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433B1 -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433B1
KR101310433B1 KR1020110132889A KR20110132889A KR101310433B1 KR 101310433 B1 KR101310433 B1 KR 101310433B1 KR 1020110132889 A KR1020110132889 A KR 1020110132889A KR 20110132889 A KR20110132889 A KR 20110132889A KR 101310433 B1 KR101310433 B1 KR 10131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slope
tap
sensor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175A (ko
Inventor
김경린
황병원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433B1/ko
Priority to US13/409,698 priority patent/US8654077B2/en
Publication of KR2013006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6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a tap gesture o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DEVICE FOR DETECTING TAP AND METHOD FOR DETECTING TAP}
본 발명은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 및/또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다양한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방식 및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은 관성 물리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관성센서로 통칭하기도 하며, 최근 들어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동시에 측정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관성센서들의 다양한 기능 중에서 탭(Tap) 또는 클릭(Click)을 감지하는 기능이 있다.
일반적으로 탭 동작은 관성센서를 포함하는 장치를 순간적으로 흔드는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탭 동작은 마우스를 클릭하여 입력하는 방식과 유사한 원리로 관성센서가 연결된 호스트 디바이스(Host Device)에서 소정의 입력값으로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모바일 디바이스용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으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탭 동작을 감지하는 탭 감지(Tap Detection) 기능은 관성센서의 중요한 기능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탭(Tap) 또는 더블 탭(Double-Tap)을 감지하여 판정하는 기술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경우 탭을 감지함에 있어서,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진폭이 소정의 진폭 임계값(Amplitude Threshold; A_TH) 이상이 되는 동시에 해당 신호가 소정의 구간 임계값(Duration Threshold; D_TH) 이상 유지되어야만 탭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탭 감지조건에 따른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써,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특허문헌1과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탭 감지 원리의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a는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 탭으로 감지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도 1b는 진폭 임계값은 만족하지만, 구간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도 1c는 구간 임계값은 만족하지만, 진폭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도 1d는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탭 감지 방식에서는 상기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에 고정된 값을 적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탭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탭으로 감지되지 못하여 인식률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미국공개특허 US2010/0256947 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탭 신호의 공통패턴을 이용하여 탭 감지를 할 수 있는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1 기울기 연산부; 및 상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2 기울기 연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도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1 기울기와 상기 제2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2 기울기의 비가 0.8 초과 1.2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2
또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며,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진폭 검출부; 상기 진폭 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비교하는 진폭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 및 진폭 비교부와 연결되며,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폭 검출부는,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하는 제1 진폭 검출부; 및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하는 제2 진폭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폭 비교부는, 상기 제1 진폭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진폭과 상기 제2 진폭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2 진폭의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진폭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진폭 검출부; 상기 진폭 검출부와 연결되며, 검출된 진폭을 비교하는 진폭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 및 진폭 비교부와 연결되며,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에서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가 유사하다고 판단된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며, 상기 진폭 비교부가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의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도록 하여, 상기 진폭 비교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은,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와, 상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의 비가 0.8 초과 1.2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4

