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660B1 -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660B1
KR101210660B1 KR1020107018317A KR20107018317A KR101210660B1 KR 101210660 B1 KR101210660 B1 KR 101210660B1 KR 1020107018317 A KR1020107018317 A KR 1020107018317A KR 20107018317 A KR20107018317 A KR 20107018317A KR 101210660 B1 KR101210660 B1 KR 10121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operation
exhaust
combustion
nitrogen oxid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728A (ko
Inventor
타이수케 오노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2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95Controlling the catalytic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1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71Regulation of absorbents or adsorbents, e.g. 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71Regulation of absorbents or adsorbents, e.g. purging
    • F01N3/0878Bypas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1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20Reductants
    • B01D2251/208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90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talysts
    • B01D2255/904Multiple catalysts
    • B01D2255/9045Multiple catalysts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90Physical characteristics of catalysts
    • B01D2255/91NOx-storage component incorporated in the cataly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4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uel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18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adsorber or absor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36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n exhaust fl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F01N2410/04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during regeneration period, e.g. of particle fil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10/00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 F01N2410/12By-passing, at least partially, exhaust from inlet to outlet of apparatus, to atmosphere or to other device in case of absorption, adsorption or desorption of exhaust gas constitu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3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hydrocarbons, e.g. engine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Abstract

재생운전에서는, 절환밸브(4)의 절환에 의해, 당해 재생운전이 실시되는 분기 배기통로(2)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제1 연소장치(6) 및 제2 연소장치를 작동시키는 운전으로서, 재생운전이,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흡착된 질소산화물을 탈리시키는 주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주 재생운전에서 공급되는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연료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있으며, 주 재생운전이 제1 주 재생운전 및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주 재생운전으로부터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진행됨에 따라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EXHAUST GAS PUR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디젤기관, 가스기관, 가솔린기관 또는 가스터빈기관과 같은 내연기관, 또는 소각로나 보일러와 같은 연소기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과잉상태에서 통상운전을 실행하는 내연기관 등의 배기통로에 접속되어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유해성분으로서,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물질을 배기가스로부터 제거해서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는,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있다.
본건 출원인도,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개발해서, 이미 일본국에 특허출원을 한 바 있다(특허문헌 1). 본 발명의 도 4에는,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건 출원인에 의한 종전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는, 내연기관 등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 배기통로(202a, 202b)의 각각에, 질소산화물 흡착재(204)와, 제1 연소장치(흡착물질 탈리수단; 203)와, 제2 연소장치(205)가 설치되어 있다. 내연기관 등으로부터 나온 배기가스는, 일부의 분기 배기통로(202a; 또는 202b)로만 공급되고, 다른 분기 배기통로(202b; 또는 202a)로는 공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공급된 분기 배기통로(202a)에서는, 질소산화물이 질소산화물 흡착재(204)에 흡착되어 제거됨과 더불어, 질소산화물 흡착재(204)가 가진 산화촉매에 의해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가 이산화탄소나 물로 산화된다. 한편, 배기가스의 공급이 차단된 분기 배기통로(202b)에서는, 제1 연소장치(203)가 환원분위기를 만들게 됨으로써 질소산화물 흡착재(204)에서 질소산화물이 탈리되고, 탈리된 질소산화물이 제2 연소장치(205)에 의해 질소로 환원된다. 즉, 일부의 분기 배기통로(202a)에서는, 질소산화물을 질소산화물 흡착재(204)에 흡착시키는 통상운전이 행해지고, 동시에 다른 분기 배기통로(202b)에서는, 질소산화물을 흡착재(204)로부터 탈리시키는 재생운전이 행해져, 질소산화물 흡착재(204)의 흡착능력의 유지가 도모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종래의 정화장치와 같이, 삼원촉매나, 암모니아나 요소 등을 이용하지 않는 정화장치이다. 여기서, 삼원촉매는,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를 동시에 분해할 수 있는 촉매이지만, 공기과잉환경 하에서는 유효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또, 암모니아 등을 이용한 정화장치는, 장치 자체가 너무 복잡해서 고가이고, 환원제로서의 암모니아 등의 유지비나 암모니아 등의 공급체제의 정비도 필요하게 되어, 문제점이 많았다. 그에 대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공기과잉조건 하에서 운전되는 내연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부터 유해성분(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을 제거해서 정화하고, 더구나 그 정화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 일본국 특개 2006-272115호 공보
그런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에서는, 제1 연소장치(흡착물질 탈리수단; 203)가 연료과잉조건 하에서 연소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환원분위기가 질소산화물 흡착재(204)로 공급되게 된다. 재생운전이 완료되기까지 환원분위기를 계속 공급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나, 재생운전의 실시 중에는, 동일한 분기 배기통로에서 통상운전을 실시할 수가 없다. 그리고, 재생운전의 실시시간의 증대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처리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재생운전의 실시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환원분위기의 유량(流量)을 늘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환원분위기의 유량을 늘리면, 환원분위기의 발생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환원제의 소비량)가 증가하게 된다. 소비 에너지는, 환원분위기의 발생수단을 연소장치로 하는 경우(도 4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경우) 연료의 소비량에 해당한다. 즉, 질소산화물 흡착제로부터의 질소산화물의 탈리량을 증대시키려면, 탈리(脫離)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나, 탈리에 요하는 시간(탈리시간)을 증대시켜야만 한다.
