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367B1 -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 Google Patents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367B1
KR101218367B1 KR1020100075379A KR20100075379A KR101218367B1 KR 101218367 B1 KR101218367 B1 KR 101218367B1 KR 1020100075379 A KR1020100075379 A KR 1020100075379A KR 20100075379 A KR20100075379 A KR 20100075379A KR 101218367 B1 KR101218367 B1 KR 101218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bstrate
molding agent
mol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158A (ko
Inventor
조성은
나자영
Original Assignee
에이프로시스템즈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프로시스템즈 (주) filed Critical 에이프로시스템즈 (주)
Priority to KR1020100075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367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6Degassing moulding material or draining off gas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8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compress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기판에 실장되는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렌즈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1렌즈패턴이 형성된 제1렌즈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을 제1렌즈금형에 적층하는 단계, 제1몰딩제 주입구를 통하여 제1렌즈패턴에 제1몰딩제를 주입하는 단계, 제1렌즈패턴 내의 제1몰딩제를 경화시켜 기판에 실장된 제1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제조방법은, 렌즈의 성형공정과 기판으로의 실장 공정을 일체화하고 대량의 렌즈를 한번에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Manufacturing method of lens and lens mounted board}
본 발명은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엘이디(LED)는 비약적인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고휘도 및 고품질의 엘이디제품 생산이 가능해졌다. 또한, 고특성의 청색(blue)과 백색(white) 엘이디의 구현이 현실화됨에 따라서, 엘이디는 디스플레이 및 차세대 조명원 등으로 그 응용가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판에 실장된 엘이디를 패키징 하면서 엘이디에서 발산된 빛의 초점을 맞추는 기판 실장용 렌즈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렌즈 제조방법은 기판이나 성형틀에 렌즈 성형물질을 디스펜싱하고 이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제조단가가 높으며 생산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렌즈 성형과정에서 기포가 잔존하여 렌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생산성이 높고 제조단가가 저렴한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판에 실장되는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렌즈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1렌즈패턴이 형성된 제1렌즈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을 상기 제1렌즈금형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몰딩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렌즈패턴에 제1몰딩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1렌즈패턴 내의 제1몰딩제를 경화시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제1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렌즈를 둘러싼 제2렌즈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2렌즈패턴이 형성된 제2렌즈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렌즈 및 관통된 제2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을 상기 제2렌즈금형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몰딩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2렌즈패턴에 제2몰딩제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제2렌즈패턴 내의 제2몰딩제를 경화시켜 상기 제1렌즈를 둘러싼 상기 제2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제1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몰딩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제1몰딩제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공기 배출구로 상기 제1렌즈패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제2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몰딩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제2몰딩제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2공기 배출구로 상기 제2렌즈패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가압금형으로 상기 기판을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는, 적층된 상기 기판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 하부에 상기 제1몰딩제 주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제1렌즈를 포함하는 렌즈실장 기판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를 커버하는 제2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2렌즈의 하부에 관통된 제2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렌즈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2렌즈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2렌즈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LED)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성형공정과 기판으로의 실장 공정을 일체화하고 대량의 렌즈를 한번에 생산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균일한 형상으로 기포가 없는 높은 품질의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은 기판(10)에 실장되는 렌즈(20, 도 5 및 도 6을 참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렌즈금형 제공단계(S110), 기판 적층단계(S120), 몰딩제 주입단계(S130) 및 렌즈 형성단계(S140)를 포함한다.
