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580B1 -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580B1
KR101215580B1 KR1020100077570A KR20100077570A KR101215580B1 KR 101215580 B1 KR101215580 B1 KR 101215580B1 KR 1020100077570 A KR1020100077570 A KR 1020100077570A KR 20100077570 A KR20100077570 A KR 20100077570A KR 101215580 B1 KR101215580 B1 KR 101215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outlet
inlet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231A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5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to produce a flow of air, e.g. to drive an ai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선체; 및 선체에 마련된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고, 발전 시스템은,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해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챔버; 챔버 내부의 해수면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입실; 공기 유입실, 챔버의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출실; 및 공기 유입실에서 공기 유출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고, 챔버 내부의 해수가 상승할 때 챔버의 상측 공간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실 및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챔버 내부의 해수가 하강할 때 외부의 공기가 공기 유입실 및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챔버의 상측 공간부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Ship including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에는 선박을 운용함에 있어서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화석연료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발전기가 탑재된다. 이와 같이 발전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것은 고유가 시대를 맞아 선박 운용 비용을 크게 증가시킨다. 또한, 화석 연료의 사용은 필연적으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화석 연료의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력 생산 비용이 저감되고 환경 오염이 방지되도록 구성된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된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 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해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면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입실; 상기 공기 유입실,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출실; 및 상기 공기 유입실에서 상기 공기 유출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상승할 때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하강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로 유출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상기 챔버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실을 한정하는 유입실벽에는, 상기 공기 유입실을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와 연결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실을 외부와 연결하는 제 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출실을 한정하는 유출실벽에는, 상기 공기 유출실을 외부와 연결하는 제 1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실을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와 연결하는 제 2 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유입구, 상기 제 1 유출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각각 개폐시키는 제 1 유입 밸브, 제 2 유입 밸브, 제 1 유출 밸브 및 제 2 유출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상승할 때, 상기 제 1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1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제 1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하강할 때, 상기 제 2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1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제 1 유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유입 밸브, 상기 제 2 유입 밸브, 상기 제 1 유출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유입실벽 또는 상기 유출실벽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 상기 유입실벽 또는 상기 유출실벽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 사이에는 오리피스(orifice)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해상을 운항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체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이용하여 발전 시스템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선박(10)에서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화석 연료를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던 종래 방식과 달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화석 연료의 구매비용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력 생산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 시스템의 제 2 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은 선체(11)와, 선체(11)에 마련된 발전 시스템(1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을 운항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선체(11)의 상하 방향의 운동을 이용하여 발전 시스템(100)이 전력을 생산하고, 생산된 전력을 선박(10)에서 사용함으로써,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화석 연료를 연소하여 전력을 생산하던 종래 방식과 달리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화석 연료의 구매비용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전력 생산 과정에서 오염 물질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발전 시스템(100)은 챔버(110)와, 공기 유입실(120)과, 공기 유출실(130)과, 풍력 발전기(140)를 포함한다.
챔버(110)는 선체(11)의 내부에 마련된다. 챔버(110)는 선체 내벽(13)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며 선체(11)의 바닥면(12)을 개구하여 형성된 하측 개방부를 구비한다. 챔버(110)는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해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진다. 선체(11)의 상하 방향의 운동(피칭(pitching), 히빙(heaving))에 의해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은 승강한다. 여기서,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상승한다는 것은 챔버(110)로 해수가 유입되어 채워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하강한다는 것은 챔버(110)에서 해수가 유출되어 비워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챔버(110)에 해수가 부분적으로 채워지면, 챔버(110)는,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공간부(111)와,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공간부(11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와 하측 공간부(112)는 각각, 공기와 해수로 채워지고,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승강함에 따라 부피가 달라진다.
