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101B1 -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2101B1
KR101102101B1 KR1020080124538A KR20080124538A KR101102101B1 KR 101102101 B1 KR101102101 B1 KR 101102101B1 KR 1020080124538 A KR1020080124538 A KR 1020080124538A KR 20080124538 A KR20080124538 A KR 20080124538A KR 101102101 B1 KR101102101 B1 KR 101102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ethylene
film
weight
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937A (ko
Inventor
최현민
안종인
유영우
이기현
Original Assignee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2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6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2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2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과 부텐이 각각 1~10몰%로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90~99중량부; 제올라이트 0.01~0.5중량부; 실리카 0.01~0.5중량부; 및 슬립제 0.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투명성이 우수하고 인쇄성 및 개구성이 향상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필렌, 에틸렌, 부텐, 필름, 투명성, 인쇄성, 개구성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FILM COMPOSITION}
본 발명은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를 이용한 고투명성, 고기능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사용하여 물성이 향상된 인플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ubular Film 또는 Blown Film으로도 불리우는 인플레이션 필름은 상향식, 하향식 또는 수평식 압출에 의해 생산된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필름은 주로 프로필렌 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투명성을 요구하는 제품일 경우에는 프로필렌-에틸렌 또는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프로필렌-에틸렌 또는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은 가용분이 많아 젖음지수 경시변화가 커서, 필름을 지관에 감아 보관할 때 필름 표면에 저분자 물질이 묻어나와 인쇄성 및 개구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인플레이션 필름의 투명성, 인쇄성, 개구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일본특개소 60-024946호는 프로필렌-에틸렌 랜덤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소량의 핵제를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의 투명성을 개선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 리프로필렌은 사출제품 및 시트용에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필름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결정이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고 수축을 하면서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름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핵제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256552호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 면위에는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고, 다른 면위에는 4급 암모늄염을 도포하여 필름의 표면특성, 투명성, 인쇄성 및 제전성을 개선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그 표면에 4급 암모늄염 및 아크릴계 수지를 도포하기 때문에 생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정 중에 4급 암모늄염 및 아크릴계 수지에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클린시스템을 갖추지 않으면 식품 포장 재료로 사용이 부적합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공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155984호는, 3-메틸부텐-1 중합체를 이용하고 촉매의 구성을 개선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투명성을 개선한 기술이나, 고결정성 제품이 만들어져 오히려 투명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인쇄성 및 개구성이 향상되며, 더불어 항균성이 부여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과 부텐이 각각 1~10몰%로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90~99중량부; 제올라이트 0.01~0.5중량부; 실리카 0.01~0.5중량부; 및 슬립제 0.01~1중량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15g/10min이며, 가용분의 함량이 2~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디에테르(diether)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올라이트는 은(Ag) 및 아연(Z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립제는 아마이드계 슬립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자외선안정제 및 대전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인플레이션 필름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 특히, 인플레이션 필름을 제조할 경우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가용분의 함량이 감소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함에 따라 수지의 결정화 속도가 증가하여 결정사이즈가 감소되므로 필름의 투명성이 향상되며, 투명성이 향상된 필름을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함에 따라 제품의 심미성이 증가되어 제품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다.
둘째, 디에테르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제올라이트, 실리카를 사용함에 따라 가용분 이행이 최소화되어 필름의 인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아마이드계 슬립제를 사용하여 필름의 개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불량률이 감소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은 및 아연을 함유하는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여 필름에 항균성이 부가되기 때문에 식품 포장이나 의약 제품 포장에 필름을 사용할 경우 세균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해 더욱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제올라이트, 실리카 및 슬립제를 포함한다.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 각각이 공중합체 100몰%를 기준으로, 프로필렌 80~98몰%, 에틸렌 1~10몰%, 부텐 1~10몰%로 함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86~98몰%, 에틸렌 1~4몰%, 부텐 1~10몰%로 함유하는 것으로, 제5세대 촉매 중 하나인 디에테르(diether)계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다.