본 발명은, 환원분위기를 공급함으로써, 질소산화물 흡착재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탈리시키는 구성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탈리에 요하는 소비 에너지나 탈리에 요하는 시간을 증대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질소산화물의 탈리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의 제1 발명은,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의 기관측 배기통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 배기통로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의 배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해서, 상기 기관측 배기통로로부터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로의 배기가스의 유입 및 차단을 절환하는 배기가스 차단수단과,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 설치되어, 공기과잉분위기에서 질소산화물을 일시적으로 흡착하여, 당해 흡착한 질소산화물을 승온 또는 환원분위기에서 탈리하는 질소산화물 흡착재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서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재보다 배기 상류측에 배치되고서, 공기공급수단, 연료공급수단 및 착화수단으로 구성되어, 연료 및 공기가 혼합된 제1 혼합가스를 공급해서 연소시키는 제1 연소장치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서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재보다 배기 하류측에 배치되고서, 공기공급수단, 연료공급수단 및 착화수단으로 구성되는 제2 연소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어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에 대해, 통상운전과 재생운전이 행해지되, 상기 통상운전은, 상기 배기가스 차단수단의 절환에 의해 당해 통상운전이 실시되는 상기 분기 배기통로에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운전이고, 상기 재생운전은, 상기 배기가스 차단수단의 절환에 의해 당해 재생운전이 실시되는 상기 분기 배기통로로의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소장치 및 상기 제2 연소장치를 작동시키는 운전으로서,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제에 흡착된 질소산화물을 탈리시키는 주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연료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있으며, 상기 주 재생운전이 제1 주 재생운전 및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주 재생운전으로부터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발명은, 다음의 구성(a) ~ (c)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상기 주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0.6 < λ< 1.0의 범위로 제어된다.
(b)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주 재생운전의 전(前)단계에 전(前)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공기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c)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주 재생운전의 후 단계에, 후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공기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된다.
본원의 제1 발명에 의하면,
주 재생운전에서의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에너지나 탈리에 요하는 시간을 증대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질소산화물의 탈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주 재생운전의 초기에 승온(昇溫)되기 때문에, 탈리의 개시도 빨라지게 된다.
또한, 구성 (a)에 의하면,
질소산화물 흡착재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효과적으로 탈리할 수가 있다.
또한, 구성 (b)에 의하면,
질소산화물 흡착제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를 주 재생운전에 앞서 승온시키기 때문에, 주 재생운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 (c)에 의하면,
질소산화물 흡착제에 부착되어 있는 환원제를 제거할 수 있어, 통상운전이 실시될 때에 기관 외부로 배출되는 환원제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제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각 분기 배기통로에서의 통상운전 및 재생운전의 시간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재생운전에서의 가스 유량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
도 1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1)는,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의 기관측 배기통로(100)에 접속되는 장치이다.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는, 공기 및 연료의 혼합가스를 연소시켜 배기가스를 생성한다. 배기가스에는, 질소산화물(NOx)이나, 미연물(未燃物)로서의 일산화탄소(CO)나 탄화수소(HC) 등이 포함되어 있다. 기관측 배기통로(100)는,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가 구비하는 배기통로이다.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는 기관측 배기통로(100)로부터 배출된다.
도 1에는, 배기가스의 통로로서, 기관측 배기통로(100)와,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분기 배기통로(2, 3)와, 합류 배기통로(110)가 나타나 있다. 분기 배기통로(2, 3)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가 구비하는 배기통로이다. 기관측 배기통로(100)의 배기 출구(100b)는, 분기 배기통로(2, 3)의 배기 입구(2a, 3a)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배기통로(2, 3)의 배기 출구(2b, 3b)는, 합류 배기통로(110a)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배기통로(100, 2, 3 및 110)는, 외기(外氣)로부터 차단된 통로로서, 예컨대 파이프로 구성된다. 한편, 합류 배기통로(110)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가 구비하는 배기통로이어도,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의 배기통로이어도 좋다.
F는, 분기 배기통로(2, 3) 내를 흐르는 가스(배기가스)가 흐르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방향 F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반대측이 배기 상류측이다.
기관측 배기통로(100)로부터 나온 배기가스는, 분기 배기통로(2) 내에서는, 배기 입구(2a)로부터 배기 출구(2b)로 흐르고, 분기 배기통로(3) 내에서는, 배기 입구(3a)로부터 배기 출구(3b)로 흐른다.
