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916B1 -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916B1
KR101215916B1 KR1020120052580A KR20120052580A KR101215916B1 KR 101215916 B1 KR101215916 B1 KR 101215916B1 KR 1020120052580 A KR1020120052580 A KR 1020120052580A KR 20120052580 A KR20120052580 A KR 20120052580A KR 101215916 B1 KR101215916 B1 KR 10121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balone
parts
jell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경
이정업
Original Assignee
이정업
문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업, 문기경 filed Critical 이정업
Priority to KR1020120052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40Shell-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31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5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seaweeds, e.g. alginates, agar or 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농축물을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는 단계; 상기의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Jelly comprising abal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농축물을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는 단계; 상기의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에 관한 것이다.
젤리(jelly)는 펙틴, 젤라틴, 한천(寒天), 알긴산 등의 반고체화제와 주로 투명하고 밝은 색의 물질을 재료 및 당류를 말랑말랑하며 모양을 유지할 정도의 굳기를 지니도록 응고시킨 식품으로써 먹기에 좋게 잘라서 주로 간식, 후식 등으로 섭취하거나 또는 케이크, 쿠키 등의 식품의 재료로 쓰인다.
젤리는 말랑말랑한 느낌을 주고, 당류에 의한 단맛이 주로 나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의 간식이나 식사 후 후식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케이크, 쿠키 등의 식품의 재료로서의 용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젤리 그 자체를 하나의 완성된 식품으로 보아 다양한 성분을 재료로 하여 이러한 재료에 의해 기능성 및/또는 관능성을 증가시킨 젤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젤리는 어린아이들의 간식을 위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완성된 식품으로서의 젤리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해산물의 일종인 전복을 젤리의 재료로 사용하여 전복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젤리 형태로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전복 젤리에서 주요한 재료의 하나인 전복(全鰒, abalone)은 전복과에 딸린 연체동물의 총칭으로 식용으로 하는 주요 수산물의 하나이다.
전복은 대부분 바다에서 해녀 등에 의해 채취되기 때문에 생산량이 많지 않았으나, 1960년대에 국립수산과학원의 수산종묘배양장에서 종묘생산을 시작하였으며 1974년부터는 생산한 종묘를 양식어민에게 분양하여 최근에는 전복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류성인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과 난류성인 까막전복(Haliotis discus), 말전복(H. gigantea), 시볼트전복(H. Sieboldii), 오분자기(H. diversicolor diversicolor), 마대오분자기(H. diversicolor supertexta) 등의 6종이 알려져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1-0122559호에 허브를 준비하여 깨끗이 세척하는 단계; 상기 세척된 허브 100중량부에 설탕 80~1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허브ㆍ설탕 혼합물을 밀봉상태에서 상온으로 25~35일간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된 혼합물을 여과하여 허브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물 1000중량부에 카라기난검 5~10중량부, 곤약 3~8중량부, 설탕 200~300중량부 및 벌꿀 15~25중량부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용해액 1000중량부에 상기 허브발효액 300~500중량부 및 산미료 2~5중량부를 혼합하고 충분히 저어주는 단계; 및 상기 혼합된 용해액을 상온으로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허브가 함유되어 있는 젤리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0573982호에 카라기난 및 로커스트빈검 및 글루코만난 등의 일반적인 겔화제 혼합물 시스템에 분말 셀룰로스를 첨가하되, 과즙이나 과육을 별도로 첨가하지 않고도 동결해동처리에 의해 과육과 유사한 식감을 얻을 수 있는 젤리상 디저트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상기 선행기술들은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서로 달라 발명의 구성이 서로 다른 발명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농축물을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는 단계; 상기의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론 하는 젤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는 전복, 해조류 및 한약재의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성분들이 지니는 영양성분을 젤리 형태로 쉽게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젤리를 주로 섭취하는 어린아이들이 전복 젤리에 함유된 영양성분을 간식으로 주로 먹는 젤리 형태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농축물을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는 단계; 상기의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다(도 1 참조).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10~30중량부, 당류 50~100중량부, 식염 0.1~3중량부, 반고체화제 5~2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1~6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20중량부, 당류 70중량부, 식염 1중량부, 반고체화제 1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한천을 혼합한 혼합물의 농축물은 농축물이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젤리를 용기에 충진시 용기는 전복 패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젤리를 용기에 충진시 용기는 식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 일예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용기에 충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젤리를 용기에 충진시 용기는 식품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진 용기, 일예로 식품을 포장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재료를 전복 패각 모양으로 성형한 용기에 충진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젤리를 충진하는 용기를 전복 패각 또는 전복 패각 모양의 용기로 하는 것은 용기에 충진된 젤리에 전복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독특한 모양의 용기를 사용함으로써 소비자의 호기심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기 전에 젤리를 용기에 충진한 후 오브라이트(oblate)로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더 첨가하도록 하여 젤기의 시각적 이미지의 제고 또는 젤리가 용기에 잘 포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sea algae)로써 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10~100중량부, 계피 10~50중량부, 황기 10~50중량부, 오미자 10~50중량부 및 정제수 500~2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20℃에서 2~6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10~50%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sea algae)로써 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sea algae)로써 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10~100중량부, 계피 10~50중량부, 황기 10~50중량부, 오미자 10~50중량부 및 정제수 500~2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20℃에서 