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622B1 -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622B1
KR100984622B1 KR1020080062404A KR20080062404A KR100984622B1 KR 100984622 B1 KR100984622 B1 KR 100984622B1 KR 1020080062404 A KR1020080062404 A KR 1020080062404A KR 20080062404 A KR20080062404 A KR 20080062404A KR 100984622 B1 KR100984622 B1 KR 100984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weight
present
jadeite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493A (ko
Inventor
김정목
김우상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6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6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7Additives being an antistatic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8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 80중량%, 청옥 3중량%, 무기충전제 15중량% 및 첨가제 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보다 우수하거나 거의 유사한 수준의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프탈레이트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유해성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염전 장판을 제공할 수 있다.
염전 장판, 폴리프로필렌, 청옥, 폴리머

Description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Floor sheet for saltpa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 80중량%, 청옥 3중량%, 무기충전제 15중량% 및 첨가제 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주성분이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반적인 음식에 조미 기능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조미료의 일종이다. 소금을 제조하기 위해서 해수, 암염, 함수 등이 이용되며, 제조의 근원에 따라 천일염, 암염, 가공염 등의 종류로 구분을 하고 있다. 전세계 소금 생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암염이나 우리나라에 서는 전통적으로 천일염이 널리 생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천일염은 해수를 염전으로 유입시킨 다음 바람과 햇빛에 의하여 수분과 함께 유해 성분을 증발시켜 만든 미 가공 상태의 굵고 반투명한 육각 결정의 소금을 의 미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수심이 깊지 않고 조수 간만의 차이가 큰 서해안 내지 남해안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국내의 천일염전은 대개 저수지, 증발지, 결정지로 이루어져 있고, 만조 시 수문을 열어 증발지에서 농축된 염수를 만들고 결정지로 보내 소금 결정을 얻는 공정을 거친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전의 결정지에는 채염을 위한 기반시설에서 발생된 녹, 보온덮개의 부스러기, 모래알갱이, 해충, 식물체와 같은 이물질, 해안의 갯벌에서와 저류지(低流地)의 갯벌에서 유입된 불용분, 오염된 바닷물의 오염물질이 지반에 섞여 있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이 채염용으로 수집해둔 바닷물이나 소금에 혼입(混入)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장판, 타일, 시트, 옹기와 같은 바닥 부재로 결정지의 지면을 피복하여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세라믹 재질 등이 타일이 염전의 토판 상에 피복되는 경우도 많았으나, 합성수지 재질과는 달리 잘 깨어지기 때문에,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현재는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타일, 부재, 시트가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염전의 결정지에서 널리 이용되는 PVC는 가격이 저렴하고 내약품성 등이 우 수하여 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인데, 식품용도로는 주로 랩이나 용기등에 사용된다. PVC 제품은 신축성과 접착성을 좋게 하기위하여 다량의 가소제(주로 프탈레이트(phthalate) 화합물)를 첨가하는데, 이들은 내분비계장애물질로 추정되고 있다. 프탈레이트 화합물 중 내분비 장애물질로 의심되는 물질은 약 10여종으로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또는 DOP), di-n-butyl phthalate (DBP), butylbenzyl phthalate (BBP), di-ethyl phthalate (DEP) 등과 그 외 adipate 계통인 di-2-ethylhexyl adipate (DEHA 또는 DOA)등이 있다. DOP는 1987년 국제 암연구기관 (IARC)에서 인간에게 발암성이 있을 수도 있는 2B 그룹으로 분리하였으며 그동안 위해성 논란이 있어 유럽의 대부분 국가에서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위생법 기구 및 용기 포장의 기준 규격에 따라 식품용 기구 및 용기 포장 제조시 DOP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랩 제조시에는 DEHP는 물론 DEHA를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하고 있다.
