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622B1 -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622B1
KR101411622B1 KR1020120098989A KR20120098989A KR101411622B1 KR 101411622 B1 KR101411622 B1 KR 101411622B1 KR 1020120098989 A KR1020120098989 A KR 1020120098989A KR 20120098989 A KR20120098989 A KR 20120098989A KR 101411622 B1 KR101411622 B1 KR 10141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s
oxide
salt
paper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2282A (ko
Inventor
김일랑
Original Assignee
김일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랑 filed Critical 김일랑
Priority to KR102012009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162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22Preparation in the form of granules, pieces, or other shaped products
    • C01D3/24Influencing the crystallisation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가 제공된다. 상기 결정지는 복수 개의 석판들 이용해서 염전의 갯벌을 덮는다.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비금속 광물 및 금속 광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crystallization pond including a plurality of stone plates and method of forming salt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천일염(이하, 소금)은 염전의 갯벌로부터 받을 수 있는 구조적인 영향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이용해서 염전으로부터 수확되고 있다. 상기 염전의 갯벌 흙은 염전에서 소금의 형성 동안에 소금에 흡수되어서 소금 물의 색깔을 탁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염전의 갯벌 흙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상기 염전의 갯벌은 복수 개의 타일들로 덮인다.
이 경우에, 상기 타일들은 염전으로부터 소금을 수확하는 동안에 갯벌 흙의 영향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타일들의 각각은 가로 약 3㎝, 세로 약 3㎝, 및 높이 약 0.5㎜ 로 구성된다. 상기 염전은 가로 약 12m, 및 세로 약 10m 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타일들의 각각의 작은 면적 때문에, 상기 타일들은 염전의 갯벌을 많은 영역들로 세분해서 영역들 사이를 통해서 소금 및 갯벌 흙의 결합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일들은 염전으로부터 소금을 수확하는 동안에 염부에 의해 밟혀서 쉽게 깨지고 그리고 염전에 파편들을 형성한다. 상기 타일들의 파편들은 소금의 불용분으로 작용해서 소금의 질을 열악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서, 상기 타일들의 각각은 테두리에 굽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타일들의 굽은 형상은 염전의 갯벌로부터 갯벌 흙의 부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염전에서 소금을 형성하는 동안에 소금 및 갯벌 흙의 결합 확률을 최소화하는데 적합한 결정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염전에서 소금을 수확하는 동안에 염부에 의해 밟혀도 깨지지 않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결정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염전에서 타일과 적어도 동일한 품질 기준을 갖는 소금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닥재를 포함하는 결정지를 이용한 소금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앞서 언급한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염전의 갯벌 상에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한다. 상기 석판들은 비금속 광물로써 실리콘 옥사이드(SiO2) 51.21~56.60 중량%,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14.63~16.17 중량%, 아이언 옥사이드(Fe2O3) 9.69~10.71 중량%, 칼슘 옥사이드(CaO) 7.32~8.09 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4.88~5.40 중량%, 나트륨 옥사이드(Na2O) 3.38~3.74 중량%, 칼륨 옥사이드(K2O) 1.90~2.10 중량%,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8~0.98 중량%, 망간 옥사이드(MnO) 0.15~0.17 중량%, 및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34~0.38 중량%, 그리고
금속 광물로써 납(Pb) 0.01 이하 중량%, 비소(As) 0.01 이하 중량%, 카드뮴(Cd) 0.01 이하 중량%, 및 크롬(Cr) 0.01 이하 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염전은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석판들은 상기 갯벌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석판들 중 이웃하는 두 개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을 통하여 접촉해서 하나의 경계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석판들 중 일부는 상기 염전의 둑과 공간 없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가로 30㎝, 세로 30㎝, 및 높이 30㎜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소금의 형성방법은, 저수지, 증발지 및 결정지에서 수행되도록, 해수(海水)를 저수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수지와 상기 증발지를 연결해서 상기 증발지의 제 1 염전에 상기 해수를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염전에서 자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해수를 염수로 변형시키고, 상기 증발지와 상기 결정지를 연결해서 상기 결정지의 제 2 염전에 상기 염수를 저장시키고, 상기 제 2 염전에서 상기 자연력을 이용하여 상기 염수를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염전은 바닥의 갯벌 상에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한다. 