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261B1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261B1
KR101332261B1 KR1020120135323A KR20120135323A KR101332261B1 KR 101332261 B1 KR101332261 B1 KR 101332261B1 KR 1020120135323 A KR1020120135323 A KR 1020120135323A KR 20120135323 A KR20120135323 A KR 20120135323A KR 101332261 B1 KR101332261 B1 KR 101332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liquefied water
circulation pipe
main body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원태
Original Assignee
(주)더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존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13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오버플로우관이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유출구 및 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양분하는 타공판;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성되며 상기 유출구 및 토출구를 연결하는 순환배관;을 포함하여 액화처리수가 본체 내부에서 반복 순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산화를 촉진시켜 고형물이 액화처리수로 성질변화가 유도하여 자연배수가 가능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 처리비용 및 처리시간이 감소 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of Food Garbag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물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를 산화시켜 액화처리수로 성질변화를 유도하여 자연배수되도록 구성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고농도 유기성 폐기물은 매립지에 매립하거나 또는 소각장에서 소각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매립지에 매립된 유기성 폐기물은 침출수에 의해 2차적으로 토양을 오염시키는 한편 악취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매립지를 구하기 어려워 점차 소각을 위주로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은 주로 음식물 쓰레기, 가축의 분뇨로서 이들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이들을 소각하기 전에 전처리로서 유기성 폐기물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함수율을 낮춘 다음 소각해야 하며, 따라서 이러한 소각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은 2003년 하수 슬러지의 직접적인 매립 금지조치가 시행되었고 2005년 음식물 쓰레기 역시 직접적인 매립이 금지조치되었다. 이미 1996년 런던 협약 개정 의정서의 채택으로 전 세계적인 해양 투기가 규제되거나 계속해서 강화될 것이므로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
그래서 최근에는 쓰레기 종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음식물을 발효 또는 건조방식 등을 유도할 수 있는 음식물처리기를 단체급식소 또는 아파트 단지별로 신축시 의무적으로 설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화하고 있고, 각 가정에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를 구비하는 추세이다.
수분이 많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대로 방치하면 썩기 쉽고 악취를 발산하여 주변의 위생환경을 해치는데, 이의 처리를 위해 많은 업체에서 기술개발을 시도하여 왔으며 가정과 음식점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용으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건조방식, 교반기능과 분쇄 기능을 추가한 열풍순환건조 방식, 교반기능과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식, 냉장보관방식 등의 여러가지 방식의 기술을 활용하여 음식물 처리기 제품을 출시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음식물 처리기는 1차적으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친 후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소각시켜야하며 이러한 소각장 등의 시설을 갖추기 위한 처리비용 및 처리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방식인 건조 후 소각하는 대신 산소용해장치가 구비된 순환배관을 통해 산소용존량이 증가된 액체의 반복 순환에 기인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산화를 촉진시켜 고형물이 액화처리수로 성질변화가 유도하여 자연배수 되도록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오버플로우관이 구성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공간부를 양분하는 타공판;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를 연결하는 순환배관;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타공판은 "ㄴ"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는 상기 타공판에 의해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로 양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타공판은 "ㄴ"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가 상기 타공판에 의해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로 양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공간부는 가로구역과 세로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쓰레기투입구는 상기 제 1공간부에 포함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제 2공간부에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순환배관에는 내부에 유입되는 액화처리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는 진동판이 구성되고,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는 모터와 연동하여 상,하 연동을 하는 타격봉이 상기 진동판을 타격하도록 구성되는 고액분리조가 더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에는 산소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산소가 순환배관으로부터의 액화처리수에 용존되도록 하는 산소용해장치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산소용해장치는 상기 산소발생장치와 공기자동흡입관이 밸브에 의해 연결되되, 상기 공기자동흡입관은 관의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두리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본체 내부의 공간부에 타공망이 구성되고, 공간부 내부에 산소용존률이 높은 액화처리수가 