현재, 염전 관련 법규정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천일염에 대한 완제품의 규격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염전의 시설 자체는 산업자원부의 염관리법 시설기준에 의한 적용을 받으므로 현재로서는 PVC 재질에 대한 적, 부적합에 대한 논의가 그다지 없는 실정인데, 조만간 염관리법이 농림수산식품부로 이관됨에 따라 염전 장판지를 비롯한 시설규격에 대한 재고가 있으리라 여겨진다. 따라서, 비록 천일염 완제품규격에서 DOP등에 관한 규정이 없지만 염전용 PVC 장판 재질에서 생산된 천일염에 회학적 위해요소가 포함될 수도 있는 우려가 상존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PVC 장판재질에서의 프탈레이트 화합물의 존재 유무를 모니터링하고, 보다 안전한 천일염 생산을 위한 염전 장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청옥이 함유된 새로운 조성의 염전 장판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 80중량%, 청옥 3중량%, 무기충전제 15중량% 및 첨가제 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청옥을 포함하는 새로운 조성의 염전 장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종래의 PVC 재질의 염전 장판보다 천일염 생산량 및 생산된 천일염의 질에 있어서 대등하거나, 우수할 뿐만아니라 위해 요소가 있어 식품에는 사용할 수 없는 프탈레이트 화합물이 검출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청옥, 무기충전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동일한 의미로, 프로필렌(Propylene)을 중합하여 만든 화합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합시 배열 상태에 따른 구분인 이소택틱 PP(isotactic PP), 신디오택틱 PP(syndiotactic PP) 및 어택틱 PP(atactic PP)를 모두 포함하며, 통상의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프로필렌으로만 중합한 고분자), 임팩트 폴리프로필렌(impact polypropylene, 생산과정에서 보통의 중합과는 다른 방식으로 에틸렌을 투입하여 생산한 공중합체),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 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 중합시 소량의 에틸렌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입체규칙성을 낮춘 물질), 복합 PP수지(호모, 랜덤 및 임팩트 폴리머 등을 베이스 레진(base resin)으로 하여 talc, mica, glass fiber 와 같은 무기 충전제, 고무 등의 고분자 및 난연제, 핵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를 복합적으로 제조한 것)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필렌수지는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 8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는 230℃에서 MI(melt index)가 0.1 내지 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에서 다른 올레핀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6.5 중량%이고, 더욱 바람지갛게는 5 중량% 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랜덤 코폴리머는 13C-NMR로 측정한 펜타드분율에 있어서 분율의 값이 6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이다. 분율에 있어서 60% 미만이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카렌다 가공시 점착이 증가하여 성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랜덤 코폴리머의 DSC에 의한 Tm이 130℃이상이다. 130℃ 미만으로는 충분한 내열 성능이 발휘되기 어려우며, 성형시 점착이 증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130 ~ 165℃의 범위에서 Tm을 가질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이상이며,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45℃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장판용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서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함량의 80중량%이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여 다른 성분의 함량이 줄어들게 되면, 시간에 따른 성형 안정성이 떨어지며, 또한 점착이 발생하여 성형 안정성이 떨어진다.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함량이 80중량% 미만이면, 시트 성형 자체가 어려워진다.
청옥은 적색이 아닌 모든 보석품질의 강옥(corundum)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파이어라고도 한다. 자연 유래 또는 인공 합성의 청옥이 사용될 수 있으나, 경제적인 문제상 바람직하게는 인공 합성된 청옥이 사용될 수 있다. 청옥은 일반적으로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가 함유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청옥은 전체 중량에 대해서 3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분말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옥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옥의 기능인 항균성이 증진되고, 장판 자체의 안정성 등이 부여되게 된다.
무기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10μm 이하의 침상형태의 무기질이 사용되거나, 평균 입경이 7μm 이하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 등이 사용가능하며, 특히 평균입경이 7μm 이하의 탈크나 탄산칼슘 올라스토나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기충전제는 침상 실리카와 기타 무기충진제 성분이 100~10 : 0~90의 중량비로 전체 수지 조성물 중에 3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장판용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에서, 무기충전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함량의 15중량%이다. 그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강성 및 내열성, 평판성 및 안착성이 저하되고 15중량%를 초과하면 카렌다 성형성이 저하되고, 후가공시 점착 현상이 발생한다.