디에테르계 촉매는 다른 촉매에 비해 분자량 분포가 좁고 수소반응성이 좋으며, 반응측면에서는 중합반응에 추가로 투입되는 외부 전자공여체가 없어도 입체규칙도가 유지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디에테르계 촉매를 사용하여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를 제조하면, 가용분(고분자 생성 시 분자량이 일정하지 않고, 분자량이 아주 낮거나 규칙성을 갖지 않는 물질)이 감소되며, 결정사이즈가 작아지고 에틸렌 및 부텐이 고르게 분포되어 결정화도가 감소하여 필름의 투명성 및 인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디에테르계 촉매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디에테르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으로, 비제한적인 예로는 2,2-디이소부틸-1,3-디메톡시프로판(2,2-diisobutyl-1,3-dimethoxypropane)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에테르계 촉매로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입경이 5mm이하, 바람직하게는 2mm 이하인 파우더 형태이며, 용융지수는 1~15g/10min이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에서 가용분의 함량은 2~8중량%(바람직하게는 3~7중량%)가 될 수 있다. 가용분의 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젖음지수 경시변화가 커서, 필름을 지관에 감아 보관할 때 필름 표면에 저분자 물질이 묻어 나와 인쇄성이 나빠지게 된다. 따라서, 가용분의 함량은 적은 것이 바람직하나 너무 적을 경우에는 필름이 딱딱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적당량이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가용분을 2~8중량%(바람직하게는 3~7중량%)로 함유함에 따라 가용분의 함량을 감소시키되 최소한의 가용분을 함유한 수지로서, 이에 따라 필름의 인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90~9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98~99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가 9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내에 포함되는 가용분의 함량이 많아져 필름의 블로킹성 및 강성도(stiffness)가 저하되며, 99중량부를 초과하면 결정화도가 감소되지 않아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제올라이트는 필름의 인쇄성 및 블로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수분을 함유하고 필름의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공성 및 기공의 면적이 넓은 단사정계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입자의 사이즈가 0.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3㎛이며, 겉보기밀도(bulk density)는 0.4~0.5g/㎖이고, 평균 기공 채널 사이즈(average pore interconnected channel)가 3~10Å 단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4~7Å 단면인 파우더 형태의 다공성 제올라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올라이트는 필름의 표면에 저분자 물질이 묻어나오지 않도록 저분자 물질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용분의 이행(migration)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올라이트에는 필름의 항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은(Ag) 및/또는 아연(Zn)이 함유될 수 있는데, 항균성을 최대한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은(Ag)과 아연(Zn)이 모두 함유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은(Ag) 및/또는 아연(Zn)을 제올라이트에 함유시키는 방법은 어느 것이든 무방하나. 구체적으로는 제올라이트 표면에 코팅하거나 제올라이트와 중합시켜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참고적으로 제올라이트를 중합시켜 제조할 경우, 제올라이트에는 개시제로 사용되는 양이온의 종류로 나트륨(Na), 암모늄(NH4), 칼륨(K)이 소량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원소들은 항균성을 부가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어느 정도 수행하게 된다.
제올라이트에 은(Ag) 및/또는 아연(Zn)이 함유될 경우, 제올라이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은(Ag)은 0.1~1중량부, 아연(Zn)은 5~50중량부의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Ag)과 아연(Zn)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항균성이 저하되며, 초과되어 함유되면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인쇄성 및 블로킹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은(Ag) 및/또는 아연(Zn)이 함유된 제올라이트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0.5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올라이트가 0.01중량부 미만이면 필름의 인쇄성, 블로킹성 및 항균성이 저하되고,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무기물인 제올라이트의 함량이 많아져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 다.
