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757A -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757A
KR20130060757A KR1020110126985A KR20110126985A KR20130060757A KR 20130060757 A KR20130060757 A KR 20130060757A KR 1020110126985 A KR1020110126985 A KR 1020110126985A KR 20110126985 A KR20110126985 A KR 20110126985A KR 20130060757 A KR20130060757 A KR 20130060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ignal
motion
cumulat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린
황병원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0757A/ko
Priority to US13/415,752 priority patent/US20130133423A1/en
Publication of KR20130060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G01C19/56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e.g. vibratory angular rate sensors based on Coriolis forces
    • G01C19/5776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any of the devices covered by groups G01C19/5607 - G01C19/571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누적 연산부;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상기 동작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함으로써, 임계값의 고정에 따른 동작감지의 부정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감지결과신호의 크기가 동작감지에 반영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DEVICE FOR DETECTING MOTION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S}
본 발명은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의 누적값을 이용하여 동작의 유무를 감지하는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에 관련된다.
사람 또는 사물의 움직임을 전기적 또는 자기적으로 감지하여 아날로그 신호 및/또는 디지털 신호로 출력하는 다양한 센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방식 및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이때, 상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은 관성 물리력을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관성센서로 통칭하기도 하며, 최근 들어 가속도 센서와 각속도 센서를 동시에 측정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활용하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센서들로부터 얻어진 출력값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고 이들 출력 값 들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반영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관성센서의 동작 감지 기능은 관성센서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센서의 감지대상 또는 감지영역에 동작이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이를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제어장치에게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고정된 임계값을 설정하고, 그 임계값과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작감지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동작감지과정은, 센서에서 출력된 감지결과신호가 도 1의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을 가질때, 이를 단순히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도 1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었다. 즉, 임계값 보다 감지결과신호가 작은 구간에서는 동작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임계값 보다 감지결과신호가 큰 구간에서는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방식은 임계값 이하의 감지결과신호에 대해서는 동작을 판단할 수 없으므로 동작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임계값을 너무 작게 설정할 경우에는 동작이 너무 빈번하게 감지되어 출력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설정된 임계값에 가까운 범위에서 감지결과신호의 변화가 많아질 경우에는 과도한 동작감지결과가 출력됨에 따라 호스트 디바이스 또는 제어부 등에 불필요한 과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감지결과신호가 임계값보다 크다면 감지결과신호의 크기는 고려하지 않고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감지결과신호의 크기가 전혀 반영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임계값의 고정에 따른 동작감지의 부정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감지결과신호의 크기가 동작감지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감지결과신호를 일정구간 누적연산하여 동작유무를 판단하는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누적 연산부;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상기 동작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누적 연산부는, 상기 감지결과신호 또는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링부가 샘플링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샘플링 간격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 연산부는, 상기 누적구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누적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는,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부에서 샘플링된 값을 기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값만 통과시키는 미세떨림 제거부;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미세떨림 제거부를 통과한 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누적 연산부;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상기 동작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샘플링부가 샘플링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샘플링 간격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적구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누적구간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은, (a)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면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은, (A)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C) 샘플링된 값을 기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값만 통과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통과된 값을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단계; (E)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은,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감지결과신호를 누적연산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을 감지하므로 임계값의 고정에 따른 동작감지의 부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은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결과신호의 크기가 동작의 존부 판단에 반영될 수 있으므로 종전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작감지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결과신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를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결과신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100)는 센서(110), 누적 연산부(120), 동작 판단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10)는 장치의 외부 또는 장치의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광센서 등 다양한 방식 및 원리로 구현될 수 있다.