배기가스 정화장치(1)는, 제어장치(전자 컨트롤 유닛; 1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10)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에 구비되는 각 장치(뒤에 설명됨)를 제어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1)는, 분기 배기통로(2, 3)의 배기 입구(2a, 3a)를 폐쇄해서, 기관측 배기통로(100)로부터 각 분기 배기통로(2, 3)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배기가스 차단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가스 차단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관측 배기통로(100)와 분기 배기통로(2, 3)와의 합류부에, 가스의 차단밸브(4)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밸브(4)는, 기관측 배기통로(100)의 배기 출구(100b)로부터 분기 배기통로(2, 3)의 배기 입구(2a, 3a)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허용한다. 차단밸브(4)에 의한 차단 및 허용의 절환은, 제어장치(10)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한편, 배기가스 차단수단은, 각 분기 배기통로(2, 3)마다 설치되는 절환밸브의 군(群)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이 경우, 각 절환밸브가 분기 배기통로(2)의 배기 입구(2a) 및 분기 배기통로(3)의 배기 입구(3a)에 각각 설치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1)는,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 각각, 질소산화물 흡착재(5)와, 제1 연소장치(6)와, 제2 연소장치(7)와, 보조 공기공급수단(5)을 구비하고 있다. 각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 배기 하류측을 향해, 제1 연소장치(6), 질소산화물 흡착재(吸着材; 5), 제2 연소장치(7) 및 보조 공기공급수단(5)이 순차로 배치되어 있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는, 공기과잉분위기에서 질소산화물을 일시적으로 흡착하고, 당해 흡착한 질소산화물을 환원분위기에서 탈리하는 재료이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5)가 환원분위기에 더해 승온분위기에 놓여지면, 질소산화물의 탈리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여기서, 공기 과잉이라 함은, 공기(산소) 및 연료의 혼합가스에서, 공기과잉률(공급된 혼합가스의 공기연료비를 이상(理想) 공기연료비로 나눈 값)이, 1보다 큰 상태를 가리킨다. 또, 공기과잉률이 1보다 작은 상태는, 연료 과잉의 상태이다. 환원분위기라 함은, 연소(산화 및 환원반응)가 발생했을 때에, 환원제 과잉으로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 있는 가스를 가리킨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는, 산화작용을 가진 촉매성분도 갖고 있다.
제1 연소장치(6)는, 공기공급수단과, 연료공급수단과, 착화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연소장치(6)는, 연료 및 공기가 혼합된 제1 혼합가스를 공급해서 연소시킨다. 제1 연소장치(6)는, 연료과잉조건 하에서 연소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환원제로서의 미연물(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을 포함한 환원분위기를 발생시킴과 더불어, 연소반응의 열에 의해 승온분위기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제1 연소장치(6)의 공기공급수단은, 공기공급장치(11)와, 공기조량장치(12)와, 공기노즐(61)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공급장치(11)는, 외기를 끌어들여 공기조량장치(12)로 공급한다. 공기조량장치(12)는, 공급된 공기(외기)를, 공기량을 조정한 후 공기노즐(61)로 공급한다. 공기노즐(61)은,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1 연소영역(A1)으로 개구된 노즐이다. 공기노즐(61)로 공급된 공기는, 분기 배기통로(2, 3) 내로 분사된다. 여기서, 제어장치(10)가 공기조량장치(12)를 제어해서 공기노즐(61)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정한다.
제1 연소장치(6)의 연료공급수단은, 제어장치(10)와, 연료탱크(13)와, 연료조량장치(14)와, 연료노즐(62)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탱크(13)에는, 연료가 비축되어 있다. 연료조량장치(14)는, 연료탱크(13)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를 연료의 양을 조정한 후 연료노즐(62)로 공급한다. 연료노즐(62)은,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1 연소영역(A1)으로 개구된 노즐이다. 제1 연소영역(A1)은,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배기 상류측에 위치해 있다. 연료노즐(62)로 공급된 연료는 분기 배기통로(2, 3) 내로 분사된다. 또, 제어장치(10)는, 연료조량장치(14)를 제어해서 연료노즐(62)로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정한다.
제1 연소장치(6)의 착화수단은 점화 플러그(63)이다. 점화 플러그(63)는,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 착화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공기노즐(61)로부터 분사된 공기와, 연료노즐(62)로부터 분사된 연료에 의해,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1 연소영역(A1)에 혼합가스가 생성되고 있다. 점화 플러그(63)는, 이 혼합가스를 착화해서 연소시킨다.
제1 연소장치(6)는, 제1 연소장치(6)의 배기 하류측에 승온 및 환원분위기를 발생시킨다. 승온분위기는, 혼합가스의 연소의 열에 의해 발생한다. 환원분위기는,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미연물(일산화탄소, 탄화수소)이 생성됨으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연소장치(6)는, 공기공급수단을 가짐과 더불어, 당해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승온 및 환원분위기로 만드는 수단이다.
제1 연소장치(6)의 위치는, 공기 노즐(61), 연료노즐(62) 및 점화 플러그(63)의 위치를 가리킨다. 제1 연소장치(6)는, 각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보다 배기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연소장치(7)는, 공기공급수단과, 연료공급수단과, 착화수단으로 구성된다. 제2 연소장치(7)는, 연료과잉조건 하에서 연소반응을 발생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을 환원해서 질소로 변화시킨다.