챔버(110)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체(11)의 선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챔버는 선체의 선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체(11)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에서 선체(11)의 상하 방향의 운동이 심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챔버(110)가 선체(11)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에 위치하면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의 승강이 심하게 일어난다. 이 경우,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의 승강함에 따라, 후술하는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을 회전시키는 공기의 이동이 강하게 발생하여 전력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승강함에 따라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를 회전시키는 공기의 이동 발생하는 과정은 후술한다.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는 공기 유입실(120)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유입실(120)은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에 채워진 공기 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곳으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를 형성하는 선체 내벽(13)의 일부와 선체 내벽(13)과 결합된 벽(1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실(120)을 한정하는 유입실벽은 선체 내벽(13) 및 선체 내벽(130)과 결합된 벽(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유입실(120)은 외부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유입실(120)을 한정하는 유입실벽에는 공기 유입실(120)과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를 연결하는 제 1 유입구(121)와, 공기 유입실(120)을 외부와 연결하는 제 2 유입구(12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입구(121)는 유입실벽에 포함된 벽(14)에 형성되고, 제 2 유입구(122)는 유입실벽에 포함된 선체 내벽(13)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입실(120)은 공기 유출실(130)과 유체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유출실(130)은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 또는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로 유출되는 곳으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를 형성하는 선체 내벽(13)의 일부와 선체 내벽(13)과 결합된 벽(14)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즉, 공기 유출실(130)을 한정하는 유출실벽은 선체 내벽(13) 및 선체 내벽(13)과 결합된 벽(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유출실(130)과 공기 유입실(120) 사이에는 오리피스(150)가 개재될 수 있다.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오리피스(150)의 중공부(151)를 통해 공기 유출(130)실로 이동할 수 있다.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하는 공기는 오리피스(150)의 중공부(151)를 통과하면서 가속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유출실(130)은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기 유출실(130)을 한정하는 유출실벽에는 공기 유출실(130)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1 유출구(131)와, 공기 유출실(130)과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를 연결하는 제 2 유출구(13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유출구(131)는 유출실벽에 포함된 선체 내벽(13)에 형성되고, 제 2 유출구(132)는 유출실벽에 포함된 벽(14)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풍력 발전기(140)는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풍력 발전기(140)는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회전하는 날개부(141)와, 날개부(141)의 회전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부(142)는 지지부(14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풍력 발전기(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실(120)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는 오리피스(150)의 중공부(151)와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리피스(150)의 중공부(151)를 통과하는 빠른 유동을 이용하여 날개부(141)가 빠르게 회전할 수 있다.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를 회전시키는 공기의 이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챔버(110) 내부의 해수(W)가 상승할 때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의 공기가 제 1 유입구(121)를 통해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다. 