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4498B1 - 유아용 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4498B1
KR101214498B1 KR1020050024911A KR20050024911A KR101214498B1 KR 101214498 B1 KR101214498 B1 KR 101214498B1 KR 1020050024911 A KR1020050024911 A KR 1020050024911A KR 20050024911 A KR20050024911 A KR 20050024911A KR 101214498 B1 KR101214498 B1 KR 101214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rest
upper half
seat
b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759A (ko
Inventor
유키오 사카모토
아키라 오카하시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4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4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8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 A47C7/70Arm-rest tables ; or back-rest tables of fold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4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located on side of seat, e.g. on arm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Abstract

유아용 시트는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座部)(10)와, 시트부(10)의 측부에 설치된 두께가 두꺼운 암 레스트(arm rest)(30)를 구비하고, 암 레스트(30)는 기체(基體)부(32)와, 기체부(32)에 힌지 기구(35, 36)를 통해서 외측쪽으로 젖힘 가능하게 부착된 상반부(31)를 갖고 있다. 젖힘 가능한 상반부(31)는 상기 힌지 기구(35, 36)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젖혀진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의 상면(上面)과, 그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상면은 동일한 면이 된다.
유아용 시트, 암 레스트

Description

유아용 시트{BABY SEAT}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시트의 측면도.
도 3은 유아용 시트를 침대로서 사용 가능하도록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과 시트 지지 부재의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유아용 시트를 로(low) 포지션으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암 레스트의 외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암 레스트의 상반부를 젖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암 레스트의 상반부와 암 레스트의 기체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동시에,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전도(轉倒)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암 레스트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암 레스트 상반부가 전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의 (a) 내지 도 11의 (c)는 암 레스트의 상반부 전도의 작동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유아용 시트 2 : X자 각(脚)
3 : 전각(前脚) 4 : 후각(後脚)
7 : 시트 지지 부재 8 : 보스
9 : 힌지 결합부 10 : 시트부
11 : 등받이부 13 : 스텝
16 : 슬라이드 바 19 : 조절 구멍
20 : 핀 22 : 레버
24 : 캐스터 30 : 암 레스트
31 : 암 레스트 상반부 32 : 암 레스트 기체부
33, 34 : 오목부 35 : 축
36 : 링크 40, 41 : 브래킷
42, 43 : 결합 구멍
본 발명은 신생아, 젖먹이 또는 아동 등의 유아를 위한 침대로서도 사용 가능한 유아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아용 시트에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하고, 유아를 눕힌 상태로 하거나, 또는 앉은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 유아용 시트를 지지하는 각부(脚部)에 바퀴를 설치하여 실내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고, 또한, 식사를 할 때 등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즉, 상 기 유아용 의자로서는 전각과 후각의 중간부를 서로 피벗 부착함으로써 X자 형상으로 구성된 좌우 한 쌍의 X자 각(脚)에 의해서 시트를 지지하도록 하고, X자 형상 전각과 후각을 서로 접근하는 방향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 높이의 조절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실내에서의 이동시에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행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특히 전각의 선단부에 캐스터를 설치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상기 유아용 시트 주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시트부의 양측에 수평 방향으로 젖힘 가능한 측판을 설치하고, 그 측판을 예를 들면, 유아의 기저귀 교환시 등에 기저귀나 파우더 등을 올리는 선반으로서 이용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4189호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88451호 공보
그런데, 상기 유아용 시트에 따라서는 좌우의 암 레스트의 폭, 즉,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에서는 통상의 힌지 기구에 의해 상기 암 레스트를 젖힘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기체측과 젖혀진 암 레스트의 표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고, 선반으로서의 기능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기체측과 젖혀진 암 레스트의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경우에도, 기체측의 측면과 젖혀지는 암 레스트의 하면이 평행할 것이 필요하지만, 최근의 유아용 시트에서는 디자인적인 관점으로부터 암 레스트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유아용 시트에서는 일반적인 힌지 기구를 채용하는 것이 곤란한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암 레스트를 젖힘 가능하도록 한 경우에, 암 레스트의 기체부 표면과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 표면 사이에 단차가 생기지 않는 유아용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체부 측면과 젖혀지는 암 레스트의 상반부 하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암 레스트의 기체부 표면과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용이하게 암 레스트의 젖힘이 가능하도록 한 유아용 시트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와, 이 시트부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背部)와, 상기 시트부의 양 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쪽 암 레스트는 기체부와 암 레스트의 기체부에 힌지 기구를 통해서 외측쪽으로 젖힘 가능하게 부착된 상반부를 갖고, 암 레스트의 상반부는 기체부 위에서 수직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기체부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반부를 기체부 위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외측쪽으로 젖혀지도록 한 경우,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상면과, 기체부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 기구가 암 레스트의 기체부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과, 그 축에 부착되고, 암 레스트의 기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를 회동 가능한 링크를 갖고, 상기 링크의 선단부가 상 기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저면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상반부가 상기 링크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기체부의 축이 기체부 내에서 옆쪽의 상부에 설치되고, 링크는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항상 선단부가 