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75B1 -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 Google Patents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75B1
KR101218375B1 KR1020100113994A KR20100113994A KR101218375B1 KR 101218375 B1 KR101218375 B1 KR 101218375B1 KR 1020100113994 A KR1020100113994 A KR 1020100113994A KR 20100113994 A KR20100113994 A KR 20100113994A KR 101218375 B1 KR101218375 B1 KR 10121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tank
boiler
mat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2714A (ko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씨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씨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제이앤씨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10011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75B1/ko
Priority to PCT/KR2011/007758 priority patent/WO2012067352A2/ko
Priority to JP2013513123A priority patent/JP5583271B2/ja
Publication of KR20120052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12Temperature of the water
    • F24H15/223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2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inputs
    • F24H15/246Water level
    • F24H15/248Water level of water storage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95Information to users, e.g. al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4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 F24H15/486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ers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2Devices for preventing or removing corrosion, slime or sca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보일러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과 이 내부공간에 온수가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온수 탱크 내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통로가 구비된 온수 탱크 덮개;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온수 탱크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히터와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 덮개에는 하부에 상기 급수 통로를 통해 급수되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온수지필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Hot water boiler for hot 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 보일러의 고장을 최소화시켜 온수 보일러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난방으로 가스 보일러나 냉난방 에어컨을 이용한 주택 난방과 전기 장판이나 전기 난로를 이용한 국소적 난방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국소적 난방으로 주로 이용되었던 전기 장판은 전기 발열선을 매트의 내부 전면에 걸쳐 배열하여 전기에 의한 열선의 발열을 이용하는 전기 매트로써, 전기를 사용함으로 인해 화재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았고, 자체의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 매트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온의 온수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온돌방식을 채용한 온수 매트가 각광받고 있다. 이 온수 매트는 전기 매트와 달리 온수를 열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로 인한 유해 전자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온수 매트에는 물을 가열하여 순환시킬 수 있는 온수 보일러가 이용되며, 이 온수 보일러는 온수탱크와, 온수탱크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온수탱크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온수 보일러의 상태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온도센서 등과 히터와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온수 보일러에는 각종 디지털 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사용되는 온수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디지털 장치에 영향을 주어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물이 넘쳐서 디지털 장치 내로 물이 들어가게 되면 전기 단락으로 인한 화재 또는 감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수돗물의 경우 수도관의 노화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불순물 등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고, 특히 지하수의 경우 철, 망간, 칼슘, 마그네슘 등의 산화물이 일반 수돗물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어 온수 보일러에 지하수를 이용할 경우 지하수에 함유된 산화물이 산화되어 침전물이 발생하고, 이 침전물에 의해 온수 보일러 내의 순환펌프나 배관에 스케일 등이 생성됨에 따라 온수 보일러를 정상적으로 가동시키지 못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의 고장 원인들을 차단하여 장시간 고장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온수 보일러의 내부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최소화시켜 온수 보일러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과 이 내부공간에 온수가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와 유출구가 구비된 온수 탱크; 상기 온수 탱크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온수 탱크 내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통로가 구비된 온수 탱크 덮개; 및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상기 온수 탱크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히터와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 덮개에는 하부에 상기 급수 통로를 통해 급수되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온수지필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탱크 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급수 통로 내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로 돌출된 물넘침 방지 턱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수지필터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가 충진된 스크린필터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수지필터는 상기 온수 탱크 덮개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수 탱크 내부에 물이 완충되었을 때, 상기 이온수지필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에 잠겨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온수지필터는 내부에 축열물질이 더 충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히터의 기능을 정지하고, 상온 내지 저온의 물을 순환펌프를 통해 순환시켜 하계용 냉방 매트로 이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온수 탱크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내려주는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 온도센서, 타이머, 기울기 센서, 온도조절기, 경보 부저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머, 기울기 센서, 온도조절기는 기계식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타이머는 타이머 시간이 0 내지 12시간 설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유해 전자파의 영향으로부터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물이 제어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장치의 요소를 최소화시켜 수증기로 인한 전자장치의 작동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온수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수 보일러의 내부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최소화시켜 온수 보일러의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수 탱크 덮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온수지필터가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에 급수되는 물의 흐름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수 탱크 덮개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온수지필터가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에 급수되는 물의 흐름과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10)는 하부 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00)와,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된 온수 탱크(200)와, 상기 온수 탱크(200) 상부에 결합되는 온수 탱크 덮개(210)와,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히터(미도시) 및 순환펌프(미도시)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본체(100)는 온수 보일러(10)의 전체적인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부 케이스(110)와,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지며,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는 온수 보일러(10)의 구동 요소들이 결합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온수 보일러(10)의 작동 인터페이스들이 결합된다.
