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937B1 -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937B1
KR102443937B1 KR1020220013469A KR20220013469A KR102443937B1 KR 102443937 B1 KR102443937 B1 KR 102443937B1 KR 1020220013469 A KR1020220013469 A KR 1020220013469A KR 20220013469 A KR20220013469 A KR 20220013469A KR 102443937 B1 KR102443937 B1 KR 102443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st fire
information
road
analysis devi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일
곽재환
김남균
김병식
Original Assignee
산림조합중앙회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림조합중앙회,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산림조합중앙회
Priority to KR1020220013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분석 장치가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고,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지역 및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등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산불 대응 현장 지휘 본부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산불 대응 현장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시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의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피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시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한 방어 영역과 산불 확산을 사전 저지하기 위한 방어선을 자동 설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Optimal Area Analysis Method and Device for Responding to Forest Fires, and Medium Being Recorded with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불 발생 지역 및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등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산불 대응 현장 지휘 본부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산불 대응 현장 지휘가 가능하게 되고, 산불 발생시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의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피를 지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산불 발생시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한 방어 영역과 산불 확산을 사전 저지하기 위한 방어선을 자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산불 발생시에는 산불 대응 및 진압을 위한 현장 지휘 본부가 신속하게 설치 및 운영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에는 이와 같은 현장 지휘 본부의 위치를 선정함에 있어서, 산불 발생 지역의 공간적 정보가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담당 공무원, 현장 실무자 등에 의해 상황에 따라 임의적으로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 선정이 이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과거 강원도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경우에 단일의 대피소만을 안내하는 재난 안내 문자가 발송됨으로써 이재민들의 대피 이동시 교통 혼잡과 대피소의 수용 범위 한계 등으로 인해 큰 혼란이 발생한 바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불 발생 지역 및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등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산불 대응 현장 지휘 본부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산불 대응 현장 지휘가 가능하게 되고, 산불 발생시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의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피를 지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산불 발생시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한 방어 영역과 산불 확산을 사전 저지하기 위한 방어선을 자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은, (a) 분석 장치가,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e)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f)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g)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h) 상기 분석 장치가, 대피소 정보, 및 상기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i)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j)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k) 상기 분석 장치가, 호출된 상기 교통량 정보와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를 우회하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l)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와 상기 우회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m)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n)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o)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는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며,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대피소 정보, 및 상기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호출된 상기 교통량 정보와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를 우회하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와 상기 우회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선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는, (a) 분석 장치가,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e)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f)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g)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h) 상기 분석 장치가, 대피소 정보, 및 상기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i)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시작 지점과 상기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j)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k) 상기 분석 장치가, 호출된 상기 교통량 정보와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로를 우회하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l)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와 상기 우회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m)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n)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o)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지역 및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등의 공간 정보를 고려하여 산불 대응 현장 지휘 본부 후보지를 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산불 대응 현장 지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시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해당 지역 주민의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피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산불 발생시 주요 시설 보호를 위한 방어 영역과 산불 확산을 사전 저지하기 위한 방어선을 자동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는 다른 효과들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하는 분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1 실시예인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분석 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2 실시예인 주민 다중 대피 경로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민 다중 대피 경로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분석 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3 실시예인 산불 대응 방어 영역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 방어 영역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분석 장치의 화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자는 GIS 기반의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알고리즘의 개발을 위해 기존의 공간 자료로부터 다양한 변환 도구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취득하여 분석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고 프로그래밍으로 모형화하는 도구인 ArcGIS의 Molderbuilder tool을 활용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Molderbuilder는 자료의 일괄 처리 뿐만 아니라 공간 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의 효율성을 위해 적용되는 도구로서, 자료 처리와 분석 과정을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분석 작업 절차의 간소화 및 문서화가 가능토록 하며, 이와 같은 Molderbuilder를 통해 구축된 모형은 Python 스크립트 또는 다른 모델로 호환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하는 분석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하는 분석 장치(100)는 수신부(110), 저장부(130), 연산부(150), 및 송신부(170)를 포함한다.
