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891B1 -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891B1
KR101212891B1 KR1020100097613A KR20100097613A KR101212891B1 KR 101212891 B1 KR101212891 B1 KR 101212891B1 KR 1020100097613 A KR1020100097613 A KR 1020100097613A KR 20100097613 A KR20100097613 A KR 20100097613A KR 101212891 B1 KR101212891 B1 KR 10121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sement
building
ceil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985A (ko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김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혁 filed Critical 김기혁
Priority to KR102010009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2891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2Roof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54/00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부 지면을 통해 지하층 구조물로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층의 공기 유통구 및 바닥면의 바닥 지지대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천정부를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지하층 구조물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다수의 층(B1)(B2)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100)이 지면(L)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통구(110)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공기 유통구(11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120)을 개재하여 내부에 경사편(131)이 다수개 설치된 공기 유입판(130)이 일체로 착설토록 되고,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140) 하측에는 단면이 ∩ 형상의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15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통구(100) 및 바닥 지지대(150)의 공기 통과공(151)은 건물의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천정부(160)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편(171)에 의해 배기공(172)이 형성되는 배기구(170)가 설치되어, 상기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토록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A Dry System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in Convective}
본 발명은 건물 지하층 구조물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 및 건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한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다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공기 유통구가 마련되며, 상기 지하층 구조물의 바닥면 하측에는 공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건물의 천정부 일측에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통구 및 바닥 지지대의 공기 통과공이 천정부 및 그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 연설토록 됨으로써, 건물의 외부 지면을 통해 지하층 구조물로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층의 공기 유통구 및 바닥면의 바닥 지지대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천정부를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지하층 구조물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지하 주차장 및 지하 식당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에 있어서는, 별도의 환기시설이 없을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지하 구조물에 유입되지 않게 되어, 정체상태로 잔존하는 지하 구조물의 공기에 의해 건강을 해치게 됨은 물론, 특히 상기 지하 구조물내에는 항상 습기가 남아있게 되어, 구조물 및 실내 가구등이 유입되는 습기에 의해 쉽게 상하게 되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별도의 환기용 정압 유지 댐퍼를 설치함으로써, 유인효과를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의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기용 정압 유지 댐퍼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09-0048826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층(B1)(B2)(B3)으로 이루어진 지하 구조물(1)의 일측 벽면으로 각각 배기팬(10)을 각각 설치하여, 수직하게 형성된 배기관로(1a) 내부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다수의 층(B1)(B2)(B3)으로 이루어진 지하 구조물(1)의 일측 벽면으로 각각 배기팬(10)을 각각 설치한 후, 상기 배기팬(10)을 전원으로 구동하게 되면, 상기 지하 구조물(1)에 수직하게 형성된 배기관로(1a) 내에 배출되는 공기가 상부 및 하부로 분산되어 흐르거나, 또는 실내로 역류되는 현상인 정압 분산 효과가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커다란 단점이 있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기 배기관로(1a)의 내부에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별도의 송풍기를 설치하여 송풍을 실시하는 유도팬(미도시)을 설치하지만, 상기 송풍기를 통한 송풍 면적이 배기구의 단면적 보다 작을 경우 그 틈새를 통하여, 오히려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공기 유통구가 마련되며, 상기 지하층 구조물의 바닥면 하측에는 공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 건물의 천정부 일측에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공기 유통구 및 바닥 지지대의 공기 통과공이 천정부 및 그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 연설토록 됨으로써, 건물의 외부 지면을 통해 지하층 구조물로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층의 공기 유통구 및 바닥면의 바닥 지지대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천정부를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지하층 구조물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다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이 지면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지하층 구조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통구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공기 유통구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을 개재하여 내부에 경사편이 다수개 설치된 공기 유입판이 일체로 착설토록 되고, 상기 지하층 구조물의 바닥면 하측에는 바닥 지지대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통구 및 바닥 지지대는 건물의 천정부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천정부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편에 의해 배기공이 형성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천정부와 연통 연설토록 되는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 하측에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에는 단면이 ∩ 형상의 공기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지지대의 공기 통과공은 건물의 천정부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공기 통과공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의 상부에는 내부에 격자형 와이어가 내설되는 방수 몰타르(mortar)층이 일체로 적층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삭제
본 발명인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의하면, 건물의 외부 지면을 통해 지하층 구조물로 유입되는 공기가 지하층의 공기 유통구 및 바닥면의 바닥 지지대에 형성된 공기 통과공과 천정부를 거쳐 배기구를 통하여,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지하층 구조물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환기용 지하구조물 배기 시스템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하층 구조물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지하층 구조물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의 설치상태 단면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지하층 구조물 110...공기 유통구
120...걸림턱 130...공기 유입판
131...경사편 140...바닥면
150...바닥 지지대 151...공기 통과공
160...천정부 170...배기구
171...경사편 172...배기공
180...격자형 와이어 190...방수 몰타르(mortar)층
L...지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의 개략 정단면 구조도이고, 도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지하층 구조물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의 개략 사시도 및 설치상태 단면 구조도로서, 다수의 층(B1)(B2)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100)이 지면(L)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통구(110)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공기 유통구(11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120)을 개재하여 내부에 경사편(131)이 다수개 설치된 공기 유입판(130)이 일체로 착설토록 된다.