[수학식 2]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5

또한,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며,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은,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된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의 비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의 비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탭 신호의 특성을 이용하여 탭 감지를 할 수 있으므로, 고정된 기준값을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종래의 탭 감지 방식에 비하여 탭 감지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탭 감지조건에 따른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으로써, 도 1a는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 탭으로 감지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진폭 임계값은 만족하지만, 구간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도 1c는 구간 임계값은 만족하지만, 진폭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도 1d는 진폭 임계값 및 구간 임계값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순간적으로 동작이 발생했다가 멈추는 탭 동작의 특성에 따라, 센서(110)에서 탭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력신호의 파형은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즉, 동작이 발생하는 순간에 급격하게 센서(110) 출력신호가 증가했다가 이와 유사한 속도로 출력신호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센서(110) 출력신호의 패턴에 착안하여 출력신호의 상승시와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지를 판단하여 탭을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는, 센서(110), 기울기 연산부(121), 유사도 판단부(122), 탭 판정부(12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장치 외부 또는 장치 자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동작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센서(110)는 각종 관성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기울기 연산부(121)는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기울기 연산부(121)는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1 기울기 연산부(121-1)와,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2 기울기 연산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 판단부(122)는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와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한다.
이때, 센서(110) 출력신호 가운데 상승시의 기울기로써 제1 기울기 연산부(121-1)에서 연산되는 기울기를 제1 기울기, 하강시의 기울기로써 제2 기울기 연산부(121-2)에서 연산되는 기울기를 제2 기울기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유사도 판단부(122)는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를 비교하여 그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그 유사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의 비가 0.8 내지 1.2의 범위에 있을 때, 즉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의 차이가 20% 이하인 경우에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탭 판정부(120)는 유사도 판단부(122)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며, 출력부(130)를 통하여 판정결과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탭 판정부(120)는 전술한 기울기 연산부(121)와 유사도 판단부(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기울기 연산부(121)와 유사도 판단부(122)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은 센서(110) 출력신호 파형의 순간 기울기를 연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특정 시간 t에서의 순간적인 변화율, 즉, 센서(110)에서 출력된 신호가 이루는 곡선에서 특정 시간 t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L(t)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S(t)는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t시점에서의 크기를 의미하며 일종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7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울기 연산은 센서(110) 출력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고, 연산된 차이값의 누적 평균값을 연산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n+1 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할 수 있는데,
[수학식 1]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8
n은 음이 아닌 정수로써, 0, 1, 2, 3, 4, 5 ‥‥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연산된 차이값(Diff)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연산하여 누적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는데,
[수학식 2]
Figure 112011098490242-pat00009
이때, N은 미리 설정된 음이 아닌 정수로써, 0, 1, 2, 3, 4, 5 ‥‥ 등이 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순간적으로 동작이 발생했다가 멈추는 탭 동작의 특성에 따라, 센서(110)에서 탭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하는 출력신호의 파형은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은 형태를 띄게 된다. 즉, 동작이 발생하는 순간에 급격하게 센서(110) 출력신호가 증가했다가 이와 유사한 속도로 출력신호가 0 이하로 감소된 뒤, 소정의 시간동안 감쇠진동하다가 0으로 수렴하게 된다. 센서(110)에서 발생하는 진동 성분이 아주 작은 크기로 존재하다가 소멸하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이 발현되는 것이다.
한편, 탭 동작이 감지되면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는 큰 폭으로 출력신호 파형이 변동되는데, 이 구간을 제1 주기라고 정의할 수 있고, 후속되는 구간을 제2 주기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주기와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의 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탭 동작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센서(110) 출력신호의 패턴에 착안하여 탭을 판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장치는 센서(110), 진폭 검출부(231), 진폭 비교부(232), 제어부(240) 및 출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장치 외부 또는 장치 자체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된 동작에 상응하는 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각종 관성센서(110)로 구현될 수 있다.
진폭 검출부(231)는 센서(110)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진폭 검출부(231)는 제1 진폭 검출부(231-1)와 제2 진폭 검출부(23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진폭 검출부(231-1)는 센서(110)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하고, 제2 진폭 검출부(231-2)는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할 수 있다.
진폭 비교부(232)는 제1 진폭 검출부(231-1)에서 검출된 제1 진폭과 제2 진폭 검출부(231-2)에서 검출된 제2 진폭의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240)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와 비교되는 기준값은 센서(110)의 특성에 따라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즉, 센서(110) 출력의 감쇠율이 큰 경우에는 감쇠율이 작은 경우에 비하여 제1 진폭과 제2 진폭의 비가 커질 것이므로 기준값이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며, 반대의 경우에는 기준값이 비교적 작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제어부(240)는 진폭 비교부(232)에서 출력된 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7에서는 기울기 연산부(121) 및 유사도 판단부(122)가 센서(110)와 제어부(240) 사이에 함께 구비되는 예를 예시하였다.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기울기 연산부(121) 및 유사도 판단부(122)를 함께 구비할 경우 탭 판정의 정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240)는 유사도 판단부(122)의 판단결과와 진폭 비교부(232)의 비교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탭 감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유사도 판단부(122)에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만 추가적으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을 비교하여 탭 감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유사도 판단부(122)에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제1 주기 이후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여 제1 진폭과 제2 진폭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탭 판정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은, 크게 센서(110) 신호가 출력되면 기울기를 연산하여 유사도를 판단하여,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정하는 것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센서(110)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한다(S110).
다음으로,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한다(S120, S130). 이때,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는 제1 기울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는 제2 기울기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센서(110)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도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인 제1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인 제2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한다(S140). 이때, 제1 기울기를 L1, 제2 기울기를 L1'라고 하면, 유사도 판단 단계는 L1/L1'가 0.8 초과 1.2 미만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S15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탭 감지 방법은, 유사도 판단(S140)결과에 따라 바로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진폭 비교과정을 더 진행하여 탭 감지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므로 중복되는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S140)에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진폭을 검출하고(S260), 이어서 제2 진폭을 검출한다(S270). 이때, 제1 진폭은 센서(110)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으로 정의되고, 제2 진폭은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유사도 판단(S140) 단계에서 제1 기울기와 제2 기울기가 유사하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제1 주기 이후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여 제1 진폭과 제2 진폭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탭 판정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진폭과 제2 진폭을 비교하여(S280) 그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S290).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센서
120 : 탭 판정부
121 : 기울기 연산부
121-1 : 제1 기울기 연산부
121-2 : 제2 기울기 연산부
122 : 유사도 판단부
130 : 출력부
231 : 진폭 검출부
231-1 : 제1 진폭 검출부
231-2 : 제2 진폭 검출부
232 : 진폭 비교부
240 : 제어부

