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733B1 -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733B1
KR101214733B1 KR1020110090169A KR20110090169A KR101214733B1 KR 101214733 B1 KR101214733 B1 KR 101214733B1 KR 1020110090169 A KR1020110090169 A KR 1020110090169A KR 20110090169 A KR20110090169 A KR 20110090169A KR 101214733 B1 KR101214733 B1 KR 101214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ensor
calculating
calculator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원
김경린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733B1/ko
Priority to US13/589,522 priority patent/US20130055812A1/en
Priority to JP2012187379A priority patent/JP5467406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변화율 연산부; 상기 변화율 연산부에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을 제어하는 검출구간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1동작검출부 및 제2동작검출부; 상기 제1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1과, 상기 제2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작은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t1과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큰 경우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동작속도에 따라 이중-동작을 감지하는 검출구간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DEVICE FOR DETECTING DOUBLE MOTION AND METHOD FOR DETECTING DOUBLE MOTION}
본 발명은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대상 동작의 속도에 따라 이중-동작을 감지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에 관련된다.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 및/또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다양한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방식 및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은 관성 물리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관성센서로 통칭하기도 하며, 최근 들어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동시에 측정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센서들로부터 얻어진 출력값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이들 출력 값 들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허문헌1에는 입력장치에 손 흔들림 입력이 있는 경우 그 출력 신호의 보정을 수행하고, 유저에게 위상 지연을 느끼게 하지 않는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관성센서를 이용하여 더블탭과 싱글탭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더블탭을 수행하는 속도나 탭과 탭간의 간격이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를 포함한 종래의 더블탭 인식기술들은 더블탭을 인식하는 구간이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사용자의 습성 또는 상황에 따라 더블탭을 빠르게 진행하거나 느리게 진행하는 경우 고정된 더블탭 인식 구간과 차이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더블탭 동작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더블탭 인식 신호의 출력이 지연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68335호 특허문헌2 : 미국공개특허 제2010/025694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동작속도에 따라 이중-동작을 감지하는 검출구간을 조절할 수 있는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장치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변화율 연산부; 상기 변화율 연산부에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을 제어하는 검출구간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1동작검출부 및 제2동작검출부; 상기 제1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1과, 상기 제2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작은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t1과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큰 경우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누적평균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1
또한, 상기 누적평균 연산부는,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2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
한편,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최대값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3

한편,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및 상기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최대기울기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4