실리카는 상기 제올라이트와 같이 필름의 인쇄성 및 블로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다공성 흰색 비결정형이고, 입자의 사이즈가 4.5~5.3㎛, 기공의 부피가 0.6~0.8㎖/g, SiO2의 함량이 99%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60도 건조 시 수분 함유량은 2% 미만의 값을 갖는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실리카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0.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가 0.01중량부 미만이면, 필름의 인쇄성 및 블로킹성이 저하되고, 0.5중량부를 초과하면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슬립제는 필름 표면에 도포되어 끈끈한(Sticky) 현상을 감소시키고, 표면의 미끄러움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아마이드계 슬립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아마이드계 슬립제는 지방산으로부터 합성된 아마이드계열의 높은 융점을 갖고, 하이드록실(Hydroxyl) 그룹이 아미노(Amino) 구조로 치환되어 중성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아마이드계 슬립제의 예로는, 에루카미드(erucamide), 올레아미드(Oleamide), 베헨아미드(behenamide) 스테아르아미드(stearamide),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stearyl stearamidel), 스테아릴 에루카미드(stearyl erucamide), 올레일팔미틸 아미드(oleylpalmityl amide)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 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슬립제는 비드의 평균입경이 1.3mm이고, 파우더의 입경은 0.4m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슬립제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1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립제가 0.01중량부 미만이면 필름의 개구성이 저하되고, 1중량부를 초과하면 슬립성이 과도해져 필름보관상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제올라이트, 실리카, 슬립제 이외에 산화방지제, 중화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할 경우 열, 산소 등에 의해 수지 분자가 끊어지는 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1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화제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 잔사(금속 성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산(구체적으로는 HCL)을 중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1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안정제는 자외선에 의해 수지의 분자사슬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1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의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내에 0.01~1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및 첨가제를 혼합한 후 압출기로 성형시켜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과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제올라이트, 실리카, 슬립제를 헨셀 믹서에 투입하고 500rpm 조건으로 1분, 1500rpm 조건으로 0.5분 혼합 후 다시 500rpm으로 혼합하면서 샘플을 총 2~8분 동안 충분히 혼합시킨다. 혼합된 샘플을 160~230℃(바람직하게는 180~220℃)의 압출온도에서 L/D가 25 이상인 단축 압출기, 다축 압출기, 니더 또는 벤버리 믹서 등을 이용하여 필름, 바람직하게는 인플레이션 필름으로 성형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1) 프로필렌 93몰%, 에틸렌 3.5몰%, 부텐 3.5몰%로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용융지수 8g/10min) 98중량부, (B) 은(Ag) 및 아연(Zn)이 함유된 제올라이트(Ciba社-Irgaguard B 5000) 0.5중량부, (C) 슬립제(AkzoNobel社-아모르슬립) 1중량부, (D) 실리카(그레이스社-sylobloc 400S) 0.5중량부를 헨셀 믹서에 투입한 후 500rpm 조건으로 1분, 1500rpm 조건으로 0.5분 등 총 2~8분 동안 충분히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물을 L/D 35인 40mm 일축 압출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필름을 성형하였다. 이때, 압출온도는 160~230℃(최종온도 230℃), 압출기 성형 속도는 200rpm으로 설정하였다.
[실시예 2]
(A2) 프로필렌 96몰%, 에틸렌 2몰%, 부텐 2몰%로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용융지수 8g/10min)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A3) 프로필렌 98몰%, 에틸렌 1몰%, 부텐 1몰%로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용융지수 8g/10min)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A1)성분 대신 프로필렌 96.5몰%, 에틸렌 3.5몰%로 함유하는 프로필렌-에틸렌 이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B)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2에서 (B)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3에서 (B)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서 (C)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2에서 (C)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3에서 (C)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서 (D)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9]
실시예 2에서 (D)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0]
실시예 3에서 (D)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서 (A1)성분 대신에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프로필렌 93몰%, 에틸렌 3.5몰%, 부텐 3.5몰%)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성형하였다.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11에서 제조된 각각의 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 표1에 나타내었다.
1. Haze : 필름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ASTM D-746방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1 이하는 "◎", 1.5 이하는 "○", 2 이하는 "△", 2 이상은 "X"로 체크.
2. 젖음지수 : 인쇄성과 라미네이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JIS K676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고, 30일 경과 후 40 dyne/cm 이상은 "◎", 38 dyne/cm 이상은 "○", 36 dyne/cm 이상은 "△", 36 dyne/cm 이하는 "X"로 체크.
3. Blocking : 필름을 연속적으로 권취시 필름과 필름이 서로 달라붙는 성질을 말하며, 2.16Kg의 하중으로 48시간 압축 후 필름의 떨어질 때 강도가 15g 이하는 "◎", 20g 이하는 "○", 25g 이하는 "△", 25g 이상은 "X"로 체크.
4. 개구성 : 인플레이션(Inflation) 필름에서 요구되는 성질로서 닫혀진 필름 부위가 얼마나 쉽게 열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일정한 힘을 가했을 때, 몇 회에 개구가 되는지로 평가. 1회는 "◎", 3회 이하는 "○", 5회 이하는 "△", 5회 이상은 "X"로 체크.