렌즈금형 제공단계(S110)에서는, 기판(10)에 실장될 제1렌즈(20)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1렌즈패턴(32)이 형성된 제1렌즈금형(30)을 제공한다. 즉, 몰딩에 의해 제1렌즈(20)가 성형될 수 있도록, 제1렌즈(20)의 표면형상을 만드는 성형틀 역할을 하는 오목한 제1렌즈패턴(32)이 제1렌즈금형(30)에 형성된다. 따라서, 몰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제1렌즈(2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렌즈(2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렌즈금형(30)에 복수의 제1렌즈패턴(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금형(30)의 상면에 위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음각의 제1렌즈패턴(32)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몰딩제 주입단계(S130)에서 제1몰딩제(22)가 제1렌즈패턴(32)에서 새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음각의 제1렌즈패턴(32)에 주입된 제1몰딩제(22)는 중력에 의해 제1렌즈패턴(32)의 내벽에 잘 밀착되므로, 균일하고 정밀한 제1렌즈(20) 표면형상을 얻을 수 있어서 제1렌즈(2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기판 적층단계(S120)에서는,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12)가 형성된 기판(10)을 제1렌즈금형(30)에 적층한다. 이 때, 제1렌즈(20)가 실장될 면이 제1렌즈금형(30)을 향하도록 기판(10)을 적층한다. 이에 따라, 제1렌즈금형(30)의 오목한 제1렌즈패턴(32)과 기판(10)에 의해 몰딩공간이 형성되며, 기판(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몰딩제 주입구(12)로 몰딩공간에 제1몰딩제(22)가 주입될 수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몰딩제 주입구(12)가 제1렌즈패턴(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몰딩제(22)가 기판(10)을 통과하여 바로 몰딩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제1렌즈금형(30)에는 제1몰딩제(22) 주입을 위한 경로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1렌즈금형(3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몰딩제(22) 주입경로(42)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제1몰딩제(22)의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몰딩제 주입구(12)가 제1렌즈(20) 뒷면에 형성되므로, 제1렌즈(20)의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고 제1렌즈(20)의 품질이 향상된다.
그러나, 제1몰딩제 주입구(12)의 배치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몰딩제 주입구(12)는 제1렌즈패턴(32)에 연통된 러너(runner)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렌즈(20)가 엘이디광원(15)를 패키징할 경우에는, 엘이디광원(15)이 제1렌즈패턴(32) 내부에 배치되도록 기판(10)에는 엘이디광원(15)이 사전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몰딩제 주입단계(S130)에서는, 제1몰딩제 주입구(12)를 통하여 제1렌즈패턴(32)에 제1몰딩제(22)를 주입한다. 즉, 음각의 제1렌즈패턴(32)과 기판(10)에 의해 형성된 몰딩공간과 연결된 제1몰딩제 주입구(12)에 제1몰딩제(22)를 주입한다.
특히,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0)에 제1공기 배출구(14)를 형성하여, 제1몰딩제(22) 주입 시에 제1렌즈패턴(32)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렌즈패턴(32)에 잔존하던 공기가 제1몰딩제(22) 내부로 유입되어 제1렌즈(20)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금형(40)으로 기판(10)을 제1렌즈금형(30)에 밀착시킴으로써, 기판(10)과 제1렌즈금형(30)의 들뜸을 방지하여 제1렌즈(20)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가압금형(40)에는 제1몰딩제 주입구(12)와 연통되고 제1몰딩제(22)를 공급하는 제1몰딩제(22) 공급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금형(40)에는 제1공기 배출구(14)와 연통되고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경로(44)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 형성단계(S140)에서는 제1렌즈패턴(32) 내의 제1몰딩제(22)를 경화시켜 기판(10)에 실장된 제1렌즈(20)를 형성한다. 즉, 음각의 제1렌즈패턴(32)과 기판(10)에 의해 형성된 몰딩공간에 채워진 제1몰딩제(22)가 기판(10)에 부착되도록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제1렌즈(20)의 성형공정과 기판(10)으로의 실장 공정을 일체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몰딩제(22)를 오븐에서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오븐에서 다수의 제1렌즈금형(30)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대량의 렌즈실장 기판을 생산할 수 있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은, 기판(10) 및 기판(10)에 실장된 제1렌즈(20)를 포함한다.
