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658B1 -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 Google Patents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658B1
KR101210658B1 KR1020110147857A KR20110147857A KR101210658B1 KR 101210658 B1 KR101210658 B1 KR 101210658B1 KR 1020110147857 A KR1020110147857 A KR 1020110147857A KR 20110147857 A KR20110147857 A KR 20110147857A KR 101210658 B1 KR101210658 B1 KR 10121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fire
information
fire prevention
area
fo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주린
임용진
최길웅
오종인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14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불 예방 자원 및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도면화하여 전략적 산불 방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를 개시하고 있다.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은 전자 지도 - 전자 지도는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시간과 기상자료를 포함하여 저장됨 - 상에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하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 및 상기 통합 서버와 통신하는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였을 때,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의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한다. 따라서, IT 기반 체계적 산불 진화 대응으로 산불 상황실 상황 전파, 인력 및 장비의 효율적 배치 등 전략적 산불 진화 대응 능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MOUNTAIN FIRE PREVENTION INTEGRATION SYSTEM, MOUNTAIN FIRE PREVENTION APPARATUS AND MOUNTAIN FIRE PREVENTION INTEGRATION SERVER}
본 발명은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불 예방 및 진화를 지원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산불을 감시하기 위해 산림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하는 방법과 영상 장비를 설치하여 관리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방법은 시각적인 산림관찰이나 모니터를 바라보는 방법에 의해서 산림의 산불 방지 및 초동 확인에 기준을 두고 운영되고 있다.
상기의 영상 장비는 산불을 감시하기 위해 관리하고자 하는 산 정상부나 중턱에 팬/틸트와 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상되는 영상을 원격지 즉, 종합 상황실에서 상기 카메라를 이동, 회전시켜 찰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모니터로 확인하다가 산불 영상이 발생되면 주변 주민이나 관계자에게 오디오 기능으로 알리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은 사람이 항상 상주할 경우, 인간의 24시간 집중력을 의심하지 않을수 없으며, 모니터 감시 역시, 24시간 집중력 있는 산불 감시를 기대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일예로, 우리나라 산불 신고 통계를 보면, 산불이 발생했다는 정보는 실제로 인근 주민의 신고가 대분분이었다.
그리고 상기의 영상 장비에 적외선 시스템으로 산불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공개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의 넓은 장소, 가파른 계곡, 기상 급변화가 있는 산림에게 적용시키기엔 심각한 시스템 에러율을 줄이는 문제가 먼저 해결 되어야만 할것이다.
이렇듯, 실제적으로 산불은 넓은 면적의 산림에서 어느 순간 발생되는 것으로, 여기에 산림 관리자 혹은 상기의 영상 장비로서 산불 확인을 했어도 실제 산불 진화 작업이 이루어지기에는 연락 체계 및 진화 작업 지휘체계가 갖추어지기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어, 그 소비된 시간 동안 산불은 더욱 넓은 면적에 번져 있어 이를 진화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적극적인 산림 녹화 정책에 의해 전 국토의 70% 이상이 산림으로 구성되어 있다. 70년대 이후 경제력이 향상되면서 유휴 시간을 즐기고자 많은 국민들이 휴일마다 산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일이면 등산객들의 부주의로 인해 산불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등산객의 부주의뿐 아니라 농촌에서의 논두렁 태우기나 번개 등의 천재지변에 의해서도 산불이 발생되고 있다. 이외에도 산불의 발생 원인은 다양화되고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된 산불은 우거진 산림을 매개체로 점차 대형화되어 가고 있고, 초기 진압에 실패할 경우 진압이 쉽지 않으며, 이는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원인이 된다. 일 예로, 2005년 4월에 발생한 고성, 양양 지방의 산불에 의해 산림을 포함한 낙산사 및 문화재 22점이 전소되었으며 피해규모는 약 1천억 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산불 방지 시스템은 산불 진화 자원의 정보를 문서를 통해 관리하다 보니, 체계적이지 못하고, 산불 진화 자원 관련 정보의 양 또한 부족하였다. 따라서, 실제 산불 발생시, 각종 자원의 현황,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어 산불 진화 헬기 및 진화 인력 출동 등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보의 대부분을 구두로 파악하기 때문에 정보의 객관성이 결여되고, 체계화된 자원의 부재로 현장 지휘 대처가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산불의 조기 감지 및 조기 진압은 산림 보존, 인명 보호 및 재산 보호 등의 관점에서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과감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KR 10-2007-0028813 ("산불 감지 방법 및 시스템", 강릉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엠, 2007.03.13 공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불 예방 자원 및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도면화하여 전략적 산불 방지 계획을 수립하고, 종국적으로 산불을 신속 정확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산불 발생 지역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정보를 계산할 수 있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불 예방 자원 및 진화 자원의 공간 및 속성 정보를 일원화하고, 상황실 및 현장 지휘 본부에서 체계화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삼림 보호 구역, 진화 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여 진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은 전자 지도 - 전자 지도는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시간과 기상자료를 포함하여 저장됨 - 상에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하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 및 상기 통합 서버와 통신하는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였을 때,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의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예방 자원 정보 및 산불에 의한 피해 수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산불 관련 정보는 각 지역의 전략적 산불 진화 자원 정보로서,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산불 예방 시설, 산불 진화 시설,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지역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산불 관련 정보는 현장 파노라마 사진을 포함하여, 상기 파노라마 사진은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전자 지도 상의 