상부 케이스(120)에는 온수 보일러(10)에 이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121)와, 급수구(121)를 밀폐하고 개폐하는 밀폐뚜껑(122)와, 급수구(121) 측 부분을 덮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보호하는 상부 커버(123)가 구비된다. 이 상부 커버(123)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20)에는 온수 보일러(10)의 동작을 정지 또는 가동하기 위한 스위치(303)와,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302)와, 사용시간을 한정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절기(301)와, 온수 보일러(10)의 작동 불량시 이를 외부에 인지시키기 위한 경고 램프(304)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부 케이스(120)에 배치되는 작동 인터페이스들의 구성이나 배치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온수 탱크(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이 내부공간에 온수가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유출구(201)와 유입구(202)가 구비된다. 상기 온수 탱크(20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 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10)에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온수 탱크(200)에는 이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보일러(10)는 외부에서 온수 탱크(200)로 급수된 물 또는 온수 매트(미도시)를 순환하여 온도가 내려간 물을 상기 유입구(202)를 통해 온수 탱크(200)에 수용하고, 이 물이 히터로부터 열에너지를 제공받아 다시 온도가 상승한 온수로 전환되고, 온도가 상승한 온수는 순환펌프를 통해 상기 유출구(201)를 통해 온수 매트 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는 상기 온수 탱크(200) 상부에 결합되며, 온수 탱크(200)이 밀폐될 수 있도록 하며, 체결부재에 의해 온수 탱크(200)와 긴밀하게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와 온수 탱크(200) 사이에는 보다 긴밀하고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링(205)이 개재될 수 있다. 이는 온수 탱크(200)에 수용된 온수가 온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 덮개(210)의 결합 계면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급수구(121)과 연통하여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로 물을 급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 통로(2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의 상면에는 상기 급수 통로(212) 내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로 돌출된 물넘침 방지 턱(211)이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급수구(121)로 과도하게 물을 공급하게 되어 물이 넘치게 되었을 때, 넘친 물이 제어부 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온수 보일러(10)의 전자 장치 부분으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온수 보일러(10)의 고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상기 급수 통로(212)를 통해 급수되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온수지필터(400)가 결합된다.
상기 이온수지필터(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이온교환수지(402)가 충진된 스크린필터(40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온수지필터(400)의 상부에는 결합 돌기(403)이 형성되고,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의 하부에서 상기 급수 통로(212)와 연통된 부분에 상기 결합 돌기(403)에 대응되는 결합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온수지필터(400)는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온수지필터(400)는 내부에 충진된 이온교환수지(402)의 사용 기간에 따라 그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운 시점에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보일러(10)는 물이 공급되는 급수 통로(212)와 온수 탱크(200) 사이에 이온수지필터(400)가 배치되어, 공급되는 물이 이온수지필터(400)를 사전에 먼저 거치게 되면서, 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불순물들을 이온수지필터(400)의 이온교환수지(402)에 포집되어 정화된 물이 온수 탱크(200)에 수용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칼슘과 마그네슘이 함유되어 경도가 높은 경수를 온수 보일러(10)에 사용하더라도 상기 이온수지필터(400)를 통해 칼슘과 마그네슘을 흡착하게 되어 경수 성분의 물을 연수로 변환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온수지필터(400)에는 이온교환수지(400)뿐만 아니라 REROX를 함께 충진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지하수 등의 사용으로 철이나 망간이 함유된 물을 사용하였을 때 물속에 함유된 철과 망간 성분을 제철망간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스케일 등의 생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이온수지필터(400)에는 이온교환수지(400)뿐만 아니라 상변환 물질 즉, 축열물질을 함께 충진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에 물이 완충되었을 때, 상기 이온수지필터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에 잠겨질 수 있도록 하여 물의 가열 효율을 높여 에너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구비된 온수 보일러의 사용시간을 한정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절기(301)와,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302)와, 