5. 항균성 : 균에 저항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KS K0693시험법으로 측정. 배양온도 37도에서 24시간 진탕 배양 후 균수 측정. 배양 균의 수의 증가폭이 0.1% 이하는 "◎", 0.5% 이하는 "○", 5% 이하는 "△", 5% 이상은 "X"로 체크.
번호 HAZE 젖음지수 Blocking 개구성 항균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X X
비교예 3 X
비교예 4 X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X X X
비교예 9 X X
비교예 10 X X
비교예 11 X X X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으로서 투명성, 개구성 및 항균성이 우수하며, 인쇄성 및 블로킹성 또한 양호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개시된 제올라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2는 항균성뿐만 아니라 인쇄성 및 블로킹성이 불량한 것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에 개시된 실리카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8 내지 10은 블로킹성 및 개구성이 매우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에테르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1은 인쇄성, 블로킹성 및 개구성이 매우 불량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에틸렌과 부텐이 각각 1~10몰%로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 90~99중량부;
    제올라이트 0.01~0.5중량부;
    실리카 0.01~0.5중량부; 및
    슬립제 0.01~1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디에테르(diether)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는 용융지수가 1~15g/10min이며, 가용분의 함량이 2~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에테르계 촉매는 2,2-디이소부틸-1,3-디메톡시프로판(2,2-diisobutyl-1,3-dimethoxypropa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은(Ag) 및 아연(Zn)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제는 아마이드계 슬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이드계 슬립제는, 에루카미드(erucamide), 올레아미드(Oleamide), 베헨아미드(behenamide) 스테아르아미드(stearamide), 스테아릴 스테아르아미드(stearyl stearamidel), 스테아릴 에루카미드(stearyl erucamide) 및 올레일팔미틸 아미드(oleylpalmityl amid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자외선안정제 및 대전방지제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인플레이션 필름 제조용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80124538A 2008-12-09 2008-12-09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02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38A KR101102101B1 (ko) 2008-12-09 2008-12-09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538A KR101102101B1 (ko) 2008-12-09 2008-12-09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37A KR20100065937A (ko) 2010-06-17
KR101102101B1 true KR101102101B1 (ko) 2012-01-02

Family

ID=4236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38A KR101102101B1 (ko) 2008-12-09 2008-12-09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21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835B1 (ko) * 2013-08-13 2015-03-12 삼성토탈 주식회사 내백화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64584B1 (ko) * 2014-11-18 2016-10-12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수축율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93566B1 (ko) * 2018-11-14 2020-03-25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30A (ko) * 2000-03-23 2001-11-07 유승렬 무광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무광택 필름
KR20040067414A (ko) * 2003-01-23 2004-07-30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070068697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효성 마찰계수와 열접착온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70078477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토탈 주식회사 항균력이 우수한 드럼세탁기 저수조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430A (ko) * 2000-03-23 2001-11-07 유승렬 무광특성을 갖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무광택 필름
KR20040067414A (ko) * 2003-01-23 2004-07-30 삼성아토피나주식회사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20070068697A (ko) * 2005-12-27 2007-07-02 주식회사 효성 마찰계수와 열접착온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KR20070078477A (ko) * 2006-01-27 2007-08-01 삼성토탈 주식회사 항균력이 우수한 드럼세탁기 저수조용 고강성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937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32521T3 (es) Materiales nanocompuestos de poliolefina
EP3812152A1 (en)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film
JP6977639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積層体及び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1102101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110629A (ko)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및 이의 중합체 블렌드
KR101607153B1 (ko) Uv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산업 포장재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KR101664584B1 (ko) 수축율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20210067265A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축필름
JP2008208210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1909577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수축률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572158B1 (ko) 자동차 도막 보호용 필름
KR100318648B1 (ko) 일축 연신의 폴리프로필렌계 필름
KR20140136214A (ko) 폐 사일리지 필름을 재활용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EP3555181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non-oriented film with improved oxygen barrier property
EP355520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for non-oriented film with improved oxygen barrier property
KR20170090927A (ko)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330893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JPH10237239A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JPH0331348A (ja) 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フイルム
KR20130142214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64336A (ko) 저온 열접착성 및 수축율이 우수한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566404B2 (ja) 結晶性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KR101459677B1 (ko) 레토르트 식품 포장용 적층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