누적 연산부(120)는 센서(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110)에서 출력된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샘플링부(150)가 누적 연산부(12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샘플링부(150)는 감지결과신호 또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샘플링부(150)의 샘플링 시간 간격은 필요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샘플링부(150)의 샘플링 시간 간격은 샘플링 간격 결정부(160)를 더 구비하여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누적 연산부(120)는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의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 또는 감지결과신호를 샘플링한 값의 절대값을 누적연산하는데, 이때, 필요에 따라, 누적구간 결정부(170)를 더 구비하여 누적구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동작 판단부(130)는 누적 연산부(120)에서 합산된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동작 판단부(130)에서 판단한 결과에 따라 출력부(140)에서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100')에서는 누적구간 결정부(170)가 누적 연산부(120) 외부에 구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결과신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를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동작감지 장치(100)의 작동원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서 예시한 감지결과신호는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써, 도 1에서 예시한 종래의 센서(110) 출력신호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누적구간의 크기가 5이고, 제1 기준값이 20으로 설정된 경우에 도 4에 예시된 감지결과신호에 대한 동작감지신호가 출력되는 원리를 예시하였다. 이때, ①, ②, ③, ④, ⑤, … 등은 감지결과신호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 했을 때, 각각의 샘플링 시점을 의미한다.
이러한 샘플링 시간 간격이 작을 수록 동작감지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지만, 누적 연산부(120) 및 동작 판단부(130)의 데이터 처리량이 증가하게 되어 과부하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적절한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샘플링 간격 결정부(160)를 통하여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최초에는 ①을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고, 그 다음으로는 ①과 ②를 포함하는 누적구간, 그 다음으로는 ①, ②, ③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게 된다.
또한, ①, ②, ③, ④, ⑤를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한 이후에는, ②, ③, ④, ⑤, ⑥을 포함하는 누적구간, 그 다음으로는 ③, ④, ⑤, ⑥, ⑦ 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게 된다.
즉, 크기가 5인 누적구간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특정 시간에 누적구간에 포함되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누적 연산부(120)에서 연산된 신호 누적값은 실시간으로 동작 판단부(130)로 전달되고, 동작 판단부(130)는 신호 누적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다.
도 5에서는 제1 기준값이 20인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 경우, ③, ④, ⑤, ⑥, ⑦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이 22가 되어 제1 기준값을 최초로 초과하게 된다. 그 이후에 ⑦, ⑧, ⑨, ⑩, ⑪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서는 신호 누적값이 18이 되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커지는 시점에 동작이 감지되기 시작하여,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시점에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도 5의 하단에 도시한 동작감지신호와 같은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에서는 누적구간의 크기가 8이고, 제1 기준값이 20으로 설정된 경우에 도 4에 예시된 감지결과신호에 대한 동작감지신호가 출력되는 원리를 예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초에는 ①을 마지막으로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고, 그 다음으로는 ①과 ②를 포함하는 누적구간, 그 다음으로는 ①, ②, ③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게 된다.
또한,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⑧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한 이후에는, ②, ③, ④, ⑤, ⑥, ⑦, ⑧, ⑨를 포함하는 누적구간, 그 다음으로는 ③, ④, ⑤, ⑥, ⑦, ⑧, ⑨, ⑩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을 연산하게 된다.
즉, 크기가 8인 누적구간이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특정 시간에 누적구간에 포함되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는 것이다.
이렇게 누적 연산부(120)에서 연산된 신호 누적값은 실시간으로 동작 판단부(130)로 전달되고, 동작 판단부(130)는 신호 누적값을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다.
도 6에서는 제1 기준값이 20인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이 경우, ①, ②, ③, ④, ⑤, ⑥, ⑦을 포함하는 누적구간에 대한 신호 누적값이 22가 되어 제1 기준값을 최초로 초과하게 된다. 그 이후에 소정의 누적구간에서는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커지는 시점에 동작이 감지되기 시작하여,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는 시점에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도 6의 하단에 도시한 동작감지신호와 같은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정리해보면, 누적구간이 커질수록 동작을 감지하는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반면에, 누적구간이 작아질수록 최초로 동작이 있었던 시간으로부터 동작을 감지하는 지연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활용하여 누적구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누적구간의 크기는 누적구간 결정부(170)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2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단,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사항은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200)는 센서(110), 샘플링부(150), 미세떨림 제거부(280), 누적 연산부(120), 동작 판단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장치(200)는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감지결과신호를 샘플링부(150)에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다. 이때, 샘플링 간격은 샘플링부(150)에 연결되는 샘플링 간격 결정부(160)를 통하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각종 관성센서로 구현되는 센서(110)는 동작에 따른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미세한 떨림도 반영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떨림이 감지결과신호에 반영될 경우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할 때에도 동작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과가 출력되어 동작감지의 정확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미세떨림 제거부(280)를 샘플링부(150)와 누적 연산부(120) 사이에 구비함으로써 동작감지의 정확도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샘플링부(150)에서 샘플링된 값은 미세떨림 제거부(280)로 입력된다.
