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819B1 -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819B1
KR101211819B1 KR1020110101171A KR20110101171A KR101211819B1 KR 101211819 B1 KR101211819 B1 KR 101211819B1 KR 1020110101171 A KR1020110101171 A KR 1020110101171A KR 20110101171 A KR20110101171 A KR 20110101171A KR 101211819 B1 KR101211819 B1 KR 10121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rivet
slot
perforation
fix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중태
Original Assignee
장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중태 filed Critical 장중태
Priority to KR1020110101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1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10Special mounting grooves in the rim or on th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가공에 의해 안경테의 프론트를 제조하고,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안경다리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안경테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로 여러가지 형태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경테는,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101)이 형성되는 좌우측 안구부(1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안경다리(400)가 연결되는 체결부(2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구성되며, 셀룰로이드 평판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프론트(10)와;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체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401)와, 상기 링크부(401)의 타단에 힌지부(403)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404)로 구성되는 안경다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The rim of spectacle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종인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가공하여 안경테의 프론트 부분을 형성하고, 안경테의 프론트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부에 안경다리를 장착하여 제조되는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경은 시력을 보정하고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착용자의 인상에 변화를 갖게 하는 액세서리(Accessory)의 기능을 겸하고 있다. 특히,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의 안경 착용자들은 대부분 서로 디자인이 다른 수 개의 안경을 구입하여 번갈아 가며 착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로 만들어져 왔다. 플라스틱의 경우 사출성형을 통해 안경테의 프론트를 형성하고, 프론트에 안경다리를 장착하여 안경테를 완성하고 있다. 금속제 안경테의 경우도 사출성형이나 단조를 이용하여 프론트를 형성하고, 프론트에 안경다리를 장착하여 안경테를 완성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안경테의 일례로, 도 1은 공개특허 제10-1999-0068274호에 개시된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합금의 금속소재로 다이캐스팅 주조한 안경테(1)를 나타낸 것으로, 렌즈를 끼우는 렌즈테(2,2')가 완만한 곡면으로 만곡되어 중간연결부(3)로 연결되어 있고, 렌즈테(2,2')의 양측 단부에 다리(4)가 피스(6)로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캐스팅 주조를 이용한 안경테(1)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경량이며 고강도인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합금을 소재로 하여 다이캐스팅 주조로 안경테(1)를 성형함에 따라 렌즈테(2,2')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3)와 양측 단부에 다리(4)를 체결하는 힌지부(5)를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용접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금속 소재의 안경테를 제조하거나, 사출성형에 의해 플라스틱 소재의 안경테를 제조할 경우,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맞춰 다양한 크기의 안경테를 제조하는 것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안경테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이캐스팅 주조 또는 사출성형용 금형을 다양한 형태로 구비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플라스틱 소재를 절삭가공하여 안경테의 프론트를 제조할 경우, 상기와 같은 금형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프론트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되나, 이와 같이 제조된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안경다리를 연결할 경우, 그 체결부위의 결합구조가 취약하여 잘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어서 종래에는 절삭가공을 통한 플라스틱 안경테의 제조는 시도조차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절삭가공에 의해 안경테의 프론트를 제조하고,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안경다리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체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안경테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크기로 여러가지 형태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경테는,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101)이 형성되는 좌우측 안구부(1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안경다리(400)가 연결되는 체결부(2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구성되며, 셀룰로이드 평판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프론트(10)와;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체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401)와, 상기 링크부(401)의 타단에 힌지부(403)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404)로 구성되는 안경다리(40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0)에는 복수의 타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201)은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을 소정각도로 경사져 관통되고, 상기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이 상기 타공(201)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슬롯(204)은 상기 체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슬롯(204)은, 상기 체결부(20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슬롯(204)의 상하부에 슬롯벽(205)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는 상기 슬롯(204)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401)에는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관통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400)가 상기 프론트(10)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벳(2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20)이 더 부가되고, 상기 고정핀(220)은 상기 리벳(210)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리벳 관통홀(221)이 형성된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 또는 8자 형상인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에 상기 타공(20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가 안착되는 리벳 안착홈(202)과, 상기 고정핀(220)이 안착되는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되어,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와 상기 고정핀(2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 가공하여 체결부(200)가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10)를 가공하고, 상기 프론트(10)의 안구부(100)의 내주면에 렌즈 장착홈(10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타공(201)이 형성된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된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를 상기 슬롯(204)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체결수단을 관통결합시켜, 상기 프론트(10)와 안경다리(4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200)에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20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슬롯(204)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상기 체결부(200)의 내측면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210)과 상기 리벳(2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핀(220)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리벳 안착홈(202)과, 상기 고정핀(220)이 안착되는 고정핀 안착홈(203)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가공하여 안경테의 프론트를 일체형으로 제조하게 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주조 또는 사출성형을 위한 금형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체결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안경다리의 링크부의 길이를 달리 구성할 경우, 한 가지 크기의 프론트로도 다양한 얼굴 크기에 맞추어 안경테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안경테의 프론트를 절삭가공에 의해 제조하므로 프론트의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론트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는 체결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타공을 형성함으로써 안경다리와의 견고한 체결이 가능해져 내구성이 뛰어난 안경테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안경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는 셀룰로이드 평판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의 사시도,
