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523B1 -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 Google Patents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523B1
KR101214523B1 KR1020100043059A KR20100043059A KR101214523B1 KR 101214523 B1 KR101214523 B1 KR 101214523B1 KR 1020100043059 A KR1020100043059 A KR 1020100043059A KR 20100043059 A KR20100043059 A KR 20100043059A KR 101214523 B1 KR101214523 B1 KR 101214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concave
rice cak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3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533A (ko
Inventor
양건태
Original Assignee
양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태 filed Critical 양건태
Priority to KR1020100043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4523B1/ko
Publication of KR20110123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5/00Apparatus for handling baked articles
    • A21C15/04Cutting or slicing 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ked articles other than b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에 관한 것으로서, 딱딱하게 굳어진 떡을 이용한 면발 형태로의 커팅 가공이 대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쌀국수의 취식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팅구는, 양측의 막음판(11,12)을 중심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중심축(10)과; 상기 양측 막음판(11,12)의 테두리측에서 상호 연결되어지며, 외측에는 일정 주기로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날(20)과; 상기 요철날(20)과 대칭되는 반대측에서 양측 막음판(11,12)을 상호 연결하는 절단날(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팅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딱딱한 상태로 굳어진 떡을 면발형태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떡 커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을 이용한 식품은 주로 스낵이나 음료, 떡 등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제조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쌀과 여러 가지 곡물을 함께 혼합한 음료 및 쌀을 이용한 국수 및 햄버거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쌀을 이용한 식품 중 스낵이나 음료는 제품의 특성상 유통기한이 길어 대량 생산 공정에 의한 제품화가 용이하고 그만큼 광범위한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전래의 떡류는 전분의 노화 현상으로 인해 굳어지기 때문에 스낵이나 음료에 비해 유통기한이 짧아, 대량 생산 후 유통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어 가내 수공업적인 점포에서 제조한 떡을 소비자가 구입한 후 빠른 시일 내에 섭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떡 취식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딱딱하게 경화된 떡을 보다 유용하게 면발형태로 절단 취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팅구를 제공함으로서 떡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커팅구는, 양측의 막음판을 중심에서 상호 연결하는 중심축과; 상기 양측 막음판의 테두리측에서 상호 연결되어지며, 외측에는 일정 주기로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날과; 상기 요철날과 대칭되는 반대측에서 양측 막음판을 상호 연결하는 절단날;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커팅구는, 딱딱하게 굳어진 떡을 이용한 면발 형태로의 커팅 가공이 대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쌀국수의 취식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떡 커팅구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떡 커팅구의 평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떡 커팅구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커팅구의 동작에 따른 떡 커팅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커팅구의 동작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팅구를 나타낸 것으로서,
6a는 단면 구조도.
6b는 요철날 형상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팅구 구조를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양측에는 원판형상의 막음판(11,12)이 구성되고, 양측 막음판(11,12) 중앙에는 중심축(10)이 일체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외측 테두리부에는 요철날(20)과 절단날(30)이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요철날(20)은 반원형의 요철형상이 연속하여 반복되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떡 커팅구를 이용한 면발 제작과정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커팅구는 작업이 이루어질 선반(2)의 일측에 중심축(10)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커팅구의 구동수단으로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전동식의 경우에는 모터와 체인을 연결하여 정속으로 커팅구가 회전되어질 수 있도록 하며, 수동식의 경우에는 일측 막음판에 손잡이 핸들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돌려서 커팅구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딱딱해진 떡(1)을 선반(2)위에 올려놓고 커팅구측으로 서서히 밀어주게 되면 일측에서 면발형태로의 커팅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커팅구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떡(1)이 서서히 전진하게 되면, 1차적으로 요철날(20)에 의해 떡(1)이 긁혀지면서 일정 간격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지게 되고, 이후 2차적으로 절단날(30)이 절개 부위를 절단시켜 줌으로서 가는 면발(1')형태로 떡이 커팅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어지게 됨으로서 떡 면발(1')의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이를 이용한 쌀국수의 취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떡 커팅구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날(20)을 삼각형상이 일정 간격을 이루어 반복되는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였으며, 요철날(20)과 절단날(30)은 다수개로 구비하되, 각각의 요철날(20)과 절단날(30)이 교번하는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커팅구의 고속 회전에 의해 보다 많은량의 면발(1') 커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커팅되어진 면발(1')의 단면형상을 반원형이 아닌 마름모형으로 성형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떡 커팅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떡 2 : 선반
10 : 중심축 11,12 : 막음판
20 : 요철날 30 : 절단날

Claims (4)

  1. 양측의 막음판(11,12)을 중심에서 상호 일체로 연결하는 중심축(10)과, 상기 양측 막음판(11,12)의 테두리측에서 상호 연결되어지며, 외측에는 일정 주기로 요철형상을 이루는 요철날(20)과, 상기 요철날(20)과 대칭되는 반대측에서 양측 막음판(11,12)을 상호 연결하는 절단날(30)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에 있어서,
    상기 커팅구에는 요철날(20)과 절단날(30)이 다수개 구비되되, 각각의 요철날(20)과 절단날(30)이 교번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요철날(20)은 반복되는 삼각형태의 요철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00043059A 2010-05-07 2010-05-07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KR101214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59A KR101214523B1 (ko) 2010-05-07 2010-05-07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3059A KR101214523B1 (ko) 2010-05-07 2010-05-07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533A KR20110123533A (ko) 2011-11-15
KR101214523B1 true KR101214523B1 (ko) 2012-12-21

Family

ID=45393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059A KR101214523B1 (ko) 2010-05-07 2010-05-07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4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98Y1 (ko) * 2012-04-03 2017-03-06 조삼순 애완동물용 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81Y1 (ko) 2001-09-19 2001-12-31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떡성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881Y1 (ko) 2001-09-19 2001-12-31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떡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533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73612Y (zh) 六叶刀具
US10188118B2 (en) Cutter for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noodles
KR101214523B1 (ko) 면발 제조용 떡 커팅구
CN203233981U (zh) 一种用于料理食物的刀盘结构
CN201239966Y (zh) 快捷式切菜器
RU2606076C2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кух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2010022077A3 (en) Scoop cutter and method for producing shaped food products
CN210643781U (zh) 一种刀盘及食物切碎机
CN202153973U (zh) 切面排刀
PL119164B1 (en) Cutting blade for mechanized kitchen appliances food chopping and grindingtvakh dlja izmel'chenija prodovol'stvennykh produktov
JP3247009U (ja) 調理カッター
CN201552589U (zh) 推式切菜器
CN207253271U (zh) 一种果蔬切菜器
JPH0735746Y2 (ja) 食品スライス刃
CN210406880U (zh) 一种刀削面机
CN204362818U (zh) 面团定量切割机械
CN205272131U (zh) 一种仿生渐开线式切割圆盘刀
JP6334332B2 (ja) 製麺装置及び製麺装置用切り刃ロール
CN209599381U (zh) 糕类食品切割模具
RU147009U1 (ru) Мясорубка, рабочий орган и режущий узел, включающий нож и решетку
CN202151095U (zh) 切面滚轮刀
WO2014100773A1 (en) Herb grinder
CN204076301U (zh) 片刀
CN203409815U (zh) 切条机
CN202895314U (zh) 一种自动切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