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172B1 -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172B1
KR101213172B1 KR1020120018471A KR20120018471A KR101213172B1 KR 101213172 B1 KR101213172 B1 KR 101213172B1 KR 1020120018471 A KR1020120018471 A KR 1020120018471A KR 20120018471 A KR20120018471 A KR 20120018471A KR 101213172 B1 KR101213172 B1 KR 10121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power
voltage
uni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신형수
김호윤
Original Assignee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손메디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1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172B1/ko
Priority to PCT/KR2013/001393 priority patent/WO20131258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9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 H01S3/097Processes or apparatus for excitation, e.g. pumping by gas discharge of a gas laser
    • H01S3/09702Details of the driver electronics and electric dis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4Magnetic structures combining different functions, e.g. storage, filtering or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1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1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1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변환부와,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출력된 승압 직류 전압을 펄스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생성부와, 및 상기 고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된 펄스 고전압을 램프 방전 고전압으로 체배하여 플래시 램프에 공급하는 체배 회로부를 구비하는 고전압 생성 유닛과,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2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2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2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감압 변환부와, 복수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를 구비한 저전압 생성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고전압 펄스 등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ing apparatus for generating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부용 및 의료용 레이저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장치는 레이저 공진기에서의 레이저 생성을 위해 플래시 램프에 순간적인 고전압 펄스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한다. 현재 레이저 장치는 산업에 많이 적용되어 사용되나, 레이저는 일반적으로 응집력, 단색(무색) 및 직진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에 닿을 경우에는 지혈 효과 및 소독 효과도 있어 점차 피부나 의료용으로 그 사용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레이저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 장치는 주로 산업용에서 사용되는 회로들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리스터(SCR)가 사용되거나 스위칭 소자들이 다수 개 사용되고 또한 고압 트랜스의 부피도 크다. 그러나 피부 조직이나 인체의 장기 조직은 레이저 출력이 조금만 세어져도 심하게 손상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산업용 레이저와는 달리 의료용 레이저는 비교적 100W 이하의 저출력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나 의료용 레이저 장치에 적합한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피부나 의료용 레이저 장치에 적합한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1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1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1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변환부와,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출력된 승압 직류 전압을 펄스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생성부와, 및 상기 고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된 펄스 고전압을 램프 방전 고전압으로 체배하여 플래시 램프에 공급하는 체배 회로부를 구비하는 고전압 생성 유닛과,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2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2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2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감압 변환부와, 복수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를 구비한 저전압 생성 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정전압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생성 전압이 정격 전압 이하이면 턴온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변환부는 1차측 코일과 복수의 2차측 코일을 구비한 감압 트랜스와 상기 감압 트랜스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와, 및 상기 발광 소자의 턴온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정전압 생성부의 상기 발광 소자가 턴온된 경우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압 변환부는 1차측 코일과 복수의 2차측 코일을 구비한 감압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생성 유닛에 공급될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을 상기 감압 트랜스의 각각 다른 2차측 코일로부터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 생성부는 절연유로 채워진 탱크에 내장된 고전압 트랜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압 변환부는 승압 코일과 승압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진 스텝-업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 스위칭 소자는 하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일단에 연결된 펄스 콘덴서와,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타단과 상기 펄스 콘덴서의 사이에 연결된 고전압 다이오드와, 상기 고전압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된 고전압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일단은 프레임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필터부는 상용 전원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제1 필터 콘덴서와 제2 필터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 콘덴서와 상기 제2 필터 콘덴서의 노드는 상기 프레임 접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압 변환부는 과전류 검출을 위한 검출 저항과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생성된 승압 직류 전압을 상기 고전압 생성부로 출력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검출 저항의 양단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릴레이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릴레이의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생성된 승압 직류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승압 변환부는 상기 플래시 램프가 오픈되었음을 나타내는 램프 오픈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승압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상보형(push-pull) 증폭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 스위칭부는 트리거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타이머 IC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 IC와 상기 상보형 증폭 회로의 사이에는 전기적인 신호 전달을 위해 포토 소자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보형 증폭 회로의 일단에는 플러스 전압이 공급되고, 상기 상보형 증폭 회로의 타단에는 마이너스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은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압 생성 유닛과 저전압 생성 유닛의 각각에 전원 필터부와 정류 필터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전압 펄스 등에 의한 잡음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과전압 또는 과전류를 검출함으로써, 레이저 장치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플래시 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포토 커플러들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정전압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원 필터부, 제1 정류 평활부 및 승압 변환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생성부 및 체배 회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칭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고전압 스위칭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신호 생성 IC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전원 필터부, 제2 정류 평활부, 감압 변환부 및 정전압 생성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스위칭 IC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부 치료용 레이저 장치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는 크게 고전압 생성 유닛(10)과 저전압 생성 유닛(20)으로 구분된다.