도 7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타공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
도 8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타공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C-C 단면도 및 D-D 단면도,
도 9는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E-E 단면도 및 F-F 단면도,
도 10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G-G 단면도 및 H-H 단면도,
도 11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I-I 단면도 및 J-J 단면도,
도 12는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K-K 단면도 및 L-L 단면도,
도 13은 고정핀의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경테는,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101)이 형성되는 좌우측 안구부(1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안경다리(400)가 연결되는 체결부(2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구성되는 프론트(10)와;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체결부(200)에 일단이 연결되는 안경다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10)는 플라스틱 소재인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가공하여 제조되며, 상기 안경다리(400)는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경다리(400)는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체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401)와, 상기 링크부(401)의 타단에 힌지부(403)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404)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에는 소정각도로 경사져 관통되는 복수의 타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이 상기 타공(201)과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는 상기 슬롯(204)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401)에는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관통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400)가 상기 프론트(1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리벳(210)과 상기 리벳(2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220)에는 리벳(210)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리벳 관통홀(2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롯(204)은 상기 체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슬롯(204)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되고, 상기 슬롯(204)에 삽입되는 링크부(401)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할 경우, 하나의 프론트(10)를 사용하면서도 다양한 크기의 안경테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의 제조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제조방법은,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가공하여 체결부(200)가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길이 돌출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10)를 제조하고, 상기 안구부(100)의 내주면에 렌즈 장착홈(101)을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S2); 상기 타공(201)이 형성된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을 형성하는 단계(S3); 및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된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를 상기 슬롯(204)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체결수단을 관통결합시켜, 상기 프론트(10)와 안결다리(400)를 결합하는 단계(S4);로 구성된다.
도 5는 셀룰로이드 평판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체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제조방법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셀룰로이드 평판(1)을 절삭가공하여 프론트(10)를 형성한다. 상기 셀룰로이드 평판(1)의 절삭가공은 MC(Machining Center)가공을 통해 이루어진다. 셀룰로이드 평판(1)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하는 디자인의 안경테 프론트(10)의 형상을 그려넣고, 그려진 디자인에 따라 MC가공을 하여 프론트(10)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에는 절삭가공을 통해 가공된 프론트(1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프론트(10)는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 장착홈(101)이 형성되는 좌우측 안구부(100)와, 상기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돌출형성된 체결부(2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가공된다.
상기 체결부(200)에는 그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타공(201)이 형성된다.
도 7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타공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A-A 단면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체결부(200)에 형성되는 타공(201)은 상하로 이격되어 2개소에 형성되고, 상기 타공(201)은 양측면을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되어 있으며, 일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갈수록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반대 방향인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타공(201)을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안경다리(400)에 큰 하중이 작용하여 체결부(200)에 그 힘이 미치더라도 쉽게 부러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타공(201)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됨으로 인해 전단력이나 인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 하중의 작용 단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하중이 분산됨으로써 허용 응력이 커져 체결부(200)가 쉽게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안경테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타공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C-C 단면도 및 D-D 단면도이다. 도 8은 체결부(200)의 외측면에 리벳 안착홈(202)을 형성하고, 체결부(200)의 내측면에는 고정핀 안착홈(203)을 형성한 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리벳 안착홈(202)과 고정핀 안착홈(203)을 형성함으로써 리벳(210)의 헤드부(211) 및 고정핀(220)의 외측 단부가 체결부(20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세련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리벳(210)과 고정핀(220)을 체결부(20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안경다리(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는 체결부(200)에 슬롯(204)을 형성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E-E 단면도 및 F-F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리벳 안착홈(202)과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롯(204)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상기 슬롯(204)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에서 전방측으로 소정깊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슬롯(204)의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슬롯(204)은 타공(201)과 교차되어 형성되고, 슬롯(204)에 의해 타공(201)은 두 부분으로 분할된다.