제2 연소장치(7)의 공기공급수단도, 제1 연소장치(6)의 공기공급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제2 연소장치(7)의 공기공급수단은, 공기공급장치(11)와, 공기조량장치(12)와, 공기노즐(71)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연소장치(6)의 공기공급수단의 공기노즐(61)이, 제2 연소장치(7)의 공기공급수단에서는 공기노즐(71)로 치환되어 있다. 한편, 공기노즐(71)은,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2 연소영역(A2)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2 연소장치(7)의 연료공급수단도, 제1 연소장치(6)의 연료공급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제2 연소장치(7)의 연료공급수단은, 연료탱크(13)와, 연료조량장치(14)와, 연료노즐(72)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1 연소장치(6)의 공기공급수단의 연료노즐(62)이, 제2 연소장치(7)의 연료공급수단에서는 연료노즐(72)로 치환되어 있다. 한편, 연료노즐(62)은,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2 연소영역(A2)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2 연소장치(7)의 착화수단도, 제1 연소장치(6)의 착화수단과 마찬가지이다. 제2 연소장치(7)의 착화수단은, 점화 플러그(73)로서,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2 연소영역(A2)에서 착화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제2 연소장치(7)의 위치는, 공기노즐(71), 연료노즐(72) 및 점화 플러그(73)의 위치를 가리킨다. 제2 연소장치(7)는, 각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보다 배기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보조 공기공급수단(5)은, 제1 연소장치(6)나 제2 연소장치(7)의 공기공급수단과 마찬가지이다. 보조 공기공급수단(5)은, 공기공급장치(11)와, 공기조량장치(12)와, 공기노즐(151)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노즐(151)은, 제1 연소장치(6)의 공기노즐(61)이나, 제2 연소장치(7)의 공기노즐(71)에 상당한다. 한편, 공기노즐(151)은, 분기 배기통로(2, 3) 내의 제3 연소영역(A3)으로 개구되어 있다.
보조 공기공급수단(5)의 위치는, 공기노즐(151)의 위치를 가리킨다. 보조 공기공급수단(5)은, 각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 제2 연소장치(7)의 공기공급수단의 배기 하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방법]
다음에는, 본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어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배기가스 정화장치(1)에 있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방법이다.
각 분기 배기통로(2, 3)에서 행해지는 운전에는, 통상운전과, 재생운전이 있다. 운전을 제어하는 것은 제어장치(10)이다.
통상운전은, 차단밸브(4)의 절환에 의해, 통상운전이 실행되는 분기 배기통로(2, 3)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운전이다. 통상운전에 의해,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질소산화물이 흡착된다.
재생운전은, 차단밸브(4)의 절환에 의해, 재생운전의 실행되는 분기 배기통로(2, 3)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제1 연소장치(6) 및 제2 연소장치(7)를 작동시키는 운전이다. 재생운전은,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탈리시켜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흡착능력을 재생하는 운전(주 재생운전 : 뒤에 설명됨)과,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환원제(미연물)나 입자상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운전(전 재생운전, 후 재생운전 : 뒤에 설명됨)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통상운전에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배기가스에 함유된 입자상 물질이 포획된다. 입자상 물질은, 탄소, 탄화수소, 황산염류 등으로 구성되는 미립자이다. 입자상 물질의 포획량의 증대도,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흡착능력을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재생운전에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의 제거도 함께 실행된다.
도 2에는, 각 분기 배기통로(2, 3)에서의 통상운전 및 재생운전의 시간표의 1 예가 나타나 있다. 각 분기 배기통로(2, 3)에서, 통상운전 및 재생운전이 주기적으로 반복해서 실행된다. 통상운전의 연속 실행시간은 통상운전시간(WN)이고, 재생운전의 연속 실행시간은 재생운전시간(WR)이다.
통상운전 및 재생운전의 절환은, 운전의 연속 실행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면 실행된다. 또는,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서의 질소산화물의 흡착량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해서, 흡착량의 검출치에 기해 통상운전과 재생운전과의 절환이 행해지도록 하여도 좋다.
배기가스의 배출이 중단되지 않도록, 항상 적어도 어느 1개의 분기 배기통로(2, 3) 내에서는 통상운전이 실행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것을 의미한다. 각 분기 배기통로(2, 3)는, 통상운전 및 재생운전을 되풀이하지만, 모든 분기 배기통로(2, 3)에서 동시에 재생운전이 실행되는 일은 없다. 한편, 모든 분기 배기통로(2, 3)에서 동시에 통상운전이 실행되고 있어도 좋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통상운전은, 분기 배기통로(2, 3)의 쌍방에서 시간 축 상에서,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다. 한편, 재생운전은, 분기 배기통로(2, 3)의 양쪽에서 동시에 실행되는 일은 없다.
제어장치(10)는, 작동개시시각(T0; 배기가스 정화장치(1)의 작동이 개시된 시점)에, 분기 배기통로(2)에서 재생운전을 개시하고, 분기 배기통로(3)에서 통상운전을 개시한다. 즉, 제어장치(10)는, 차단밸브(4)를 제어해서, 기관측 배기통로(100)와 분기 배기통로(2)를 차단하는 한편, 기관측 배기통로(100)와 분기 배기통로(3)를 연통시킨다. 그 때문에, 배기가스는 분기 배기통로(3)로 유입된다. 이에 더해, 제어장치(10)는, 재생운전의 대상인 분기 배기통로(2) 내에서, 제1 연소장치(6), 제2 연소장치(7) 및 보조 공기공급수단(15)을 작동시킨다.
