * 2009-09-30 2011-04-06 진양화학 주식회사 염전용 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417B1 (ko) * 2006-09-20 2007-09-06 김학용 염전 토판 피복용 플라스틱 시트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염전토판 피복 시공 방법
KR100921445B1 (ko) * 2009-01-30 2009-10-13 주식회사 세화 염전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4239A (ko) * 2009-07-06 2011-01-13 주식회사 세화 친환경 염전장판
KR20110035685A (ko) * 2009-09-30 2011-04-06 진양화학 주식회사 염전용 바닥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207B1 (ko) * 2014-10-08 2015-03-04 박영대 염전바닥 및 염전바닥 시공 방법
KR20170014418A (ko) 2015-07-30 2017-02-08 (주) 온누리 염판 폐바닥재의 재활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판 폐바닥재의 재활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485A (ko) 2014-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555B2 (en) Synthetic-grass flooring and method for laying same
US7648754B2 (en) UV resistant multilayered cellular confinement system
JP4790698B2 (ja) 三次元のリバース・タンキング用膜
CN105201025B (zh) 地下室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US20170167085A1 (en) Patch and method for repairing asphalt pavement
KR20140038961A (ko) 스포츠 경기장의 스포츠 표면용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 상기 기재 및 상기 기재를 구비한 스포츠 경기장
AU2007347756B2 (en) UV resistant multilayered cellular confinement system
KR101441186B1 (ko) 친환경 염전용 보강재와 이의 시공방법
CN108677638A (zh) 基于建筑垃圾的高速公路路基填筑方法
TW200523438A (en) Prefab-type waterproofing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1450392B1 (ko) 친환경 염전용 바닥재 및 이의 시공방법
CN203145061U (zh) 复合型冬季施工桩头防水结构
CN204252414U (zh) 屋面防水结构
CN112513210A (zh) 防鱼嘴的防水膜
CN210657926U (zh) 一种适用于处治半刚性基层早期裂缝的格栅复合抗裂带
KR101178520B1 (ko) 포장 도로의 보수 포장 공법
KR101809872B1 (ko) 매스틱 아스팔트를 이용한 도로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7347871U (zh) 一种复合式道路路面结构
KR100735682B1 (ko) 경사지붕의 방수 및 방습을 위한 아스팔트 시트
CN216428915U (zh) 一种地坪结构
CN204418019U (zh) 一种保水式钢桥面铺装结构
DE4107511A1 (de) Pflanzschale
CN207176426U (zh) 一种新型可周转的橡胶临时路面
CN109680574B (zh) 改性磷石膏路基
KR100539179B1 (ko) 자중압밀영역과 대기건조영역의 분리 성토에 의한 준설토매립지반의 표층 고결 촉진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