기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면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저면부에 형성된 긴 구멍이 대략 저면부의 좌우 방향의 전체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축의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가 브래킷을 통해서 암 레스트의 기체부에 유지되어 있으며, 이 축은 각 브래킷의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축의 전부 또는 후부를 지지하는 한쪽 브래킷의 결합 구멍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이 되어 있으며, 상기 축의 배치 각도가 좌우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상기 힌지 기구가 축의 전부 및 후부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암 레스트의 기체부의 상면 및 수평 상태로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물품 재치(載置)용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시트부의 전방에 스텝이 설치되고, 이 스텝의 좌우 양측에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부가 리클라이닝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암 레스트의 상반부를 기체부 위에서 수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반부 및 기체부 중 어느 한쪽에 록(lock) 부재를 돌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다른쪽에 록 부재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한쪽의 암 레스트의 상반부가 힌지 기구에 의해 기체부에 대하여 외측쪽으로 젖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암 레스트의 상반부가 상기 힌지 기구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상면과, 그 암 레스트의 기체부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체부의 상면과 함께 젖혀진 상반부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어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고, 시트 주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축의 전부 또는 후부의 한쪽을 지지하는 결합 구멍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축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부 측면과 젖혀지는 상반부의 하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체부의 표면과 젖혀진 상반부의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용이하게 암 레스트의 젖힘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아용 의자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그 측면도로서, 유아용 시트(1)는 좌우 한 쌍의 X자 형상으로 형성된 X자 각(2)에 의해 지지 되어 있다. 상기 X자 각(2)은 전각(3) 및 후각(4)의 중간부를 핀(5)에 의해서 서로 피벗 부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좌우의 전각(3)은 전부(前部) 연결 레버(6a)에 의해 연결되고, 좌우의 후각(4)은 후부(後部) 연결 레버(6b)(도 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후각(4)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 부재(7)의 전부에 설치된 보스(8)에 피벗 부착되어 있으며, 전각(3)의 상단부는 시트 지지 부재(7)의 후부에 상기 시트 지지 부재(7)에 대하여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 결합부(9)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면에는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시트 지지 부재(7), 상기 보스(8) 및 힌지 결합부(9)의 상부를 덮는 커버(7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 지지 부재(7) 위에 상기 유아용 시트(1)가 전후 방향으로 스윙 가능하게 탑재 장착되고, X자 각(2)과 유아용 시트(1)로부터 유아용 의자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아용 시트(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10)와, 이 시트부(10)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11)와, 등받이부(11)의 상방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12)와, 시트부(10)의 전방에 설치된 스텝(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등받이부(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워서 의자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젖혀서 침대로서 사용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리클라이닝 기구(11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침대로서 사용 가능한 상태로 등받이부(11)를 젖혔을 때에는 상기 등받이부(11)의 후방으로의 요동에 대응하여 스텝(13)도 상방으로 요동하고, 유아의 발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텝(13)의 양 측부에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측벽(13a)이 설치 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침대로서 유아용 시트(1)를 사용할 때, 유아의 전락(轉落)이 방지되는 동시에, 어쩌면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시각적인 불안감이 없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4는 전각(3) 및 후각(4)과 시트 지지 부재(7)의 연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후각(4)의 상단부가 시트 지지 부재(7)의 보스(8)에 핀(14)에 의해 피벗 부착되고, 전각(3)의 상단부가 힌지 결합부(9)에 핀(15)에 의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9)에는 슬라이드 바(16)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드 바(16)가 시트 지지 부재(7) 내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바(16)에는 전후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힌지 결합부(9)까지 연장하는 긴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7)에 대하여, 시트 지지 부재(7)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설치된 2개의 핀(18)이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긴 구멍(17)과 핀(18)의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 바(16)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바(16)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 4 중 좌측 방향, 즉, X자 각(2)이 연장되어 높아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슬라이드 바(16)는 단면 사각형을 하고 있으며, 그 슬라이드 바(16)의 상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조절 구멍(19)이 열(列)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시트 지지 부재(7)에는 상기 조절 구멍(19)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핀(20)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핀(20)은 스프링(21)에 의해 삽입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으며, 또한, 핀(20)의 직경이 확대된 부분에 고정하는 레버(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레버(22)는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핀(20)에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지지 부재(7)의 외측으로부터 레버(22)를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20)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조절 구멍(19)으로부터 빠진다. 핀(20)이 조절 구멍(19)으로부터 빠짐으로써 슬라이드 바(16)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도면 중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X자 형상으로 교차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는 X자 각(2)이 연장되고, 의자의 높이가 높아진다.