고전압 생성 유닛(10)은 제1 전원 필터부(110), 제1 정류 평활부(120), 승압 변환부(130), 스위칭 제어부(132), 고전압 생성부(134) 및 체배 회로부(140)를 포함한다.
제1 전원 필터부(110)는 220V 상용 전원이 입력되면 상용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억제한다. 특히 레이저 공진부에서의 레이저 생성을 위해 플래시 램프(50)에 공급되는 고전압이 순간적인 펄스이므로, 제1 전원 필터부(110)는 전원 라인을 통해 들어오는 잡음뿐만 아니라 전원 라인으로 출력되는 잡음을 억제한다.
제1 정류 평활부(120)는 제1 전원 필터부(110)를 통해 잡음이 억제된 안정적인 220V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한다. 이 경우 정류 회로로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압 변환부(130)는 제1 정류 평활부(120)를 통해 직류화된 전압을 600V로 승압한다. 종래에는 승압 전압이 높아 내압을 견디기 위해 승압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를 다수개 사용하거나 SCR 등을 사용하였으나, 본 실시예를 적용하는 경우 승압 변환부(130)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이 600V이므로, IGBT 1개만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승압 스위칭 소자로 IGBT가 바람직하다.
스위칭 제어부(132)는 승압 변환부(130)의 승압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부(132)에는 정전압 생성부(180)로부터 15V의 플러스 전압과 -5V의 마이너스 전압이 공급된다.
고전압 생성부(134)는 승압 변환부(130)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한다. 고전압 생성부(134)는 고전압 트랜스를 포함하며, 승압 변환부(130)의 승압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에 따라 플래시 램프(50)의 방전에 적합한 고전압을 출력한다.
체배 회로부(140)는 고전압 생성부(134)에서 출력된 고전압을 램프 방전 전압으로 체배한다. 체배 회로부(140)는 LC 증폭회로로 이루어지며, 램프 방전 전압 -10KV를 플래시 램프(50)에 공급한다.
저전압 생성 유닛(20)은 제2 전원 필터부(150), 제2 정류 평활부(160), 감압 변환부(170) 및 정전압 생성부(180)를 포함한다.
제2 전원 필터부(150)는 제1 전원 필터부(110)와 마찬가지로, 220V 상용 전원이 입력되면 상용 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잡음을 억제한다.
제2 정류 평활부(160)는 제2 전원 필터부(150)를 통해 잡음이 억제된 안정적인 220V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한다. 이 경우 정류 회로로 브리지 다이오드 회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20V 상용 전원에 대해, 고전압 라인을 위한 제1 전원 필터부(110)와 정전압 생성을 위한 제2 전원 필터부(15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순간적인 고전압 펄스 등에 의한 잡음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레이저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감압 변환부(170)는 제2 정류 평활부(160)를 통해 직류화된 전압을 감압하여 출력한다. 감압 변환부(170)는 일반적인 DC-DC 변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생성부(180)는 승압 변환부(130), 스위칭 제어부(132) 및 메인 제어부(190) 등에 필요한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정전압 생성부(180)는 복수의 정전압 IC와 필터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90)는 레이저 장치를 총체적으로 제어할 뿐만 아니라 고전압 생성 유닛(10)과 저전압 생성 유닛(20)을 제어하여 필요한 전압을 생성하게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원 필터부, 제1 정류 평활부 및 승압 변환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생성부 및 체배 회로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 전원 필터부(110)는 220V 상용 전원 라인들에 각각 퓨즈 F21 및 F22를 통해 연결된다. 제1 전원 필터부(110)는 220V 상용 전원에 있는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3개의 필터 트랜스 LF21, LF22 및 LF23와 다수의 콘덴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콘덴서 중에서 콘덴서 C21과 콘덴서 C22의 노드 및 콘덴서 C23과 콘덴서 C24의 노드가 프레임 접지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 접지에 발생하여 220V 상용 전원에 영향을 미치는 잡음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정류 평활부(120)는 브리지 다이오드 BD21, 필터 코일 L21과 충전 콘덴서 CA21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제1 정류 평활부(120)는 제1 전원 필터부(110)를 통해 잡음이 억제된 안정적인 220V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한다. 또한, 제1 정류 평활부(120)는 브리지 다이오드 BD21 전단에 릴레이 RY21의 스위치(SW)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승압 변환부(130)는 제1 정류 평활부(120)의 충전 콘덴서 C21에 충전된 전압을 600V로 승압하기 위해, 승압 코일 L22과 승압 스위칭 소자 IGBT1로 이루어진 스텝-업 컨버터를 포함한다. 승압 변환부(130)는 승압 스위칭 소자 IGBT1가 턴온되면 충전 콘덴서 C21에 충전된 전압이 승압 코일 L22에 공급되고, 승압 스위칭 소자 IGBT1가 턴오프되면 충전 콘덴서 C21에 충전된 전압과 승압 코일 L22의 전압이 고전압 생성부(134)의 고전압 트랜스 MT31에 공급된다.