분석 장치(100)의 수신부(110)는 산불을 감시하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산불 감시 센터의 서버로부터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를 수신할수 있을 것이다.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고,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며, 선정된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산부(150)는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설정하고,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대피소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시작 지점과 각 도착 지점을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개별 추출하며, 추출된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경로를 생성한다.
또한, 연산부(150)는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선을 설정한다.
한편, 분석 장치(100)의 송신부(170)는 연산부(150)에 의해 선정된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정보를 산불 현장 지휘 책임자의 단말기로 송신하고, 연산부(150)에 의해 설정된 다중 대피 경로 정보를 화재 지역의 주민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로 송신하며, 연산부(150)가 설정한 산불 대응 방어 영역과 방어선의 위치 정보를 관할 소방 센터에 설치된 서버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 장치(100)의 저장부(130)에는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 도로의 교통량 정보 등과 같이 연산부(150)가 호출하는 각종 정보의 D/B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D/B는 수치 지도를 통해 분석에 필요한 레이어들을 생성하여 D/B화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D/B를 주기별로 업데이트하여 도심지 내 피복, 도로, 건물 등의 변화 상태를 최신의 상태로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저장부(130)에는 수신부(110)에서의 각종 수신 정보, 연산부(150)에서의 각종 연산 정보, 및 송신부(170)에서의 각종 송신 정보가 누적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1 실시예인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석 장치(100)의 수신부(110)는 산불을 감시하는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산불 관리 센터의 서버로부터 도 3에서와 같이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를 수신하고(S210), 이에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와 산불 관리 지역 범위를 설정한다(S220).
한편, 이와 같이 연산부(150)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는 보수적 산불 확산 범위 설정 방법을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보수적 산불 확산 범위 설정'이란 과거 대형 산불 피해 범위와 산불 확산 수치 모델링에 대한 참고문헌을 수집 및 분석하여 전형적인 산불의 진행 방향 및 그 영역에 대한 일반적인 결과를 통해 산불 확산 범위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저장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 대형 산불 확산 범위 사례를 통해 과거 최대 산불 확산 영역(종횡 길이)을 직사각형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순번 발생 연도 지역 확산 범위
1 2020 고성 0.6km × 2.5km
2 2019 고성 5km × 8km
3 2005 양양 2.5km × 5.5km
한편,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는 순수한 산불 영역으로서, 산불 또는 그 열로 인해 산불 영역 가장 자리 주변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의 경계를 기준으로 소정 비율(예를 들면, 10%)의 완충용 안전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산불 관리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는 산불 발견 시점에서의 산불 규모의 수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연산부(150)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와 산불 관리 지역 범위를 산불 규모 수치 정보에 비례하도록 확장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는 산불 발생 지역의 풍향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연산부(150)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와 산불 관리 지역 범위가 산불 발생 지역의 풍향 정보에 따른 방향으로 편향되어 수평 이동되도록 수정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는 산불 발생 지역에서의 풍속 수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연산부(150)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와 산불 관리 지역 범위를 풍속 수치 정보에 비례하도록 확장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이와 같이 설정된 산불 관리 지역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저장부(130)를 통해 호출하고(S230), 호출된 속성 데이터로부터 마을회관, 동사무소, 국가기관청사, 자치단체청사, 기타 공공 업무 시설,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하교, 대학교, 전문대학, 기타 학교 등의 공공 기관 건물의 코드 정보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S240).
아울러,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상기와 같이 코드 정보가 추출된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트 레이어를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또는 산불 관리 지역 범위)와 중첩시킴으로써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 내에 있는 공공기관 건물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4에서와 같이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 내에 있는 공공기관 건물을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로 1차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S250).
구체적으로, 연산부(150)는 후보지로 1차 선정된 공공기관 건물의 각 위치로부터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이와 같이 각 후보지 별로 산출된 거리 정보가 포함된 후보지 선정 정보를 도 4에서와 같이 분석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후보지로 1차 선정된 각 공공기관 건물의 도로 인접성을 분석함으로써, 1차 선정된 공공기관 건물들의 후보지로서의 순위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S260).