각 지역 현장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산불로 인해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관련하여 상기 우려 지역의 인구, 최단 거리 진입로, 담수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현장 조사 자료를 도면화하여 상기 전자 지도 상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상기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중 일부를 URL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는 정보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산불 예방 자원 및 피해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대책 수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는 상기 로딩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시설, 산불 예방 시설,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산불 진로, 피해 면적, 피해 재산 및 피해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대책 수립부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상기 산불 진화 시설과의 거리 및 진입로를 기반으로 최적의 산불 진화 시설을 추출하여 상기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시설은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및 헬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예방 시설은 산불 감시탑, 초소, 감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요충 보호 지역은 인명 재산, 문화재 및 공원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충 취약 지역은 과거 산불 발생 지역, 사격장, 무속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 지원 조직은 시군청,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유관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거점 계통 조직은 산림청 소속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정보, 산불 예방 자원 정보, 피해 수준 정보 및 상기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GPS 단말기를 통해 산불 발생지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였을 때,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 - 산불 방지 관련 정보는 전자 지도 상에 도면화되어 컴퓨터에 저장되는 지역별 산불의 진화 또는 예방과 관련된 정보임 - 를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의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예방 자원 정보 및 산불에 의한 피해 수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는 정보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산불 예방 자원 및 피해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대책 수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산부는 상기 로딩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시설, 산불 예방 시설,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산불 진로, 피해 면적, 피해 재산 및 피해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대책 수립부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상기 산불 진화 시설과의 거리 및 진입로를 기반으로 최적의 산불 진화 시설을 추출하여 상기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상기 산불 진화 시설은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및 헬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예방 시설은 산불 감시탑, 초소, 감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요충 보호 지역은 인명 재산, 문화재 및 공원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충 취약 지역은 과거 산불 발생 지역, 사격장, 무속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 지원 조직은 시군청,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유관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거점 계통 조직은 산림청 소속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장치는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정보, 산불 예방 자원 정보, 피해 수준 정보 및 상기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산불 예방 자원 및 피해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을 토대로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와 통신하며, 전자 지도 - 전자 지도는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시간과 기상자료를 포함하여 저장됨 - 상에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산불 관련 정보는 각 지역의 전략적 산불 진화 자원 정보로서,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산불 예방 시설, 산불 진화 시설,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지역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역별 산불 관련 정보는 현장 파노라마 사진을 포함하여, 상기 파노라마 사진은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전자 지도 상의 각 지역 현장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산불로 인해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관련하여 상기 우려 지역의 인구, 최단 거리 진입로, 담수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현장 조사 자료를 도면화하여 상기 전자 지도 상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상기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중 일부를 URL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자원들을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여 최적의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따르면, IT 기반 체계적 산불 진화 대응으로 산불 상황실 상황 전파, 인력 및 장비의 효율적 배치 등 전략적 산불 진화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따르면, 즉각적인 현장 중심의 맞춤형 초동 진화를 가능케 하고, 산불 등 재난 상황의 전략적 대응을 통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입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의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 ~ 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서의 정보 입력의 모습을 실질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입력되는 현장 파노라마 사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의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산불 발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의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의 대책 수립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은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 및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와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신한다. 