한편, 충전 콘덴서 C21에 충전된 전압은 직렬 연결된 5개의 제너 다이오드 ZD21, ZD22, ZD23, ZD24 및 ZD25와, 포토 커플러 PC21와, 저항 R21에 걸린다. 따라서 충전 콘덴서 C21에 충전된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이 되면, 포토 커플러 PC21의 발광 소자가 발광되고 수광 소자는 전류가 흐르므로 온된다. 메인 제어부(190)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레이저 공진기가 개방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레이저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승압 변환부(130)는 과전류 검출을 위해 저항 R22를 구비한다. 저항 R22를 통해 전류가 흐르면, 저항 R22의 높은 쪽 전압이 비교기 IC21의 플러스 입력 단자에 제공되고, 비교기 IC21의 마이너스 입력 단자에는 기준 전압이 제공된다. 저항 R22를 통해 비교기 IC21의 출력이 제2의 15V 전압(도 6에 15V-2로 표기됨)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과전류가 흘러 플러스 단자 전압이 마이너스 단자 전압보다 높아지면, 비교기 IC21의 출력은 15V가 되고 따라서 포토 트라이악 PT21의 발광 소자가 온된다. 이에 의해 포토 트라이악 PT21의 트라이악이 온되면 트랜지스터 Q21이 턴오프되고 릴레이 RY22의 코일 CL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릴레이 RY22의 스위치 SW는 오프된다. 따라서 고전압 생성부(134)로 600V 전압을 공급할 수 없다. 이에 의해 플래시 램프(50)의 수명을 보장하며 플래시 램프(50)에 안정적인 고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포토 트라이악 PT21의 트라이악이 온되면 포토 커플러 PC22의 발광 소자가 오프되므로 포토 커플러 PC22도 수광 소자도 오프된다. 이에 의해, 메인 제어부(190)는 이 신호를 감지하여 과전류가 흘렀다고 판단하여 레이저 장치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과전류 및 과전압 검출을 위한 구성들은 승압 변환부(130)의 회로 영역에 한정된다는 것이 아니며, 승압 변환부(130)의 동작과 연계된 기능으로서의 구성들을 의미한다.
또한, 릴레이 RY21의 스위치 SW가 제1 정류 평활부(120)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저전압 생성 유닛(20)이 먼저 동작하여 정전압이 얻어진 후에 고전압 생성 유닛(1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저전압 생성 유닛(20)으로부터 12V 전압이 공급되면 저항 R23를 통해 충전 콘덴서 CA22에 전압이 충전되고 트랜지스터 Q22가 턴온된다. 이에 의해 릴레이 RY21의 코일 CL에 전류가 흐르고 릴레이 RY21의 스위치 SW가 온된다.
고전압 생성부(134)는 승압 변환부(130)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한다. 스위칭 제어부(132)로부터 승압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턴온 신호가 공급되었다가 턴오프 신호가 공급되면, 승압 변환부(130)에서 출력된 승압 전압이 고전압 트랜스 MT31의 1차측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전압 트랜스 MT31의 2차측에 유도 펄스 전압이 발생하고 고전압 다이오드 D31의 방향에 따라 고전압 콘덴서 C31에 마이너스 펄스 고전압이 충전된다. 한편, 고전압 다이오드 D31의 양단에는 저항 R31이 연결된다. 이 저항 R31은 체배 회로부(140)에 남은 전류를 대신 소비하여 체배 회로부(140)를 빠르게 안정시킨다.