Claims (21)

  1. 삭제
  2.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1 기울기 연산부; 및
    상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2 기울기 연산부;
    를 포함하는
    탭 감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1 기울기와 상기 제2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2 기울기의 비가 0.8 초과 1.2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탭 감지 장치.
  4.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탭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탭 감지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1098490242-pat00010


    [수학식 2]
    Figure 112011098490242-pat00011

  6.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며,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탭 감지 장치.
  7.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유사도 판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유사도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판정부; 및
    상기 탭 판정부의 판정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탭 감지 장치.
    [수학식 3]
    Figure 112013046628150-pat00012

  8.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기울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진폭 검출부;
    상기 진폭 검출부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비교하는 진폭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 및 진폭 비교부와 연결되며,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탭 감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연산부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1 기울기 연산부; 및
    상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제2 기울기 연산부;
    를 포함하는
    탭 감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도 판단부는,
    상기 제1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1 기울기와 상기 제2 기울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제2 기울기의 비가 0.8 초과 1.2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탭 감지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검출부는,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파형 가운데 가장 큰 진폭을 갖는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하는 제1 진폭 검출부; 및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을 검출하는 제2 진폭 검출부;
    를 포함하는
    탭 감지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비교부는,
    상기 제1 진폭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1 진폭과 상기 제2 진폭 검출부에서 검출된 제2 진폭의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탭 감지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만,
    상기 진폭 비교부의 비교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탭 감지 장치.
  14.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기울기 연산부;
    상기 출력신호가 형성하는 곡선의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 유사도를 판단하는 유사도 판단부;
    상기 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출력신호의 진폭을 검출하는 진폭 검출부;
    상기 진폭 검출부와 연결되며, 검출된 진폭을 비교하는 진폭 비교부; 및
    상기 유사도 판단부 및 진폭 비교부와 연결되며,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도 판단부에서 상승부 및 하강부의 기울기가 유사하다고 판단된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며,
    상기 진폭 비교부가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최대진폭의 비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가를 판단하도록 하여,
    상기 진폭 비교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탭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탭 감지장치.
  15. 삭제
  16.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와, 상기 출력신호의 하강시의 기울기의 비가 0.8 초과 1.2 미만인 경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인
    탭 감지 방법.
  17.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인
    탭 감지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n+1(n은 음이 아닌 정수)번째 차이값인 Diffn+1을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누적합산하여 평균값을 산출하는 것인
    탭 감지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3046628150-pat00013


    [수학식 2]
    Figure 112013046628150-pat00014

  19.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들의 차이값(Diff)을 연산하며, 연산된 차이값의 최대값을 선택하는 것인
    탭 감지 방법.
  20.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는,
    특정 시간 t에서의 기울기인 L(t)를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연산하는 것인 탭 감지 방법.
    [수학식 3]
    Figure 112013046628150-pat00015