한편, 이 상태에서 핀(20)을 조절 구멍(19)으로부터 분리하고, 시트 지지 부재(7)를 밀어 내리면, 슬라이드 바(16)가 힌지 결합부(9)와 함께 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각(3) 및 후각(4)의 경사각이 작아지며, 상기 힌지 결합부(9)가 가장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핀(20)이 조절 구멍(19)에 결합하여 높이가 낮은 접힌 상태가 된다. 이 접힌 상태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모든 전각(3) 및 후각(4)의 하단부에는 각각 캐스터(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24)에 의해 유아용 의자는 전후 좌우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선회성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소회전이 가능하고, 좁은 실내에서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시트부(10)의 양측에는 두께가 두꺼운 한 쌍의 암 레스트(30)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 암 레스트(3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부(10)측에 고정된 기체부(32)와, 기체부(32)에 대하여 수평면에 의해 분리된 상반부(31)를 갖고 있다. 그 상반부(3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상태를 취할 수 있고, 또한, 수직 상태로부터 수평 방향을 향해서 외측쪽으로 젖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상반부(31)는 선반으로서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상면 및 외측쪽으로 젖혀진 상반부(31)의 상면에는 기저귀 교환시 등에서, 기저귀나 파우더 용기 등의 기저귀 교환 용구 또는 컵 등을 재치하는 오목부(34, 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상면, 또는 상반부(31)의 상면의 어느 한쪽에 오목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에는 그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35)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축(35)에는 전부 및 후부에 2개의 링크(36, 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링크(36)의 선단부(36a)가 상기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에 형성된 긴 구멍(37)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7)은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상면 및 외측면에 걸치는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긴 구멍(37)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링크(36)가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의 사이를 회동한다. 상기 링크(36)의 선단부(36a)는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에 설치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38)에 삽입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가 상기 긴 구멍(38)에 따라서 링크(36)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반부(31)는 기체부(32) 위를 좌우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또한, 축(35)과, 2개의 링크(36, 36)에 의해 힌지 기구(35, 36, 36)가 구성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암 레스트(30)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상기 축(35)의 양 단부가 암 레스트의 기체부(32) 내에 설치된 브래킷(40, 41)의 결합 구멍(42, 43)에 피벗 부착되어 있다. 즉,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전방측에 브래킷(40)이 설치되고, 이 브래킷(40)에 형성된 결합 구멍(42)은 둥근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그 둥근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멍(42)에 상기 축(35)의 전부(前部)가 삽입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기체부(32)의 후방측에 브래킷(41)이 설치되고, 이 후방측의 브래킷(41)에 설치된 결합 구멍(43)은 암 레스트(3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다.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구멍(43)에 상기 축(35)의 후부가 삽입 축지지되고, 상기 축(35)의 후부가 결합 구멍(43)에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평면 내에서의 축(35)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 레스트 상반부(31)의 후단부에는 스프링(44)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록 부재(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암 레스트 상반부(31)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버튼(46)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록 부재(45)를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 구멍(47)에 착탈(着脫)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11의 (c)). 즉, 상기 록 부재(45)를 결합 구멍(47)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통상의 수직 상태(도 6 참조)로 유지하고, 조작 버튼(46)을 통해서 록 부재(45)를 스프링(44)에 저항하여 인입(引入)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결합 구멍(47)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 (31)를 수평 상태로 젖힐 수 있다(도 7 참조).
따라서, 유아용 시트(1)를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의자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상태로 되고, 상기 록 부재(45)가 결합 구멍(47)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수직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기저귀 교환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등받이부(11)를 후방으로 젖혀서 유아를 눕힌 상태로 하는 동시에,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외측쪽으로 젖히고, 그 젖혀진 암 레스트 상반부(31)를 선반으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젖힐 경우에는 록 부재(45)를 결합 구멍(47)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도 11의 (b) 및 도 8의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부(32) 위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그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축(35)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면,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는 도 8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되고, 전도된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의 상면이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태가 된다.