한편, 체배 회로부(140)의 가포화 코일 SL31에 인가되는 전압을 시간으로 적분한 값이 소정값에 도달하면, 가포화 코일 SL31은 자기 포화되어 임피던스가 급격하게 작아진다. 그러면 고전압 콘덴서 C31로부터 고전압 콘덴서 C32로 전하의 전송이 개시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 콘덴서 C32에 충전된 전압은 고전압 콘덴서 C33로 전송되고, 고전압 콘덴서 C33에 충전된 전하는 콘덴서 C34로 전송된다. 고전압 콘덴서 C34의 고전압이 상승하여 플래시 램프(50)의 방전 전압에 도달하면, 플래시 램프(50)가 방전된다. 이 경우 플래시 램프(50)가 옐로우 튜브이면, 2μs의 순간적인 고전압 펄스가 공급된다.
한편, 고전압 트랜스 MT31로 절연 트랜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전압 트랜스 MT31는 탱크(미도시됨) 안에 내장되며, 탱크 안에는 절연유로 채워진다. 이와 같이 고전압 트랜스 MT31에 절연유를 사용함으로써 절연 거리를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해 고전압 트랜스 MT31의 크기를 70% 내지 80% 이상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의 크기를 50% 가까이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고전압 트랜스 MT31에 절연유를 사용하면, 고전압 트랜스 MT31를 냉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탱크를 구리로 만들고 탱크에 방열판을 설치하며, 팬으로 방열판을 냉각함으로써 고전압 트랜스 MT31의 내부 온도를 낮게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승압 변환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동 신호 생성 IC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스위칭 제어부(132)는 타이머 파트(410)와 스위칭 제어 회로 파트(420)를 포함한다.
타이머 파트(410)는 타이머 IC IC41과 주변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스위칭 제어 회로 파트(420)에 트리거 신호를 제공한다.
스위칭 제어 회로 파트(420)는 구동 신호 생성 IC IC42와 상보형(push-pull) 증폭회로 Q41 및 Q42를 포함한다. 구동 신호 생성 IC IC42는 입력과 출력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포토 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구동 신호 생성 IC IC42의 내부 회로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구동 신호 생성 IC IC42의 출력 전원 단자(Vcc 단자)에는 15V 전압이 공급되고 출력 접지 단자(Vee 단자)에는 -5V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상보형 증폭회로는 PNP 소자 Q41과 NPN 소자 Q42로 이루어지며, PNP 소자 Q41의 드레인에는 15V 전압이 공급되고 NPN 소자 Q42의 드레인에는 -5V 전압이 공급된다.
타이머 IC IC41에 5V 전압이 공급되면 타이머 IC IC41는 주변 소자들로 설정된 값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동 신호 생성 IC IC42에 공급된 트리거 신호는 포토 커플러를 통해 전달되며, 출력 전원 단자에 연결된 달링톤 트랜지스터들을 통해 출력 단자(Vout 단자)로 출력된다. 구동 신호 생성 IC IC42의 출력 단자의 전압이 출력 전원 단자 전압에 가까우면 상보형 증폭회로의 PNP 소자 Q41이 턴온되고, 승압 스위칭 소자 IGBT1에 턴온 전압이 공급되므로, 승압 스위칭 소자 IGBT1는 턴온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2 전원 필터부, 제2 정류 평활부, 감압 변환부 및 정전압 생성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스위칭 IC의 내부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전원 필터부(150)는 제1 전원 필터부(110)와 마찬가지로, 220V 상용 전원이 입력되면 상용 전원에 있는 잡음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20V 상용 전원에 대해, 고전압 라인을 위한 제1 전원 필터부(110)와 정전압 생성을 위한 제2 전원 필터부(15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순간적인 고전압 펄스 등에 의한 잡음으로부터 저전압 생성 유닛을 보호한다.
제2 전원 필터부(150)는 220V 상용 전원 라인들의 하나의 퓨즈 F61를 통해 연결된다. 제2 전원 필터부(150)는 220V 상용 전원에 있는 잡음을 억제하기 위해, 2개의 필터 트랜스 LF61 및 LF62와 다수의 콘덴서를 포함한다. 이 다수의 콘덴서 중에서 필터 콘덴서 C61와 필터 콘덴서 C62의 노드가 프레임 접지에 연결된다.
