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99B1 -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99B1
KR101208999B1 KR1020100067210A KR20100067210A KR101208999B1 KR 101208999 B1 KR101208999 B1 KR 101208999B1 KR 1020100067210 A KR1020100067210 A KR 1020100067210A KR 20100067210 A KR20100067210 A KR 20100067210A KR 101208999 B1 KR101208999 B1 KR 101208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powder particles
drying apparatus
heating chamber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638A (ko
Inventor
김선재
홍지준
Original Assignee
(주)열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린기술 filed Critical (주)열린기술
Priority to KR1020100067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발열부가 장착된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 내부 중 상기 발열부 상측으로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일측이 상기 가열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이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유동덕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이용하면, 혼합용액에 포함된 수분을 확실하게 증발시키면서 분말입자의 비산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분말입자를 입도별로 구분하여 회수할 수 있으며, 유동덕트에 붙어 있는 분말입자까지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Drying equipment using ascending air current}
본 발명은 분사되는 용액을 가열하여 수분은 증발시키고 분말입자만을 회수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액 가열 시 발생되는 상승기류를 이용하여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써 분말입자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순수한 물이 아닌 어떠한 성분이 함유된 용액(이하 '혼합용액'이라 약칭한다.) 중 수분은 증발시키고 나머지 성분을 분말타입으로 회수하기 위한 건조장치는 현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고안되어 왔다. 그 중,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챔버 내에서 분사하여 혼합용액 성분 중 수분은 증발시키되, 혼합용액이 분사되는 공간으로 고온의 바람을 송풍시킴으로써 증발된 수분은 가열챔버 외부로 배출되고 분말입자는 가열챔버에 쌓이도록 하는 건조장치가 널리 상용화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건조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조장치는, 일측(도 1에서는 상측)이 개방된 가열챔버(10)와, 저장탱크(20)에 저장된 혼합용액을 가열챔버(10) 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22)과,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된 혼합용액을 가열하는 극초단파(micro wave) 발생기(30)와, 극초단파 발생기(30)에 의해 가열된 혼합용액으로 고압의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사노즐(22)로부터 분사된 용액은 극초단파 발생기(30)에 의해 가열되어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되며, 상기 수분은 송풍기(40)의 바람에 의해 가열챔버(10) 외부로 배출되고, 분말입자만이 가열챔버(10) 내에 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40)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은 고온 건조한 상태로 공급되는바, 혼합용액이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되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송풍기(40)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수분만이 가열챔버(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분말입자도 일부 비산되어 가열챔버(10) 외부로 배출되는바, 생산성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분말입자의 비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송풍기(40)의 송풍압을 저감시키는 방안도 고려된 바 있으나, 송풍기(40)의 송풍압을 저감시키게 되면 혼합용액의 수분 증발 효과가 떨어지게 완벽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열챔버(10) 내에서 생성된 분말입자는 가열챔버(10)의 바닥면에만 쌓이는 것이 아니라 가열챔버(10)의 내측벽에도 일부 부착될 수 있는데, 종래의 건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가열챔버(10)의 내측벽에 부착된 분말입자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가열챔버(10)의 내측벽에 부착된 분말입자를 긁어내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바, 생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건조장치는 혼합용액을 가열함으로써 발생된 모든 분말입자가 가열챔버의 바닥으로 포집되는바, 분말입자를 입도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열챔버의 바닥에 포집된 분말입자를 입도별로 구분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혼합용액에 포함된 수분이 확실하게 증발될 수 있으면서 분말입자의 비산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발열부가 장착된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 내부 중 상기 발열부 상측으로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일측이 상기 가열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되어, 상기 혼합용액이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유동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확관부 내측으로 극초단파를 방출하는 극초단파 발생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분은 통과되되 상기 분말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를 진동시키는 진동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에 적층된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된다.