순환하도록 산소용해장치가 구비되는 순환배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액화처리수가 본체 내부에서 반복 순환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산화를 촉진시켜 고형물이 액화처리수로 성질변화가 유도하여 자연배수가 가능하여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시 처리비용 및 처리시간이 감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 고액분리조가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산소용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산소용해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기본 예에 공기자동흡입관이 구성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공간부(130)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130)를 양분하는 타공판(103) 및 본체의 외부에 구성되는 순환배관(105)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본체 내부로 함수율이 높은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액체가 순환배관(105)의 순환작용에 의해 공간부(130)에서 순환하게 된다. 이때 액체가 순환배관(10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순환배관(105)에 구비된 산소용해장치(101)를 통해 액체의 산소용존률을 높여줌으로써, 고형물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의 산화작용을 촉진하게 된다. 그러므로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고형물이 산화됨에 따라 액화처리수로의 성질변화가 유도되고, 액화처리수는 상기 순환배관(105)에 의해 반복적으로 순환되며 자연정화가 이뤄지게 되며, 추가적인 음식물쓰레기의 투입과 반복적인 순환과정 중에 정화되는 처리수는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156)을 통하여 하수처리장 등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기본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본체와 본체내부 공간부에 구성되는 타공판(103) 및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순환배관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는 외형이 직육면체 또는 원통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130)가 마련되며, 본체의 상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는 개폐가능한 구조로 되는 투입구(142)가 구성되고, 본체의 일 측부에는 오버플로우관(156)이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130)에는 타공판(103)이 배치되는바, 상기 타공판(103)에 의해 공간부(130)가 양분되게 되는데, 상기 타공판(103)은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종래의 타공판(103)이 적용되는 것으로 타공판(103)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의 고형물은 차단되고 액체는 통과되게 된다. 상기 타공판(103)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130)를 제 1공간부(140)와 제 2공간부(150)로 양분하게 되며, 타공판(103)에 의해 제 1공간부(140)에 저장된 음식물쓰레기 중 고형물은 걸러 내고 제 2공간부(150)로는 액체만 통과되게 된다.
한편, 상기 투입구(142)는 제 1공간부(140)의 영역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투입구(142)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제 1공간부(140)로 투입되게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타공판(103)이 "ㄴ"자 형상인 것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타공판(103)이 공간부(130)를 제 1공간부(140) 및 제 2공간부(150)로 양분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제 2공간부(150)는 상기 타공판(103)에 의해 제 1공간부(140)와 구획이 나눠지게 된 것이므로 상기 타공판(103)의 형상에 기인하여 "ㄴ"자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 2공간부(150)는 제 1공간부(14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되며, 제 1공간부(140)의 하부영역인 가로구역(152) 및 제 1공간부(140)의 일측방향인 세로구역(154)으로 형성되며, 가로구역(152)과 세로구역(154)은 연결된다.
또한, 제 2공간부(150)의 가로구역(152)에 포함되는 바닥면에는 유입구(105a)와 유출구(105b)가 형성되고, 세로구역(154)에 포함되는 본체의 일측벽에는 오버플로우관(156)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105a)와 유출구(105b)는 외부의 순환배관(105)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바, 상기 순환배관(105)에는 순환펌프(104)가 구성되며, 또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는 고액분리조(106) 및 산소용해장치(101)가 구비됨으로써 공간부(130)에 저장되는 산소용존량이 높은 액화처리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출구(105b)는 제 2공간부(150)의 가로영역 중 제 1공간부(140)의 수직하방향에 포함되는 영역에 형성시키고, 상기 유입구(105a)는 제 2공간부(150)의 세로영역에 형성되도록 하여 제 1공간부(140)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의 액체가 유입구(105a)를 통해 순환배관(105)에 유입되도록 하며, 또한 순환배관(105)과 산소용해장치를 거쳐 산소용존량이 증가된 액화처리수가 세로영역에 배치되는 유출구(105b)를 통해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간부 내에서 액화처리수는 원활한 순환작용이 이뤄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는 없으나 상기 유입구(105a)에는 거름망 또는 필터를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산소용해장치의 미세한 고형물 등으로부터 고장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에서는 본체의 투입구(142)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가 본체의 일구성인 타공판(103)에 기해 1차적으로 고형물이 분리된 액화처리수가 순환배관(105)에 의해 순환되면서 산소용해장치(101)를 통과하며 산소용존량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하는바, 상기 순환배관(105)은 본체(100)의 일 구성인 유입구(105a)와 유출구(105b)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1차적으로 상기 본체(100)의 타공판(103)에 의해 고형물이 분리된 액화처리수는 순환하며 산소가 용존 되도록 하는 산소용해장치(101)는 순환배관(105)에 의해 연결되어 본체(100)의 액화처리수가 순환배관(105)을 따라 산소용존량이 증가되며 순환하도록 하고, 이렇게 하여 산소용존량이 증가된 액화처리수는 다시 본체(100)로 유입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순환배관(105) 상에서 상기 본체(100)와 산소용해장치(101) 사이에 다른 실시 예로서 고액분리조(106)가 구성되도록 하는 예가 제시된다.