네트워크(120)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대용량 DB를 포함하고, 상기 대용량 DB에 산불 방지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와 네트워크(120)를 통해 통신하여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는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서버(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경우,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중앙 통제소로서 역할을 하고,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는 산불 발생 현장에서 직접 산불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클라이언트 장치(130)가 산불을 제어하는 것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서버(110)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클라이언트 장치(130)가 보내오는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클라이언트 장치(130)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클라이언트 장치(130)로 전송한다. 긴급 상황에 이를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 서버(110)는 대용량 DB를 통해 각종 산불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30)는 서버(110)로 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산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대책을 수립하여 산불 진화 시간을 단축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산불 방지 통합 서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입력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전자 지도(212), 요충 보호 지역(214), 요충 취약 지역(216), 산불 예방 시설(218), 산불 진화 시설(220), 거점 지원 조직(222), 거점 계통 조직(224) 및 지역 인구(2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으로 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전략적으로 산불 진화 자원의 정보를 분류하여 대용량 DB를 구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서버(110)의 대용량 DB에 상기와 같은 항목별 산불 진화 자원의 정보를 지도 상에 입혀서 도면화하여 저장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정보를 알아보기 용이하게 구축하였다는 점이다. 예컨대,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관련하여 우려 지역의 인구, 최단 거리 진입로, 담수지 정보와 같은 현장 조사 자료를 도면화하여 전자 지도 상에 저장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전자 지도(212)를 입력으로 받아 저장한다. 입력되는 전자 지도(212)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지도(212)일 수 있다. 전자 지도(212)는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지도(212)는 시간 정보(예컨대, 입력 시간)와 기상자료 등을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요충 보호 지역(214)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요충 보호 지역(214)이란 인명 재산, 문화재, 공원 지역 등과 같이 집중적으로 산불로부터 보호받아야 하는 지역 및 시설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 및 시설을 입력하여 산불 발생 지역 근처에 있는 요충 보호 지역(214)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산불 피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시 요충 보호 지역(214) 정보를 전자 지도(212) 상에 입력한다.
또한, 요충 취약 지역(216)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요충 취약 지역(216)은 과거 산불 발생 지역, 사격장, 무속 지역 등을 포함한다. 요충 취약 지역(216)은 산불 발생시 산불 피해로부터 취약한 지역, 즉 위험 요소가 타 지역에 비해 많은 지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요충 취약 지역(216)은 산불 발생시 신속하게 파악하여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한다. 입력시 요충 취약 지역(216) 정보를 전자 지도(212) 상에 입력한다.
서버(110)에 산불 예방 시설(218)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산불 예방 시설(218)은 산불 감시탑, 초소, 감시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산불 예방 시설(218)이란 현장에서 산불을 감시하여 실제 산불이 발생되는 것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지원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산불 예방 시설(218) 정보를 상기 전자 지도(212) 상에 입력하여 어느 지역에 산불 예방 시설(218)이 존재하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110)에 산불 진화 시설(220)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산불 진화 시설(220) 정보는 발생된 산불을 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원 설비로서, 헬기가 물을 퍼와서 산불 발생 지역에 부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및 헬기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산불 진화 시설(220) 정보도 전자 지도(212) 상에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거점 지원 조직(222)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거점 지원 조직(222)은 산불과 관련된 유관 기관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시군청,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점 지원 조직(222) 정보를 서버(110)에 입력함으로써 산불 발생시 지원 요청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시 전자 지도(212) 상에 상기 거점 지원 조직(222)의 위치가 매칭되도록 입력할 수 있다.
서버(110)에 거점 계통 조직(224)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거점 계통 조직(224)은 산림청 소속 기관을 의미한다. 또한, 지역 인구(226)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거점 계통 조직(224) 및 지역 인구(226) 정보도 상기 전자 지도(212) 상에 위치 관계가 서로 매핑이 되도록 입력함으로써 도면화하여 보는 사람이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찾아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전자 지도(212), 요충 보호 지역(214), 요충 취약 지역(216), 산불 예방 시설(218), 산불 진화 시설(220), 거점 지원 조직(222), 거점 계통 조직(224) 및 지역 인구(226)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시, 전자 지도(212) 상에 상기 정보들의 위치 관계가 서로 매핑이 되도록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거점 지원 조직(222) 정보를 전자 지도(212) 상에 입력시 거점 지원 조직(222) 중 소방서가 실제로 경도 x, 위도 y에 위치하고 있다면, 이를 전자 지도(212) 상의 경도 x, 위도 y 상에 매핑함으로써 전자 지도(212)와 실제 소방서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가종 정보들(214, 216, 218, 220, 222, 224, 226)을 전자 지도(212) 상에 위치가 일치하도록 매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 산불 발생시, 상기 특정 지역에 산불 진화 및 예방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 및 시설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최적의 진화 대책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입력되는 정보가 상기 정보들(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산불 방지와 관련된 정보라면 다른 정보가 상기 서버(1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입력부(111), 산불 방지 관련 데이터 베이스(113), 출력부(115) 및 통신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300)로부터 각종 정보들(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정보(214, 216, 218, 220, 222, 224, 226)는 전자 지도(212) 상에 위치가 일치하도록 매핑하여 입력된다.
