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94B1 - 안벽 조립체 - Google Patents

안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94B1
KR101215494B1 KR1020100062271A KR20100062271A KR101215494B1 KR 101215494 B1 KR101215494 B1 KR 101215494B1 KR 1020100062271 A KR1020100062271 A KR 1020100062271A KR 20100062271 A KR20100062271 A KR 20100062271A KR 101215494 B1 KR101215494 B1 KR 10121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quay
quay wall
fix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471A (ko
Inventor
이수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Abstract

안벽 조립체가 제공된다. 육상 안벽에 위치 고정된 고정 안벽; 및 해상에 부유식으로 형성되며 고정 안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되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제 1 안벽을 포함하되,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제 1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대응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안벽 조립체는 고정 안벽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부유식 안벽이 위치 변경될 수 있어 선박의 접안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안벽 조립체{Quay assembly}
본 발명은 안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항만에 설치되어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안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벽(岸壁 ; quay)은 선박이 안전하게 접안하여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승객을 승선 또는 하선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이러한 안벽의 구조형식은 중력식과 잔교식 등으로 대별되는데, 이들 중에서 중력식은 케이슨식, 블럭식, 셀블럭식 등으로 세분되며, 통상적으로 대형 선박의 접안을 목적으로 건설되는 안벽구조는 구조설계 해석상 안전성이 우수한 케이슨식 안벽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안벽은 상기한 용도 외에도 도크에서 건조된 선박을 의장품 탑재나 설비 설치 등과 같은 마무리 작업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정식 안벽은 접안면에 선박이 측면을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다수의 계류색을 비트에 감게 됨으로써 선박이 정박되도록 하며, 조선소의 경우 상면에 미완성된 선박에 의장품 등의 탑재를 위해 크레인 등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식 안벽은 안벽의 상면이 수위면보다 높게 견고하도록 설치되기 위해서 지중의 지반상에 기초를 조성함과 아울러 기초를 기반으로 하여 구조물을 시공함으로써 시공 비용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시공 기간이 증가된다.
또한, 안벽의 상면이 선박에 선적 또는 하역을 위해 일정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건조, 선적이나 하역 등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선박의 측부를 접안면에 접하게 할 경우 접안하는 선박의 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넓은 육상 부지를 필요로 하며, 조선소의 경우 선박의 건조설비 및 계류설비에 따라 접안 가능한 선박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안벽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안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벽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벽에 접안되는 선박의 수에 따라 변형가능하며 및 선적이나 하역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안벽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육상 안벽에 위치 고정된 고정 안벽; 및 해상에 부유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제 1 안벽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대응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안벽 조립체가 제공된다.
삭제
이 때, 안벽 조립체는, 해상에 부유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제 1 안벽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제 2 안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안벽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횡방향으로 상기 제 1 안벽의 대응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전방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 및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 각각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대응 슬라이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전방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에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돌출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후방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홈부에는 후방 전자석 설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 2 안벽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1 안벽에 형성되는 대응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 안벽의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 각각이 육상 안벽에 위치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후방 단부측에 위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상부면에 크레인 이동 레일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 안벽 측부에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이 번갈아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는 육상 안벽에 위치고정된 고정 안벽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복수의 안벽들을 구비하여 안벽에 접안하는 선박의 수 및 크기에 따라 안벽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는 안벽 간의 이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루어져 제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는 전자석을 이용하여 복수의 안벽 상호간의 결합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벽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제 1 안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제 2 안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Ⅴ-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에서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이 고정 안벽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에서 제 2 안벽이 제 1 안벽에 대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전자석 설치부 내부에 설치된 전자석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안벽의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에 선박이 접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제 1 안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의 제 2 안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V-V'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이란, 안벽이 설치된 육지로부터 바다 쪽을 향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 볼 때 상측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100)는 고정안벽(400),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안벽(400)은 육상안벽(2)으로부터 바다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안벽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안벽(400)은 육상안벽(2)과 일체로 형성된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안벽(400)은 육상안벽(2)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예를 들어, 콘크리트, 철근, 모래, 자갈 등과 같은 건축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고정안벽(400)의 하측은 바다 속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안벽(400)의 상부면에는 크레인이 이동할 수 있는 종방향 이동레일(450) 및 횡방향 이동 레일(460)이 설치된다. 이 때, 고정안벽(40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종방향 이동 레인(450)의 일단은 육상안벽(2)까지 연장되어 육상 안벽(2) 상에 위치하는 크레인(500)이 고정안벽(400)에 설치된 종방향 이동 레일(450)을 따라 고정안벽(400) 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고정안벽(400)의 전방 단부, 즉 바다 측으로 향하여 위치되는 단부는 돌출부(430)를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부(430)에는 후술하는 제 1 안벽의 홈부(240)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430)는 사각 단면을 가지며 내측에 전방 전자석 설치부가 형성되어 제 1 안벽(200)의 홈부(240)가 돌출부(430)에 결합된 상태에서 홈부(240)에 형성된 후방 전자석 설치부(242)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안벽(200)은 고정안벽(400)의 전방 단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다.