한편,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크기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는 적분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방법은, (A)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동작을 검출하는 제1동작 검출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을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제1동작이 검출된 시점부터 상기 검출구간에 해당하는 시점까지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동작을 검출하는 제2동작 검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5
또한, 상기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 연산된 차이값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6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7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8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크기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방법은,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중-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을 감지한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동작을 검출하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동작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 동작의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검출구간을 조절하는 단계; 상기 검출구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다시 초과할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검출구간이 경과될 때까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다시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은 이중-동작을 검출하는 시간을 감지대상 동작의 속도를 반영하여 조절함으로써,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이중-동작이 검출되었음에도 검출된 결과값을 출력함에 있어서, 고정된 검출시간동안 대기하여야 함에 따라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및 도 1B는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검출구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화율 연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화율 연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센서(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검출구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의 경우 검출구간(Tw) 내에서 제1동작 및 제2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 1B의 경우 검출구간(Tw) 내에서 제1동작만 이루어지고, 제2동작은 검출구간(Tw)을 경과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센서(1)가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전기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Threshold)을 초과하는 경우에 동작이 있는 것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런데, 사용자 내지 감지대상의 동작 속도는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예시한 두 경우 모두 이중-동작을 한 것이라고 가정하면, 도 1A에서 예시한 경우에 비하여 도 1B에서 예시한 경우가 동작의 속도가 느린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A에서 예시한 경우 이중-동작이 검출된 것으로 결과를 출력할 수 있지만, 도 1B에서 예시한 경우에는 이중-동작을 수행했음에도, 이중-동작이 검출된 것으로 결과가 출력되지 않아 오작동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도면으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대의 경우도 예상이 가능하다.
즉, 이중-동작이 빠르게 수행되더라도 검출구간(Tw)이 모두 경과되기 전까지는 이중-동작이 검출된 것으로 결과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결과 출력이 지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동작속도를 고려하여 검출구간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창안하게 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동작은 탭(Tap), 스윙(Swing), 터치(Touch) 등 다양한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장치는 센서(1), 제1동작검출부(10), 제2동작검출부(20), 제어부 및 출력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는 동작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관성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동작검출부(10) 및 제2동작검출부(20)는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작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각각 제1동작과 제2동작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동작검출부(20)는 제1동작검출부(10)가 제1동작을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제2동작이 발생하는지를 검출하는데, 이때, 상기 소정의 시간을 본 명세서에서는 검출구간(Tw)으로 정의한다.
출력부(30)는 제1동작검출부(10)와 제2동작검출부(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거나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이때, 단일-동작 결과는 별도로 출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어부(100)는 제1동작의 속도를 반영하여 검출구간(Tw)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1동작의 속도가 빠르다면 검출구간(Tw)의 길이를 짧게 결정하고, 제1동작의 속도가 느리다면 검출구간(Tw)의 길이를 길게 결정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면서도 처리시간을 최대로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1동작의 속도와 검출구간(Tw)의 길이는 반비례 관계가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변화율 연산부(110)와 검출구간 제어부(120)로 구현될 수 있다.
변화율 연산부(110)는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데, 이때, 상기 신호의 변화율은 동작의 속도를 대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변화율 연산부(110)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작동원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검출구간 제어부(120)는 변화율 연산부(110)에서 연산된 값에 따라 검출구간(Tw)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변화율이 클수록 검출구간(Tw)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검출구간(Tw)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검출구간 제어부(120)는 제2동작검출부(20)가 제2동작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출하는 시간의 한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출구간은 제1동작이 검출된 시점, 즉 제1동작을 센서(1)에서 감지하여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보다 커지는 시점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장치는 이중-동작을 검출하는 시간을 감지대상 동작의 속도를 반영하여 조절함으로써, 오작동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중-동작이 검출되었음에도 검출된 결과값을 출력함에 있어서, 고정된 검출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함에 따라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화율 연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변화율 연산부(110)는 차이값을 연산하고 그 누적평균 또는 최대값을 대표값으로 도출함으로써 신호의 변화율, 즉 동작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변화율 연산부(110)는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 파형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여 동작의 속도를 연산할 수도 있다.
또한, 변화율 연산부(110)는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값을 시간에 대하여 적분함으로써 동작의 속도를 연산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변화율 연산부(110)는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와 상기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최대기울기 도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특정 시간 t에서의 순간적인 변화율, 즉,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가 이루는 곡선에서 특정 시간 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L(t)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S(t)는 센서(1)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t시점에서의 크기를 의미하며 일종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69593402-pat00009

상기 최대기울기 도출부는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변화율 연산부(110)는, 상기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크기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는 적분 연산부;를 포함함으로써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 즉, 동작 속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기 수학식 4를 이용하여 적분을 수행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화율 연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변화율 연산부(110)는 차이값 연산부 및 누적평균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상기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누적평균 연산부는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n+1 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방식으로 상기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을 연산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1
이때, n은 음이 아닌 정수로써, 0, 1, 2, 3, 4, 5 ‥‥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평균 연산부는,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Diff)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2
이때,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로써, 0, 1, 2, 3, 4, 5 ‥‥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초 단위로 n을 1씩 증가시킨다고 가정하면, 1초 동안 센서(1)에서 출력되는 신호값을 10등분하고,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각 구간에서 차이값(Diff)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누적평균 연산부 10개의 차이값의 평균값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N은 변화율 연산부(110)의 정밀도에 따라 달리 정해질 수 있다. 즉, 변화율 연산부(110)의 정밀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일정한 시간을 기준으로 N을 크게 설정하면 되고, 동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N을 작게 설정하면 변화율 연산부(110)의 정밀도가 낮아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예에서와 같이 1초를 10등분 하는 것으로 설정하는 경우 N이 10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0.1초 단위로 차이값(Diff)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며, N을 100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는 0.01초 단위로 차이값(Diff)을 연산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검출구간(Tw)의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라면 N값을 크게 설정하고, 반대로 검출구간(Tw)의 정밀한 제어가 불필요한 경우라면 N값을 작게 설정함으로써 최적화된 검출구간(Tw) 제어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동작 감지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센서(1)가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S110).
다음으로, 센서(1)가 출력한 신호, 즉, 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Threshold)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동작을 검출한다(S120-1).
한편, 변화율 연산부(110)는 제1동작 검출과 별개로 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한다(S120). 변화율 연산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Tw)을 제어한다(S130).
다음으로,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제2동작을 검출한다(S140).
이때, 제2동작의 검출은 제1동작이 검출된 시점부터 상기 검출구간(Tw)에 해당하는 시점까지 센서(1)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구간(Tw) 내에서 제2동작이 검출될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한다(S160). 이때, 검출구간(Tw)이 경과될때까지 센서(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다시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한다(S160-1).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센서
10 : 제1동작검출부
20 : 제2동작검출부
30 : 출력부
100 : 제어부
110 : 변화율 연산부
120 : 검출구간 제어부