첨가제는 활제 50~90중량%, 열안정제 5~40중량% 및 기타 첨가제 5~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활제는 원유를 정제하여 얻어지는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활제; 스테라마이드, 올리아미이드, 에루카마이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계 활제; 부틀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 올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몬탄산을 반응시킨 몬탄계 왁스 등의 에스테르계 활제; 스테아린산 계통의 금속염계 활제; 스테아린산, 라우릴산 등의 지방산계 활제; 또는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왁스 중 중합법으로 제조 된 폴리에틸렌 왁스나 메탈로센 기술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왁스, 몬탄산을 반응시켜 제조한 OP왁스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와 몬탄산 OP왁스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분해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 및 타 왁스는 장기간 사용시 롤(roll) 오염과 점착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메탈로센 기술이 아닌 중합 또는 분해법으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왁스는 내열성이 우수하나 왁스의 점도가 높은 경우 성형의 어려움으로 생산성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산화방지제 또는 아민계 산화방지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그 예로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스(3,4-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느레이트, 1,3,5-트리메틸 2,4,6-트리스(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터트-부틸-페놀)부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금속불활성화제, 인계 또는 유황계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금속불활성화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밖에도, 상기 기타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중화제, 핵제, 대전방지제, 슬립제 등이다. 또한 이들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 함량 범위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에서 활제, 열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각각 50~90중량%, 5~40중량% 및 5~20중량%로 포함된다. 활제의 함량이 적을 경우 점착이나 롤(roll) 오염에 의해 성형이 어려우며, 시간에 따른 점착 증가와 플레이트 아웃이 증가하게 된다. 열안정제와 기타 첨가제의 함량이 적을 경우 시간에 따른 점착의 증가 등으로 장기간의 성형에 있어 안정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장판에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함량의 2중량%이다. 첨가제 조성물의 함량이 2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플레이트 아웃에 의한 시간에 따른 성형 안정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첨가제 조성물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롤 표면 오염 및 점착 문제와 시간에 따른 성형 안정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염전 장판에 있어서, MI는 0.1~5g/10분으로서, MI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생산성의 저하 및 최종 제품에 얼룩이 발생하는 등 외관 품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MI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처짐에 의해 성형이 어렵고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무기충전제, 청옥 및 첨가제 조성물의 각 성분들을 통상의 기계적 혼련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반바리 믹서, 싱글스크류 압출기, 트윈스크류 압출기, 다륜스크류 압출기 등의 일반적인 용융 혼련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혼련은 180~270℃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과 청옥 분말을 이용하여 3%의 청옥 분말이 함유된 폴리프로필렌 염전 장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용의 PVC 염전 장판, 청옥장판 및 본 발명의 염전장판을 이용하여 염전 결정지를 제작한 다음 동일한 염수를 투입하여 천일염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염전 장판에서 가장 많은 양의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청옥 장판에서는 생산량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염전 장판과 종래의 PVC 장판의 경우 생산된 천일염 결정의 크기가 유사하였으나, 청옥 장판에서는 다소 작은 결정의 천일염이 주로 생산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생산된 천일염의 조성에 있어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보다 우수하거나 거의 유사한 수준의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프탈레이트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유해성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염전 장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장판재의 제조 및 구입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장판재는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 vinyl chloride) 재질의 장판,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에 청옥 분말을 혼합한 재질의 장판 및 청옥 재질의 장판이다.
PVC 재질의 장판은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염전용 PVC 장판(3개사의 상용품을 구입)을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청옥 분말(3%)를 혼합한 재질의 장판(프로필렌 호모폴리머 80중량%, 청옥 3중량%, 침상 실리카 : 탈크가 55 : 45의 중량비로 혼합된 무기충전제 15중량% 및 파라핀 왁스 : 페놀계 산화방지제 : 기타 첨가제(금속불활성화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의 동일비율 혼합물)이 70 : 20 : 10의 중량비로 혼합된 첨가제 2중량%) 및 청옥 재질의 장판을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장판재의 천일염 생산 적합성 측정
<2-1> 천일염 생산
크기 3.3 m2 크기의 염전에 상기 실시예 1에서의 3종의 장판, 즉, 염전용 PVC 장판, PP재질에 청옥 분말 첨가 장판 및 청옥 장판으로 바닥을 시공하고, 각각 24 L의 염도 23도 염수를 투입하였고, 그 다음날 덧물로 16 L를 더 넣은 후 증발시켜 소금(천일염)을 채취하였다.
각각의 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생산량을 저울로 측정하고, 각각 500g의 천일염을 채취하여 천일염의 입자크기를 염전용 표준 시험체(Standard testing sieve, 청계상공사, 서울)로 4mm (No. 5), 2.8 mm (No. 7), 2.8 mm 이하 크기로 분리하여 크기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보듯이, 천일염의 생산량은 PP장판 + 청옥> PVC 장판 > 청옥 장판의 순으로 나타났다. PP장판 + 청옥 및 PVC 장판에 비해서 청 옥 장판의 경우 생산량이 60 내지 70% 수준에 그쳐 생산량이 다소 떨어졌다. 천일염 입자의 크기에 있어서도, PP장판 + 청옥 및 PVC 장판 4mm 이상의 큰 입자 및 2.8 내지 4mm의 중간크기가 비교적 유사한 범위내로 생산이 되었으나, 청옥 장판의 경우 대부분 작은 크기의 입자로 생산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굵은 소금이 상품성이 좋으므로 본 발명의 염전용 장판에서 생산된 소금은 종래의 PVC 장판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상품성이 더 좋은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정지 바닥재 재질에 따른 천일염 생산량 비교