상기 석판은 비금속 광물로써 실리콘 옥사이드(SiO2) 51.21~56.60 중량%,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14.63~16.17 중량%, 아이언 옥사이드(Fe2O3) 9.69~10.71 중량%, 칼슘 옥사이드(CaO) 7.32~8.09 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4.88~5.40 중량%, 나트륨 옥사이드(Na2O) 3.38~3.74 중량%, 칼륨 옥사이드(K2O) 1.90~2.10 중량%,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8~0.98 중량%, 망간 옥사이드(MnO) 0.15~0.17 중량%, 및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34~0.38 중량%, 그리고 금속 광물로써 납(Pb) 0.01 이하 중량%, 비소(As) 0.01 이하 중량%, 카드뮴(Cd) 0.01 이하 중량%, 및 크롬(Cr) 0.01 이하 중량% 를 포함한다.
상기 해수, 상기 염수, 및 상기 백색 결정체는 서로 다른 염도들을 각각 갖는다.
상기 자연력은 햇빛 및 바람을 포함한다.
상기 해수를 상기 염수로 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제 1 염전 내 갯벌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해수를 상기 염수로 변형시키는 시간은 상기 염수를 상기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시간보다 길다.
상기 염수를 상기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제 2 염전 내 상기 석판들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석판들은 검은 색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염전에 종래 기술의 타일들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구비해서 타일 대비 염전의 갯벌을 적은 영역들로 세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염전에 종래 기술의 타일들보다 큰 두께를 가지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구비해서 염부에게 밟혀도 깨지지 않기 때문에 타일들 대비 염전에 석판들의 파편들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염전에 종래 기술의 타일들보다 큰 무게를 가지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타일들 대비 염전에서 석판들의 이동성을 작게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종래 기술 대비 염전에서 석판들의 이동성을 작게 갖기 때문에 설치 시 형성되는 석판들의 정합성, 그리고 염전의 측벽 및 석판들의 접합성을 설치 후에도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설치 시 및 설치 후에도 석판들의 정합성 그리고 염전의 측벽 및 석판들의 접합성이 균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소금의 수확 동안에 종래 기술의 타일들 대비 소금 및 갯벌 흙의 결합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는 종래 기술의 타일들보다 큰 면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이용해서 햇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타일들 대비 소금의 형성 시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소금의 형성방법은 결정지의 염전 내 갯벌을 완전히 덮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이용해서 종래 기술의 타일들과 적어도 동일한 품질 기준을 가지는 소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결정지 내 염전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6 은 도 3 의 흐름도를 따라서 소금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는 도 1 및 2 를 참조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2 는 도 1 의 결정지 내 염전의 일부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30)는 제방(堤防, 32)으로 둘러싸여서 소정 영역을 갖는다. 상기 결정지(30)는 제방(32) 내에서 소정 영역을 세분하는 둑(34)을 갖는다. 상기 둑(34)은 결정지(30)에서 복수 개의 염전(36)들을 한정한다. 상기 염전(36)들은 결정지(30)에서 2 차원적으로 배열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둑(34)은 결정지(30)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정지(30)는 제방(32)으로 한정되는 하나의 염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염전(36)들의 각각은 복수 개의 석판(36A)들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의 각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염전(36)들의 바닥들에서 갯벌을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 중 하나의 구성 광물의 시험 결과는 '한국 광물 자원 공사' 에서 시험 기간 2011.11.07 ~ 2011.11.22 에 분석되어서 성적서 번호 제 11-04102 호에 종래 기술의 타일들 중 하나의 구성 광물의 시험 결과와 함께 아래와 같이 개시되고 있다.
광물의 구성 요소들 시험 결과 1
(@ 타일, 중량%)
시험 결과 2
(@ 석판, 중량%)