2~6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10~50%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에 상기의 여과물 중량 대비 전복 분말 1~15%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복농축물 제조시 사용하는 전복 분말은 전복을 건조한 다음 입자크기가 100~300메쉬(mesh)가 되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전복의 건조는 통상의 건조방법, 일예로 음건(陰乾), 냉풍 건조, 열풍 건조, 원적외선 건조, 상온하에서 건조 등의 건조방법을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건조방법은 당업자가 적의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sea algae)로써 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여과물에 여과물 중량 대비 전복 분말 10%를 첨가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전복 분말은 전복을 48시간 동안 음건(陰乾)한 후 입자크기가 150±5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10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 젤리 제조시 구성 성분의 하나인 당류는 설탕, 포도당, 과당, 엿류, 당시럽류, 덱스트린, 맥아당, 말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셀로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눌로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키토올리고당, 자일로올리고당, 수크랄로스(sucralose), 꿀(honey), 프로폴리스(propolis), 트레할로스(trehalos),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아스파탐(Aspartame), 라피노오스(raffin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만니톨(mannitol), 만티톨(mantitol), 람니톨(rhamnitol), 이노시톨(Inos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파라티노스(paratinose), 쿠에르시톨(quercito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전복 젤리 제조시 구성 성분의 하나인 반고체화제는 통상의 젤리 제조시 젤리 재료를 응고시켜 말랑말랑한 상태의 젤리를 얻기 위해 사용하는 성분으로써 본 발명에서 이러한 반고체화제는 펙틴, 젤라틴, 한천(寒天), 알긴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복 젤리 제조시 전복 젤리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칠면초(七面草, Suaeda japonica)를 추가로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칠면초를 첨가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전복 젤리 제조시 전복농축물,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는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는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10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를 추가로 더 첨가시 칠면초는 칠면초 분말 및/또는 칠면초 추출물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 분말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건조한 다음 입자크기가 100~300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칠면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 분말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건조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5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칠면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 추출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칠면초 중량 대비 5~15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0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칠면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칠면초 추출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칠면초 중량 대비 7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칠면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에 대해 다양한 조건으로 실시한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건에 의해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10중량부, 당류 50중량부, 식염 0.5중량부, 한천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을 25℃에서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었다.
상기의 젤리를 2cm×2cm×2cm(가로×세로×높이) 크기로 절단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30중량%, 물엿 50중량% 및 솔비톨 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20중량부, 당류 75중량부, 식염 0.5중량부, 한천 1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을 25℃에서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었다.
상기의 젤리를 2cm×2cm×2cm(가로×세로×높이) 크기로 절단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30중량%, 프락토올리고당 30중량%, 꿀 20중량% 및 자일리톨 20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30중량부, 당류 100중량부, 식염 0.5중량부, 한천 1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을 25℃에서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었다.
상기의 젤리를 2cm×2cm×2cm(가로×세로×높이) 크기로 절단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2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25중량%, 트레할로스 25중량% 및 자일리톨 2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전복 젤리를 실험군으로 하고, 종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젤리(새콤달콤한 종합젤리, 롯데마트 판매)를 대조군으로 하여, 상기 실험군 및 대조군에 대한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검사를 측정하고 이의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관능검사는 식품분야에서 3년 이상의 관능검사 경력을 지닌 패널 30명(남여 각각 15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항목 전체적 기호도
실시예 1 4.1 4.0 4.0
실시예 2 4.2 4.1 4.2
실시예 3 4.1 4.0 4.1
대조군 3.9 3.9 3.8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전복 젤리 및 대조군 젤리에 대한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성에 측정값은 패널의 점수 총합을 패널 수로 나눈 후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관능성이 우수함을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각각의 전복 젤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조군의 젤리와 대비시 맛, 향, 전체적인 기호도 등의 관능성이 동등 수준 이상일 뿐만 아니라 5점 만점의 관능성 측정 결과에서 4점 이상을 나타내어 관능성이 우수하여 상품으로의 가치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20중량부, 당류 75중량부, 식염 0.5중량부, 한천 10중량부, 칠면초 분말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을 25℃에서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었다.
상기의 젤리를 2cm×2cm×2cm(가로×세로×높이) 크기로 절단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25중량%, 액상과당 2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25중량% 및 자일리톨 2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칠면초 분말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건조한 다음 입자크기가 150±5메쉬가 되도록 분쇄한 칠면초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5>
상기에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20중량부, 당류 75중량부, 식염 0.5중량부, 한천 10중량부, 칠면초 추출물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5℃에서 4시간 동안 농축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농축물을 얻었다.
상기의 농축물을 25℃에서 통상의 젤리와 같이 말랑해질 때까지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었다.