고정안벽(400)의 돌출부(430)에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의 구성은 제 1 안벽(200)의 돌출부(230)에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232)의 구성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제 1 안벽(200)에 대한 설명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고정안벽(400)의 양 측부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슬라이딩 홈에는 전자석 설치부가 형성된다. 고정안벽(400)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홈 및 전자석 설치부는 후술하는 제 2 안벽(300)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제 2 안벽(30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안벽(400)의 측부에는 제 1 안벽(200)이 위치될 수 있다.
제 1 안벽(200)은 고정 안벽의 전방부 또는 일측면에 위치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하며 수면에 부유가능한 부유체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제 1 안벽(200)은 대략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일 수 있는 몸체(210)를 포함한다. 제 1 안벽(200)을 형성하는 몸체는 부력을 가지도록 내측에 공기가 채워진 박스 형태의 구조물로서, 철재, 강화 수지 등 선박의 접안 작업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안벽은 수면에 부유되어 상부면이 수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1 안벽(200)의 상부면에는 종방향 이동 레일(250) 및 횡방향 이동 레일(26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안벽(200)의 상부면을 따라 크레인(500)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안벽(200)의 몸체(210)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딩 가이드(220)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220)는 몸체(210)의 양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하로 배열된 한 쌍의 제 1 가이드(222) 및 제 2 가이드(224)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222) 및 제 2 가이드(224)는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사각 단면을 갖는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안벽(200)은 양측면에 돌출된 슬라이딩 가이드(220)가 형성됨으로써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식 안벽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 1 안벽의 몸체가 이와 같이 좌우 대칭인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부유체인 제 1 안벽이 수면 위에서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222) 및 제 2 가이드(224)의 내측에는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측 전자석 설치부(225)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227)가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225, 227)에는 도3에서 볼 때 몸체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복수의 전자석이 나란하게 배열(도 8의 210 참조)되며, 복수의 전자석에는 소정의 전압(V2, V3)이 인가되어, 필요에 따라 복수의 전자석이 N극 또는 S극의 자성을 띨 수 있도록 형성된다.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225, 227)에 인가되는 전압은 개별적으로 혹은 동시에 인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크기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225, 227)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220)에 위치된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225, 227)가 후술하는 제 2 안벽(300)의 슬라이딩 홈(도 4의 320)에 위치되는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도 5의 325, 327)와 상호 작용하여 제 1 안벽(200)에 대하여 제 2 안벽(300)이 전방측으로 혹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제 1 안벽(200)의 몸체(210)의 전방측에는 돌출부(230)가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230)는 몸체(210)의 전방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며,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30)에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232)가 위치된다. 전방 전자석 설치부(232)는 돌출부(230)의 전방 표면 내측에 형성되며,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의 구성과 유사하게 내부에 복수의 전자석이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이 때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방 전자석 설치부에는 필요에 따라 소정의 전압(V1)이 인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전방 전자석 설치부는 필요에 따라 N극 또는 S극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몸체(210)의 후방측에는 홈부(240)가 형성된다. 홈부(240)는 몸체(210)의 후방부에서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동일한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제 1 안벽(20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홈부(240)는 고정안벽(400)의 전방측에 형성된 돌출부와 구조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홈부(240)에는 이웃하는 안벽과 자력에 의하여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후방 전자석 설치부(242)가 형성된다. 후방 전자석 설치부의 구성은 전방 전자석 설치부 및 좌측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의 구성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안벽(200)의 홈부(240)가 고정안벽(400)의 돌출부(430)와 맞물린 상태, 혹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인접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안벽(200)의 홈부(240)에 형성된 후방 전자석 설치부(242)와 고정안벽(400)의 전방 전자석 설치부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제어되어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고정 안벽(400)과 제 1 안벽(200)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안벽(200)의 후방측에는 홈부(240)의 양측부엔 연결부재(270)가 설치된다. 연결부재(270)는 제 1 안벽이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안벽(400)의 측부에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안벽(200)의 후방 단부를 육상안벽(2)의 일측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연결 부재(2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고리를 형성하여 육상안벽(2)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미도시)에 결합시키거나 혹은 체인 및 로프를 이용하여 육상안벽(2)의 일측에 묶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 1 안벽(200)에는 부유체로 형성되는 몸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측부에 앵커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안벽(300)은 제 1 안벽의 측부 혹은 전방부에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동식 부유가능한 안벽으로 형성된다.