특히, 기판(10)에는 관통된 형태로 제1몰딩제 주입구(12)가 형성되고, 제1몰딩제 주입구(12)는 제1렌즈(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렌즈(20)의 제조 시에 제1몰딩제(22)가 기판(10)을 통과하여 바로 몰딩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제1렌즈금형(30)에는 제1몰딩제(22) 주입을 위한 경로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1렌즈금형(3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몰딩제(22) 주입경로를 형성하는데 소모되는 제1몰딩제(22)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몰딩제 주입구(12)가 제1렌즈(20) 뒷면에 형성되므로, 제1렌즈(20)의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고 제1렌즈(20)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기판(10)에는 제1렌즈(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제1렌즈(20)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 배출구(14)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몰딩제(22) 주입 시에 제1렌즈패턴(32)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렌즈패턴(32)에 잔존하던 공기가 제1몰딩제(22)에 유입되어 제1렌즈(20)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렌즈(20)의 내부에는 빛을 발산하는 엘이디광원(15)이 설치될 수 있다. 엘이디광원(15)은 전원공급을 위하여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은 기판(10)에 실장되는 복합렌즈(120 및 130, 도 16 및 도 17을 참조)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렌즈금형 제공단계(S210), 제1렌즈금형에 기판 적층단계(S220), 제1몰딩제 주입단계(S230), 제1렌즈 형성단계(S240), 제2렌즈금형 제공단계(S250), 제2렌즈금형에 기판 적층단계(S260), 제2몰딩제 주입단계(S270) 및 제2렌즈 형성단계(S280)를 포함한다.
제1렌즈금형 제공단계(S210)에서는, 기판(110)에 실장될 제1렌즈(120)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1렌즈패턴(132)이 형성된 제1렌즈금형(130)을 제공한다. 즉, 몰딩에 의해 제1렌즈(120)가 성형될 수 있도록, 제1렌즈(120)의 표면형상을 만드는 성형틀 역할을 하는 오목한 제1렌즈패턴(132)이 제1렌즈금형(130)에 형성된다. 따라서, 몰딩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제1렌즈(12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렌즈(12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1렌즈금형(130)에 복수의 제1렌즈패턴(13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금형(130)의 상면에 위를 향하여 개방된 형태로 음각의 제1렌즈패턴(132)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할 제1몰딩제 주입단계(S230)에서 제1몰딩제(122)가 제1렌즈패턴(132)에서 새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음각의 제1렌즈패턴(132)에 주입된 제1몰딩제(122)는 중력에 의해 제1렌즈패턴(132)의 내벽에 잘 밀착되므로, 균일하고 정밀한 제1렌즈(120) 표면형상을 얻을 수 있어서 제1렌즈(120)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1렌즈금형에 기판 적층단계(S220)에서는,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112)가 형성된 기판(110)을 제1렌즈금형(130)에 적층한다. 이 때, 제1렌즈(120)가 실장될 면이 제1렌즈금형(130)을 향하도록 기판(110)을 적층한다. 이에 따라, 제1렌즈금형(130)의 오목한 제1렌즈패턴(132)과 기판(110)에 의해 몰딩공간이 형성되며, 기판(110)에 관통되어 형성된 제1몰딩제 주입구(112)로 몰딩공간에 제1몰딩제(122)가 주입될 수 있다.
특히,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몰딩제 주입구(112)가 제1렌즈패턴(13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몰딩제(122)가 기판(110)을 통과하여 바로 몰딩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제1렌즈금형(130)에는 제1몰딩제(122) 주입을 위한 경로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1렌즈금형(13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1몰딩제(122) 주입경로(142)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제1몰딩제(122)의 소모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몰딩제 주입구(112)가 제1렌즈(120) 뒷면에 형성되므로, 제1렌즈(120)의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고 제1렌즈(120)의 품질이 향상된다.