온수 보일러의 동작을 정지 또는 가동하기 위한 스위치(303)와, 온수 보일러의 작동 불량시 이를 외부로 인지시키기 위한 경고 램프(304)의 동작을 제어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온수 탱크(200) 내의 물의 수위와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수위센서 및 온도센서와, 온수 보일러의 기울기를 센싱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온수 보일러의 안정적인 동작 및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에서 상기 타이머 조절기(301), 온도 조절기(302), 기울기 센서 등을 기계식 장치로 채용하여 디지털 전자 장치의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여 온수로부터 유발되는 수증기에 의한 고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타이머는 기계식 장치에 전기적 요소를 결합한 전기-기계식 타이머를 채용하여 타이머 시간이 0 내지 12시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는 종래의 기계식 타이머의 경우 타이머 설정 시간이 최대 3시간이 한계였던 것을 전기-기계식 타입의 타이머를 채용함으로써 최대 12시간까지 타이머 시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10)는 동절계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를 통해 히터의 기능을 정지하고, 상온 내지 저온의 물을 순환펌프를 통해 순환시켜 매트를 차갑게 유지시킬 수 있는 하계용 냉방 매트로써 이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는 상기 온수 탱크(200)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200)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하계용 냉각 매트로 이용시 상기 냉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내려서 냉방 기능을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10)는 물의 누수와, 물에 함유된 이물질과, 디지털 전자 장치와 같이 온수 보일러(10)에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는 인자들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온수 보일러(10)의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온수 보일러 100 : 케이스 본체
110 : 하부 케이스 120 : 상부 케이스
200 : 온수 탱크 210 : 온수 탱크 덮개
300 : 제어부 400 : 이온수지필터

Claims (11)

  1. 하부 케이스(1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120)로 이루어진 케이스 본체(100);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온수를 수용하기 위한 일정 체적의 내부공간과 이 내부공간에 온수가 유입되고 유출될 수 있도록 유입구(202)와 유출구(201)가 구비된 온수 탱크(200);
    상기 온수 탱크(200)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 통로(212)가 구비된 온수 탱크 덮개(210); 및
    상기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상기 온수 탱크(200)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와, 상기 히터와 순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에는 하부에 상기 급수 통로(212)를 통해 급수되는 물속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온수지필터(4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의 상면에는 상기 급수 통로(212) 내측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높이로 돌출된 물넘침 방지 턱(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지필터(400)는 내부에 이온교환수지(402)가 충진된 스크린필터(40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수지필터(400)는 상기 온수 탱크 덮개(2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에 물이 완충되었을 때, 상기 이온수지필터(400)의 일부 또는 전부가 물에 잠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히터의 기능을 정지하고, 상온 내지 저온의 물을 순환펌프를 통해 순환시켜 하계용 냉방 매트로 이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8. 제7항에 있어서,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는 상기 온수 탱크(200)와 연계되어 온수 탱크(200) 내부의 물을 냉각하는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하계용 냉각 매트로 이용시 상기 냉각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온수 탱크(20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온도를 내려서 냉방 기능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온수 보일러의 사용시간을 한정할 수 있는 타이머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절기(301), 온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302), 온수 보일러의 동작을 정지 또는 가동하기 위한 스위치(303) 및 온수 보일러의 작동 불량시 이를 외부에 인지시키기 위한 경고 램프(304)가 구비되고,
    온수 보일러의 기울기를 센싱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타이머 조절기(301), 온도 조절기(302), 스위치(303), 경고 램프(304) 및 기울기 센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조절기(301), 온도 조절기(302), 기울기 센서는 기계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조절기(301)는 타이머 시간이 0 내지 12시간으로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20100113994A 2010-11-16 2010-11-16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121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94A KR101218375B1 (ko) 2010-11-16 2010-11-16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PCT/KR2011/007758 WO2012067352A2 (ko) 2010-11-16 2011-10-18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JP2013513123A JP5583271B2 (ja) 2010-11-16 2011-10-18 温水マット用温水ボイラ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3994A KR101218375B1 (ko) 2010-11-16 2010-11-16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714A KR20120052714A (ko) 2012-05-24