비금속 광물
실리콘 옥사이드(SiO2) 64.2 53.9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21.6 15.4
아이언 옥사이드(Fe2O3) 4.95 10.2
칼슘 옥사이드(CaO) 2.33 7.70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1.11 5.14
나트륨 옥사이드(Na2O) 1.54 3.56
칼륨 옥사이드(K2O) 2.85 2.00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2 0.93
망간 옥사이드(MnO) 0.07 0.16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09 0.36

금속 광물
납(Pb) < 0.01 < 0.01
비소(As) < 0.01 < 0.01
카드뮴(Cd) < 0.01 < 0.01
크롬(Cr) < 0.01 < 0.01
상기 시험 결과는 온도 22.0±5.0 ℃, 및 상대 습도 40±20% R.H 의 시험 환경에서 측정되었고, 그리고 상기 비금속 광물 및 금속 광물은 유도 결합 플라스마 발광 분광기(ICP-OES) 및 XRF 형광 분석기를 이용해서 각각 분석되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비금속 광물로써 실리콘 옥사이드(SiO2) 51.21~56.60 중량%,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14.63~16.17 중량%, 아이언 옥사이드(Fe2O3) 9.69~10.71 중량%, 칼슘 옥사이드(CaO) 7.32~8.09 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4.88~5.40 중량%, 나트륨 옥사이드(Na2O) 3.38~3.74 중량%, 칼륨 옥사이드(K2O) 1.90~2.10 중량%,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8~0.98 중량%, 망간 옥사이드(MnO) 0.15~0.17 중량%, 및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34~0.38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금속 광물로써 납(Pb) 0.01 이하 중량%, 비소(As) 0.01 이하 중량%, 카드뮴(Cd) 0.01 이하 중량%, 및 크롬(Cr) 0.01 이하 중량%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검정 색을 갖는다. 상기 결정지(30)는 염전(36)들 사이에 수로(38)를 갖는다. 상기 수로(38)는 제방(32) 및 둑(34)으로 한정된다. 상기 수로(38)의 바닥은 갯벌로 형성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의 각각은 가로 약 30㎝, 세로 약 30㎝, 및 높이 약 30㎜ 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염전(36)에서 갯벌(38A)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 중 이웃하는 두 개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S1, S2)을 통하여 접촉해서 제 1 경계선(B1)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경계선(B1)은 이웃하는 두 개의 석판(36A)들 사이에서 곧은 선을 형성한다. 상기 석판(36A)들 중 일부는 염전(36)의 둑(34)과 공간 없이 접촉해서 제 2 경계선(B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경계선(B2)은 선택된 하나의 석판(36A) 및 염전(36)의 둑(34) 사이에서 곧은 선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염전(36)에서 2 차원적으로 도 1 과 같이 배열되어서 염전(36)의 갯벌을 완전하게 덮을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그리고 도 4 내지 6 은 도 3 의 흐름도를 따라서 소금의 형성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소금의 형성방법은 우선적으로 도 4 의 저수지(10)에서 수행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소금의 형성방법은 저수지(10)에 해수(海水, 13)를 저장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 상기 저수지(10)에 해수(13)를 저장하는 단계(S100)는 바다로부터 저수지(10)에 해수(13)를 끌어들여서 저수지(10)에 해수(13)를 저장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해수(13)는 오염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저수지(10)에서 일련의 청정 공정들을 적용받을 수 있다. 상기 해수(13)는 염도 약 0.2% 를 갖는다. 다음으로, 상기 소금의 형성방법은 도 4 의 증발지(20)에서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증발지(20)는 제 1 제방(22)으로 둘러싸여서 소정 영역을 갖는다. 상기 증발지(20)는 제 1 제방(22) 내에서 소정 영역을 세분하는 제 1 둑(24)을 갖는다.