제 2 안벽(300)은 제 1 안벽(200)과 유사하게 부유가능한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2 안벽(300)의 상부면에는 제 1 안벽과 유사하게 종방향 이동 레일(350) 및 횡방향 이동 레일(36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안벽(200)과 제 2 안벽(300)이 서로 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안벽(200)의 횡방향 이동 레일(260) 및 제 2 안벽(300)의 횡방향 이동 레일(360)은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안벽의 횡방향 이동 레일(260, 360)을 따라 크레인(500)이 제 1 안벽(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 2 안벽(300)의 상부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 1 안벽(200)과 유사하게 제 2 안벽(300)의 전방측에는 내부에 전방 전자석 설치부(332)가 형성된 돌출부(330)가 위치되며 및 후방측에는 내부에 후방 전자석 설치부(342)가 형성된 홈부(340)가 위치된다.
한편, 제 2 안벽(300)은 제 1 안벽(200)과 달리 제 1 안벽(200)의 슬라이딩 가이드(220), 즉 제 1 가이드(222) 및 제 2 가이드(224)가 삽입될 수 있는 슬라이딩 홈(320), 즉 제 1 슬라이딩 홈(322) 및 제 2 슬라이딩 홈(324)을 구비한다. 제 1 슬라이딩 홈(322) 및 제 2 슬라이딩 홈(324)은 제 2 안벽(300)의 양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한쌍으로 형성된다. 제 2 안벽(300)은 양측면에 슬라이딩 홈을 구비함으로써 좌우 대칭인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벽 조립체(100)에 있어서, 제 2 안벽(300)은 양측면에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좌우대칭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2 안벽(300)은 수면에 부유된 상태에서도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 2 안벽(300)에 있어서, 제 1 슬라이딩 홈(322) 및 제 2 슬라이딩 홈(324)의 내측 표면에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몸체(3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 각각 좌측 전자석 설치부(325)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327)가 형성된다. 제 2 안벽(300)의 좌측 전자석 설치부(325)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327)의 구성은 제 1 안벽(200)의 좌측 전자석 설치부(225) 및 우측 전자석 설치부(327)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벽 조립체의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은 고정 안벽(400)의 측부에 나란하게 복수의 제 1 안벽(200) 및 복수의 제 2 안벽(300)이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안벽(200)은 고정안벽의 전방부 또는 제 2 안벽(300)의 전방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도 13 및 도 14 참조), 제 2 안벽(300)이 제 1 안벽(200)의 전방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고정안벽(400)에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이웃하여 결합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안벽(400)의 우측면부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420)에 제 1 안벽(200)의 좌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2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안벽(200)의 우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220)가 제 2 안벽(300)의 좌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안벽(400),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서로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안벽(300)의 우측에는 다시 제 1 안벽(200)이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제 1 안벽(200)의 우측에 다시 제 2 안벽(300)이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100)는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고정 안벽 및 인접한 안벽의 측부 혹은 전방부로 이동하여 상호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안벽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벽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안벽과 제 2 안벽 간의 결합 및 이동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안벽(200)이 제 2 안벽(300)과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안벽(20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222, 224)에 위치되는 우측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의 자성을 N극으로 유지하고 제 2 안벽(30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 홈(322, 324)의 좌측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의 자성을 S극으로 유지하여 상호 인접한 위치에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배열된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상호 결합된 위치에서 상호 인력이 작용할 경우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은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안벽(400),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상호 결합된 상태가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배치 상태이다.