분기 배기통로(2)에서는, 작동개시시각(T0)으로부터 시각 T1까지 재생운전이 실행되고, 시각 T1에서 시각 T4까지 통상운전이 실행되고, 시각 T4에서 시각 T5까지 재생운전이 실행된다. 시각 T0에서 시각 T1까지의 시간 폭 및 시각 T4에서 시각 T5까지의 시간 폭은, 재생운전시간(WR)이다. 또, 시각 T1에서 시각 T4까지의 시간 폭은, 통상운전시간(WN)이다.
분기 배기통로(3)에서는, 작동개시시각(T0)으로부터 시각 T2까지 통상운전이 실행되고, 시각 T2에서 시각 T3까지 재생운전이 실행되고, 시각 T3으로부터 시각 T6까지 통상운전이 실행된다. 시각 T3에서 시각 T6까지의 시간 폭은, 통상운전시간(WN)이다. 시각 T2에서 시각 T3까지의 시간 폭은, 재생운전시간(WR)이다.
도 3에 나타나 있듯이, 재생운전은, 상세히는, 전(前) 재생운전과, 주(主) 재생운전과, 후(後)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다. 주 재생운전은,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탈리시켜 환원하는 운전이다. 전 재생운전은,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환원제(미연물)나 입자상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운전이다. 후 재생운전은,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 및 미연물(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을 산화시켜 제거하기 위한 운전이다. 한편, 재생운전에, 전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의 한쪽 또는 양쪽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주 재생운전은, 적어도 2단계의 운전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 재생운전은, 2단계의 운전으로부터 되어 있는바, 제1 주 재생운전 및 제2 주 재생운전으로 되어 있다.
시계열(時系列)로는, 재생운전에서, 전 재생운전, 제1 주 재생운전, 제2 주 재생운전, 후 재생운전의 순으로 운전이 실시된다.
전 재생운전, 주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의 각각에서 제1 연소장치(6)가 작동한다. 제1 연소장치(6)의 작동에 의해, 제1 연소영역(A1)에서, 연료 및 공기의 혼합된 제1 혼합가스가 생성된 후, 이 제1 혼합가스가 연소된다. 제1 혼합가스의 연소에 의해 제1 연소 후 가스가 생성된다.
전 재생운전에서는, 제1 연소장치(6)의 작동이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λ > 1.0의 범위로 제어된다. 제1 혼합가스의 유량(단위시간 당의 공기공급량)이, 유량 V3으로 제어된다. 전 재생운전의 실행시간이, 시간 폭 BR로 제어된다.
제1 주 재생운전에서는, 제1 연소장치(6)의 작동이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0.6 < λ <1.0의 범위로 제어된다. 제1 혼합가스의 유량(단위시간 당의 공기공급량)이, 유량 V4로 제어된다. 전 재생운전의 실행시간이, 시간 폭 MRl로 제어된다.
제2 주 재생운전에서는, 제1 연소장치(6)의 작동이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제1 혼합 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0.6 < λ < 1.0의 범위로 제어된다. 제1 혼합가스의 유량(단위시간 당의 공기공급량)이, 유량 V1로 제어된다. 전 재생운전의 행시간이 시간 폭 MR2로 제어된다.
여기서, 제1 주 재생운전의 유량 V4는, 제2 주 재생운전의 유량 V1보다도 크다. 즉, 주 재생운전에서의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이 감소되게 된다. 또, 제1 주 재생운전의 실행시간(시간 폭 MR1)은, 제2 주 재생운전의 실행시간(시간 폭 MR2)보다도 짧다.
후 재생운전에서는, 제1 연소장치(6)의 작동이 다음과 같이 제어된다. 제1 연소영역(A1)의 공기과잉률(λ)이, λ > 1.0의 범위로 제어된다. 제1 연소영역(A1)으로 공급되는 가스 유량(단위시간 당의 공기공급량)이, 유량 V2로 제어된다. 후 재생운전의 실행시간이, 시간 폭 AR로 제어된다.
[본 실시형태의 작동]
다음에는, 본 실시형태의 제어방법에 의한 배기가스 정화 장치(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배기가스 정화장치(1)에 접속되는 내연기관 등의 작동이 개시되면, 거기에 대응해서 제어장치(10)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의 작동이 개시되도록 한다. 제어장치(10)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의 작동에 수반해서, 각 분기 배기통로(2, 3)에서 통상운전 또는 재생운전이 실시되도록 한다.
통상운전의 실행상황을 설명한다. 통상운전의 대상인 분기 배기통로(2; 또는 3)에는 배기가스가 진입한다. 배기가스가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할 때, 배기가스에 함유된 질소산화물이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흡착됨으로써, 배기가스로부터 질소산화물이 제거된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5)가 산화촉매 성분을 갖고 있어서, 배기가스에 함유된 미연물(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이 산화된다.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는 이산화탄소 및 물로 산화되어 무해화된다. 그리고, 배기가스로부터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가 제거된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합류 배기통로(110)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통상운전의 실행이 계속되면,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흡착되는 질소산화물의 양이 많아져,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흡착능력이 저하된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흡착능력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탈리시킬 필요가 있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의 흡착능력은 재생운전에서 재생된다.
