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994B1 - 소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소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994B1
KR101080994B1 KR1020100053013A KR20100053013A KR101080994B1 KR 101080994 B1 KR101080994 B1 KR 101080994B1 KR 1020100053013 A KR1020100053013 A KR 1020100053013A KR 20100053013 A KR20100053013 A KR 20100053013A KR 101080994 B1 KR101080994 B1 KR 101080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ying
salt
raw material
dry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유영주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3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0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16Evaporating by spraying
    • B01D1/20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소금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측에서는 저장된 해수를 미세입자형태로 분무시키고 타측에서는 분무된 해수에 열풍을 공급하여 해수 입자에 포함된 소금은 남겨두고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해수의 증발이 빠르게 이루어져 그만큼 소금제조 시간이 단축되며 소금이 미세분말 상태로 생성됨에 따라 별도 소금분쇄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건조공간이 형성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염분 농축액을 미세 입자상태로 분사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금 제조장치{manufacture apparatus of salt}
본 발명은 해수를 가열 처리하여 해수에 함유된 소금을 추출해내는 소금제조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소금의 제조는 실외에 형성된 염전에 해수를 모아둔 뒤 자연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생산성이 높지 못하고 기후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으며염전 형성에 필요한 대지가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최근에는 이러한 자연제조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해수를 인위적으로 가열 및 증발시켜 소금을 추출하는 구조의 소금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소금제조장치는 모두 해수를 별도 탱크 내에 채운 상태에서 해수를 직접 끓여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생산성 저하 및 필요공간 낭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해수가 채워진 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짐에 따라 해수의 증발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어 생산성이 높지 못하고 증발 후 남은 소금은 대부분 응집되어 입자가 큰 덩어리 형태가 되므로 추후 소금의 분쇄공정을 별도로 실시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수의 가열방식을 개선하여 증발속도를 향상시키고 별도 분쇄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는 상태로 제조될 수 있는 소금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위의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내부에 건조공간이 형성된 건조부,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염분 농축액을 미세 입자상태로 분사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료공급부는 염분 농축액이 저장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공간에 염분 농축액 공급하는 원료공급관을 가지는 농축액 공급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부 및 상기 공기압축부와 원료공급관을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원료공급관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가지는 압축공기 공급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일단부가 원료공급관 단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내부에 단면축소부가 형성되며 단면축소부 일측에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열송풍기 및 가열송풍기와 상기 건조공간을 연결하여 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의 농축액 배출압력과 상기 가열부의 열풍배출압력이 상호 동일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공간과 연결되어 건조공간 내 증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하부에 소금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배출구 아래쪽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는 내부에 제1건조공간이 형성된 제1건조부 및 상기 제1건조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건조공간과 연결된 제2건조공간을 갖는 제2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건조공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급부 및 제2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공급부는 상기 제1건조공간 내에 농축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 및 상기 제2건조공간에 농축액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기압축부는 압축된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 가열부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공기가열부에 의한 공기가열 온도는 600°내지 800°일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염분 농축액이 농축액 분사부를 통해 미세 입자상태로 건조공간에 공급되고 열풍을 이용해 이러한 농축액 입자들을 가열하여 각 입자의 수분이 제거됨에 따라,
입자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기존에 비해 전체적인 수분증발속도가 단축되어 소금생산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렇게 농축액이 입자상태에서 증발이 이루어지므로 각 입자로부터 생성된 소금도 미세입자상태가 되므로, 별도로 소금을 잘게 분쇄하는 작업을 실시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정단면도
도 3은 분사노즐의 변형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단면도