상기 연장부는 수평방향 또는 상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장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가 이루는 나선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히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는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상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 하측에는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최종회수챔버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에 적층된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가 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는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구간과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구간이 교번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향연장구간의 하단과 상기 상향연장구간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를 이용하면, 혼합용액에 포함된 수분을 확실하게 증발시키면서 분말입자의 비산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분말입자를 입도별로 구분하여 회수할 수 있으며, 유동덕트에 붙어 있는 분말입자까지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3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4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순수한 물이 아닌 어떠한 성분이 함유된 용액(이하 '혼합용액'이라 약칭한다.) 중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열풍을 발생시키는 송풍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300)를 이용함으로써, 수분이 증발된 이후 남게 되는 분말입자가 비산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건조가 가능할 수 있도록, 내부에 발열부(300)가 장착된 가열챔버(100)와, 별도의 저장탱크(4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혼합용액을 상기 가열챔버(100) 내부 중 발열부(300) 상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410)과, 상기 혼합용액이 가열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유동덕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열챔버(100) 내의 수분과 분말입자는 상기 발열부(30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승하는 기류 즉, 상기 발열부(300)에 의해 가열챔버(100) 내에서 발생되는 자연대류를 타고 유동덕트(200)로 유입되는데, 상기 유동덕트(200) 내의 유속이 빨라지면 수분뿐만 아니라 분말입자까지도 유동덕트(200) 외부로 배출되는바,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덕트(200)는 가열챔버(100)로부터 유입된 수분과 분말입자의 유속이 낮아질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가열챔버(100)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 단면적이 증대되는 확관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챔버(100)로부터 유동덕트(200) 측으로 유입된 수분과 분말입자는 내측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확관부(210)를 지나면서 속도가 하강되어 분말입자는 유동덕트(200)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수분만이 유동덕트(2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유동덕트(200) 전체가 내측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확관부(210)로 구성되면 유동덕트(200)의 끝단이 과도하게 넓어지게 되는바, 상기 유동덕트(200)는 상기 확관부(2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되 내측 단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연장부(220)를 구비한다.
한편, 확관부(210)를 지나는 수분과 분말입자는 속도만이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온도 또한 하강되므로, 수분과 분말입자가 재결합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확관부(210)에는, 상기 확관부(210) 내측으로 극초단파를 방출함으로써 확관부(210) 내를 지나는 수분과 분말입자를 가열하는 극초단파 발생기(50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극초단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을 가열하는 극초단파 발생기(500)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건조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극초단파 발생기(500)의 구조 및 가열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220)가 하향으로 연장되면 연장부(220)의 바닥면에 적층된 분말입자가 연장부(220)의 바닥면을 타고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상기 연장부(220)는 수평방향 또는 상향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분말입자가 유동덕트(200)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연장부(220)의 길이를 증대시킴이 바람직하나, 상기 연장부(220)의 길이가 증대될수록 건조장치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건조장치의 설치공간에 제약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연장부(220)는 수분 및 분말입자의 유동거리는 증대시키되 전체 길이는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220)가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분 및 분말입자의 유로가 일정한 각도로 상향 연장되므로 수분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건조장치의 전체 높이는 증대되나 전체 폭은 크게 증대되지 아니하므로 면적은 좁고 높이의 제약이 없는 장소에 설치가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상기 연장부(220)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분 및 분말입자의 유로가 상향 및 하향을 반복하므로 수분의 배출에는 다소 불리한 점이 있지만 분말입자가 연장부(22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건조장치의 전체 길이는 증대되나 전체 높이는 크게 증대되지 아니하므로 면적은 넓고 높이에 제약이 있는 장소에 설치가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연장부(220)는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가 경사진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각 장단점이 혼합된 특성을 갖게 되는바, 수분의 배출 효율을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으면서 분말입자의 포집 효율 또한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연장부(2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될 때 상기 연장부(220)의 연장방향은, 혼합물질 및 가열장치의 특성, 