산불 방지 관련 데이터 베이스(113: DB)는 입력된 상기 정보들(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을 저장해 놓는 공간이다. 저장 공간은 대용량 DB로서 수십 내지 수백 기가 바이트(Giga Byt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사용하여 데이터 베이스(113)를 관리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장치(130)의 사용자들이 데이터 베이스 안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액세스(access)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즉, DBMS를 통해 사용자 요구사항들이나 다른 프로그램의 요구사항들을 관리함으로써, 사용자들이나 다른 프로그램들이 실제로 그 데이터가 저장매체의 어느 곳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이해하지 않고서도, 다중 사용자 환경의 그 누구라도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부(115)는 데이터 베이스(113)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정보들(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을 사용자(300)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부(115)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 상에 상기 정보들(212, 214, 216, 218, 220, 222, 224, 226)을 전자 지도(212) 상에 도면화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300)가 특정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서 보는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입력부(111)를 통해 사용자(300)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필요한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113)를 통해 추출되어 출력부(115)를 통해 사용자(300)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통신부(117)는 네트워크(120)를 통해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는 통신부(117)를 통해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클라이언트 장치(130)는 다수일 수 있다. 통신부(117)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장치(130)가 특정 지역에 산불 발생이 있다는 정보를 전송하면, 서버(110)는 통신부(117)를 통해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13)로부터 추출하여 통신부(117)를 통해 다시 클라이언트 장치(130)로 추출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의 정보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은 전자 지도 제공 단계(410), 레이어 생성 단계(420), 레이어별 테이블 정보 입력 단계(430), 테이블에서 필드값 URL 지정 단계(440), 필드값 주소로 인터넷 접속 단계(450), 파노라마 사진 확인 단계(460) 및 로드 뷰 설정 단계(4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들(410 ~ 470)을 반드시 포함하여야 하는 것을 아니고, 상기 단계들 중 일부를 생략하고서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전자 지도를 제공한다(410). 전자 지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지도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지도일 수 있다. 전자 지도는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시간 정보(예컨대, 입력 시간)와 기상자료 등을 포함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지도를 열어서, 상기 전자 지도 상에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생성한다(420). 도 5a는 전자 지도 상에 레이어를 만드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상의 좌측에 레이어(510)가 생성된다. 레이어(510)는 상기 각종 정보(214, 216, 218, 220, 222, 224, 226)를 구분하여 계층화한 후, 상위 레이어가 하위 레이어를 포함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요충 보호 지역이란 레이어를 클릭하면, 레이어 안에 종곡, 오목리, 신흥사, 종곡, 사바재마을 등과 같은 하위 레이어가 나타난다.
다음으로, 레이어별 테이블 정보에 속성 정보를 입력한다(430). 도 5b는 레이어별 테이블 정보(520)에 속성 정보를 입력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레이어에 해당하는 속성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테이블 정보(520)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 내의 어느 위치에 저장되는지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된다. 도 5b에는 요충 산림 지역의 하위 레이어인 환선굴에 대한 테이블 정보(520)를 입력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환선굴에 대한 정보로 환선굴의 면적, 높이, 길이, 주요 특징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되어질 현장 조사를 통해 획득한 파노라마 사진을 입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테이블에서 필드값(530) URL 주소를 지정한다(440). 도 5c는 테이블에서 필드값(530) URL 주소를 지정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는 초당저수지의 테이블 정보(520)에 필드값(530) URL 주소를 지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즉, 필드값(530)은 테이블에 들어가는 정보로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해당 테이블 관련 정보를 보다 상세하게 제공하기 위한 URL 주소를 의미한다.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한 속성 정보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113: 도 3 참조)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으나, 사진의 용량이 대용량이고, 상세 정보도 파노라마 사진과 함께 보다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필드값(530)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파노라마 사진을 이용한 속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초당 저수지의 테이블 정보(520)를 클릭하여, 속성 정보를 열어보는 경우, 필드값(530)으로 http://www.dong-bu.co3.kr/menu/vr-d/라는 URL 주소를 지정하여 파노라마 사진과 같은 대용량 파일을 업로드하면, 상기 필드값(530) 주소에서 상기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필드값 지정 단계(440)에서 지정된 URL 주소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450)하여 업로드된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460). 도 5d는 필드값 URL 주소로 인터넷 접속하여 사진을 확인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값(530) 주소로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면 해당 지역 또는 해당 시설의 파노라마 사진과 관련 속성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양은사의 경우, 명칭, 위치, 보유하고 있는 문화재 정보가 파노라마 사진과 연동하여 제공된다.