통상운전의 실행시간이 통상운전시간(WN)을 경과하면, 제어장치(10)는, 통상운전이 실행되고 있던 분기 배기통로(2; 또는 3)에서 통상운전을 종료시키고, 재생운전이 개시되도록 한다.
재생운전의 실행상황을 설명한다. 재생운전의 대상인 분기 배기통로(2; 또는 3)에는 배기가스의 진입이 차단된다. 재생운전에서는, 제어장치(10)는, 전 재생운전, 주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을 순차로 실행되도록 한다. 제어장치(10)는, 전 재생운전, 주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의 어느 운전에 있어서도, 제1 연소장치(6)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1 연소장치(6)가 발생시킨 제1 혼합가스(연료 및 공기의 혼합가스)가 연소되어, 제1 연소 후 가스가 생성된다. 여기서, 공기노즐(61)에서 공기가 분사됨으로써, 분기 배기통로(2: 또는 3) 내에 배기 하류측으로의 가스 흐름이 형성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 연소 후 가스는, 배기 하류측(질소산화물 흡착재(5) 측)으로 보내진다.
전 재생운전에서는, 제어장치(10)는, 제1 연소장치(6)를 공기과잉조건에서 작동시킨다. 그 때문에, 제1 연소 후 가스가,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할 때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된다. 또, 제1 연소 후 가스의 열에 의해, 질소산화물 흡착재(5)가 승온(昇溫)된다. 그 때문에, 전 재생운전에 이어지는 주 재생운전에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가 이미 승온된 상태로 된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한 제1 연소 후 가스는, 배기 하류측으로 보내져, 합류 배기통로(110)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주 재생운전(제1 주 재생운전 및 제2 주 재생운전)에서는, 제어장치(10)는, 제1 연소장치(6)를 연료과잉조건에서 작동시킨다. 그 때문에, 제1 연소 후 가스에는, 미연물인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들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는 질소산화물의 환원제로서 작용한다. 그 때문에, 제1 연소 후 가스가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하면, 질소산화물 흡착재(5)는 환원분위기에 놓여진다. 또, 제1 연소 후 가스의 열에 의해 질소산화물 흡착재(5)는 승온분위기에도 놓이게 된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이 환원분위기(또는 승온분위기)에 놓이게 되므로,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흡착된 질소산화물이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탈리된다. 탈리된 질소산화물은, 제1 연소 후 가스에 섞여 배기 하류측(제2 연소영역(A2) 측)으로 보내진다.
특히, 주 재생운전은, 유량이 큰 제1 단계(제1 주 재생운전)와, 유량이 작은 제2 단계(제2 주 재생운전)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다음의 이유에 의해서다. 주 재생운전의 초기단계에서 유량을 크게 하면, 탈리개시시기가 빨라지게 된다. 또, 한번 탈리가 개시되면, 그 후 유량을 적게 하더라도 탈리가 계속된다. 그 때문에, 탈리개시시기를 빨라지도록 하기 위해 제1 단계의 유량을 크게 하고, 탈리 반응을 유지하면서 유량(단위시간 당의 소비 에너지)을 줄일 수 있도록 제2 단계의 유량을 작게 하고 있다.
제어장치(10)는, 재생운전에서의 제1 연소장치(6)의 작동과 동시 또는 작동 후에 제2 연소장치(7) 및 보조 공기공급수단(17)을 작동시킨다. 제2 연소장치(7)의 작동에 의해, 제2 연소영역(A2) 및 제3 연소영역(A3)에 연료 및 공기의 혼합가스가 생성된다. 제3 연소영역(A3)에는, 보조 공기공급수단(17)에 의해 다시 공기가 공급된다.
여기서, 제2 연소영역(A2)에 생성되는 혼합가스를 제2 혼합가스로 하고, 제3 연소영역A3)에 형성되는 혼합가스를 제3 혼합가스로 한다. 제3 혼합가스에는, 제2 혼합가스보다도 많은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제3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은 제2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보다도 높아진다. 그 때문에, 제2 연소장치(7)로 공급하는 연료 및 공기의 양과, 보조 공기공급수단(17)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양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제2 연소영역(A2)에서는 연료과잉조건 하에서 연소반응을 일으키고, 제3 연소영역(A3)에서는 공기과잉조건 하에서 연소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제2 연소영역(A2)에는, 제1 연소영역(A1)으로부터의 제1 연소 후 가스가 도달한다. 따라서, 제2 연소영역(A2)에서는, 제2 혼합가스 및 제1 연소 후 가스가 연소되어, 제2 연소 후 가스가 생성된다. 여기서, 제2 혼합가스 및 제1 연소 후 가스가 합쳐진 가스가 연료 과잉상태로 되도록, 제2 연소장치(7)의 작동(연료 및 공기의 공급량)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연료과잉조건에서 발생한 제2 연소 후 가스에는 많은 미연물이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 연소 후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탈리된 질소산화물)이, 마찬가지로 제2 연소 후 가스에 포함되는 미연물에 의해 환원되어 질소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내연기관으로부터 나온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질소산화물이 무해화된다.