  21.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동작에 따른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상승시의 기울기 및 하강시의 기울기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된 구간의 2배를 제1 주기로 판단하고, 상기 제1 주기 다음에 이어지는 구간을 제2 주기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의 비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과 상기 제2 주기에서의 상기 출력신호의 최대진폭의 비와 미리 정해진 기준값 이상인 경우 탭 감지로 판단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탭 감지 방법.
KR1020110132889A 2011-12-12 2011-12-12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KR10131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89A KR101310433B1 (ko) 2011-12-12 2011-12-12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US13/409,698 US8654077B2 (en) 2011-12-12 2012-03-01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89A KR101310433B1 (ko) 2011-12-12 2011-12-12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9679A Division KR101310568B1 (ko) 2013-05-27 2013-05-27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175A KR20130066175A (ko) 2013-06-20
KR101310433B1 true KR101310433B1 (ko) 2013-09-24

Family

ID=4857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89A KR101310433B1 (ko) 2011-12-12 2011-12-12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54077B2 (ko)
KR (1) KR101310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310293A (zh) * 2011-08-22 2013-03-01 Wistron Corp 手持式電子裝置
US10112556B2 (en) 2011-11-03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having wrong touch adaptive learning and method
US9531379B2 (en) 2012-04-11 2016-1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groove between adjacent proximity sensors
US9568527B2 (en) * 2012-04-11 2017-02-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having virtual button mode
US9944237B2 (en) 2012-04-11 2018-04-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with signal drift rejection and method
US9520875B2 (en) 2012-04-11 2016-12-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liable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660644B2 (en) 2012-04-11 2017-05-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activation method
US9559688B2 (en) 2012-04-11 2017-01-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pliable surface and depression
US9831870B2 (en) 2012-04-11 2017-1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and method of tuning same
US10038443B2 (en) 2014-10-20 2018-07-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irectional proximity switch assembly
US9654103B2 (en) 2015-03-18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witch assembly having haptic feedback and method
US9548733B2 (en) 2015-05-20 2017-01-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ximity sensor assembly having interleaved electrode configuration
JP6730611B2 (ja) * 2017-01-11 2020-07-2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解析装置、無線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014481B (zh) 2017-03-01 2021-01-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动作识别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89A (ko) * 2002-05-21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속도계를 이용한 마우스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94682A1 (en) 2009-01-30 2010-08-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tap detection and for interacting with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herefor
JP2010211323A (ja) 2009-03-06 2010-09-24 Sharp Corp 入力システム、携帯端末、入出力装置、入力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入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0994774B1 (ko) 2004-04-29 2010-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07B1 (ko) 2005-12-09 2007-1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문자인식 장치 및 방법
JP5642767B2 (ja) 2009-03-30 2014-12-17 カイオニ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加速度計を使用するタップ方向検出アルゴリズ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0089A (ko) * 2002-05-21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속도계를 이용한 마우스 및 그 제어방법
KR100994774B1 (ko) 2004-04-29 2010-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00194682A1 (en) 2009-01-30 2010-08-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for tap detection and for interacting with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herefor
JP2010211323A (ja) 2009-03-06 2010-09-24 Sharp Corp 入力システム、携帯端末、入出力装置、入力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入力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54077B2 (en) 2014-02-18
US20130147709A1 (en) 2013-06-13
KR20130066175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433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US10884509B2 (en) Performing an action associated with a motion based input
US8793098B2 (en) Movement dete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movement detec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8589113B2 (en) Movement detection device, electronic device, movement det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ed with a program
JP2008097609A (ja) マルチタッチ判断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4503273A5 (ko)
JP2010009498A (ja) モーションセンサ
KR20130030755A (ko) 다이나믹 센서 레인지 선택
US115986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eps with double validation
WO2016139798A1 (ja) 入力検知方法、入力検知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
US20160320850A1 (en)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impact gestures
KR101310596B1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방법
EP3141990B1 (en) Threshold adaptation for a multi-touch input device
CN110132271B (zh) 一种自适应卡尔曼滤波姿态估计算法
KR101310568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KR20130060757A (ko)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JP2017192563A (ja) 活動量計および運動量算出装置
KR101214733B1 (ko) 이중-동작 감지장치 및 이중-동작 감지방법
CN105571610B (zh) 一种设置计步器参数的方法及装置
JP5329240B2 (ja) 自由落下検出方法及び自由落下検出装置
CN106716311B (zh) 自由导向装置的基于振动的轨迹计算
JP6690343B2 (ja) 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測定プログラム
US10558270B2 (en) Method for determining non-contact gesture and device for the same
KR20130022818A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 방법
KR101222134B1 (ko) 가상 현실 내에서 시점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시점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