설치공간의 특성, 사용자의 요구 등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220)의 길이가 길어지면 분말입자가 연장부(22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은 감소되지만 연장부(220) 내의 온도 및 압력이 낮아짐으로 인하여 수분이 응결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분이 응결되면 연장부(220)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연장부(22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바, 완전 건조된 분말입자를 회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연장부(2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가 이루는 나선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220)를 가열하는 히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700)는 연장부(220)가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700)는 연장부(220)를 가열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수분이 배출되는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은 분말입자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상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연장부(220)의 끝단이 상향을 향하게 되면 연장부(220)의 끝단 부위에서 낙하하는 분말입자가 많아지게 되므로,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 하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최종회수챔버(2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분말입자는 연장부(220)의 끝단 부위에서만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부(220)의 중단 부위에서도 낙하하여 연장부(22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므로, 상기 연장부(220)에는 상기 연장부(220)의 바닥면에 적층된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250)가 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장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분말입자 중 큰 입자(더 명확하게는 무거운 입자)는 연장부(220)를 따라 얼마 이동하지 못하고 낙하하게 되며, 작은 입자(더 명확하게는 가벼운 입자)는 연장부(220)를 따라 멀리까지 이동한 후 낙하하게 되는데, 상기 중단회수챔버(25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0)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면 가열챔버(100)와 가까운 중단회수챔버(250)에는 비교적 큰 분말입자가 포집되고, 가열챔버(100)와 먼 중단회수챔버(250)에는 비교적 작은 분말입자가 포집된다. 즉, 상기 중단회수챔버(250)가 연장부(220)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면 분말입자가 입도별로 구분되어 각 중단회수챔버(250)에 포집되는바, 사용자는 포집된 분말입자를 입도별로 분리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중단회수챔버(2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0)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연장부(220) 외부로 분말입자가 배출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수분은 통과되되 분말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는 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연장부(220)의 끝단에 장착되는 필터(23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필터(230)가 추가로 구비되면, 수분의 배출은 다소 방해 될 수 있으나 분말입자가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은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필터(230)의 구조는 분말입자의 종류 및 크기, 연장부(220) 내부의 압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220)를 따라 유동하던 분말입자는 연장부(220)의 바닥으로만 낙하하는 것이 아니라 연장부(220)의 내측벽에 붙어 떨어지지 아니할 수 있으며, 연장부(220)의 바닥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연장부(220)의 바닥에 쌓인 분말입자가 모두 연장부(220)의 바닥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220)의 중간 중간에 중단회수챔버(250)를 설치한다 하더라도 연장부(220) 내에서 낙하되는 분말입자 중 극히 일부만이 상기 중단회수챔버(250)로 포집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는, 상기 연장부(220)를 진동시키는 진동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기(600)에 의해 연장부(220)가 진동되면, 연장부(220)의 내측벽에 붙어 있던 분말입자가 연장부(220)의 바닥면으로 낙하하게 되고, 연장부(220)의 바닥면에 쌓인 분말입자는 경사진 연장부(220) 바닥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 내려가다가 중단회수챔버(250)로 포집되는바, 상기 중단회수챔버(250)에 포집되는 분말성분의 양이 현저히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진동기(6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0)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20)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제4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연장부(220)를 따라 유동하는 분말입자는 상향으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낙하하게 되는바, 상기 연장부(220) 중 상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이하 '상향연장구간'이라 약칭한다)이 길수록 분말입자의 회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향연장구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건조장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상기 상향연장구간의 길이를 증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에 포함되는 연장부(220)는, 장치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지 아니하면서도 상향연장구간을 보다 길게 확보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연장구간과 하향연장구간이 교번으로 배열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가 복수개의 상향연장구간과 하향연장구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면, 상향연장구간의 전체 길이를 길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분말입자의 회수효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220)가 복수개의 상향연장구간과 하향연장구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면, 연장부(220) 내에서 낙하하는 분말입자는 상기 하향연장구간의 하단과 상기 상향연장구간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모이게 되므로, 분말입자가 포집을 위한 중단회수챔버(250)는 하향연장구간의 하단과 상향연장구간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마다 하나씩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가열챔버 200 : 유동덕트