다음으로, 로드 뷰 설정 단계(470)에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포함된 로드 뷰를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의 산불 방지 프로그램과 연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5e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의 산불 방지 프로그램에 로드 뷰를 설정한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불 방지 프로그램과 로드 뷰가 연동할 수 있도록 상기 로드 뷰를 설정하여 상기 프로그램 내에서 로드 뷰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드 뷰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로드 뷰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서버에 입력되는 현장 파노라마 사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노라마 사진은 해당 지역 또는 시설에 대한 사진의 360˚ 회전 촬영된 사진과 해당 지역 또는 시설에 대한 속성 정보(610)를 포함할 수 있다. 속성 정보(610)는 해당 지역 또는 시설의 면적, 길이, 높이 및 특이 사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저수지의 경우는 면적, 유효 저수량, 제방 높이, 제방 길이 및 헬기 취수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파노라마 사진의 경우, 카메라를 360˚ 회전하며 촬영한 사진 10장을 이용하여 이를 서로 이어 붙이고, 문자 또는 숫자를 기재하는 편집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파노라마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웹 에디터를 활용하여 HTML로 저장하고, 산불 방지 통합 서버의 산불 관리 프로그램에 파노라마 사진 폴더를 생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HTML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생성된 파노라마 사진을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의 데이터 베이스(113)에 직접 저장될 수도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필드 값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웹 상에 저장될 수도 있다.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는 입력부(710), 정보 로딩부(720), 계산부(730), 대책 수립부(740), 통신부(750) 및 디스플레이부(7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부(7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705)로부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다.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는 실제 산불이 발생한 지역의 지역명, 산불 발생 지역의 주변 지역명,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새로운 정보란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새롭게 획득된 정보를 말한다. 새로운 정보는 통신부(750)를 통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 로딩부(720)는 입력부(710)를 통해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토대로 산불 발생 지역 및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통신부(750)를 통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로부터 로딩한다. 정보 로딩부(720)를 통해 로딩되는 정보는 정렬 또는 가공되지 않은 로우(raw) 데이터로서 계산부(730)로 전송된다.
계산부(730)는 정보 로딩부(720)로부터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산불 예방 자원 및 피해 수준 등을 계산한다.
대책 수립부(740)는 계산부(730)의 계산 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한다.
통신부(750)는 입력부(710), 정보 로딩부(720), 계산부(730) 및 대책 수립부(740)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네트워크(120)를 이용하여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고, 반대로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정보 로딩부(720), 계산부(730) 및 대책 수립부(74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20)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60)는 정보 로딩부(720), 계산부(730) 및 대책 수립부(740)에서 출력되는 결과를 사용자(705)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부(760)는 모니터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의 입력부(710)가 사용자로부터 산불 발생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710)는 사용자(705)로부터 사용자 인터페이스(810), GPS 단말기(820) 또는 현장 감시 시스템(830)을 통해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입력받는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입력받는 경우, 사용자(705)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의 지역명, 주변 지역명, 또는 새로운 산불 방지 관련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새로운 산불 방지 관련 정보는 현재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정보로서, 상위 레이어의 정보 또는 하위 레이어의 정보든 상관 없이 입력이 가능하다. 즉, 클라이언트 장치(130)의 사용자(705)가 산불 방지 관련 정보의 내용 중 새로운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81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750)를 통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GPS 단말기(820)를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사용자(705)가 상기 GPS 단말기(820)를 보유한 채 산불 발생지에 도달하면, GPS 단말기(820)가 산불 발생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파악된 위치가 입력부(710)에 입력되어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를 자동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장 감시 시스템(830)을 통해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화재 감지 센서 또는 CCTV를 이용하여 산불을 감지하고, 감지된 산불과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치가 입력부(710)에 입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현장 감시 시스템(830)은 센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산불을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정보 로딩부(720)는 입력부(710)를 통해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750)를 통해 산불 방지 통합 서버(110)로부터 로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로딩부(720)에서 로딩되는 정보를 가공되지 않은 로우 데이터이다. 정보 로딩부(720)는 저장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로딩된 데이터는 일단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그리고는 저장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계산부(730)로 전송된다. 정보 로딩부(720)는 로딩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60)를 통해 사용자(705)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의 계산부(730)의 계산 결과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부(730)는 정보 로딩부(720)에서 로딩된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산불 진화 시설(912),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 거점 지원 조직(920), 거정 계통 조직(922), 산불 진로(924), 피해 면적(926), 피해 재산(928) 및 피해 인구(9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되는 정보는 반드시 상기한 정보들(912, 914, 916, 918, 920, 922, 924, 926, 928, 930)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산불 방지와 관련된 정보로 다른 정보가 계산되어 출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계산부(730)는 로딩된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입력부(710)에서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산불 예방 자원 및 피해 수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한다. 여기서, 산불 진화 자원 정보로 산불 진화 시설(912), 거점 지원 조직(920), 거점 계통 조직(922) 및 산불 진로(924) 정보가 있고, 산불 예방 자원 정보로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 정보가 있으며, 피해 수준 정보로 피해 면적(926), 피해 재산(928) 및 피해 인구(930) 정보가 있다.