상기 고액분리조(106)는 상기 타공판(103)에 의해 1차적으로 고형물이 제거된 액화처리수를 2차적으로 처리하여 타공판(103)의 구멍보다 입자가 작은 미세한 음식물쓰레기의 고형물을 분리해 내는 수단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순환배관(105)과 연결되어 본체(100)로부터 액화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로(181)와 상기 유입로(181)와 연통하여 유입되는 액화처리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저장공간(182)과 상기 저장공간(182)의 상부에 구성되는 진동판(184)과, 상기 진동판(184)의 상부에 구성되며 모터(186)와 연동하여 상,하 연동을 하는 타격봉(185)과 상기 저장공간(182)에서 진동에너지가 부과된 액화처리수가 순환배관(105)으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로(183)가 구성된다. 상기 저장공간(182)은 곡면을 형성하며 하부로 좁아드는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저장공간(182)에 저장되는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가 부과됨에 따라 액화처리수로부터 비중이 큰 고형물 등이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182)의 하부로 침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렇게 침적된 고형물 등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밸브에 의해 개폐가 가능한 토출로(187)가 구성된다. 상기 진동판(184)은 상기 저장공간(182)을 상면에서 덮도록 구성되는 바, 그 재질을 탄성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타격봉(185)이 상,하 연동에 따라 상기 진동판(184)을 타격함으로써 상기 저장공간(182)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를 부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타격봉(185)이 모터(186)와 연동하여 상,하 연동을 하는 작용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고액분리조(106)에 액화처리수가 유동(일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가 부과되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액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를 부과함에 따라 들뜸상태를 만들어 액화처리수에 혼합되어 있는 비교적 비중이 큰 고형물 등을 상기 저장공간(182)에서 분리하도록 한다. 이렇게 전처리로 고형물을 분리함에 따라 이후 산소용해장치(101) 등에서 고형물의 침적 등에 의해 전체 장치의 작동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용해장치(101)는 본체(100)로부터의 액화처리수와 함께 산소발생장치(102)로부터 산소기체를 공급받는다. 이때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산소용해장치(101)의 내부에 충돌하여 분산되고, 상호 간에 혼합된다. 또한, 산소용해장치(101)는 액체공급관(111), 기체공급관(112), 와류유도 하우징(113), 플레이트(114), 와류 유도관(115)들 및 배출관(116)을 포함한다. 액체 공급관(111)은 순환배관(105)과 연결되되,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펌프와 연결되어 액화처리수를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기체 공급관(113)은 산소발생장치(102)와 연결되어 산소기체를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로 유입시킨다. 와류유도 하우징(113)은 일측에서 액체공급관(111) 및 기체공급관(112)과 연통되고, 액체공급관(111)을 통해 유입된 액화처리수 및 기체공급관(112)을 통해 유입된 산소기체를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한다.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형상은 폐쇄된 형상이다. 한편, 와류유도 하우징(113)은 형상, 설치 위치 및 개수 등에 대하여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가능하게 실시될 수 있다. 플레이트(114)는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에 설치되어,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를 폐쇄한다. 플레이트(114)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개구(114a)들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와류유도 하우징(113)에 유입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 기체의 일부는 플레이트(114)의 개구(114a)들을 통과하여 와류 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으로도 유동한다. 한편, 플레이트(114)는 형상, 크기 및 개수 등에 대하여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하다고 인정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14)의 개구(114a)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뿐 아니라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류 유도관(115)들은 플레이트(114)의 개구(114a)들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114)의 개구(114a)들을 관통하여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와류 유도관(115)들은 각각 유도 입구(115a) 및 유도 출구(115b)가 형성된 기역(ㄱ) 모양의 관 형상을 갖는다. 즉, 와류유도관(115)들 각각의 유도 입구(115a) 및 유도 출구(115b)는 플레이트(114)의 양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와류 유도관(114)들의 단면은 플레이트(114)의 개구(114a)들의 형상에 따른다. 특히, 와류 유도관(115)들 중 적어도 한 쌍은 각각 유도 출구(115b)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플레이트(114) 상에 설치된다. 또한, 와류유도관(115)들은 형상, 크기 및 개수 등에 대하여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다. 배출관(116)은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타측에서 순환배관(105)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114)들이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도면상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액화처리수 및 산소 기체는 플레이트(114)들 및 이들 각각에 설치된 와류 유도관(115)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114)들이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 즉 수평방향을 따라 설치된 예가 도시되고 있으나, 와류유도 하우징(113)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경우 플레이트(144)들도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참조하여,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로 유입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의 흐름 및 이에 따른 와류 형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의 흐름은 화살표를 따라 진행된다. 