상기 제 1 둑(24)은 증발지(20)에서 복수 개의 제 1 염전(26)들을 한정한다. 상기 제 1 염전(26)들은 증발지(20)에서 2 차원적으로 배열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둑(24)은 증발지(20)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증발지(20)는 제 1 제방(22)으로 한정되는 하나의 염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증발지(20)는 제 1 염전(26)들 사이에 제 1 수로(28)를 갖는다.
상기 제 1 수로(28)는 제 1 제방(22) 및 제 1 둑(24)으로 한정된다. 상기 제 1 염전(26)들 및 제 1 수로(28)의 바닥들(26A, 28A)은 갯벌로 형성된다. 이를 바탕으로, 상기 소금의 형성방법은 증발지(20)에서 염수(16)를 형성하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 상기 증발지(20)에서 염수(16)를 형성하는 단계(S200)는 저수지(10) 및 증발지(20)를 연결시켜서 증발지(20)의 제 1 염전(26)에 저수지의 해수(13)를 저장시키고, 그리고 제 1 염전(26)에서 자연력을 이용하여 해수(13)를 염수(16)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연력은 햇빛 및 바람을 포함한다. 상기 자연력은 제 1 염전(26)에서 해수(13)에 약 15일 이상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염수는 염도 약 18% 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소금의 형성방법은 도 5 및 6 의 결정지(30)에서 수행된다. 이 경우에, 상기 결정지(30)는 제 2 제방(32)으로 둘러싸여서 소정 영역을 갖는다. 상기 결정지(30)는 제 2 제방(32) 내에서 소정 영역을 세분하는 제 2 둑(34)을 갖는다.
상기 제 2 둑(34)은 결정지(30)에서 복수 개의 제 2 염전(36)들을 한정한다. 상기 제 2 염전(36)들은 결정지(30)에서 2 차원적으로 배열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둑(34)은 결정지(30)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정지(30)는 제 2 제방(32)으로 한정되는 하나의 염전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결정지(30)는 제 2 염전(36)들 사이에 제 2 수로(38)를 갖는다.
상기 제 2 수로(38)는 제 2 제방(32) 및 제 2 둑(34)으로 한정된다. 상기 제 2 염전(36)들의 바닥들은 복수 개의 석판(36A)들로 도 1 및 2 와 같이 덮이고, 그리고 제 2 수로(38)의 바닥(38A)은 갯벌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석판(36A)들은 도 1 에서 개시된 비금속 광물 및 금속 광물을 포함한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상기 소금의 형성 방법은 결정지(30)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상기 결정지(30)에서 소금을 채취하는 단계(S300)는 증발지(20)와 결정지(30)를 연결해서 결정지(30)의 제 2 염전(36)에 증발지(20)의 염수(16)를 도 5 와 같이 저장시키고, 그리고 제 2 염전(36)에서 자연력을 이용하여 염수(16)를 백색 결정체(19)들로 도 6 과 같이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연력은 제 2 염전(36)에서 염수(16)에 약 5 시간 이상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백색 결정체(19)는 염도 약 23% 이상을 갖는다. 상기 백색 결정체(19)는 소금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후로, 상기 소금의 형성방법은 간수 저장고에 소금을 저장시키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소금의 형성방법으로 석판(36A)들에서 채취된 소금은 종래 기술의 타일들에서 채취된 소금과 아래 표에서 비교되었다.
(염전 내 타일들 및 석판들로부터 채취된 소금 성분의 비교)
검 사 항 목 단 위 천일염
(품질 기준)
결과 1
(@ 타일들)
결과 2
(@ 석판들)
결과 3
(@ 석판들)