PVC 장판 PP 장판 + 청옥분말 청옥
Day 1
염도 23도
24 리터 24 리터 24 리터
Day 2
덧물 후 염도 27도
16 리터 16 리터 16 리터
천일염 생산량 4.5kg 4.7kg 3kg
결정지 바닥대 재질에 따른 천일염 입자 크기 비교
결정크기 천일염 결정지 재질
PVC 장판 PP + 청옥분말 청옥
4 mm 이상 1.1±0.1% 1.6±0.0% 0
4 - 2.8 mm 22.7±3.2% 26.5±0.7% 16.9±3.7%
2.8 mm 이하 76.3±3.3% 71.9±0.7% 83.2±3.7%
<2-2> 생산된 천일염의 성분 비교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각각의 천일염의 성분에서 Na, Mg, Ca 및 K 이온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3에서 보듯이, 각각의 장판에서 얻은 천일염의 성분은 큰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정지 장판 재질별에 따른 천일염 성분 분석
항목 천일염 결정지 재질
PVC 장판 PP + 청옥분말 청옥
Na 32,032 32,024 31,353
Mg 979 1,029 1,103
Ca 244 252 246
K 224 255 251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염전 장판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보다 우수하거나 거의 유사한 수준의 천일염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프탈레이트 화합물을 배출하지 않아 유해성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PVC 염전 장판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염전 장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청옥, 무기충전제 및 첨가제로 이루어진 염전 장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 장판은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올레핀의 랜덤 코폴리머 80중량%, 청옥 3중량%, 무기충전제 15중량% 및 첨가제 2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옥은 분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전제는 평균 입경이 10μm 이하의 침상형태의 무기질 또는 평균 입경이 7μm 이하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화합물 단독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스테라마이드, 올리아미이드, 에루카마이드, 부틀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 올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몬탄산을 반응시킨 몬탄계 왁스, 스테아린산계 금속염, 스테아린산, 라우릴산, 세틸 알코올 및 스테아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활제 50 내지 90중량%; 페놀계 산화방지제,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산화방지제 및 아민계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열안정제 5 내지 40중량%; 및 산화방지제, 중화제, 핵제, 대전방지제, 슬립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이상 선택된 기타 첨가제 5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전 장판.
KR1020080062404A 2008-06-30 2008-06-30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84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404A KR100984622B1 (ko) 2008-06-30 2008-06-30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404A KR100984622B1 (ko) 2008-06-30 2008-06-30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93A KR20100002493A (ko) 2010-01-07
KR100984622B1 true KR100984622B1 (ko) 2010-09-30

Family

ID=41812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404A KR100984622B1 (ko) 2008-06-30 2008-06-30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93B1 (ko) 2011-05-26 2013-02-12 이정헌 염전 바닥용 무시유 다공성 블럭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622B1 (ko) * 2012-09-06 2014-06-24 김일랑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42Y1 (ko) 2007-03-19 2008-02-21 한상인 염전용 장판의 연결 구조
KR100812301B1 (ko) 2007-10-05 2008-03-10 윤광수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542Y1 (ko) 2007-03-19 2008-02-21 한상인 염전용 장판의 연결 구조
KR100812301B1 (ko) 2007-10-05 2008-03-10 윤광수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493B1 (ko) 2011-05-26 2013-02-12 이정헌 염전 바닥용 무시유 다공성 블럭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493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2016242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hermoplastischen Elastomerzusammensetzung
CA2825526C (en) Low gloss capstock
CN103910990A (zh) 一种热塑性无卤阻燃聚苯醚弹性体电缆料及其制备方法
CN106675409A (zh) 耐盐碱耐根穿刺改性沥青涂盖料及制造方法、防水卷材及制造方法
CN103571028A (zh) 用于制备阻燃热塑性弹性体组合物的方法
KR100984622B1 (ko)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219127B1 (ko) 친환경 염전장판
DE602004001745T2 (de) Verpackungsfolie
GB2476576A (en) Composition for use in components requiring a surface appearance of cast iron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N100577718C (zh) 抗粘连剂混合物和其用途
CN103429654A (zh) 基于离聚物的低光泽表面料
TWI822747B (zh) 粒狀紫外線吸收劑及樹脂組成物
KR10110210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921445B1 (ko) 염전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0995185B2 (en) Masterbatch compositions having titanium dioxide and propylene-ethylene copolymer
EP2272921B1 (en) Oxo-degradability inducing substance
AU2016339049A1 (en) Polymer blends
KR101421538B1 (ko) 염전용 친환경 장판
JP617587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難燃樹脂組成物
KR101309340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 제조된 필름
DE10147754B4 (de) Polyolefinharzmasse und dieselbe umfassende Folie
KR102182393B1 (ko) 친환경 염전 매트 제조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친환경 염전매트
US20240026134A1 (en)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a recycled coated polyolefin fabric substrate
JPS6262842A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