우선,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와류유도 하우징(113)에 연통된 액체공급관(111) 및 기체공급관(112)을 통해 와류 유도 하우징(113)의 일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뒤이어 유입되는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에 이해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한다.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길이 방향으로 유동하는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의 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유동하여 유도입구(115a)를 통해 와류유도관(115)들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114)에 차단되어 와류 유도 하우징(113)의 길이방향의 역방향으로 전환된다. 플레이트(114)에 차단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된다. 이때 산소기체가 액화처리수에 전달되어 반응하여, 산소기체가 액화처리수에 용존하게 되는 것이다. 각각의 유도입구(115a)를 통해 유입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와류유도관(115)의 형상에 따라 유동방향이 유도출구(115b) 방향으로 전환된다. 와류유도 하우징(113)의 내부로 유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던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와류유도관(115)들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호 간에 마주보게 위치된 한쌍의 유도출구(115b)들을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상호 간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출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는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한다. 이때,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 상호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진다. 이로 인해, 액화처리수에 산소 기체가 충분히 전달되는 것이다. 와류유도관(115)들의 유도출구(115b)를 통해 배출된 액화처리수 및 산소 기체는 충돌한 다음에, 뒤이어 유입되는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상술한 액화처리수 및 산소기체의 유동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산소용해장치(101)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산소용해장치(101)의 구성을 그대로 차용하면서 내부에는 진동발생구(117)가 더 구성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진동발생구(1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진동발생구(117)는 상기 플레이트(114)에 있어 배출관(116)과 인접한 최외각 플레이트(114)에 구성되는데, 그 상세 구성을 보면, 양방향으로 대칭하는 원뿔형상으로 그 외주연에 나선돌기(117-2)가 형성되며 일측에서 개구된 중공(117-3)을 형성하는 회전체(117-1)가 제시된다. 상기 회전체(117-1)는 이하에서 설명할 지지대(117-4)의 외주연에서 회전 및 진동을 하는 구성으로 양방향으로 대칭하는 원뿔형상을 가지며 지지대(117-4)가 삽입되는 방향의 원뿔형상에 나선돌기(117-2)가 구성되어 와류유도관(115)들의 유도출구(115b)를 통해 배출된 액화처리수에 의해 상기 회전체(117-1)는 회전연동을 하며 배출된 액화처리수에 와류가 발생하도록 한다. 즉 각각의 플레이트(114) 및 와류유도관(115)에 의해 도면상 수평방향의 와류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117-1)에 의해 수직방향의 와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다방향의 와류형성으로 액화처리수에 산소기체의 용존량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대(117-4)는 상기 플레이트(114)에서 돌출되며 상기 중공(117-3)으로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17-4)의 끝단에는 스프링(117-5)이 부착되고, 상기 스프링(117-5)의 타 끝단은 상기 중공(117-3)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회전판(117-6)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기해 상기 회전체(117-1)는 상기 지지대(117-4)에서 회전 및 진동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와류유도관(115)들의 유도출구(115b)를 통해 배출된 액화처리수에 의해 상기 회전체(117-1)는 회전연동과 동시에 스프링(117-5)의 작용으로 진동연동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진동연동은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를 부과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살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체(117-1)는 상기 중공(117-3)의 끝단부에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중공(117-3)의 내주연을 권회하는 2개의 돌출테두리(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상기 회전체(117-1)가 삽입되어 돌출테두리 사이에서 고정된 상태로 회전연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산소용해장치(101)에 산소발생장치(102)와 공기자동흡입관(109)이 밸브(193)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이 되도록 구성된 예가 제시된다. 상기 공기자동흡입관(109)은 관의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돌출테두리(191)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두리(191)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관(192)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공기자동흡입관(109)의 내부로 액화처리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돌출테두리(191)를 통과함에 따라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흡입관(19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액화처리수와 공기(산소기체)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액화처리수의 유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것이다. 이렇게 공기자동흡입관(109)을 사용하게 되면 에너지면에서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단, 공기자동흡입관(109)을 통해 공기를 유입하게 되는 경우는 산소발생장치(102)에 비해 공급되는 공기(산소기체)의 량이 적을 것이므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193)에 의해 선택적으로 산소발생장치(102)에 의해 산소용해장치(101)로 산소기체를 공급하거나 공기자동흡입관(109)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바, 요구되는 용존산소량(분해할 유기물량)을 감안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본체 101 : 산소용해장치