먼저, 계산부(730)는 로딩된 정보로부터 산불 진로(924) 및 피해 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현재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를 기반으로 로딩된 정보 중 전자 지도 상의 각종 속성 정보를 통해 산불 진로(924)를 계산할 수 있다. 서버(110)로부터 로딩된 전자 지도는 기상 정보뿐만 아니라 등고선 등의 정보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면, 상기 정보들을 통해 현재 산불의 진행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예컨대, 산 정상에서 산불이 발생하는 경우, 등고선 정보를 통해 산 아래쪽으로 산불이 번져나갈 것을 계산할 수 있고, 시간별 기상 정보(전자 지도는 시간 정보 및 기상 정보를 포함하여 저장됨)를 통해 현재 시점에서의 바람의 방향 등을 기반으로 산불이 번져나가는 속도 및 진행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계산부(730)는 상기 산불 진로(924)를 기반으로 피해 수준을 계산할 수 있다. 피해 면적(926)은 산불 진로(924)의 산불 진행 속도 및 진행 방향을 토대로 산불이 지나가면서 피해를 입히는 면적을 계산하여 산출되고, 피해 재산(928)은 피해 면적(926) 상의 구조물, 인구 및 산업 재산 등을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하여 산출된다. 또한, 피해 인구(930)는 로딩된 전자 지도 상의 지역 인구를 기반으로 산불 진로(924)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계산부(730)는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산불 발생 지역과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불 진화 시설(912)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는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산불 발생 지역이 경기도 구리시 남양주군 덕소리 소재의 산라고 하고, 임계값이 5km 라고 하면, 계산부(730)는 상기 산불이 발생한 덕소리 소재의 산으로부터 5km 반경 내에 위치한 산불 진화 시설(912)을 추출한다. 이 경우, 각각의 자원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헬기장 및 헬기 담수지와 같은 경우는 단순히 5km로 한정하는 것은 비합리적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임계값을 적용하여 지원할 수 있는 거리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계산부(730)는 산불 진로(924) 및 피해 수준을 기반으로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산불 진로(924)를 통해 산불 진로(924) 상의 산불 진화 자원을 계산하여 현재 산불의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지원 자원들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산불 진로(924)로부터 근거리 개념을 도입하여 산불 진로(924) 상에서 임계값 이하의 거리에 위치한 산불 지원 자원을 추출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산불 지원 자원을 현재 산불의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자원에 따라 상기 임계값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계산부(730)에서 산출되는 정보는 임계값 내에 위치하는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헬기장과 같은 산불 진화 시설(912), 시군청, 소방서, 군부대 등과 같은 거점 지원 조직(920) 및 산림청 소속 기관을 포함하는 거점 계통 조직(922) 정보이다.
다음으로, 계산부(730)는 산불 예방 자원 정보를 계산할 수 있다. 산불 예방 자원 정보는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및 요충 취약 지역(918) 정보로서, 상기 산불 진화 자원 정보 계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즉, 로딩된 정보를 기반으로 산불 발생 지역 또는 산불 진로(924)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상기 산불 예방 자원을 계산하여 이를 만족하는 자원을 결과로서 산출한다. 이때도 각 자원의 속성에 따라 임계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의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130)의 대책 수립부(740)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책 수립부(740)는 비교부(1010) 및 선택부(10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대책 수립부(740)는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결과를 입력으로 받아 최적 산불 진화 대책을 출력한다.
비교부(1010)는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진화 시설(912),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 거점 지원 조직(920), 거정 계통 조직(922), 산불 진로(924), 피해 면적(926), 피해 재산(928) 및 피해 인구(930)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정보를 이용하였을 때의 산불 진행 결과를 비교한다. 진행 결과는 피해 규모를 기준으로 비교할 수 있다. 예컨대, 산불 진화 시설(912)과 관련하여 계산부(730)를 통해 현재 산불을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시설(912) 가운데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산불 진화 시설(912)을 최적의 산불 진화 시설(912)로서 선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교부(1010)에서 계산부(730)를 통해 계산된 산불 진화 시설(912)을 이용하여 산불을 진화하였을 때의 진행 결과 또는 피해 규모를 계산하여 계산부(730)를 통해 계산된 산불 진화 시설(912) 전부에 대해 상기와 같은 계산을 수행한 후, 계산 결과를 비교한다.