그런데, 암 레스트(30)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외측면이 내측면과 평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젖혔을 때,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외측면과, 그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의 측면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축지지하는 축(35)의 배치 각도가 가변적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축(35)의 주위에 회동시키면, 축(35)의 후단부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41)의 긴 구멍 형상의 결합 구멍(43)에 따라서 외측으로 이동하고, 도 11의 (c)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축(35)이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외측면과 평행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를 외측으로 전도시켰을 때에는 전도된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의 측면(31b)이 암 레스트(30)의 기체부(32)의 외측면(32b)과 서로 접하게 된다. 동시에 전도된 암 레스트(30)의 상반부(31)의 상면(31a)과 암 레스트의 기체부(32)의 상면(32a)이 동일한 평면이 되고, 그 양자(31a, 32a)에 의해서 선반을 구성시킬 수 있고, 암 레스트(30) 주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의 측부에 설치된 두께가 두꺼운 암 레스트의 적어도 상반부를 힌지 기구에 의해 기체부에 대해 수평 상태로 젖힘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젖힘 가능한 암 레스트의 상반부를 상기 힌지 기구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면과 그 암 레스트 상반부가 장착되어 있는 기체부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기체부의 상면과 함께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어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고, 시트 주위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힌지 기구를 구성하는 축의 전부 또는 후부의 한쪽을 지지하는 결합 구멍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축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부 측면과 젖혀지는 암 레스트의 하반부의 하면이 평행하지 않은 경우에도, 기체부와 젖혀진 암 레스트의 표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암 레스트의 젖힘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유아의 엉덩이가 걸쳐지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의 후방에 배치된 등받이부와,
    상기 시트부의 양 측부에 설치된 한 쌍의 암 레스트(arm rest)를 구비하고,
    적어도 한쪽의 암 레스트는 기체부(基體部)와, 암 레스트의 기체부에 힌지 기구를 통해서 외측쪽으로 젖힘 가능하게 부착된 상반부(上半部)를 갖고,
    암 레스트의 상반부는 기체부 위에서 수직 상태로 유지되는 동시에, 기체부 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상반부를 기체부 위에서 슬라이딩시켜서 외측쪽으로 젖혀지도록 한 경우,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상면(上面)과 기체부의 상면이 동일한 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힌지 기구는 암 레스트의 기체부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과, 상기 축에 부착되고, 암 레스트의 기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를 회동 가능한 링크를 갖고,
    상기 링크의 선단부가 상기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저면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암 레스트의 상반부가 상기 링크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부의 축은 기체부 내에서 옆쪽의 상부에 설치되고, 링크는 수직 상태와 수평 상태 사이에서 항상 선단부가 기체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면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저면부에 형성된 긴 구멍은 저면부의 좌우 방향의 전체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그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가 브래킷을 통해서 암 레스트의 기체부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축은 각 브래킷의 결합 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축의 전부 또는 후부를 지지하는 한쪽 브래킷의 결합 구멍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축의 배치 각도가 좌우 방향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는 축의 전부 및 후부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링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암 레스트의 기체부의 상면 및 수평 상태로 젖혀진 암 레스트의 상반부의 상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물품 재치(載置)용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부의 전방에 스텝(step)이 설치되고, 상기 스텝의 좌우 양측에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9. 제 1 항에 있어서,
    등받이부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암 레스트의 상반부를 기체부 위에서 수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상반부 및 기체부 중 어느 한쪽에 록(lock) 부재를 돌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다른쪽에 록 부재가 결합하는 결합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
KR1020050024911A 2004-03-30 2005-03-25 유아용 시트 KR101214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98833A JP4601982B2 (ja) 2004-03-30 2004-03-30 幼児用シート