이 경우, 풍력 발전기(140)는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이 후, 발전에 사용된 공기는 제 1 유출구(131)를 통해 공기 유출실(130)에서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챔버(110) 내부의 해수(W)가 하강할 때, 외부의 공기가 제 2 유입구(122)를 통해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다. 이 경우, 풍력 발전기(140)는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한다. 이 후, 발전에 사용된 공기는 제 2 유출구(132)를 통해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로 유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전 시스템(100)은 제 1 유입구(121), 제 2 유입구(122), 제 1 유출구(131) 및 제 2 유출구(132)를 각각 개폐시키는 제 1 유입 밸브(161), 제 2 유입 밸브(162), 제 1 유출 밸브(163) 및 제 2 유출 밸브(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챔버(110) 내부의 해수(W)가 상승할 때, 제 1 유입 밸브(161) 및 제 1 유출 밸브(163)는 각각 제 1 유입구(121) 및 제 1 유출구(131)를 개방시키고, 제 2 유입 밸브(162) 및 제 2 유출 밸브(164)는 각각 제 2 유입구(122) 및 제 2 유출구(132)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챔버(110) 내부의 해수(W)가 하강할 때, 제 2 유입 밸브(162) 및 제 2 유출 밸브(164)는 각각 제 2 유입구(122) 및 제 2 유출구(132)를 개방시키고, 제 1 유입 밸브(161) 및 제 1 유출 밸브(163)는 각각 제 1 유입구(121) 및 제 1 유출구(131)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제 1 유입 밸브(161), 제 2 유입 밸브(162), 제 1 유출 밸브(163) 및 제 2 유출 밸브(164)는,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를 회전시키는 전술한 공기의 이동을 만들어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 시스템의 제 2 유출 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제 2 유출 밸브(164)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제 1 유입 밸브(161), 제 2 유입 밸브(162) 및 제 1 유출 밸브(163)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유출 밸브(164)는, 유출실벽에 포함된 벽(14)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171)와, 벽(14)과 플레이트(171)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17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171)의 힌지 결합부(172)는 제 2 유출구(132)에 인접한 벽(14)의 일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유출 밸브(164)는, 제 2 유출구(132)를 통해 공기의 이동이 없을 때 인장 스프링(173)이 플레이트(171)를 벽(14)에 밀착시킴으로써 제 2 유출구(132)를 폐쇄하고, 제 2 유출구(132)를 통해 공기의 이동이 있을 때 이동하는 공기가 플레이트(171)를 밀어 벽(14)에 대해 회동시킴으로써 제 2 유출구(132)를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제 2 유출 밸브(164)는 제 2 유출구(132)를 통해 공기가 이동하는지 여부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밸브의 작동을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가 요구되지 않는다.
인장 스프링(173)의 일단은 벽(14)에 형성된 홈부(14a)에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장 스프링의 타단은 플레이트에 형성된 홈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171)에는 실링부재(177)가 부착될 수 있다. 실링부재(177)는 제 2 유출구(132)를 보다 효과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실링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선박에 포함된 발전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발전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상승하면, 제 1 유입 밸브(161) 및 제 1 유출 밸브(163)는 각각 제 1 유입구(121) 및 제 1 유출구(131)를 개방시키고, 제 2 유입 밸브(162) 및 제 2 유출 밸브(164)는 각각 제 2 유입구(122) 및 제 2 유출구(132)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경우,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의 부피가 감소되면서 상측 공간부(111)에 있는 공기가 제 1 유입구(121)를 통해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다. 이 후,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가 회전하고 발전부(142)에서 전력이 생산된다.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한 공기는 제 1 유출구(1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 내부의 해수면(W)이 하강하면, 제 2 유입 밸브(162) 및 제 2 유출 밸브(164)는 각각 제 2 유입구(122) 및 제 2 유출구(132)를 개방시키고, 제 1 유입 밸브(161) 및 제 1 유출 밸브(163)는 각각 제 1 유입구(121) 및 제 1 유출구(131)를 폐쇄시키도록 작동한다.
이 경우,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의 부피가 증가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상측 공간부로 유입된다. 보다 상세히, 챔버(110)의 상측 공간부(111)의 부피가 증가되면 외부의 공기가 제 2 유입구(122)를 통해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다. 이 후, 공기 유입실(120)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풍력 발전기(140)의 날개부(141)가 회전하고 발전부(142)에서 전력이 생산된다.