KR101218375B1 true KR101218375B1 (ko) 2013-01-03

Family

ID=4608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3994A KR101218375B1 (ko) 2010-11-16 2010-11-16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83271B2 (ko)
KR (1) KR101218375B1 (ko)
WO (1) WO20120673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261B1 (ko) * 2012-11-27 2013-11-22 (주)더존코리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72948Y1 (ko) * 2013-04-15 2014-05-30 (주) 아이에스-텍 조립성이 향상된 소형 온수보일러
KR101457018B1 (ko) * 2013-06-21 2014-10-31 (주)메덱스 매트를 위한 냉온보일러
KR101406020B1 (ko) * 2014-01-15 2014-06-11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저온 화상 방지 기능을 갖는 냉온수 보일러
KR101416658B1 (ko) * 2014-01-15 2014-07-09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히터차단회로를 갖는 냉온수 보일러
KR101416656B1 (ko) * 2014-01-15 2014-07-09 주식회사 동양이지텍 순환수 오염방지를 위한 워터 필터를 갖는 냉온수 보일러
CN109124358A (zh) * 2018-09-12 2019-01-04 上海浩泽净水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饮水机接水盒
KR102252532B1 (ko) * 2019-07-25 2021-05-17 조항우 보일러 장치
KR102491156B1 (ko) * 2021-01-20 2023-01-26 박찬계 차량용 온수매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295A (ja) * 1995-04-17 1996-11-01 Mitsubishi Electric Corp 給水タンク
JP2006007050A (ja) * 2004-06-24 2006-01-12 Fujitsu General Ltd フィルタ装置および給水タンクおよび給水タンクを用いた温水暖房機
JP2009085590A (ja) * 2009-01-26 200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温水熱源機
KR20090073372A (ko) * 2007-12-31 2009-07-03 김선종 냉온수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5584A (ja) * 2000-12-21 2002-07-10 Daikin Ind Ltd 床暖房装置
JP2003222343A (ja) * 2002-01-29 2003-08-08 Noogata Kenzai:Kk 床暖房用電気温水器
JP2006170520A (ja) * 2004-12-15 2006-06-29 Toshiba Kyaria Kk 空調給湯システム
JP4882731B2 (ja) * 2006-12-22 2012-02-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貯湯式給湯装置
KR100861425B1 (ko) * 2007-03-13 2008-10-07 (주)씨에스이 히팅부가 별도 마련된 온수순환보일러를 구비한 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5295A (ja) * 1995-04-17 1996-11-01 Mitsubishi Electric Corp 給水タンク
JP2006007050A (ja) * 2004-06-24 2006-01-12 Fujitsu General Ltd フィルタ装置および給水タンクおよび給水タンクを用いた温水暖房機
KR20090073372A (ko) * 2007-12-31 2009-07-03 김선종 냉온수 공급장치
JP2009085590A (ja) * 2009-01-26 200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温水熱源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67352A2 (ko) 2012-05-24
WO2012067352A3 (ko) 2012-07-12
JP2013532269A (ja) 2013-08-15
KR20120052714A (ko) 2012-05-24
JP5583271B2 (ja)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375B1 (ko)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0663967B1 (ko) 온수매트용 온수가열장치
KR101462394B1 (ko) 저장식 전기 온수기
CN113154691B (zh) 燃气热水器及其控制方法
RU71735U1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проточно-накопительный бытовой
CN204363502U (zh) 智能温控温水床垫加热循环机
KR100961937B1 (ko) 전기 가열식 온수 공급 장치
JP2007225251A (ja) 浄水器付き電気温水器
CN208312683U (zh) 一种电热式热水器
RU54148U1 (ru) Электро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WO2017133062A1 (zh) 电热加热水装置
CN212006198U (zh) 一种节能半导体电采暖炉
CN204593525U (zh) 一种水循环加热的供暖装置
CN210532712U (zh) 一种安全节能的暖锅炉
CN221076750U (zh) 燃气热水器
CN219656309U (zh) 进出水组件及燃气热水器
KR101324685B1 (ko) 착탈식 보조 수조를 갖춘 소형 온수보일러
CN219511016U (zh) 一种具有微波抑制防泄漏的微波能加热商用锅炉
CN207907482U (zh) 一种全自动无压运行水暖热水炉
KR200456859Y1 (ko) 안전 캡이 구비된 난방장치
CN218851011U (zh) 一种带有触电保护结构的微波热水器
RU96114265A (ru)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200174696Y1 (ko) 축사용 전기보일러
CN208332646U (zh) 即热式电热水器及安装该热水器的壁挂炉、供热水装置
RU91414U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