구체적으로, 연산부(150)는 후보지로 1차 선정된 각 공공기관 건물 위치의 포인트 레이어를 저장부(130)로부터 호출된 산불 관리 지역에서의 도로 배치 정보와 중첩시킴으로써, 각 공공기관 건물과 연결되어 있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의 상세 정보(예를 들면, 평균 통행량, 평균 통행 속도, 차로수 등)에 기초해서 각 공공기관 건물의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산부(150)는 각 공공기관 건물에 연결되어 있는 도로의 평균 통행량에 반비례하고, 도로의 평균 통행 속도에 비례하며, 도로의 차로수에 비례하도록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이와 같이 산출된 도로 인접성 수치가 높은 순서에 따라 각 공공기관 건물의 후보지 순위 정보를 생성하고, 가장 높은 순위의 공공기관 건물을 산불 현장 지회 본부로 최종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 장치(100)의 송신부(170)는 이와 같이 연산부(150)에 의해 결정된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정보를 산불 현장 지휘 책임자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2 실시예인 주민 다중 대피 경로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민 다중 대피 경로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설정한다(S510).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전술한 S220 단계에서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와 동일하게 대피 요구 지역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 산불 발견 시점에서의 산불 규모 수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산불 규모 수치 정보에 비례하도록 대피 요구 지역의 범위를 확장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 산불 발생 지역의 풍속 수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연산부(150)는 해당 풍속 수치 정보에 비례하도록 대피 요구 지역을 확장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다음,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호출하고, 호출된 우편 번호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호 인접한 위치에 있는 건물들을 그룹핑 처리하며, 그룹핑 처리된 건물들 중 중심(또는 중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건물의 위치를 대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S520).
아울러, 연산부(150)는 산림청에서 활용하고 있는 대피소 정보 중 화재 발생 지역(예를 들면, 강릉시) 내에 있는 대피소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검색하고, 검색된 대피소들 중에서 대피 시작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순서에 따라 소정 개수(예를 들면, 15개)의 대피소를 선별한 후, 이와 같이 선별된 대피소를 도 6에서와 같이 대피 도착 지점으로 개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S530).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전술한 S530 단계에서 검색된 대피소 정보 중에서 전술한 S220 단계에서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또는 산불 관리 지역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대피소의 정보를 상기 대피 도착 지점 정보에서 삭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상기 대피 시작 지점으로부터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개별 추출하되, 소정 기준의 교통 허용량을 초과하는 교통 허용량이 도로 속성 정보로서 연관 저장되어 있는 도로 정보만을 선별하여 추출한 다음(S540), 이와 같이 추출된 각 도로 정보를 기초로 주민의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대피를 위한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S57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ArcGIS 내의 The Closest Facility 기능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전술한 S540 단계에서 추출된 각 도로에서의 실시간 교통량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호출하며(S550), 각 도로에서의 실시간 교통량 정보를 기초로 다중 대피 경로를 구성하는 각 대피 경로에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즉, 대피 속도)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연산부(150)는 이와 같이 각 대피 경로에 대해 산출된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예를 들면, 전술한 S210 단계에서의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연산부(150)가 산출한 산불 확산 예상 속도) 이하인 경우에는 해당 대피 경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서 삭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연산부(150)는 삭제 처리된 대피 경로를 구성하는 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우회 도로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추출함으로써 대체 대피 경로를 생성하고(S560), 해당 우회 도로에서의 실시간 교통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해당 대체 대피 경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분석 장치(100)의 송신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150)에 의해 설정된 다중 대피 경로 정보를 화재 지역의 주민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3 실시예인 산불 대응 방어 영역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 방어 영역 설정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분석 장치(100)의 연산부(150)는 화재 발생 지역(예를 들면, 강릉시)에 있는 축사, 위험물 저장 처리 시설, 주유소 등의 위험 시설, 각종 병원 등의 보호 시설, 방송국, 사찰, 박물관, 미술관 등의 공용 시설과 문화재 소재지와 같은 주요 장소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검색 및 추출한다(S710).
아울러, 연산부(150)는 전술한 S220 단계에서 설정된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또는 산불 관리 지역 범위)와 상기 주요 장소 위치의 포인트 레이어를 중첩시킴으로써, 산불 확산 예상 지역 범위(또는 산불 관리 지역 범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주요 장소를 보호 대상 장소로 선정한다(S730).