제2 정류 평활부(160)는 브리지 다이오드 BD61과 충전 콘덴서 CA61를 포함하여, 제2 전원 필터부(150)를 통해 잡음이 억제된 안정적인 220V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한다.
감압 변환부(170)는 제2 정류 평활부(160)를 통해 직류화된 전압을 감압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감압 변환부(170)는 감압 트랜스 MT61과 전력 스위칭 IC IC61를 포함한다. 감압 트랜스 MT61는 2차측이 4개로 코일로 구분된다. 도 6에 도시된 전력 스위칭 IC의 내부 회로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2 정류 평활부(160)의 직류 전압이 저항 R61를 통해 충전 콘덴서 CA62에 충전되고, 이 충전 콘덴서 C62의 충전 전압이 전력 스위칭 IC IC61의 전원 단자(Vcc 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전력 스위칭 IC IC61의 전원 단자에는 감압 트랜스 MT61의 2차측의 하나가 다이오드 D61과 저항 R62를 통해 연결된다.
정전압 생성부(180)는 승압 변환부(130), 스위칭 제어부(132) 및 메인 제어부(190) 등에 필요한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정전압 생성부(180)는 복수의 정전압 IC와 필터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정전압 생성부(180)의 12V 전원 라인의 전압이 12V 이하이면 포토 커플러 PC61의 발광 소자가 오프 상태이므로, 전력 스위칭 IC IC61의 피드백 단자(FB 단자)에는 전력 스위칭 IC IC61의 내부를 통해 충전된 콘덴서 C63의 전압에 의해 내부에 있는 전력 스위칭 소자가 온된다.
전력 스위칭 소자가 온되면, 충전 콘덴서 CA61의 충전 전압이 감압 트랜스 MT61의 1차측 코일을 통해 흐르고 2차측 코일 각각에는 유도 전압이 생성된다.
전력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의해 12V 전원 라인의 전압이 12V 이상이 되면, 포토 커플러 PC61의 발광 소자가 온되므로, 전력 스위칭 IC IC61의 피드백 단자에는 0V에 가까운 전압이 공급되고, 이에 의해 전력 스위칭 소자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승압 변환부(130)에 공급될 15V 전원과 스위칭 제어부(132)에 공급될 15V 전원을 개별의 정전압 IC IC62 및 IC63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또한, 정전압 IC62에 의한 정전압이 소정의 전압 이상이 되면, 포토 커플러 PC62의 발광 소자가 동작하고 이에 의해 포토 커플러 PC62의 수광 소자가 온된다. 메인 제어부(190)는 이 신호가 검출되면 포토 커플러 PC63의 발광 소자를 동작시킨다. 이에 의해 포토 커플러 PC63의 수광 소자가 온되고 정전압 IC IC63이 동작한다. 정전압 IC IC63의 출력 전압은 필터 회로에 의해 더욱 안정화된다. 한편, 제너 다이오드 ZD61는 저항 R63를 통해 정전압 IC IC63의 출력 전압에 연결되어 5V 전원을 생성한다.
또한, 스위칭 제어부(132)에 공급될 -5V 전원은 승압 변환부(130)에 공급될 15V 전원을 생성하는 감압 트랜스 MT61의 2차측 코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전압 생성 유닛 20: 저전압 생성 유닛
110: 제1 전원 필터부 120: 제1 정류 평활부
130: 승압 변환부 132: 스위칭 제어부
134: 고전압 생성부 140: 체배 회로부
150: 제2 전원 필터부 160: 제2 정류 평활부
170: 감압 변환부 180: 정전압 생성부
190: 메인 제어부

Claims (12)

  1.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1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1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1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1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 변환부와,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출력된 승압 직류 전압을 펄스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생성부와, 및 상기 고전압 생성부에서 출력된 펄스 고전압을 램프 방전 고전압으로 체배하여 플래시 램프에 공급하는 체배 회로부를 구비하는 고전압 생성 유닛과,
    상용 전원의 잡음을 억제하는 제2 전원 필터부와, 상기 제2 전원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용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는 제2 정류 평활부와, 상기 제2 정류 평활부에서 출력된 평활 직류 전압을 감압하여 출력하는 감압 변환부와, 복수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를 구비한 저전압 생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의 전원 생성 전압이 정격 전압 이하이면 턴온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감압 변환부는 1차측 코일과 복수의 2차측 코일을 구비한 감압 트랜스와 상기 감압 트랜스에 연결된 전력 스위칭 소자와, 및 상기 발광 소자의 턴온을 수신하는 수광 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정전압 생성부의 상기 발광 소자가 턴온된 경우 상기 전력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변환부는 1차측 코일과 복수의 2차측 코일을 구비한 감압 트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정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생성 유닛에 공급될 플러스 전원과 마이너스 전원을 상기 감압 트랜스의 각각 다른 2차측 코일로부터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생성부는 절연유로 채워진 탱크에 내장된 고전압 트랜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변환부는 승압 코일과 승압 스위칭 소자로 이루어진 스텝-업 컨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승압 스위칭 소자는 하나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생성부는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일단에 연결된 펄스 콘덴서와,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타단과 상기 펄스 콘덴서의 사이에 연결된 고전압 다이오드와, 상기 고전압 