공기 유입실(120)에서 공기 유출실(130)로 이동한 공기는 제 2 유출구(132)를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 : 선체
100 : 발전 시스템
110 : 챔버
120 : 공기 유입실
130 : 공기 유출실
140 : 풍력 발전기

Claims (7)

  1. 선체; 및
    상기 선체에 마련된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 시스템은,
    상기 선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하측 개방부를 통해 유출입되는 해수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지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면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입실;
    상기 공기 유입실,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 및 외부와 각각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 공기 유출실; 및
    상기 공기 유입실에서 상기 공기 유출실로 이동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발전하는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상승할 때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하강할 때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을 경유하여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로 유출되고,
    상기 공기 유입실을 한정하는 유입실벽에는, 상기 공기 유입실을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와 연결하는 제 1 유입구와, 상기 공기 유입실을 외부와 연결하는 제 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출실을 한정하는 유출실벽에는, 상기 공기 유출실을 외부와 연결하는 제 1 유출구와, 상기 공기 유출실을 상기 챔버의 상측 공간부와 연결하는 제 2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유입구, 상기 제 2 유입구, 상기 제 1 유출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각각 개폐시키는 제 1 유입 밸브, 제 2 유입 밸브, 제 1 유출 밸브 및 제 2 유출 밸브를 포함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상기 선체의 선수부 또는 선미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상승할 때, 상기 제 1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1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제 1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2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폐쇄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의 해수가 하강할 때, 상기 제 2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2 유입구 및 상기 제 2 유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 1 유입 밸브 및 상기 제 1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제 1 유입구 및 상기 제 1 유출구를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입 밸브, 상기 제 2 유입 밸브, 상기 제 1 유출 밸브 및 상기 제 2 유출 밸브는 각각,
    상기 유입실벽 또는 상기 유출실벽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
    상기 유입실벽 또는 상기 유출실벽과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7. 제1항, 제2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실 및 상기 공기 유출실 사이에는 오리피스(orifice)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100077570A 2010-08-11 2010-08-11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121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70A KR101215580B1 (ko) 2010-08-11 2010-08-11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70A KR101215580B1 (ko) 2010-08-11 2010-08-11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31A KR20120015231A (ko) 2012-02-21
KR101215580B1 true KR101215580B1 (ko) 2012-12-26

Family

ID=4583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570A KR101215580B1 (ko) 2010-08-11 2010-08-11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5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728B1 (ko) * 2011-03-31 2013-04-18 주식회사 에스 앤 더블류 선박용 파력발전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251A (en) 1977-10-11 1979-05-02 Kaiyo Kagaku Gijutsu Center Overspeed preven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waveforce generator
JPS5612064A (en) * 1979-07-12 1981-02-05 Fuji Electric Co Ltd Tidal wave turbine power generator
JPS5713275A (en) 1980-06-27 1982-01-23 Tateishi Kensetsu Kogyo Kk Generator contrivance for ship
JPS5762970A (en) 1980-10-02 1982-04-16 Shigeru Utsunomiya Hydraulic power plant utilizing principle of we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5251A (en) 1977-10-11 1979-05-02 Kaiyo Kagaku Gijutsu Center Overspeed prevent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waveforce generator
JPS5612064A (en) * 1979-07-12 1981-02-05 Fuji Electric Co Ltd Tidal wave turbine power generator
JPS5713275A (en) 1980-06-27 1982-01-23 Tateishi Kensetsu Kogyo Kk Generator contrivance for ship
JPS5762970A (en) 1980-10-02 1982-04-16 Shigeru Utsunomiya Hydraulic power plant utilizing principle of we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31A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2406A (en) Tidal generator
JP4805783B2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
CN110949633A (zh) 驳船型漂浮式风机系统及浮式风机平台
RU2009109186A (ru) Платформа типа спар с закрытой центральной шахтой
JP5550753B1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ならびにその組立方法および運転方法
KR101185964B1 (ko)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추선
KR101215580B1 (ko) 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박
KR102039782B1 (ko) 조류발전장치용 직접착저식 fd형 케이슨
JPH10213059A (ja) 波力利用発電装置
JP2011074854A (ja) 波力発電用タービン
EP3631192A1 (en) Wave-power plant with controllably buoyant floats
KR101236530B1 (ko) 파력발전장치가 구비된 선박
KR101512931B1 (ko) 방파제 발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795516B1 (ko) 파도 에너지 변환장치
KR20160025175A (ko) 조수간만의 차를 이용한 발전장치
EP4121648A1 (en) A wave energy converter
JP2019501334A (ja) 浮力発電装置
CN208474044U (zh) 一种基于杠杆作用的波浪能转化装置
JP2016169669A (ja) 液体圧送装置
KR101273647B1 (ko) 조류 발전기용 샤프트 및 이를 갖는 조류 발전기
JP5462647B2 (ja) 船舶の動揺による発電装置
KR20150034337A (ko) 밸러스트 수력발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958615B1 (ko) 파력발전시스템
KR20110122296A (ko) 선박용 발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2019138293A (ja) バケット式浮力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