JPJP-P-2004-00098833 2004-03-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759A KR20060044759A (ko) 2006-05-16
KR101214498B1 true KR101214498B1 (ko) 2012-12-24

Family

ID=3487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911A KR101214498B1 (ko) 2004-03-30 2005-03-25 유아용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07232B2 (ko)
EP (1) EP1582117A1 (ko)
JP (1) JP4601982B2 (ko)
KR (1) KR101214498B1 (ko)
CN (1) CN100584247C (ko)
MY (1) MY142554A (ko)
SG (1) SG115852A1 (ko)
TW (1) TW2005380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1241B2 (en) * 2004-06-22 2008-07-15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low power devices
EP1908626A1 (de) * 2006-10-06 2008-04-09 Lufthansa Technik AG Flugzeugsitz
US20090115230A1 (en) * 2007-11-04 2009-05-07 Robert Evan Haut Child safety seat
CN102090811B (zh) * 2011-01-27 2013-04-17 余列国 多功能婴儿车座椅
US8746794B2 (en) 2011-03-14 2014-06-10 Tiny Love Ltd. Infant bouncer
CN105029956B (zh) * 2014-05-02 2018-04-03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儿童高脚椅及其操作方法
CN105534165A (zh) * 2015-12-31 2016-05-04 浙江黄岩纪元模具有限公司 多功能儿童椅
US10154738B2 (en) * 2016-07-08 2018-12-18 Wonderland Switzerland Ag Infant carrier and motion device therewith
CN106539382B (zh) * 2016-12-20 2018-08-07 华安立高文具制品(深圳)有限公司 床椅两用的座椅
CN106539381B (zh) * 2016-12-20 2018-08-17 华安立高文具制品(深圳)有限公司 高度可调的婴儿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189A (ja) * 2001-07-16 2003-01-28 Combi Corp 幼児用椅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90538A (en) * 1921-12-21 1924-04-15 Harry E Owen Utility receptacle and armrest
US1702955A (en) * 1927-02-24 1929-02-19 Zaday Louis Chair
US1869444A (en) * 1930-12-12 1932-08-02 Macey Company Tablet for armchairs
US2498838A (en) * 1945-09-12 1950-02-28 Standard Oil Dev Co Synthesis of hydrocarbons
US2494838A (en) * 1945-12-29 1950-01-17 John R Slaughter Chair
US3632161A (en) * 1970-07-13 1972-01-04 Universal Oil Prod Co Side arm stowable table
US4191420A (en) * 1978-08-11 1980-03-04 Fassett Kendall G Portable chair and storage unit
IT8035569V0 (it) * 1980-02-15 1980-02-15 Castelli Sas Anonima Bracciolo per sedia o poltroncina con appoggia braccio imbottito o no sollevabile
JPS6088854U (ja) * 1983-11-25 1985-06-18 池田物産株式会社 車両用ア−ムレスト
US5474355A (en) * 1994-01-28 1995-12-12 Safety 1St, Inc. Combination booster seat and high chair
US5709155A (en) * 1995-01-12 1998-01-20 Mul Acquisition Corp. Ii Folding tray table for chairs
US6419314B1 (en) * 2001-01-05 2002-07-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ehicle accessory with sliding cover
JP4930869B2 (ja) * 2001-09-19 2012-05-16 コンビ株式会社 乳幼児用椅子
JP2003144267A (ja) * 2001-11-15 2003-05-20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4189A (ja) * 2001-07-16 2003-01-28 Combi Corp 幼児用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2554A (en) 2010-12-15
KR20060044759A (ko) 2006-05-16
CN1676061A (zh) 2005-10-05
TWI344829B (ko) 2011-07-11
EP1582117A1 (en) 2005-10-05
JP4601982B2 (ja) 2010-12-22
US7407232B2 (en) 2008-08-05
CN100584247C (zh) 2010-01-27
US20050218705A1 (en) 2005-10-06
TW200538075A (en) 2005-12-01
JP2005278972A (ja) 2005-10-13
SG115852A1 (en) 200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498B1 (ko) 유아용 시트
JP4896310B2 (ja) 幼児用椅子
JP3416329B2 (ja) 子供用座席装置
CN107334317B (zh) 儿童高脚椅
US3669492A (en) Reclining car seat
US20030132611A1 (en) Stroller with a reclining mechanism
JP5258918B2 (ja) 複数の使用形態を有する幼児搬送装置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JP2014505554A (ja) シェルシートの形のベビーキャリア
US11019938B2 (en) Infant seat with angle adjustment function
KR101228051B1 (ko) 유아용 의자
JP2592766B2 (ja) 椅 子
KR20050114609A (ko) 요동 의자 및 육아 의자
KR19980024868A (ko) 유아용 좌석장치
CN216393611U (zh) 一种躺靠一体摇椅
JP4188016B2 (ja) ベビーカー
JP3631164B2 (ja) 幼児用着座装置
JP7092342B2 (ja) 椅子
JPH03182870A (ja) 乳母車の座席
JP2509547Y2 (ja) 幼児用椅子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JP2569965Y2 (ja) 育児椅子
CN113892786A (zh) 可折叠支架、儿童椅和应用
JP2002336096A (ja) 幼児用椅子
JPS59134059A (ja) 乳母車の座席
JP2005278974A (ja) 幼児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