다이오드의 양단에 연결된 고전압 저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트랜스의 2차측 일단은 프레임 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필터부는 상용 전원 라인에 직렬로 연결된 제1 필터 콘덴서와 제2 필터 콘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필터 콘덴서와 상기 제2 필터 콘덴서의 노드는 상기 프레임 접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변환부는 과전류 검출을 위한 검출 저항과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생성된 승압 직류 전압을 상기 고전압 생성부로 출력 또는 차단하는 제1 릴레이를 구비하여, 상기 검출 저항의 양단 전압이 소정 전압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릴레이의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제1 릴레이의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변환부에서 생성된 승압 직류 전압이 소정 전압 이상인 경우, 상기 플래시 램프가 오픈되었음을 나타내는 램프 오픈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토 커플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상보형(push-pull) 증폭회로를 구비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20018471A 2012-02-23 2012-02-23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21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471A KR101213172B1 (ko) 2012-02-23 2012-02-23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PCT/KR2013/001393 WO2013125880A1 (ko) 2012-02-23 2013-02-21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471A KR101213172B1 (ko) 2012-02-23 2012-02-23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172B1 true KR101213172B1 (ko) 2012-12-20

Family

ID=4790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471A KR101213172B1 (ko) 2012-02-23 2012-02-23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1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000B1 (ko) * 2021-03-02 2022-03-07 (주)스핀텍 고출력 레이저 광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645A (ja) * 2002-08-26 2004-03-18 Meidensha Corp パルス電源装置
US20070071047A1 (en) * 2005-09-29 2007-03-29 Cymer, Inc. 6K pulse repetition rate and above gas discharge laser system solid state pulse power system improve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645A (ja) * 2002-08-26 2004-03-18 Meidensha Corp パルス電源装置
US20070071047A1 (en) * 2005-09-29 2007-03-29 Cymer, Inc. 6K pulse repetition rate and above gas discharge laser system solid state pulse power system improve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000B1 (ko) * 2021-03-02 2022-03-07 (주)스핀텍 고출력 레이저 광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4353B2 (en) Isolated power converter and associated switching power supply
JP6193029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駆動電源回路
JP2016174471A (ja) スナバ回路
JP7000014B2 (ja) Ac/dcコンバータ、駆動回路
KR20200091933A (ko) 액티브 클램프를 갖는 전력 변환기
KR101937755B1 (ko) 이오나이저
JP5668692B2 (ja) Pfcコンバータ
US9484801B2 (en) Start-up regulator for high-input-voltage power converters
US11356029B2 (en) Rectifying circuit and switched-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rectifying circuit
KR101213172B1 (ko)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US20090244930A1 (en) Electrical dc-dc power converter with magnetically coupled switch control circuit
KR101241359B1 (ko)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US7729136B2 (en) Isolated DC-DC converter
JP639396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RU2720217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коммутации электропитания
JP5129208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13125880A1 (ko) 레이저 생성용 전원 공급 장치
JP2011205810A (ja) 非絶縁コンバータの過電圧保護回路
JP2006050776A (ja) 半導体スイッチ回路および電力変換装置および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hen et al. 2nd Generation LLC Current Resonant Control IC,“FA6A00N Series”
WO2021021870A1 (en) Converter with hold-up circuit and inrush-control circuit
JP6665795B2 (ja) 電圧変換装置
JPH10174438A (ja) 交流入力用電源装置
JP2018152988A (ja) キャパシタ絶縁型電源装置
JP2018046700A (ja) 絶縁型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