그 다음, 연산부(150)는 상기 보호 대상 장소를 기준으로 소정의 반경 범위(예를 들면, 문화재는 50m, 위험/보호 시설은 30m) 내의 영역을 도 8에서와 같이 산불 대응 방어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S750).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연산부(150)는 상기 보호 대상 장소를 기준으로 소정의 추가 반경 범위(예를 들면, 문화재는 150m, 위험/보호 시설은 90m) 내의 영역을 산불 대응을 위한 추가 방어 영역(Buffer zone)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연산부(150)는 상기 추가 방어 영역(Buffer zone)과 중첩되는 도로 레이어 정보를 저장부(130)를 통해 추출함으로써, 추출된 도로 레이어를 보호 대상 장소의 산불 대응을 위한 방어선으로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S770).
한편, 분석 장치(100)의 송신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150)가 설정한 산불 대응 방어 영역과 방어선의 위치 정보를 관할 소방 센터에 설치된 서버로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의 제1 실시예인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최적 위치 선정 방법, 제2 실시예인 주민 다중 대피 경로 설정 방법 및 제3 실시예인 산불 대응 방어 영역 설정 방법은 그 실행 순서에 제한없이 분석 장치(100)를 통해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 장치(100)에 설치되거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각종 기록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서버에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분석 장치, 110: 수신부,
130: 저장부, 150: 연산부,
170: 송신부.

Claims (15)

  1. (a) 분석 장치가,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f2)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 인접한 위치에 있는 건물을 그룹핑 처리하는 단계; 및
    (f3) 상기 분석 장치가, 그룹핑 처리된 건물들 중에서 중심 위치에 있는 건물을 대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 상기 분석 장치가, 대피소 정보, 및 상기 대피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h)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시작 지점과 상기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i)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j)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서 삭제 처리하는 단계;
    (k) 상기 분석 장치가, 삭제 처리된 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l)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우회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우회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 추가하는 단계;
    (m)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n)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o)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방어 영역과 중첩되는 도로 레이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 레이어를 산불 대응 방어선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후보지와 연결되어 있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도로의 평균 통행량, 평균 통행 속도 및 차로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도로의 평균 통행량에 반비례하고, 도로의 평균 통행 속도에 비례하며, 도로의 차로수에 비례하도록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6.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며,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연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고,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며,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 인접한 위치에 있는 건물을 그룹핑 처리하며, 그룹핑 처리된 건물들 중에서 중심 위치에 있는 건물을 대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고, 대피소 정보, 및 상기 대피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고, 상기 대피 시작 지점과 상기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하며,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고, 상기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서 삭제 처리하며, 삭제 처리된 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우회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우회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 추가하며,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방어 영역과 중첩되는 도로 레이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 레이어를 산불 대응 방어선으로 설정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후보지와 연결되어 있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의 평균 통행량, 평균 통행 속도 및 차로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도로의 평균 통행량에 반비례하고, 도로의 평균 통행 속도에 비례하며, 도로의 차로수에 비례하도록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11. (a) 분석 장치가, 산불 발생 지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산불 발생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관리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건물의 속성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c)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건물의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공공기관 건물을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공공기관 건물의 위치 정보와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를 선정하는 단계;
    (e)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확산 예상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주민 대피가 요구되는 지역인 대피 요구 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피 시작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는,
    (f1)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f2)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요구 지역에 포함된 건물의 우편 번호 정보에 기초하여 상호 인접한 위치에 있는 건물을 그룹핑 처리하는 단계; 및
    (f3) 상기 분석 장치가, 그룹핑 처리된 건물들 중에서 중심 위치에 있는 건물을 대피 시작 지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g) 상기 분석 장치가, 대피소 정보, 및 상기 대피 시작 지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설정하는 단계;
    (h)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대피 시작 지점과 상기 복수의 대피 도착 지점을 각각 연결하는 도로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다중 대피 경로를 생성하는 단계;
    (i)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도로 정보에 기초하여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를 호출하는 단계;