질소 및 미연물을 포함한 제2 연소 후 가스는, 공기노즐(61, 71)이 발생시킨 가스 흐름에 의해, 배기 하류측(제3 연소영역(A3))으로 보내진다.
제3 연소영역(A3)에서는, 제3 혼합가스 및 제2 연소 후 가스가 연소되어, 제3 연소 후 가스가 생성된다. 여기서, 제3 혼합가스 및 제2 연소 후 가스가 합쳐진 가스가 공기 과잉으로 되도록, 제2 연소장치(7)의 작동(연료 및 공기의 공급량) 및 보조 공기공급수단(17)의 작동(공기의 공급량)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공기과잉조건에서, 제3 혼합가스 및 제2 연소 후 가스가 연소됨으로써, 제2 연소 후 가스에 포함된 미연물(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이 산화된다. 그리고, 질소산화물의 환원을 위해 제1 연소장치(6)가 발생시킨 미연물이 제거된다. 또, 입자상 물질도 산화되어 제거된다.
미연물이 제거된 제3 연소 후 가스는, 공기노즐(61, 71)이 발생시킨 가스 흐름에 더해, 공기노즐(171)이 발생시킨 가스 흐름에 의해 배기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3 연소 후 가스는, 합류 배기통로(110)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소장치(7) 및 보조 공기공급수단(17)을 이용함으로써, 제2 연소영역(A2)에 연료 과잉의 연소를 발생시키고, 제3 연소영역(A3)에 공기 과잉의 연소를 발생시키고 있다. 연료 과잉의 연소와, 공기 과잉의 연소를 동시에 발생시키는 구성은, 이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연소장치(7)만의 구성이더라도, 연료 과잉의 연소와 공기 과잉의 연소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연료분사 위치에 가까운 부위는 연료 과잉으로 되고, 연료분사 위치로부터 먼 부위가 공기 과잉으로 되는 것을 이용해서, 제2 연소영역(A2)에 연료 과잉의 연소를 발생시키고, 제3 연소영역(A3)에 공기 과잉의 연소를 발생시킨다.
후 재생운전에서는, 제어장치(10)는, 전 재생운전과 마찬가지로, 제1 연소장치(6)를 공기과잉조건에서 작동시킨다. 그 때문에, 제1 연소 후 가스가,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할 때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부착되어 있는 환원제(미연물 인 단화수소나 일산화탄소)가 산화되어 제거된다. 여기서,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미연물이 부착되는 것은, 후 재생운전에 앞선 주 재생운전에서, 연료과잉조건에서 발생한 제1 연소 후 가스가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하기 때문이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된다.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통과한 제1 연소 후 가스는, 배기 하류측으로 보내져, 합류 배기통로(110)를 거쳐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생운전에서, 제2 연소장치(7)를 작동시키는 것은, 주 재생운전만으로 되어 있다. 주 재생운전에서는,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탈리된 질소산화물을 환원하고, 질소산화물의 탈리에 이용한 환원제(미연물)를 제거할 목적으로, 제2 연소장치(7)가 작동되게 된다. 따라서, 전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에서는, 질소산화물이나 환원제(미연물)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질소산화물이나 환원제(미연물)를 제거할 목적으로 제2 연소장치(7)를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전 재생운전 및 후 재생운전에 있어서는, 제2 연소장치(7)를 작동시켜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주 재생운전이, 유량이 큰 제1 단계(제1 주 재생운전)와, 유량이 작은 제2 단계(제2 주 재생운전)로 구성되기 때문에, 유량이 큰 제1 단계에 의해 탈리개시시기가 빨라지게 됨과 더불어, 유량이 작은 제2 단계에 의해 탈리 반응을 유지하면서도 유량(단위시간당 소비 에너지)을 줄일 수가 있다. 한편, 유량을 일정하게 한 경우는, 유량이 적으면 탈리개시시기가 지연되고, 유량이 충분하면 탈리반응을 계속하고 있을 때보다도 탈리반응 개시 후의 유량이 과잉으로 된다. 즉, 유량이 큰 것에서부터 작은 것으로 변화시키도록 된 본 구성은, 유량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에 비해, 주 재생운전의 실행시간(탈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던가, 총 유량(소비 에너지)을 적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주 재생운전에서의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에너지나 탈리에 요하는 시간을 증대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질소산화물의 탈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주 재생운전의 초기에 승온이 되기 때문에 탈리의 개시도 빨라지게 된다.
주 재생운전에서는,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0.6 < λ < 1.0의 범위로 제어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흡착재(5)로부터 질소산화물을 효과적으로 탈리할 수 있게 된다.