미세떨림 제거부(280)는 샘플링부(150)에서 샘플링된 값을 기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제2 기준값보다 큰 값만 통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 기준값은 동작감지 장치(100)가 적용되는 상황에 맞게 적절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미세떨림 제거부(280)를 통과한 유의미한 값들만 누적 연산부(120)로 입력되어 누적합산을 통해 신호 누적값이 도출될 수 있다.
이때, 미세떨림 제거부(280)는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값은 0으로 처리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지결과신호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신호 및 그 도출원리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비교예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미세떨림 제거부(280)가 구비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효과상의 차이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감지결과신호의 크기가 약 ± 2.5 미만인 경우를 미세떨림으로 보고 제2 기준값을 설정하였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제2 기준값은 동작감지 장치(200)가 적용될 상황이나 환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미세떨림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에는, ①, ②, ③, ④, ⑤ 시점에서 샘플링된 값이 누적 연산부(120)로 입력되기 때문에 합산과정에 반영된다.
반면에, 도 9를 참조하면, 미세떨림을 제거한 경우에는, ①, ②, ③, ④, ⑤ 시점에서 샘플링된 값이 누적 연산부(120)로 입력되지 않기 때문에 합산과정에서 반영되지 않는다.
따라서, 미세떨림 제거부(280)를 구비함으로써, 미세떨림으로 인한 무의미한 감지결과신호로 인한 동작감지의 부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은,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면(S110), 소정의 누적구간에 해당하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한다(S120).
이때, 새로운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이 누적구간에 포함되고, 기존에 누적구간에 포함되어 있던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 중 가장 오래된 값이 누적구간에서 제외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신호 누적값이 도출된다.
다음으로, 도출된 신호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면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동작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S140).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감지 방법은,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면(S210), 감지결과신호값 또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다(220).
다음으로, 샘플링된 값 중 제2 기준값보다 큰 값만 통과시켜 미세떨림으로 인한 영향을 감소시킨다(S230). 이때, 샘플링된 값 중 제2 기준값보다 작은 값을 0으로 처리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소정의 누적구간에 해당하는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한다(S240).
이때, 새로운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이 누적구간에 포함되고, 기존에 누적구간에 포함되어 있던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 중 가장 오래된 값이 누적구간에서 제외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신호 누적값이 도출된다.
다음으로, 도출된 신호 누적값을 미리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다(S250).
이때,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면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신호 누적값이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동작이 종료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한다(S260).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동작감지 장치
110 : 센서
120 : 누적 연산부
130 : 동작 판단부
140 : 출력부
150 : 샘플링부
160 : 샘플링 간격 결정부
170 : 누적구간 결정부
200 : 동작감지 장치
280 : 미세떨림 제거부

Claims (12)

  1.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누적 연산부;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상기 동작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연산부는,
    상기 감지결과신호 또는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가 샘플링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샘플링 간격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 연산부는,
    상기 누적구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누적구간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구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누적구간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6.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부;
    상기 샘플링부에서 샘플링된 값을 기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값만 통과시키는 미세떨림 제거부;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미세떨림 제거부를 통과한 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누적 연산부;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동작 판단부; 및
    상기 동작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가 샘플링하는 시간 간격을 결정하는 샘플링 간격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적구간의 크기를 결정하는 누적구간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동작감지 장치.
  9. (a)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단계;
    (c)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감지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면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감지 방법.