    (j)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각 도로의 교통량 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된 각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서 삭제 처리하는 단계;
    (k) 상기 분석 장치가, 삭제 처리된 도로를 대체할 수 있는 우회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l)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우회 도로의 예상 평균 이동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우회 도로를 상기 다중 대피 경로에 추가하는 단계;
    (m)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산불 관리 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주요 장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n)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주요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산불 대응 방어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o)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방어 영역과 중첩되는 도로 레이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도로 레이어를 산불 대응 방어선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후, 상기 (e) 단계 이전에,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상기 산불 현장 지휘 본부의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불 발생 정보는 산불 규모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석 장치는 상기 산불 규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산불 관리 지역을 차등 설정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인접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 장치가, 상기 후보지와 연결되어 있는 도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장치가, 추출된 도로의 평균 통행량, 평균 통행 속도 및 차로수 정보를 포함하는 도로 상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지의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장치는,
    도로의 평균 통행량에 반비례하고, 도로의 평균 통행 속도에 비례하며, 도로의 차로수에 비례하도록 도로 인접성 수치를 산출하는 것인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220013469A 2022-01-28 2022-01-28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443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69A KR102443937B1 (ko) 2022-01-28 2022-01-28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469A KR102443937B1 (ko) 2022-01-28 2022-01-28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937B1 true KR102443937B1 (ko) 2022-09-19

Family

ID=8346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469A KR102443937B1 (ko) 2022-01-28 2022-01-28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09417A (zh) * 2023-11-24 2024-04-02 湖南赛德雷特卫星科技有限公司 基于层次分析的公路两侧森林火险等级分布图获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711B1 (ko) * 2020-01-07 2020-07-28 (주)오에이전자 재난 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2560A (ko) * 2019-03-22 2020-10-05 (주)태산전자 현장 통합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60A (ko) * 2019-03-22 2020-10-05 (주)태산전자 현장 통합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8711B1 (ko) * 2020-01-07 2020-07-28 (주)오에이전자 재난 대피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09417A (zh) * 2023-11-24 2024-04-02 湖南赛德雷特卫星科技有限公司 基于层次分析的公路两侧森林火险等级分布图获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The temporal hierarchy of shelters: a hierarchical location model for earthquake-shelter planning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US20050034075A1 (en) GIS-based emergency management
US20100158202A1 (en) Location Based Emergency Services Dispatching
Santarelli et al. New indices for the existing city-centers streets network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assessment in earthquake emergency
KR102443937B1 (ko)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장치 및 산불 대응을 위한 적지 분석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CN103218694A (zh) 电力应急监控方法和系统
Galderisi et al.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risk mitigation: the case of Vulcano Island, Italy
CN112365246A (zh) 一种基于ai+gis+bim的智慧管廊综合管理平台
Artese et al. A gis tool for the management of seismic emergencies in historical centers: How to choose the optimal routes for civil protection interventions
JP2002092264A (ja) 自治体等の防災システム
Koriashkina et al. TWO-STAGE PROBLEMS OF OPTIMAL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HUMANITARIAN LOGISTICS SYSTEM’S STRUCTURAL SUBDIVISIONS.
JP7448177B2 (ja) 災害対策用被害想定情報作成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用のプログラム
Savsar Fire station location analysis in a metropolitan area
JP2003044969A (ja) 緊急対策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482927B1 (ko) 대규모 재난대피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Howard et al. Definition of an Enriched GIS Network for Evacuation Planning.
JP6276228B2 (ja) 追加経路選択装置、追加経路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Wei et al. Integrated urban evacuation planning framework for responding to human-caused disasters over a surface transportation network
Aliabadi et al. Fire station location using AHP and GIS compilation Case Study: third zone of Esfahan city
Yang et al. Fire station districting using simulation: Case study in Centre Region, Pennsylvania
Chen et al. Widening narrow alleys to enhance response efficiency for fire emergency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roadway network analysis
Zahid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analysis for wildfire evacuations
KR102623123B1 (ko) 격자 기반 재난 관리 상황별 다차원 시각화 표출 방법
Veeraswamy et al. The simulation of urban-scale evacuation scenarios: Swinley forest 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