선택부(1020)는 비교 결과를 토대로 진행 결과 산불이 가장 많이 진화되는 경우 또는 피해 규모가 최소화되는 경우의 산불 진화 시설(912)을 선택하여 최적의 진화 대책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지원 가능한 다수의 산불 진화 자원이 최적의 진화 대책으로 수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책 수립부(740)는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을 기반으로 최적의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즉,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은 보호되어야 할 지역 또는 시설이기 때문에 대책 수립부(740)는 현재 산불 진로(924)를 기반으로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예방 시설(914), 요충 보호 지역(916), 요충 취약 지역(918)을 피해갈 수 있도록 상기 산불 진화 시설(912)을 투입하는 방향으로 진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예방 자원이 다수 개 존재하여 피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비교부(1010)를 통해 산불 예방 자원의 피해 결과를 계산부(730)에서 계산된 산불 예방 자원 전부에 대해 수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가장 적은 피해 결과를 초래하는 방향으로 산불 진화 시설(912)을 투입하여 최적의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산불 진로(924)를 기반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산불 진화 자원을 선택하고, 산불 진로(924) 상에 존재하는 산불 예방 자원 중 가장 피해 규모가 큰 산불 예방 자원을 선택하여 선택된 산불 진화 자원을 선택된 산불 예방 자원에 피해를 주지 않는 방향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책 수립부(740)는 산불 진화 자원의 진입로를 기반으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즉, 진입로가 산불 진화를 지원하는데 활용하기 용이한 방향으로 생성된 산불 진화 자원을 최적의 산불 진화 자원으로 선택하여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대책 수립부(740)는 산불 발생시 출동 가능한 진화대 정보와 도로 상황 정보를 입력으로 받아 가장 신속하게 산불 진로(924)에 투입 가능한 진화대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산불 발생 시점에서의 여건에 맞는 진화 계획으로 가장 신속한 투입이 가능한 진화대를 선택하여 진화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수립된 최적의 산불 진화 대책은 디스플레이부(760)를 통해 사용자(705)가 볼 수 있도록 출력된다. 진화 대책은 선택된 산불 진화 자원 및 보호해야할 산불 예방 자원을 표시하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8)

  1. 전자 지도 - 전자 지도는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좌표, 면적, 등고선 간격 및 방위각을 시간과 기상자료를 포함하여 저장됨 - 상에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통합 관리하는 산불 방지 통합 서버; 및
    상기 통합 서버와 통신하는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는 정보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근거로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대책 수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예방 자원 정보 및 산불에 의한 피해 수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는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산불 예방 시설, 산불 진화 시설,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지역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는 현장 파노라마 사진을 포함하여, 상기 파노라마 사진은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상기 전자 지도 상의 각 지역 현장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산불로 인해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과 관련하여 상기 우려 지역의 인구, 최단 거리 진입로, 담수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현장 조사 자료를 도면화하여 상기 전자 지도 상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상기 지역별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중 일부를 URL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로딩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시설, 산불 예방 시설,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산불 진로, 피해 면적, 피해 재산 및 피해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책 수립부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상기 산불 진화 시설과의 거리 및 진입로를 기반으로 산불 진화 시설을 추출하여 상기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진화 시설은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및 헬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예방 시설은 산불 감시탑, 초소, 감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요충 보호 지역은 인명 재산, 문화재 및 공원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충 취약 지역은 과거 산불 발생 지역, 사격장, 무속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 지원 조직은 시군청,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유관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거점 계통 조직은 산림청 소속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는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정보, 산불 예방 자원 정보, 피해 수준 정보 및 상기 산불 진화 대책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클라이언트 장치와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GPS 단말기를 통해 산불 발생지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15.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산불 발생 지역을 입력하였을 때,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 - 산불 방지 관련 정보는 전자 지도 상에 도면화되어 컴퓨터에 저장되는 지역별 산불의 진화 또는 예방과 관련된 정보임 - 를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여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의 결과를 근거로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산불 발생 지역 관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 및 상기 산불 발생 지역 주변의 산불 방지 관련 정보를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하는 정보 로딩부;
    상기 로딩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종합 정보를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의 계산 결과를 근거로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대책 수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예방 자원 정보 및 산불에 의한 피해 수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진화 종합 정보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의 산불 진화를 지원할 수 있는 산불 진화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부는