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상호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의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의 극성을 다르게 하면 이웃하는 전자석 간에 척력이 발생하여 제 1 안벽(200) 또는 제 2 안벽(300)이 좌측 또는 우측에 이웃하는 안벽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안벽(200)에 위치되는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과 제 2 안벽(300)에 위치되는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하여 달라지면, 제 1 안벽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 1 안벽의 우측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은 제 2 안벽(300)의 좌측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을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제 2 안벽의 좌측 전자석 설치부의 전자석이 밀려날 경우 제 2 안벽은 제 1 안벽(200)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안벽(300)의 제 1 안벽(200)에 대한 전방측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 2 안벽(300)이 제 1 안벽(200)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 2 안벽(300)의 후방부에 형성된 후방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과 제 1 안벽(200)의 전방부에 형성된 전방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이 동일한 극을 갖도록 제어하면, 제 2 안벽(300)의 후방부와 제 1 안벽(200)의 전방부에 인력이 작용하여 제 2 안벽(300)의 후방부에 형성된 홈부(340)가 제 1 안벽(200)의 돌출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안벽(300)의 홈부(240)가 제 1 안벽(200)의 돌출부(230)에 결합되면, 제 1 안벽(200)과 제 2 안벽(300)이 서로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 및 결합 방식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안벽 조립체는 복수의 제 1 안벽(200) 및 제 2 안벽(300)이 고정안벽(400)에 대하여 자유로이 횡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안벽에 대한 제 1 안벽의 이동 및 결합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이동 및 결합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서로 횡방향으로 배열된 8개의 안벽으로 이루어진 안벽 조립체(고정안벽(400), 4개의 제 1 안벽(200a, 200b, 200c, 200d) 및 3개의 제 2 안벽(300a, 300b, 300c))가 서로 위치 이동하여 다양한 형태의 안벽 형태를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9에서 제일 우측에 위치되는 제 1 안벽(200a)은 이웃하는 제 2 안벽(300a)과 전자석 설치부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도 10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안벽(200a)의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을 제어하여 제 2 안벽(300a)의 전방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안벽(200a)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후방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과 제 2 안벽(300a)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의 자성을 동일하게 하여 상호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면 도 12에서와 같이 제 1 안벽(200a)이 제 2 안벽(300a)의 전방측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웃하는 복수의 제 1 안벽(200a, 200b, 200c) 및 복수의 제 2 안벽(300a, 300b)을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시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안벽(400)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6개의 안벽(200a, 300a, 200b, 300b, 200c, 300c)이 길게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안벽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6개의 안벽이 횡방향으로 배열되며 6개의 안벽 중 제일 우측에 위치되는 제 2 안벽(200b)의 전방에 제 1 안벽(200a) 및 제 2 안벽(300a)이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의 안벽 조립체에 복수의 선박(600)이 접안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안벽 조립체(100)의 배열 형태는 안벽에 접안하는 선박의 수 및 선박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 안벽,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크기를 모두 동일하게 형성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고정 안벽,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안벽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및 슬라이딩 홈의 형태 및 배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 육상 안벽 100 안벽 조립체
200 제 1 안벽 210 안벽 몸체
220 슬라이딩 가이드 230 돌출부
240 홈부 250 종방향 이동 레일
260 횡방향 이동 레일 270 연결부재
300 제 2 안벽 310 안벽 몸체
320 슬라이딩 홈 330 돌출부
340 홈부 350 종방향 이동 레일
360 횡방향 이동 레일 370 연결부재
400 고정 안벽 500 크레인

Claims (11)

  1. 육상 안벽에 위치 고정된 고정 안벽; 및
    해상에 부유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제 1 안벽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제 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벽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대응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안벽 조립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해상에 부유식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안벽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되 상기 제 1 안벽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방부에 선택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는 제 2 안벽을 더 포함하는 안벽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안벽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횡방향으로 상기 제 1 안벽의 대응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제 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는, 안벽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전방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 및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 각각의 양 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를 포함하는 안벽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제 1 슬라이딩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대응 슬라이딩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안벽에 설치되는 측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부에 설치되는, 안벽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전방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에 형성되는 전방 전자석 설치부는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돌출부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후방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의 홈부에는 후방 전자석 설치부가 형성되는, 안벽 조립체.