  11. (A) 센서에서 동작을 감지하여 감지결과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감지결과신호의 절대값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C) 샘플링된 값을 기 설정된 제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2 기준값 보다 큰 값만 통과시키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통과된 값을 기 설정된 누적구간에서 누적합산하여 신호 누적값을 도출하는 단계;
    (E) 상기 신호 누적값을 기 설정된 제1 기준값과 비교하여 동작의 존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F) 상기 동작의 존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동작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작감지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이 되면 동작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신호 누적값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 작아지면 동작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동작감지 방법.
KR1020110126985A 2011-11-30 2011-11-30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KR20130060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85A KR20130060757A (ko) 2011-11-30 2011-11-30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US13/415,752 US20130133423A1 (en) 2011-11-30 2012-03-08 Device for detecting motions and method for detecting mo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985A KR20130060757A (ko) 2011-11-30 2011-11-30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757A true KR20130060757A (ko) 2013-06-10

Family

ID=4846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985A KR20130060757A (ko) 2011-11-30 2011-11-30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33423A1 (ko)
KR (1) KR201300607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73614B2 (en) 2014-04-01 2018-05-15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by human tremor detection
JP6608106B2 (ja) * 2015-03-23 2019-11-20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半導体装置、携帯端末装置および運動検出方法
US9977887B2 (en) * 2015-09-17 2018-05-2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a trusted user
CN113987415B (zh) * 2021-10-22 2024-03-01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基于火电厂控制系统模拟量的小时均值计算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68417A (en) * 1994-09-09 1998-06-16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velocity-based handwriting recognition
US5913308A (en) * 1996-12-19 1999-06-22 Hewlett-Packard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respiratory effort from muscle tremor information in ECG signals
US8137195B2 (en) * 2004-11-23 2012-03-20 Hillcrest Laboratories, Inc. Semantic gaming and application transformation
US7216053B2 (en) * 2004-12-30 2007-05-08 Nokia Corporation Low power motion detector
US7755667B2 (en) * 2005-05-17 2010-07-13 Eastman Kodak Company Image sequence stabilization method and camera having dual path image sequence stabilization
US20070113207A1 (en) * 2005-11-16 2007-05-17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gesture classification in 3D pointing devices
US8949070B1 (en) * 2007-02-08 2015-02-03 Dp Technologies, Inc. Human activity monitoring device with activity identification
US8649999B1 (en) * 2009-12-28 2014-02-11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the zero rate output of a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3423A1 (en) 2013-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433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US88496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or based pedestrian motion detection in hand-held devices
KR20130060757A (ko) 동작감지 장치 및 동작감지 방법
JP6446922B2 (ja) 計測装置、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78373B2 (en) Method of temporal segmentation of an instrumented gesture, associated device and terminal
EP3289435B1 (en) User interface control using impact gestures
KR101450586B1 (ko) 동작 인식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5017062B2 (ja) 体動検出装置
CN107392106B (zh) 一种基于双门限的人体活动端点检测方法
KR100543710B1 (ko) 동시에 발생되는 복수의 공간적 움직임으로부터 정보 완료신호를 인식하는 공간형 정보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6716311B (zh) 自由导向装置的基于振动的轨迹计算
KR101639351B1 (ko) 웨어러블 입력 시스템 및 모션 인식 방법
KR101310596B1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방법
JP6690343B2 (ja) 測定装置、測定方法、及び測定プログラム
JP5467406B2 (ja) 二重動作感知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310568B1 (ko) 탭 감지 장치 및 탭 감지 방법
JP6511157B2 (ja) 歩数計測装置及び歩数計測プログラム
KR101958334B1 (ko) 노이즈를 고려한 동작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30022818A (ko) 모션 감지장치 및 모션 감지 방법
JP3399205B2 (ja) 積分型角度計測装置
WO2017085770A1 (ja) 電子機器、歩数計測方法および歩数計測プログラム
KR102008496B1 (ko) 단일 센서를 이용하여 기구물의 이동 방향 및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064854A (ja) 姿勢角検出装置及び姿勢角検出用プログラム
KR101987308B1 (ko) 노이즈를 고려한 동작 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565679B1 (ko) 수평 이동에 대한 촉각 피드백 재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