210 : 확관부 220 : 연장부
230 : 필터 240 : 최종회수챔버
250 : 중단회수챔버 300 : 발열부
400 : 저장탱크 410 : 분사노즐
500 : 극초단파 발생기 600 : 진동기
700 : 히터

Claims (13)

  1. 삭제
  2. 혼합용액을 가열하여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시키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가열챔버 내부의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가열챔버 내에 자연대류를 발생시키는 발열부;
    상기 가열챔버 내부 중 상기 발열부 상측으로 혼합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일측이 상기 가열챔버의 상부와 연통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대되는 확관부와, 상기 확관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유동덕트;
    상기 확관부 내측으로 극초단파를 방출하는 극초단파 발생기;
    를 포함하여,
    상기 발열부 상측으로 분사된 혼합용액은 수분과 분말입자로 분리되고, 상기 수분은 상기 발열부에 의해 상기 가열챔버 내에 발생된 자연대류를 타고 상기 유동덕트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분말입자는 상기 유동덕트 내에서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은 통과되되 상기 분말입자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 장착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를 진동시키는 진동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연장부의 바닥면에 적층된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가 상기 연장부의 길이방향으로 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수평방향 또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수평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감겨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가 이루는 나선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끝단은 상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의 끝단 하측에는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최종회수챔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12.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향연장구간과 하향으로 연장되는 하향연장구간이 교번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연장구간의 하단과 상기 상향연장구간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분말입자가 포집되는 중단회수챔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20100067210A 2010-07-13 2010-07-13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KR101208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10A KR101208999B1 (ko) 2010-07-13 2010-07-13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210A KR101208999B1 (ko) 2010-07-13 2010-07-13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38A KR20120006638A (ko) 2012-01-19
KR101208999B1 true KR101208999B1 (ko) 2012-12-06

Family

ID=45612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210A KR101208999B1 (ko) 2010-07-13 2010-07-13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27A (ko) * 2016-10-31 2018-05-10 (주)세종이엠씨 전자파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16B1 (ko) * 2018-09-28 2019-03-11 (주)링크옵틱스 세포분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2852A (ja) * 1999-06-28 2001-01-19 Catalysts & Chem Ind Co Ltd 噴霧乾燥装置
KR100325313B1 (ko) * 1999-05-07 2002-02-25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충남대학교총장)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
JP2004279017A (ja) * 2003-03-14 2004-10-07 Yasunobu Yoshida スプレードライヤーの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5313B1 (ko) * 1999-05-07 2002-02-25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충남대학교총장)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장치
JP2001012852A (ja) * 1999-06-28 2001-01-19 Catalysts & Chem Ind Co Ltd 噴霧乾燥装置
JP2004279017A (ja) * 2003-03-14 2004-10-07 Yasunobu Yoshida スプレードライヤーの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127A (ko) * 2016-10-31 2018-05-10 (주)세종이엠씨 전자파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638A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994B1 (ko) 소금 제조장치
KR20140096022A (ko) 고온 코크스를 냉각하는 습식 냉각탑
ES2671605T3 (es) Procedimiento para el secado de materiales a granel
KR101099128B1 (ko) 기능성 미세 소금 제조장치
CN104662220B (zh) 用于衣物干燥器具的绒毛阻拦装置
CN206746299U (zh) 用于碳素焙烧炉烟气脱硫的吸收塔
CN103604281B (zh) 转筒烘干机
CN105617849B (zh) 一种多功能尾气吸收塔
KR101208999B1 (ko)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CN109130087A (zh) 一种高效能注塑机
JP5591911B2 (ja) パイプ並びにパイプ内に取り付けるためのガイドエレメント
CN208554083U (zh) 一种新型喷雾造粒装置
CN106075941A (zh) 一种喷雾干燥设备
CN206176895U (zh) 一种用于淀粉加工的气流干燥机
CN207445851U (zh) 一种新型煤矿高效复合式湿式除尘器
CN207084071U (zh) 瓜籽处理系统
CN206399163U (zh) 一种ps颗粒旋风干燥器
KR102524592B1 (ko) 포집 성능이 향상된 먼지 포집기
CN107003026A (zh) 湿气流生成器
RU2614816C1 (ru)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льда и/или снега с искусственных и грунтовых покрытий
CN206660864U (zh) 一种喷涂废气预处理系统
CN106524670A (zh) 振动沸腾干燥机
KR101687578B1 (ko) 수평형 습식 스크러버의 충전물용 그레이팅
CN206597004U (zh) 液滴捕捉器、干燥系统和洗碗机
RU17304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авливания пыли из помещ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