그러나, 제1몰딩제 주입구(112)의 배치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몰딩제 주입구(112)는 제1렌즈패턴(132)에 연통된 러너(1runner)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등과 같이 다양한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렌즈(120)가 엘이디광원(115)를 패키징할 경우에는, 엘이디광원(115)이 제1렌즈패턴(132) 내부에 배치되도록 기판(110)에는 엘이디광원(115)이 사전에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금형(130)에 직접 기판(1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을 가압하는 상부금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금형 세트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부피도 작아지게 되므로, 후속 공정에서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해 진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제1렌즈금형(130)에는 적층된 기판(11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140)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재(140)는 암의 형태로 제1렌즈금형(13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판(110)을 제1렌즈금형(130)에 적층한 후에, 가압부재(140)를 회전시켜 기판(110)을 가압시켜 고정할 수 있다.
제1몰딩제 주입단계(S230)에서는, 제1몰딩제 주입구(112)를 통하여 제1렌즈패턴(132)에 제1몰딩제(122)를 주입한다. 즉, 음각의 제1렌즈패턴(132)과 기판(110)에 의해 형성된 몰딩공간과 연결된 제1몰딩제 주입구(112)에 제1몰딩제(122)를 주입한다.
특히,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몰딩공간과 연통되도록 기판(110)에 제1공기 배출구(114)를 형성하여, 제1몰딩제(122) 주입 시에 제1렌즈패턴(132)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렌즈패턴(132)에 잔존하던 공기가 제1몰딩제(122) 내부로 유입되어 제1렌즈(120)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렌즈 형성단계(S240)에서는 제1렌즈패턴(132) 내의 제1몰딩제(122)를 경화시켜 기판(110)에 실장된 제1렌즈(120)를 형성한다. 즉,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각의 제1렌즈패턴(132)과 기판(110)에 의해 형성된 몰딩공간에 채워진 제1몰딩제(122)가 기판(110)에 부착되도록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제1렌즈(120)의 성형공정과 기판(110)으로의 실장 공정을 일체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1몰딩제(122)를 오븐에서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렌즈금형(130)을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대량의 렌즈실장 기판을 생산할 수 있어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장치(150)에 다수의 제1렌즈금형(130)이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금형을 생략할 수 있어서 금형 세트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부피도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경화장치(150)에서 다수의 기판(110)에 실장되는 제1렌즈(120)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제2렌즈금형 제공단계(S250)에서는 제1렌즈(120)를 둘러싼 제2렌즈(125)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2렌즈패턴(162)이 형성된 제2렌즈금형(160)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120) 및 제2렌즈(125)로 이루어진 복합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렌즈(120) 상에 제2렌즈(125)의 렌즈면이 배치되도록 제1렌즈(120)를 둘러싼 제2렌즈(125)를 형성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렌즈(125)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도록, 제2렌즈금형(160)에 복수의 제2렌즈패턴(16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금형(130)과 마찬가지로 음각의 제2렌즈패턴(162)은 제2렌즈금형(160)의 상면에 형성되어서, 몰딩제의 낭비를 방지하고 제2렌즈(125)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제2렌즈금형에 기판 적층단계(S260)에서는 제1렌즈(120) 및 관통된 제2몰딩제 주입구(116)가 형성된 기판(110)을 제2렌즈금형(160)에 적층한다. 즉, 제1렌즈(120)가 제2렌즈패턴(162)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기판(110)을 적층한다. 이에 따라, 제2렌즈금형(160)의 오목한 제2렌즈패턴(162)과 기판(110)에 의해 몰딩공간이 형성되고, 몰딩공간에는 제1렌즈(120)가 배치된다.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몰딩제 주입구(116)는 제2렌즈패턴(1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몰딩제 주입구(116)는 몰딩공간과 연통될 수 있도록, 제1렌즈(120) 외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몰딩제가 기판(110)을 통과하여 바로 몰딩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또한, 제2렌즈금형(160)에도 암 형태의 가압부재(170)가 설치되어, 직접 기판(110)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체 금형 세트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부피도 작아지게 되므로, 후속 공정에서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해 진다.
제2몰딩제 주입단계(S270)에서는 제2몰딩제 주입구(116)를 통하여 제2렌즈패턴(162)에 제2몰딩제(127)를 주입한다.