도 10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G-G 단면도 및 H-H 단면도이다. 도 10은 체결부(200)의 타공(201)에 리벳 안착홈(202)과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된 상태에서 슬롯(20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리벳 안착홈(202)과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되어, 리벳(210)과 고정핀(220)으로 안경다리(400)를 고정 장착하는 경우 리벳(210)과 고정핀(220)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1과 도 12는 슬롯(204)을 체결부(200)의 상하 전체 길이에 형성하지 않고, 슬롯(204)의 상하 부분에 일정한 벽을 형성한 상태의 실시예들이다.
도 11은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I-I 단면도 및 J-J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04)의 상하부에는 슬롯벽(205)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벽(205)이 형성됨으로 인해서 슬롯(204) 내부에 삽입된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는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에 의해서도 안경다리(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2는 체결부에 형성되는 슬롯의 제4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와 K-K 단면도 및 L-L 단면도이다. 도 12는 리벳 안착홈(202)과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된 상태에서 슬롯(204)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1에서와 마찬가지로 슬롯(204)의 상하부에는 슬롯벽(205)이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프론트(10)의 가공이 완료되면, 프론트(10)와 안경다리(400)를 체결하게 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안경다리(400)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링크부(401)에는 리벳(210)이 관통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부(401)는 슬롯(204)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링크부(401)가 삽입되면 체결부(200)의 타공(201)과 링크부(401)의 관통공(402)을 통해 리벳(210)이 삽입되며, 리벳(210)의 타단은 고정핀(220)의 리벳 관통홀(221)에 삽입되며, 고정핀(220)의 리벳 관통홀(221)을 통해 돌출된 리벳(210)의 끝단에는 압축력을 가하여 리벳(210)의 끝을 압착하여 고정핀(220)과 함께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10)는 셀룰로이드 평판(1)을 절삭하여 일체형으로 가공하고,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의 길이를 달리 구성할 경우 동일한 프론트(100)를 사용하면서도 링크부(401)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안경테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두 개의 리벳(210)을 하나의 헤드부와 두 개의 다리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헤드부가 커짐으로 인해 헤드부에 상표 등을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벳(210)의 수를 두 개 이상으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개수로 타공(201)과 관통공(402) 및 고정핀(220)의 리벳 관통홀(22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리벳(210)을 원형이 아닌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하나의 리벳(210)만으로도 안경다리(400)를 프론트(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리벳(210)을 테이퍼 형상으로 제조하고 타공(201)을 통해 압입하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경우에는 고정핀(220) 없이도 안경다리(400)를 프론트(10)의 체결부(200)에 고정 장착할 수 있다.