Claims (20)

  1.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변화율 연산부;
    상기 변화율 연산부에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을 제어하는 검출구간 제어부;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면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1동작검출부 및 제2동작검출부; 및
    상기 제1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1과, 상기 제2동작검출부에서 동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점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작은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t1과 t2 사이의 시간이 상기 검출구간보다 큰 경우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이중-동작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누적평균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3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평균 연산부는,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수학식 2]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4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차이값 연산부; 및
    상기 차이값 연산부에서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최대값 선택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5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및
    상기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최대기울기 도출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수학식 3]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6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율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크기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는 적분 연산부;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장치.
  10. (A)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동작을 검출하는 제1동작 검출단계;
    (C)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된 신호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단계;
    (D) 상기 (B)단계에서 연산된 값에 반비례하게 검출구간을 제어하는 단계; 및
    (E)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제1동작이 검출된 시점부터 상기 검출구간에 해당하는 시점까지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2동작을 검출하는 제2동작 검출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동작 감지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7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차이값을 연산하는 단계에서 연산된 차이값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수학식 2]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8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Diff)을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1069593402-pat00019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기울기의 최대값을 도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2090450274-pat00020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크기를 시간에 대하여 적분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19.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이중-동작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작을 감지한 센서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는 단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여 제1동작을 검출하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동작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
    동작의 속도에 반비례하도록 검출구간을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구간이 경과되기 전까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다시 초과할 경우 이중-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중-동작 감지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구간이 경과될 때까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다시 초과하지 않을 경우에는 단일-동작 결과를 출력하는 것인
    이중-동작 감지방법.
KR1020110090169A 2011-09-06 2011-09-06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KR101214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69A KR101214733B1 (ko) 2011-09-06 2011-09-06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US13/589,522 US20130055812A1 (en) 2011-09-06 2012-08-20 Device for detecting double motion and method of detecting double motion
JP2012187379A JP5467406B2 (ja) 2011-09-06 2012-08-28 二重動作感知装置及びその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169A KR101214733B1 (ko) 2011-09-06 2011-09-06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4733B1 true KR101214733B1 (ko) 2012-12-21

Family

ID=4775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169A KR101214733B1 (ko) 2011-09-06 2011-09-06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055812A1 (ko)
JP (1) JP5467406B2 (ko)
KR (1) KR1012147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08106B2 (ja) * 2015-03-23 2019-11-2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運動検出方法
JP6237692B2 (ja) * 2015-04-23 2017-11-2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表示装置及び操作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5844A (en) * 1989-05-08 1991-01-15 Tektronix, Inc. Statistical waveform profiler employing counter/timer
US8442797B2 (en) * 2009-03-30 2013-05-14 Kionix, Inc. Directional tap detection algorithm using an accelerometer
US20110161053A1 (en) * 2009-12-31 2011-06-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lope-based fast intrinsic mode functions de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JP5392157B2 (ja) * 2010-03-19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モーション判定装置、モーション判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58194A (ja) 2013-03-28
US20130055812A1 (en) 2013-03-07
JP5467406B2 (ja)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433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US20100327953A1 (en) Automatic impedance adjus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393518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floor-to-floor height of building,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WO2009063817A1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US9094016B2 (en) Touch sensor
US20120253739A1 (en) Presence decid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program
KR101214733B1 (ko)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US2010013432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ehicles
JP582007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11259011A5 (ko)
US8725436B2 (en) Motion state detecting method and motion state detecting apparatus
JP5838271B2 (ja) 生体感知器および省電力モード設定方法
US9367148B2 (en) Selective frame rate switching
JP2011128754A (ja) 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タッチ検出方法
KR101310596B1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방법
US11085801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apparatus
JP5338705B2 (ja) 運動状態検出方法及び運動状態検出装置
KR20130060757A (ko)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JP2013205723A5 (ko)
KR100880522B1 (ko) 멀티 센서 스위치에서의 오동작 방지를 위한 센서 감도조정 장치
JP6156951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310568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KR20130022818A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 방법
KR20190043362A (ko) 맞춤형 가상현실공간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955939B2 (en) Method for estimating the orientation of a portab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