102 : 산소발생장치 103 : 타공판
104 : 순환펌프 105 : 순환배관
140 : 제 1공간부 150 : 제 2공간부

Claims (6)

  1. 외부와 차단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며 상부에 투입구가 형성되고 측부에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공간부를 양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와 연통하는 제 1공간부와 상기 오버플로우관이 연통하며 하부에 유출구 및 유입구가 형성된 제 2공간부를 구획하는 타공판;
    상기 제 2공간부에 형성된 유출구 및 유입구를 연결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에 형성되는 고액분리조;
    상기 순환배관에서 상기 고액분리조 후단에 형성되며 산소발생장치와 공기자동흡입관이 밸브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산소용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액분리조는,
    상기 제 2공간부로부터 상기 순환배관을 통해 액화처리수가 유입되는 유입로와, 상기 유입로와 연통하여 유입되는 액화처리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면서 침적된 고형물을 밸브의 개폐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토출로가 형성된 저장공간과, 상기 저장공간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액화처리수에 진동에너지를 부과하는 진동판과, 상기 진동판의 상부에 구성되며 모터와 연동하여 상,하 연동을 하는 타격봉과, 상기 저장공간에서 진동에너지가 부과되어 고형물이 분리된 액화처리수를 순환배관으로 배출토록 하는 배출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공기자동흡입관은,
    관의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돌출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테두리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흡입관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자동흡입관의 내부로 액화처리수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돌출테두리를 통과함에 따라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흡입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ㄴ"자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공간부가 상기 타공판에 의해 제 1공간부 및 제 2공간부로 양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2공간부는 가로구역과 세로구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35323A 2012-11-27 2012-11-2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32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23A KR101332261B1 (ko) 2012-11-27 2012-11-2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323A KR101332261B1 (ko) 2012-11-27 2012-11-2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261B1 true KR101332261B1 (ko) 2013-11-22

Family

ID=4985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323A KR101332261B1 (ko) 2012-11-27 2012-11-27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6270B1 (ko) 2023-12-01 2024-08-16 임동옥 음식물쓰레기 감량 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14A (ko) * 2010-11-16 2012-05-24 (주)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1193052B1 (ko) * 2012-09-13 2012-10-22 한인태 음식쓰레기 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714A (ko) * 2010-11-16 2012-05-24 (주)제이앤씨트레이딩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101193052B1 (ko) * 2012-09-13 2012-10-22 한인태 음식쓰레기 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6270B1 (ko) 2023-12-01 2024-08-16 임동옥 음식물쓰레기 감량 처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69396A1 (zh) 一种生物反应污水处理装置
KR10096615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845457B1 (ko) 음폐수 처리시스템
RU253010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628712B1 (ko) 복합 다단 탈취 장치
BG66054B1 (bg) Реактор за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ъчни води
JP4440826B2 (ja) 膜分離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KR10133226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989833B1 (ko) 연속 순환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WO2023106671A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의 액상 발효 처리장치
KR102437141B1 (ko) 마이크로버블 고액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제거 오폐수처리시스템
KR101460958B1 (ko)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KR101634729B1 (ko) 회전여과입수관을 구비한 스테인리스 물탱크
KR101365470B1 (ko) 돈,축사 오폐수 처리장치
CN215102463U (zh) 一种多腔搅拌式污水处理装置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CN207792980U (zh) 一种生活污水专用一体化处理设备
CN207632672U (zh) 污水处理再利用装置及污水处理再利用系统
KR20120060811A (ko) 미생물 분해 처리 장치 및 유기물 처리 유닛
KR101109544B1 (ko) 친환경 비누제조장치 및 방법
US5290438A (en) Sewage incineration system
KR101507653B1 (ko) 중수 재활용을 위한 고비중 이물질 처리장치
JP2005279542A (ja) 排水処理装置
KR100808633B1 (ko) 회전류 폭기 접촉 산화조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성 오폐수 처리장치
RU197273U1 (ru) Компактный усреднитель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