이 때,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몰딩공간과 연통되도록 기판(110)에 제2공기 배출구(118)를 형성하여, 제2몰딩제(127) 주입 시에 제2렌즈패턴(162)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렌즈패턴(162)에 잔존하던 공기가 제2몰딩제(127) 내부로 유입되어 제2렌즈(125)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렌즈 형성단계(S280)에서는 제2렌즈패턴(162) 내의 제2몰딩제(127)를 경화시켜 제1렌즈(120)를 둘러싼 제2렌즈(125)를 형성한다. 즉, 음각의 제2렌즈패턴(162)과 기판(110)에 의해 형성된 몰딩공간에 채워진 제2몰딩제(127)가 제1렌즈(120)에 부착되도록 경화시킨다. 이에 따라, 제2렌즈(125)의 성형공정과 기판(110)으로의 실장 공정을 일체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경화장치(150)에는 다수의 제2렌즈금형(160)이 동시에 설치되어서, 다수의 기판(110)에 실장되는 제2렌즈(125)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실장 기판은, 기판(110), 기판(110)에 실장된 제1렌즈(120) 및 제1렌즈(120)를 커버하는 제2렌즈(1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렌즈실장 기판에는 제1렌즈(120) 상에 제2렌즈(125)가 형성되어 복합렌즈를 형성하는 점에서 상술한 렌즈실장 기판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2렌즈(125)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렌즈는(125)는 제1렌즈(120) 상에 제2렌즈(125)의 렌즈면이 배치되도록 제1렌즈(120)를 둘러싼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110)에 제2렌즈(125)의 주변부가 부착되어, 기판(110)에 제2렌즈(125)가 실장된다.
이 때, 기판(110)에는 관통된 형태로 제2몰딩제 주입구(116)가 형성되고, 제2몰딩제 주입구(116)는 제2렌즈(125)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렌즈(125)의 제조 시에 제2몰딩제(127)가 기판(110)을 통과하여 바로 몰딩공간에 주입될 수 있다. 즉, 제2렌즈금형(160)에는 제2몰딩제(127) 주입을 위한 경로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되므로, 제2렌즈금형(160)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몰딩제(127)의 주입경로를 형성하는데 소모되는 제2몰딩제(127)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몰딩제 주입구(116)가 제2렌즈(125) 뒷면에 형성되므로, 제2렌즈(125)의 표면이 매끈하게 형성되고 제2렌즈(125)의 품질이 향상된다.
또한, 기판(110)에는, 제2렌즈(125)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제2렌즈(125)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 배출구(118)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몰딩제(127) 주입 시에 제2렌즈패턴(162)에 채워져 있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렌즈패턴(162)에 잔존하던 공기가 제2몰딩제(127)에 유입되어 제2렌즈(125)에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 110: 기판
12, 112: 제1몰딩제 주입구
116: 제2몰딩제 주입구
14, 114: 제1공기 배출구
118: 제2공기 배출구
15, 115: 엘이디광원
20, 120: 제1렌즈
125: 제2렌즈
30, 130: 제1렌즈금형
160: 제2렌즈금형
32, 132: 제1렌즈패턴
162: 제2렌즈패턴
40: 가압금형
42: 몰딩제 주입경로
44: 공기 배출경로
140, 170: 가압부재
150: 경화장치

Claims (12)

  1. 기판에 실장되는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렌즈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1렌즈패턴이 형성된 제1렌즈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을 상기 제1렌즈금형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1몰딩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렌즈패턴에 제1몰딩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렌즈패턴 내의 제1몰딩제를 경화시켜 기판에 실장된 상기 제1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를 둘러싼 제2렌즈의 형태에 상응하여 음각의 제2렌즈패턴이 형성된 제2렌즈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렌즈 및 관통된 제2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을 상기 제2렌즈금형에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2몰딩제 주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2렌즈패턴에 제2몰딩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렌즈패턴 내의 제2몰딩제를 경화시켜 상기 제1렌즈를 둘러싼 상기 제2렌즈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렌즈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제1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몰딩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제1몰딩제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1공기 배출구로 상기 제1렌즈패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제2공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몰딩제 주입단계에서, 상기 제2몰딩제를 주입하면서 상기 제2공기 배출구로 상기 제2렌즈패턴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압금형으로 상기 기판을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 밀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 상기 기판을 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금형 또는 상기 제2렌즈금형에는, 적층된 상기 기판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가압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조방법.