도 4는 건조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건조부가 다중관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의 적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소금제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크게 건조부(100)와 원료공급부(200), 가열부(300), 배기부(400) 및 이송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건조부(100)는 해수(saltwater) 등의 염분 농축액(이하 '농축액'이라 함)의 수분증발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사방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내부에 건조공간(110)이 형성된 구조, 즉 일반적인 저장탱크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일측에는 농축액 유입을 위한 원료유입구(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의 유입을 위한 가열유입구(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에는 가열과정에서 건조공간(110)내 발생된 증기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기구(14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농축액 증발에 의해 생성된 소금의 배출을 위한 소금배출구(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건조부(100)는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농축액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플라스틱 또는 벽돌 등을 이용할 수 있고, 금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강처럼 부식우려가 적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내부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물질 또는 내염성이 우수한 물질을 도포시켜 농축액 가열과정에서 열 또는 소금에 의한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건조부(100)는 도면에 도시된 원통형태 외에도 각형이나 구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부(100)에는 원료공급부(200)가 연결되는데,
원료공급부(200)는 증발처리되기 전 상태의 농축액을 건조부(10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다시 농축액 공급부(210)와 압축공기 공급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농축액은 염분 농축액, 염분 농축수 또는 농축수라고 불리 울 수 있으며, 상기 농축액은 일 예로 해수, 해수의 농축액, 염분이 함유된 물, 해수, 해수의 농축액 및 염분이 함유된 물에 미네랄을 포함한 추가 성분이 첨가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미네랄은 마그네슘, 철, 구리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농축액 공급부(210)는 명칭 그대로 농축액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농축액이 저장되는 저장탱크(212) 및 저장탱크(212)로부터 배출된 농축액을 건조부(100)로 연결하는 농축액 공급관(214)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농축액 공급관(214)은 일단부가 저장탱크(212)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분사노즐(216)이 구비된 상태에서 분사노즐(216)이 건조부(100)의 원료유입구(130)에 연결되며 필요에 따라 밸브 등이 구비되어 농축액 배출여부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농축액 공급부(210)와 함께 원료공급부(200)를 구성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20)는 공급되는 농축액이 미세 입자상태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기를 압축한 뒤 토출시키는 공기압축기(222) 및 공기압축기(222)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를 농축액 공급관(214)으로 안내하는 공기 공급관(224)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공기 공급관(224)은 일단부가 공기압축기(22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농축액 공급관(214) 단부 부근에 직접 연결됨에 따라 농축액이 배출 직전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미세 입자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압축공기와 농축액 간 혼합은 농축액 공급관(214)과 공기공급관(224)간의 직접적인 연결구조 외에 분사노즐(216)을 이용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분사노즐(216)의 구조를 개선하여 혼합 및 공기압력에 의한 농축액의 토출력 향상기능을 함께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분사노즐(216)은 [도 3]과 같이 기본적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부에는 공기유입구(216a)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토출구(216b)가 형성된다.
이때 분사노즐(216)의 내부 중 중간지점에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단면축소부(216c)가 형성되고 단면축소부(216c) 아래쪽에는 원료유입구(216d)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벤츄리관'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분사노즐(216)은 공기유입구(216a)에 공기공급관(224)이 연결되고 원료유입구(216d)에는 원료공급관(214)이 연결된다.
따라서 압축공기가 분사노즐 내부를 지나는 과정에서 단면축소부(216c)를 지날 때에는 순간적으로 속도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해당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베르투이법칙'에 의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저장탱크(212)의 농축액이 자연스럽게 원료공급관(214)을 따라 분사노즐(216)내부로 빨려 올라가 분사노즐 내부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된 후 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참고로 이러한 방식 외에도 단순히 공기공급관(224)의 배출구를 원료공급관(214)의 배출구에 입접시킬 경우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농축액이 배출됨과 동시에 압축공기와 함께 미세 입자 상태로 비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공기압축기(222)에 공기가열기(230)를 연결시켜 압축된 공기가 가열된 상태로 분사노즐(216)이나 원료공급관(214)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농축액이 충분히 가열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가열부(300)에 의한 증발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압축공기의 가열온도는 약 600° 내지 800°일 때 높은 증발효율을 얻을 수 있는데, 물론 가열온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농축수 배출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렇게 원료공급부(200)가 연결된 건조부(100) 타측에는 가열부(300)가 설치된다.
가열부(300)는 원료공급부(200)에서 배출된 농축액을 가열시켜 수분과 소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가열송풍기(310)와 송풍덕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송풍기(310)는 열풍을 발생,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송풍기 구조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히터(312)가 구비되어 가열된 상태의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가열송풍기(310)에 연결되는 송풍덕트(320)는 열풍배출구가 건조부(100)의 가열유입구(130)에 연결되어 가열공기가 건조공간(11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가열부(300)의 열풍 배출압력은 원료공급부(200)의 농축액 배출압력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그 이유는 아래의 작용설명과정에서 언급한다. 그리고 가열부(300)와 원료공급부(200)의 출력은 건조부(100)의 수용용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참고로 가열부(300)는 이러한 열풍발생구조 외에 버너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히터 구조로 구현되어 건조부(100)의 건조공간(110)내에 직접 설치될 수 도 있다.