상기의 젤리를 2cm×2cm×2cm(가로×세로×높이) 크기로 절단한 후 용기에 충진하여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전복농축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미역 50중량부, 계피 30중량부, 황기 30중량부, 오미자 30중량부 및 정제수 1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1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25%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전복추출물은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800중량부를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당류는 설탕 25중량%, 액상과당 25중량%, 프락토올리고당 25중량% 및 자일리톨 25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에서 칠면초 추출물은 수세 후 이물질을 제거한 칠면초를 칠면초 중량 대비 7배량의 정제수에 첨가하고 11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2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한 칠면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복 젤리를 제조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는 전복, 해조류 및 한약재의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성분들이 지니는 영양성분을 젤리를 주로 섭취하는 어린아이들이 젤리 형태로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젤리 관련 제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6)

  1.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해조류(sea algae)로써 톳, 미역, 다시마, 대황, 모자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 10~100중량부, 계피 10~50중량부, 황기 10~50중량부, 오미자 10~50중량부 및 정제수 500~2000중량부를 혼합한 후 100~120℃에서 2~6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얻은 다음 상기 1차 추출물 을 1차 추출물 부피 대비 10~50%가 되도록 농축하고 여과하여 얻은 전복농축물; 전복 100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1000중량부를 첨가하고 100~120℃에서 최초 정제수의 부피 대비 5~50%가 되도록 추출하고 여과하여 얻은 전복추출액; 당류; 식염; 펙틴, 젤라틴, 한천(寒天), 알긴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반고체화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단계;
    상기의 농축물을 냉각시켜 전복을 포함하는 젤리를 얻는 단계;
    상기의 젤리를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복농축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전복추출액 10~30중량부, 당류 50~100중량부, 식염 0.1~3중량부, 반고체화제 5~20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1~6시간 동안 농축시켜 농축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젤리를 용기에 충진한 후 오브라이트(oblate)로 코팅하고 용기를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젤리의 제조방법.
  5. 삭제
  6. 청구항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전복 젤리.
KR1020120052580A 2012-05-17 2012-05-17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80A KR101215916B1 (ko) 2012-05-17 2012-05-17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580A KR101215916B1 (ko) 2012-05-17 2012-05-17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916B1 true KR101215916B1 (ko) 2012-12-27

Family

ID=47908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580A KR101215916B1 (ko) 2012-05-17 2012-05-17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27B1 (ko) * 2015-03-17 2017-05-26 김석우 황금 태극삼 정과의 제조방법
KR102510076B1 (ko) * 2021-12-30 2023-03-15 장수군 곤충생산자단체 영농조합법인 굼벵이 분말을 첨가한 오미자향 젤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49B1 (ko) 2002-08-09 2004-09-18 방계룡 젤라틴과 미역 혹은 다시마를 이용 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049B1 (ko) 2002-08-09 2004-09-18 방계룡 젤라틴과 미역 혹은 다시마를 이용 한 겔 식품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27B1 (ko) * 2015-03-17 2017-05-26 김석우 황금 태극삼 정과의 제조방법
KR102510076B1 (ko) * 2021-12-30 2023-03-15 장수군 곤충생산자단체 영농조합법인 굼벵이 분말을 첨가한 오미자향 젤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3616B (zh) 一种草莓味蜂蜜花生仁的制备方法
CN105995846A (zh) 一种清热润肺的葵花籽及其制备方法
CN103404842A (zh) 一种速食银耳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493868A (zh) 一种蓝莓肉松卷及其制备方法
CN102429059B (zh) 一种含有生姜的解酒速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7484865A (zh) 一种阿胶琥珀核桃仁及其制备方法
KR101215916B1 (ko) 전복 젤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919905A (zh) 一种海洋植物凉粉
CN105794996A (zh) 一种豆腐柴豆腐的加工方法
CN108617835A (zh) 一种枸杞多糖软糖及其制备方法
KR101747793B1 (ko) 꾸지뽕의 풍미가 있는 떡의 제조방법
CN104757244B (zh) 一种平卧菊三七立体星空状凝胶软糖的加工方法
CN102919906A (zh) 一种海洋植物凉粉的制备方法
CN102894358A (zh) 一种护肝保健蚌肉酥及其加工方法
CN103598392B (zh) 一种桑叶豌豆糕及其制备方法
CN109198138A (zh) 一种含有铁皮石斛的凝胶软糖及其制备方法
CN106509755A (zh) 一种白肉火龙果/兰香子果冻及其制备方法
KR101385356B1 (ko) 다슬기장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다슬기장
CN102894404B (zh) 一种降脂保健蚌肉酥及其加工方法
KR20120001174A (ko) 선인장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4775B1 (ko)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양봉산물을 활용한 odf 제조방법
KR101053195B1 (ko) 매생이 가루를 첨가한 쌀국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N108740663A (zh) 一种调理肠胃的复合沙枣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549962B1 (ko) 진세노사이드 Rg3, Rg5 및 Rk1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84404A (ko) 도라지 정과 제조 방법 및 그 정과를 이용한 단팥빵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