  8. 관통된 제1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기판; 및
    하부에 상기 제1몰딩제 주입구가 배치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된 제1렌즈를 포함하며,
    상기 기판에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1렌즈를 커버하는 제2렌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2렌즈의 하부에 관통된 제2몰딩제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실장 기판.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1렌즈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1렌즈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1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실장 기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상기 제2렌즈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제2렌즈 제조 시에 공기를 배출하는 제2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실장 기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엘이디(LED)광원을 더 포함하는 렌즈실장 기판.
KR1020100075379A 2010-08-04 2010-08-04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KR101218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79A KR101218367B1 (ko) 2010-08-04 2010-08-04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379A KR101218367B1 (ko) 2010-08-04 2010-08-04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158A KR20120013158A (ko) 2012-02-14
KR101218367B1 true KR101218367B1 (ko) 2013-01-03

Family

ID=4583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379A KR101218367B1 (ko) 2010-08-04 2010-08-04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7A (ja) * 1984-06-13 1986-01-07 Stanley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に装着されたledチツプのモ−ルド方法
JPH06334224A (ja) * 1993-05-24 1994-12-02 Mitsubishi Cable Ind Ltd Led照明具の製造方法
JP2008159659A (ja) * 2006-12-21 2008-07-10 Showa Denko Kk 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7A (ja) * 1984-06-13 1986-01-07 Stanley Electric Co Ltd プリント基板に装着されたledチツプのモ−ルド方法
JPH06334224A (ja) * 1993-05-24 1994-12-02 Mitsubishi Cable Ind Ltd Led照明具の製造方法
JP2008159659A (ja) * 2006-12-21 2008-07-10 Showa Denko Kk 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158A (ko) 201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3272B2 (en) Method of forming a resin cover lens of LED assembly
US9006006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multi-step cured silicon resin
TWI440211B (zh) 電子裝置之製造方法
CN101386194A (zh) Led组件中树脂透镜体的成型方法
JP2009051107A (ja) 光素子の樹脂封止成形方法及び装置
CN101645479A (zh) 发光二极管的荧光粉封装工艺
EP2030752A1 (en) Method of forming a resin cover lens of LED assembly
US20050110191A1 (en) Package method of phosphoric light emitting diode
KR20180015568A (ko) 성형 형,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5953601B2 (ja) 樹脂モールド装置及び樹脂モールド方法
JPH05251485A (ja) 発光装置のレンズ成形方法
KR101845800B1 (ko) 엘이디용 리플렉터 제조 방법
KR101218367B1 (ko) 렌즈 제조방법 및 렌즈실장 기판
JP5514366B2 (ja) 封止材成形方法
US20150024525A1 (en) Led ligh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for use in the same
KR20100028135A (ko) 발광 다이오드 및 이의 렌즈 몰딩 장치
JP2009200172A (ja) 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光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
KR101204746B1 (ko)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WO2016059699A1 (ja) 樹脂封止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樹脂封止モジュール
KR20130068885A (ko) 발광소자 패키지에서 리플렉터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43006B1 (ko) 인몰드 전자기기 타입의 인디케이터의 제조방법
KR100927272B1 (ko) 엘이디 패키지 및 제조방법
JP2009119761A (ja) Ledアッセンブリの光透過樹脂レンズの成型方法
KR101142157B1 (ko) 성형제 계량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렌즈 제조방법
CN202917540U (zh) 具两个以上凸镜的一体式大功率led集成光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