    상기 로딩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시설, 산불 예방 시설, 요충 보호 지역, 요충 취약 지역, 거점 지원 조직, 거점 계통 조직, 산불 진로, 피해 면적, 피해 재산 및 피해 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책 수립부는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상기 산불 진화 시설과의 거리 및 진입로를 기반으로 산불 진화 시설을 추출하여 상기 산불 진화 대책을 수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진화 시설은 헬기 담수지, 산불 소화전 및 헬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산불 예방 시설은 산불 감시탑, 초소, 감시 카메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요충 보호 지역은 인명 재산, 문화재 및 공원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요충 취약 지역은 과거 산불 발생 지역, 사격장, 무속 지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점 지원 조직은 시군청, 경찰서, 소방서, 군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같은 유관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거점 계통 조직은 산림청 소속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로부터 로딩된 산불 방지 관련 정보, 상기 산불 발생 지역과 관련된 산불 진화 자원 정보, 산불 예방 자원 정보, 피해 수준 정보 및 상기 산불 진화 대책과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23.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방지 장치와 상기 산불 방지 통합 서버는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 방지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110147857A 2011-12-30 2011-12-30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KR10121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57A KR101210658B1 (ko) 2011-12-30 2011-12-30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57A KR101210658B1 (ko) 2011-12-30 2011-12-30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0658B1 true KR101210658B1 (ko) 2012-12-31

Family

ID=4790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857A KR101210658B1 (ko) 2011-12-30 2011-12-30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6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64B1 (ko) * 2014-07-23 2014-11-27 (주)케이웍스 산불 상황 관제 시스템
KR20200046682A (ko) 2018-10-25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통합진화자원 배치 방법 및 장치
WO2021117933A1 (ko) * 2019-12-09 2021-06-17 대신아이브(주)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N113222341A (zh) * 2021-04-08 2021-08-06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基于电网山火隐患点风险的灭火直升机部署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51Y1 (ko) 2006-08-11 2006-11-07 (주) 충청에스엔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산림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51Y1 (ko) 2006-08-11 2006-11-07 (주) 충청에스엔지 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산림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64B1 (ko) * 2014-07-23 2014-11-27 (주)케이웍스 산불 상황 관제 시스템
KR20200046682A (ko) 2018-10-25 2020-05-07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통합진화자원 배치 방법 및 장치
KR102126557B1 (ko) * 2018-10-25 2020-06-25 대한민국 산불 통합진화자원 배치 방법 및 장치
WO2021117933A1 (ko) * 2019-12-09 2021-06-17 대신아이브(주) 무인 항공기를 이용한 화재 감시 및 진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N113222341A (zh) * 2021-04-08 2021-08-06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基于电网山火隐患点风险的灭火直升机部署方法及系统
CN113222341B (zh) * 2021-04-08 2023-07-18 国网湖南省电力有限公司 基于电网山火隐患点风险的灭火直升机部署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5665B2 (en) Augmented reality of a building
KR101210658B1 (ko) 산불 방지 통합 시스템, 산불 방지 장치 및 산불 방지 통합 서버
JP2018142338A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US20140293865A1 (en) Dynamic evacuation information delivery to mobile devices
KR102011342B1 (ko) 소방 안전 점검 방법 및 시스템
KR101463964B1 (ko) 산불 상황 관제 시스템
KR20130133478A (ko) 소방시설 점검용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및 방법
CN106257534A (zh) 用于大规模撤离的个性化实时户外指导应用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Guan et al. Fire risk assessment and daily maintenance management of cultural relic buildings based on ZigBee technology
Ugwuanyi et al. Managing disasters in University Libraries in South East Nigeria: Preventive, technological and coping measures
CN111611439A (zh) 消防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1640276B (zh) 基于电子围栏的预警方法及装置、系统
CN112288320A (zh) 一种地铁运行风险监控和管理系统
CN115526998A (zh) 基于gis地图的消安防管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20220071880A (ko) 지하공동구 맞춤형 디지털트윈 재난 관리 시스템
Mahmoud et al. Assessing wildland–urban interface fire risk
KR20200072972A (ko) 소방 안전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Thapa et al. Forest fire detection and monitoring
TWI567697B (zh) 智慧型疏散系統及其控制方法
CN109343108B (zh) 一种体育场馆室外场地应急避难即时使用情况预测控制方法
KR102449203B1 (ko) 안전상태정보 관리 방법
Rafi et al. A suggested model for mass fire spread
Nefros et 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to Reduce the Impact of Natural Disasters in Smart Cities
KR102443937B1 (ko)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