염화나트륨

%

70.0 이상

82.5

86.1

83.8

총염소

%

40.0 이상

49.5

49.6

49.8

수분

%

15.0 이상

11.2

8.5

9.3

불용분

%

0.15 이상

0.03

0.06

0.03

황산이온

%

5.0 이상

2.0

2.0

1.5

사분

%

0.2 이상

0.0

0.0

0.0

비소

㎎/㎏

0.5 이하

0.1

0.0

0.1


㎎/㎏

2.0 이하

0.2

0.6

0.5

카드뮴

㎎/㎏

0.5 이하

0.0

0.0

0.0

수은

㎎/㎏

0.1 이하

0.0

0.0

0.0

페로시안회이온

g/㎏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음이온
(Chloride(Cl))

㎎/㎏

-

495076.746

495678.401

498282.098
음이온
(Sulfate(SO4))

㎎/㎏

-

20352.623

19692.081

15389.132
양이온
(Sodium(Na))

㎎/L

-

339691.000

346715.000

335894.000
양이온
(Magnesium(Mg))

㎎/L

-

9002.100

9486.800

10099.000
양이온
(Potassium(K))

㎎/L

-

2322.900

2543.600

2567.600
양이온
(Calcium(Ca))

㎎/L

-

1039.400

585.200

934.400
상기 소금 성분의 비교는 '국립목표대학교 소금품질 검사기관' 에서 시험 완료 일자 2012.06.20 에 분석되어서 검정 성적서 번호 제 2012-06-0240 & (1), 2012-06-0241 & (1), 및 2012-06-0242 & (1) 호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표를 참조해 볼 때에, 본 발명의 소금은 전체적으로 천일염의 품질 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소금은 염화나트륨의 농도에서 종래 기술의 소금 대비 증가되었고, 그리고 수분의 농도에서 종래 기술의 소금 대비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금은 종래 기술의 소금 대비 짠맛을 덜 낼 수 있다.
더불어서, 본 발명의 소금은 종래 기술의 소금 대비 특정 미네랄 성분들(Cl, Mg, K)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다. 상기 특정 미네랄 성분들(Cl, Mg, K)은 사람의 신진 대사에 양호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저수지, 13; 해수
16; 염수, 19; 백색 결정체(소금)
20 & 36; 증발지 & 결정지, 22, 32; 제방
24, 34; 둑, 26, 36; 염전
26A; 염전 바닥, 28, 38; 수로
28A, 38A; 수로 바닥 36A; 복수 개의 석판들

Claims (14)

  1. 염전의 갯벌 상에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비금속 광물로써 실리콘 옥사이드(SiO2) 51.21~56.60 중량%,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14.63~16.17 중량%, 아이언 옥사이드(Fe2O3) 9.69~10.71 중량%, 칼슘 옥사이드(CaO) 7.32~8.09 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4.88~5.40 중량%, 나트륨 옥사이드(Na2O) 3.38~3.74 중량%, 칼륨 옥사이드(K2O) 1.90~2.10 중량%,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8~0.98 중량%, 망간 옥사이드(MnO) 0.15~0.17 중량%, 및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34~0.38 중량%, 그리고
    금속 광물로써 납(Pb) 0.01 이하 중량%, 비소(As) 0.01 이하 중량%, 카드뮴(Cd) 0.01 이하 중량%, 및 크롬(Cr) 0.01 이하 중량% 를 포함하는 결정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전은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결정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들은 상기 갯벌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결정지.
  4. 제 1 항에서,
    상기 석판들 중 이웃하는 두 개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들을 통하여 접촉해서 하나의 경계선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결정지.
  5. 제 1 항에서,
    상기 석판들 중 일부는 상기 염전의 둑과 공간 없이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결정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가로 30㎝, 세로 30㎝, 및 높이 30㎜ 로 구성되는 결정지.
  7. 저수지, 증발지 및 결정지에서 수행되도록,
    해수(海水)를 저수지에 저장시키고,
    상기 저수지와 상기 증발지를 연결해서 상기 증발지의 제 1 염전에 상기 해수를 저장시키고,
    상기 제 1 염전에서 자연력을 이용하여 상기 해수를 염수로 변형시키고,
    상기 증발지와 상기 결정지를 연결해서 상기 결정지의 제 2 염전에 상기 염수를 저장시키고,
    상기 제 2 염전에서 상기 자연력을 이용하여 상기 염수를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염전은 바닥의 갯벌 상에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비금속 광물로써 실리콘 옥사이드(SiO2) 51.21~56.60 중량%, 알루미늄 옥사이드(Al2O3) 14.63~16.17 중량%, 아이언 옥사이드(Fe2O3) 9.69~10.71 중량%, 칼슘 옥사이드(CaO) 7.32~8.09 중량%,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4.88~5.40 중량%, 나트륨 옥사이드(Na2O) 3.38~3.74 중량%, 칼륨 옥사이드(K2O) 1.90~2.10 중량%, 타이타늄 옥사이드(TiO2) 0.88~0.98 중량%, 망간 옥사이드(MnO) 0.15~0.17 중량%, 및 포스포러스 펜토사이드(P2O5) 0.34~0.38 중량%, 그리고
    금속 광물로써 납(Pb) 0.01 이하 중량%, 비소(As) 0.01 이하 중량%, 카드뮴(Cd) 0.01 이하 중량%, 및 크롬(Cr) 0.01 이하 중량% 를 포함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상기 염수, 및 상기 백색 결정체는 서로 다른 염도들을 각각 가지는 소금의 형성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력은 햇빛 및 바람을 포함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를 상기 염수로 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제 1 염전 내 갯벌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를 상기 염수로 변형시키는 시간은 상기 염수를 상기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시간보다 긴 소금의 형성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를 상기 백색 결정체들로 변형시키는 것은 상기 제 2 염전 내 상기 석판들 상에서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들의 각각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소금의 형성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들은 검은 색을 가지는 소금의 형성방법.
KR1020120098989A 2012-09-06 2012-09-06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KR10141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89A KR101411622B1 (ko) 2012-09-06 2012-09-06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989A KR101411622B1 (ko) 2012-09-06 2012-09-06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82A KR20140032282A (ko) 2014-03-14
KR101411622B1 true KR101411622B1 (ko) 2014-06-24