도 13은 고정핀의 다양한 형상의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고정핀(220)은 타원형, 8자형, 사각형, 또는 마름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고정핀(220)을 형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고정핀(220)을 두 개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안경다리(40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따라서 안경다리(400)가 오랜 사용에 의해서도 쉽게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셀룰로이드 평판(1)을 절삭하여 프론트(10)를 제조하게 되므로 별도의 금형이 필요 없고, 타공(201)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내구성 및 견고성을 가질 수 있으며, 셀룰로이드 평판(1)을 이용함으로써 더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있는 안경테를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프론트(1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하고, 안경다리(400)는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할 경우 다양한 칼라와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프론트 100 : 안구부
101 : 렌즈 장착홈 200 : 체결부
201 : 타공 202 : 리벳 안착홈
203 : 고정핀 안착홈 204 : 슬롯
205 : 슬롯벽 210 : 리벳
211 : 헤드부 220 : 고정핀
221 : 리벳 관통홀 300 : 연결부
400 : 안경다리 401 : 링크부
402 : 관통공 403 : 힌지부
404 : 귀걸이부

Claims (12)

  1. 내주면에 렌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렌즈장착홈(101)이 형성되는 좌우측 안구부(1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안경다리(400)가 연결되는 체결부(200)와,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00)로 구성되며, 셀룰로이드 평판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프론트(10)와;
    상기 프론트(10)에 형성된 체결부(200)에 일단이 결합되는 링크부(401)와, 상기 링크부(401)의 타단에 힌지부(403)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귀걸이부(404)로 구성되는 안경다리(400);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200)는 상기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200)에는 복수의 타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타공(201)은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을 소정각도로 경사져 관통되고, 상기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이 상기 타공(201)에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슬롯(204)은 상기 체결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04)은, 상기 체결부(20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슬롯(204)의 상하부에 슬롯벽(205)이 형성되도록 상기 체결부(20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5.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는 상기 슬롯(204)에 삽입되고, 상기 링크부(401)에는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관통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안경다리(400)가 상기 프론트(10)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21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2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20)이 더 부가되고,
    상기 고정핀(220)은 상기 리벳(210)의 개수에 대응하는 수의 리벳 관통홀(221)이 형성된 타원형, 사각형, 마름모 또는 8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에 상기 타공(201)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가 안착되는 리벳 안착홈(202)과, 상기 고정핀(220)이 안착되는 고정핀 안착홈(203)이 형성되어,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와 상기 고정핀(220)의 외측 단부는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9. 셀룰로이드 평판을 절삭 가공하여 체결부(200)가 좌우측 안구부(100)의 양측 단부에서 후방측으로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 안경테의 프론트(10)를 가공하고, 상기 프론트(10)의 안구부(100)의 내주면에 렌즈 장착홈(10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체결부(200)의 양측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타공(201)이 형성된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소정깊이의 슬롯(204)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타공(201)에 대응하는 관통공(402)이 형성된 안경다리(400)의 링크부(401)를 상기 슬롯(204)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형성된 타공(201) 및 상기 링크부(401)에 형성된 관통공(402)을 통해 체결수단을 관통결합시켜, 상기 프론트(10)와 안경다리(4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200)에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20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을 향하여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슬롯(204)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부(20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전방측으로 상기 체결부(200)의 내측면을 향해 소정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리벳(210)과 상기 리벳(210)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핀(220)을 사용하고, 상기 체결부(200)에 타공(201)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리벳(210)의 헤드부(21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리벳 안착홈(202)과, 상기 고정핀(220)이 안착되는 고정핀 안착홈(203)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의 제조방법.


KR1020110101171A 2011-10-05 2011-10-05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KR101211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71A KR101211819B1 (ko) 2011-10-05 2011-10-05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71A KR101211819B1 (ko) 2011-10-05 2011-10-05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1819B1 true KR101211819B1 (ko) 2012-12-12

Family

ID=4790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71A KR101211819B1 (ko) 2011-10-05 2011-10-05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1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138A (ko) 2022-05-13 2023-11-07 손상윤 안경 프레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40B1 (ko) * 2010-03-04 2010-10-05 장중태 셀룰로이드 평판을 이용한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40B1 (ko) * 2010-03-04 2010-10-05 장중태 셀룰로이드 평판을 이용한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4138A (ko) 2022-05-13 2023-11-07 손상윤 안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0787B2 (ja) 眼鏡
JP2007264207A (ja) 眼鏡
US7513618B2 (en) Nose pad
JP5437478B2 (ja) セルロイド平板を利用した眼鏡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11819B1 (ko) 안경테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US20190079312A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US7086734B2 (en) Position-adjustable lens and nose-pad assembly
KR101296800B1 (ko) 안경테
KR101580588B1 (ko) 안경 프론트
KR102036506B1 (ko) 안경의 림락 장치
US6966646B1 (en) Self-assembly glasses
JP3694785B2 (ja) メガネ部品の切抜きシート板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JP4073007B2 (ja) 異種金属組み合わせテンプル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JP6560066B2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JP3208441U (ja) メガネフレーム
JP3222303U (ja) 眼鏡用ピアス吊下具
JP3111612U (ja) ピアス及びピアス型飾り着脱式眼鏡
JP3105590U (ja) 眼鏡の球形状蝶番
KR101757188B1 (ko) 콤비네이션 안경테
KR200335703Y1 (ko) 십자가형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