또한,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140) 하측에는 단면이 ∩ 형상의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15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통구(100) 및 바닥 지지대(150)의 공기 통과공(151)은 건물의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천정부(160)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편(171)에 의해 배기공(172)이 형성되는 배기구(170)가 설치되어, 상기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150)의 상부에는 내부에 격자형 와이어(180)가 내설되는 방수 몰타르(mortar)층(190)이 일체로 적층토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층(B1)(B2)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100)이 지면(L)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상기 이격 틈새의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통구(110)가 마련되는 상태에서, 상기 공기 유통구(11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120)을 개재하여 내부에 경사편(131)이 다수개 설치된 공기 유입판(130)이 일체로 착설토록 됨으로써,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공기 유입판(130)을 통하여 공기 유통구(11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공기 유입판(130)에 다수개 설치된 경사편(131)에 의해, 이물질등이 상기 공기 유통구(110)로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와같이, 공기 유통구(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140) 하측에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150)의 내부에 형성된 단면이 ∩ 형상의 공기 통과공(151)을 통하여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 되어, 지하층 구조물(100)은 물론, 그 바닥면(L) 역시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기 공기 유통구(110) 및 바닥 지지대(150)의 공기 통과공(151)은 건물의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토록 됨으로써, 상기 공기 유통구(110)의 공기가 자연 대류 현상에 의해 원활하게 천정부(160)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천정부(160)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편(171)에 의해 배기공(172)이 형성되는 배기구(170)가 설치되어, 상기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토록 되어, 자연 대류현상에 의해 상기 천정부(160)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170)의 배기공(172)을 거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지하층 구조물의 건조가 자연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에 환기를 위한 별도의 팬(Fan)장치등이 전혀 필요 없이도 항상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환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150)의 상부에는 내부에 격자형 와이어(180)가 내설되는 방수 몰타르(mortar)층(190)이 일체로 적층토록 됨으로써,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L)에 습기등의 유입을 미연에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L)이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다수의 층으로 이루지는 건물의 지하층 구조물(100)이 지면(L)과 일정간격 이격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가 지하층 구조물(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통구(110)가 마련되며, 이때 상기 공기 유통구(110)의 상측 단부에는 걸림턱(120)을 개재하여 내부에 경사편(131)이 다수개 설치된 공기 유입판(130)이 일체로 착설토록 되고, 상기 지하층 구조물(100)의 바닥면(140) 하측에는 바닥 지지대(150)가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통구(110) 및 바닥 지지대(150)는 건물의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천정부(160) 일측에는 다수의 경사편(171)에 의해 배기공(172)이 형성되는 배기구(170)가 설치되어, 상기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토록 되는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40) 하측에 다수개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150)에는 단면이 ∩ 형상의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지지대(150)의 공기 통과공(151)은 건물의 천정부(160)와 연통 연설되고, 상기 공기 통과공(151)이 형성되는 바닥 지지대(150)의 상부에는 내부에 격자형 와이어(180)가 내설되는 방수 몰타르(mortar)층(190)이 일체로 적층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기 자연 배출장치.
  2. 삭제
KR1020100097613A 2010-10-07 2010-10-07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KR10121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13A KR101212891B1 (ko) 2010-10-07 2010-10-07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613A KR101212891B1 (ko) 2010-10-07 2010-10-07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85A KR20120035985A (ko) 2012-04-17
KR101212891B1 true KR101212891B1 (ko) 2012-12-14

Family

ID=4613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613A KR101212891B1 (ko) 2010-10-07 2010-10-07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289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074A (ja) * 1999-08-25 2001-03-13 Seeburu:Kk 家 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074A (ja) * 1999-08-25 2001-03-13 Seeburu:Kk 家 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85A (ko) 201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100698851B1 (ko) 공동주택용 환기 시스템 및 방법
ES2743102T3 (es) Sistema para edificios con un sistema de ventilación y procedimiento para reacondicionar un edificio ya existente en un edificio de este tipo
KR101212891B1 (ko) 자연 대류현상을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건조시스템
JP5684465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6403605B2 (ja) 建物
KR100923462B1 (ko) 고층건물의 층간소음 및 고도차에 따른 배기압의 분할 및배기가스의 역류방지 구조를 갖는 더블 입상형 에어덕트
JP6562360B2 (ja) 建物ユニット及び建物
JP2008133688A (ja) 換気機能を有する一方向ボイドスラブ及びこれを用いたスラブ排気構造並びにスラブ給気構造
JP4927520B2 (ja) 設備設置スペースを備えた建物
KR200462166Y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고정용 악취차단장치
JP5805810B2 (ja) 建物の換気構造
JP4176707B2 (ja) 地下室通気システム及び地下室を有する建築物
KR101124926B1 (ko) 실내바닥의 가장자리를 이용한 환기장치
EP2823235B1 (en) Ventilation arrangement
JP7395801B2 (ja) 住宅
JP7042162B2 (ja) オフィスビル
KR200419410Y1 (ko) 천장공간을 급기덕트로 이용하는 환기시스템
JP4949697B2 (ja) 建物
KR200415389Y1 (ko) 중력 및 풍압을 이용한 건축물용 자연환기장치
JP4989168B2 (ja) 建物
JP2007040051A (ja) 大型バルコニー
KR200437935Y1 (ko) 층간소음방지용 구조를 갖는 더블 입상형 에어덕트
JP2006189197A (ja) 建物の換気方法と建物の換気構造
KR20200144533A (ko) 통풍성을 개선한 지하 벽체 구조물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