Family

ID=5064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989A KR101411622B1 (ko) 2012-09-06 2012-09-06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16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42A (ko)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시소 트레이에 의한 소금 결정 효율을 향상시킨 소금 생산장치
KR20160056644A (ko)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입체 구조 증발지에 의한 소금 생산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58Y1 (ko) 2006-03-31 2006-10-04 김경희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KR20100002493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2625A (ko) * 2010-12-01 2011-11-10 윤나영 황토 토판 블록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천일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958Y1 (ko) 2006-03-31 2006-10-04 김경희 제독기능의 염전 바닥재
KR20100002493A (ko) * 2008-06-30 2010-01-0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염전 장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2625A (ko) * 2010-12-01 2011-11-10 윤나영 황토 토판 블록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천일염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642A (ko)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시소 트레이에 의한 소금 결정 효율을 향상시킨 소금 생산장치
KR20160056644A (ko) 2014-11-12 2016-05-20 박용희 입체 구조 증발지에 의한 소금 생산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282A (ko) 201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roeder Structure and weathering of potassium containing minerals
KR101411622B1 (ko) 복수 개의 석판들을 포함하는 결정지 및 그 결정지를 이용하는 소금의 형성방법
ES2462315T3 (es) Agente floculante acuoso alcalino, procedimiento para la preparación de un agente floculante acuoso alcalino y de un agente floculante sólido, así como su uso
Evans Jr et al. The crystal structure and crystal chemistry of valleriite
Yang et al. Hazenite, KNaMg2 (PO4) 2⋅ 14H2O, a new biologically related phosphate mineral, from Mono Lake, California, USA
Mugnaioli et al. The structure of kaliophilite KAlSiO4, a long-lasting crystallographic problem
Nagashima et al. Palenzonaite, berzeliite, and manganberzeliite:(As5+, V5+, Si4+) O4 tetrahedra in garnet structures
Freytet et al. Palaeoecology of non marine algae and stromatolites: Permian of France and adjacent countries
Hudson Reassessment of Polynov's ion mobility series
Vinithkurnar et al.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major ions in the sediments of coral reefs and seagrass beds of Gulf of Mannar biosphere reserve, southeast coast of India
Ali-Bik et al. Facies and geochemistry of non-marine gypsum, EMISAL, Egypt
KR101644852B1 (ko) 천일염 채염방법
KR100959391B1 (ko) 해중림초 기능을 갖는 수중의 소파구조물
Fathi et al.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Lake Al-Asfar, Al-Hassa, Saudi Arabia
Pekov et al. Vigrishinite, Zn2Ti4− x Si4O14 (OH, H2O,□) 8, a new mineral from the Lovozero alkaline complex, Kola Peninsula, Russia
Pekov et al. Voloshinite, a new rubidium mica from granitic pegmatite of Voron’i Tundras, Kola Peninsula, Russia
KR100650268B1 (ko) 슬래그를 이용한 해중림 조성용 시설물
Aboulhassane et al. A natural material for desulphation of the 29% P2O5 phosphoric acid: modeling and optimization
Onopriienko et al. Prevention of degradation processes of soils irrigated with mineralized water through plastering
Urushadze et al. Soils of Georgia and problems of their use
KR101197290B1 (ko) 토판 블록을 이용한 미네랄 함유 천일염의 제조방법
Kjellman ABC2O8: a new look on the crystal chemistry and classification of samarskite group minerals
Karimova et al. Crystal structure of magnesioneptunite
Urmeneta et al. Mineralogical composition and biomass studies of the microbial mats sediments from the Ebro Delta, Spain
Kahlenberg et al. Crystal structure of Na4 [Cu4O2 (SO4) 4]· MeCl (Me: Na, Cu,☐)–the synthetic Na-analogue of piypite (carati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