  8. 제 4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안벽에 형성되는 제 1 슬라이딩부 및 상기 제 2 안벽에 형성되는 제 2 슬라이딩부는 슬라이딩 홈 또는 슬라이딩 가이드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 1 안벽에 형성되는 대응 슬라이딩부는 상기 고정 안벽의 슬라이딩부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또는 슬라이딩 홈 중 어느 하나인, 안벽 조립체.
  9.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 각각이 육상 안벽에 위치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후방 단부측에 위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안벽 조립체.
  10.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안벽, 상기 제 1 안벽 및 제 2 안벽의 상부면에 크레인 이동 레일이 형성된, 안벽 조립체.
  11. 제 3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이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안벽 측부에 상기 제 1 안벽 및 상기 제 2 안벽이 번갈아 이웃하여 배열되는, 안벽 조립체.
KR1020100062271A 2010-06-29 2010-06-29 안벽 조립체 KR10121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71A KR101215494B1 (ko) 2010-06-29 2010-06-29 안벽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271A KR101215494B1 (ko) 2010-06-29 2010-06-29 안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71A KR20120001471A (ko) 2012-01-04
KR101215494B1 true KR101215494B1 (ko) 2012-12-26

Family

ID=4560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271A KR101215494B1 (ko) 2010-06-29 2010-06-29 안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3391A1 (ko) * 2014-12-10 2016-06-16 함양영농조합법인 여주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20028398A (ko) * 2020-08-28 2022-03-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력을 이용하여 연결되는 부유체 및 그 연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874B1 (ko) 1998-05-26 2000-10-16 김영환 Swl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JP2002167728A (ja) 2000-12-04 2002-06-11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防波堤背後の埋立砂の被覆構造体
US20030140840A1 (en) 2002-01-31 2003-07-31 Won-Hoi Yang Quay wall struc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8874B1 (ko) 1998-05-26 2000-10-16 김영환 Swl 강유전체 메모리 장치
JP2002167728A (ja) 2000-12-04 2002-06-11 Port & Harbour Res Inst Ministry Of Transport 防波堤背後の埋立砂の被覆構造体
US20030140840A1 (en) 2002-01-31 2003-07-31 Won-Hoi Yang Quay wall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71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308189A3 (ru) Морское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ое грузовое плавсредство с регулируемой плавучестью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101215494B1 (ko) 안벽 조립체
JP6630105B2 (ja) 浮桟橋用浮体の連結構造
KR20100123438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한 선박 화물 하역 방법
AU2009332806B2 (en) Docking bridge for the loading and unloading a roll-on/roll-off ship
KR100827462B1 (ko) 이동식 플로팅 안벽
KR20160104156A (ko)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KR100650337B1 (ko) 양현하역용 부유식 안벽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KR100750223B1 (ko) 이동식 부유안벽
KR101606693B1 (ko) 바지선의 대형 블록을 부유식 도크에 탑재하는 방법
KR20130127699A (ko) 부유식 플랜트의 계류 장치 및 계류 방법
KR101061984B1 (ko) 안벽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안벽 구조물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JPH10175591A (ja) ユニット浮体連結式大型浮体
KR100967887B1 (ko) 독 배치 구조 및 그의 선박 건조방법
JP2017520454A (ja) 接合式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および拡張フローティングドック
KR101074923B1 (ko) 피어가 없는 선박 계류장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810001197B1 (ko) 선박 도킹 플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