전 재생운전에서는,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λ > 1.0의 범위로 제어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5)를 주 재생운전에 앞서 승온시킬 수가 있어, 주 재생운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 재생운전에서는,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λ > 1.0의 범위로 제어되기 때문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부착되어 있는 환원제(미연물 인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어, 통상운전이 실시될 때에 기관 외부로 배출되는 환원제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질소산화물 흡착재(5)에 포획된 입자상 물질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젤기관, 가스기관, 가솔린기관 또는 가스터빈기관과 같은 내연기관, 또는 소각로나 보일러와 같은 연소기기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1 - - - 배기가스 정화장치
2, 3 - - - 분기 배기통로
2a, 3a - - - 배기 입구
2b, 3b - - - 배기 출구4 차단밸브
5 - - - 질소산화물 흡착재
6 - - - 제1 연소장치
7 - - - 제2 연소장치
10 - - - 제어장치
61, 71, 151 - - - 공기노즐(공기공급수단의 일부)
62, 72 - - - 연료노즐(연료공급수단의 일부)
63, 73 - - - 점화 플러그(착화장치)
100 - - - 기관측 배기통로
100b - - - 배기 출구

Claims (4)

  1. 내연기관 또는 연소기기의 기관측 배기통로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 배기통로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의 배기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해서, 상기 기관측 배기통로로부터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로의 배기가스의 유입 및 차단을 절환하는 배기가스 차단수단과,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 설치되어, 공기과잉분위기에서 질소산화물을 일시적으로 흡착하고, 당해 흡착한 질소산화물을 승온 또는 환원분위기에서 탈리하는 질소산화물 흡착재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서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재보다 배기 상류측에 배치되고서, 공기공급수단, 연료공급수단 및 착화수단으로 구성되어, 연료 및 공기가 혼합된 제1 혼합가스를 공급해서 연소시키는 제1 연소장치와,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 내에서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재보다 배기 하류측에 배치되고서, 공기공급수단, 연료공급수단 및 착화수단으로 구성된 제2 연소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어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분기 배기통로에 대해, 통상운전과 재생운전이 행해지도록 하되,
    상기 통상운전은, 상기 배기가스 차단수단의 절환에 의해, 당해 통상운전이 실시되는 상기 분기 배기통로에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운전이고,
    상기 재생운전은, 상기 배기가스 차단수단의 절환에 의해, 당해 재생운전이 실시되는 상기 분기 배기통로로의 배기가스의 유입을 방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연소장치 및 상기 제2 연소장치를 작동시키는 운전으로서,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질소산화물 흡착제에 흡착된 질소산화물을 탈리시키는 주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주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연료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있으며,
    상기 주 재생운전이 제1 주 재생운전 및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 주 재생운전으로부터 제2 주 재생운전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공기과잉률(λ)이 0.6 < λ < 1.0의 범위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주 재생운전의 전 단계에 전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전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공기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생운전이, 상기 주 재생운전의 후 단계에, 후 재생운전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후 재생운전에서는, 상기 제1 혼합가스의 상태가 공기 과잉으로 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7018317A 2008-03-14 2009-03-13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KR101210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5963A JP5285309B2 (ja) 2008-03-14 2008-03-14 排気ガス浄化装置
JPJP-P-2008-065963 2008-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728A KR20100102728A (ko) 2010-09-24
KR101210660B1 true KR101210660B1 (ko) 2012-12-10

Family

ID=4106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317A KR101210660B1 (ko) 2008-03-14 2009-03-13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453435B2 (ko)
EP (1) EP2253812A4 (ko)
JP (1) JP5285309B2 (ko)
KR (1) KR101210660B1 (ko)
CN (1) CN101970821B (ko)
WO (1) WO2009113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8865A1 (de) * 2010-08-04 2012-02-09 Robert Bosch Gmbh Brenner mit stabiler Zerstäubung bei geringem Gegendruck
JP5848947B2 (ja) * 2011-10-25 2016-01-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ガスエンジンを利用したヒートポンプ装置および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
JP6348413B2 (ja) * 2014-12-19 2018-06-2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313A (ja) 2004-10-14 2006-04-27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5068B2 (ja) * 1992-12-28 1999-01-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3899884B2 (ja) * 2001-10-04 2007-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7137246B2 (en) * 2002-04-24 2006-11-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ntrol for diesel engine with particulate filter
JP3852461B2 (ja) 2004-09-03 2006-11-2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方法及び排気ガス浄化システム
JP2006272115A (ja) * 2005-03-29 2006-10-12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CN102107113A (zh) * 2005-03-29 2011-06-29 洋马株式会社 排气净化器
JP4608347B2 (ja) * 2005-03-29 2011-01-12 ヤンマー株式会社 排気ガス浄化装置
US7624570B2 (en) * 2006-07-27 2009-12-01 Eaton Corporation Optimal fuel profi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2313A (ja) 2004-10-14 2006-04-27 Yanma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0821A (zh) 2011-02-09
JP2009221921A (ja) 2009-10-01
US20110099980A1 (en) 2011-05-05
JP5285309B2 (ja) 2013-09-11
WO2009113650A1 (ja) 2009-09-17
CN101970821B (zh) 2014-04-30
EP2253812A1 (en) 2010-11-24
EP2253812A4 (en) 2014-10-01
KR20100102728A (ko) 2010-09-24
US8453435B2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8347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EP1710409B1 (en) Exhaust gas purifier and method of control therefor
KR101269383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WO2009099181A1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101212376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1210660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JP2006112313A (ja) 排気ガス浄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221922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8298034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