그리고 만약 공기압축기(222)에 공기가열기(230)가 연결된 구조로 제작할 경우, 공기공급관(224)을 분배하여 한쪽 공기공급관은 원료공급관(214)에 연결시키고 다른쪽 공기공급관은 건조부(100)의 가열유입구(13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즉 공기압축기(222)와 공기가열기(230)가 가열부(300)기능을 병행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가열부(300)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가열부(300)까지 설치된 건조부(100) 상측에는 배기부(400)가 연결된다.
배기부(400)는 건조공간(110)에서 농축액의 증발에 의해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소금과 수분 간의 분리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흡기장치(410)와 배기덕트(420)로 이루어진다.
흡기장치(410)는 가열송풍기(310)와 반대 구조, 즉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기팬 구조로 이루어지며, 배기덕트(420)는 일단부가 흡기장치(410)의 흡기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건조부(100)의 배기구(140)에 연결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흡기장치(410)에 별도의 집진구조를 적용하여 증기에 함유된 이물질들이 걸러진 상태로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흡기장치(410)의 흡기출력은 농축액의 증발과정에서 수분, 즉 수증기를 빨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야만 생성된 소금이 함께 빨려 나가 손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배기부(400)까지 연결된 건조부(100) 아래쪽에는 이송부(500)가 설치된다.
이송부(500)는 건조부(100) 내에서 생성되어 배출된 소금을 포장이나 기타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이송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며 건조부(100)의 소금배출구(150) 아래에 위치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공기압축기(222)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는 공기공급관(224)을 따라 이동하다가 원료공급관(214)으로 유입되어 원료공급관(214)을 통해 건조부(100)의 건조공간(110)으로 배출된다.
이때 원료공급관(214)으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이동속도가 빠른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원료공급관(214)의 배출지점의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저장탱크(212)내 농축액이 자연스럽게 원료공급관(214)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원료공급관(214)의 배출구 지점에서 농축액과 압축공기가 혼합된 후 배출된다.
이렇게 농축액과 압축공기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됨에 따라 배출 순간 압축공기와 함께 분산되어 마치 분무기를 통해 배출된 것과 같이 미세 입자상태로 흩어져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건조부(100)의 가열유입구(130)을 통해서는 가열부(300)에서 발생된 열풍이 공급되고, 공급된 열풍과 농축액 입자들이 건조공간(110)내에서 충돌하면서 각 입자의 수분 증발이 이루어진다.
이때 농축액이 미세 입자상태로 분무되어 각 입자 별로 개별적인 가열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체 농축액의 증발이 기존에 비해 훨씬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공기압축기(222)에 공기가열기(230)를 구비시킬 경우 농축액이 충분히 가열된 상태로 배출되어 열풍과 접촉되기 때문에 증발효율은 더욱 향상된다.
그리고 이렇게 각 농축액 입자의 증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 입자로 부터 염분, 즉 소금이 분리되고 소금과 분리된 수분, 즉 수증기는 배기부(400)의 작동에 의해 배기구(140)를 통해 배출되고 소금은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이때 증기와 염분 간 중량 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수증기만 배기구로 빨려 들어가고 비중이 높은 소금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자연 낙하 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하였지만 농축액의 미세입자 분무에 의해 증발속도가 향상됨에 따라 그만큼 소금의 생성속도도 향상되므로 전체적인 생산효율이 향상된다.
이렇게 아래로 떨어진 소금은 소금배출구(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이송부(500)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수거된다.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소금의 생성이 끊이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비록 순간순간 생성되는 소금의 양은 기존 집수 가열방식에 비해 적기는 하지만 가열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최종 생산량은 기존에 비해 훨씬 많아진다.
참고로 농축액의 분무 전에 가열부(400)를 이용해 건조공간(110) 내부를 충분히 가열하여 충분한 가열분위기를 형성시킴에 따라, 실온 상태에서 순수하게 열풍에 의해서만 증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증발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와 전체적인 구성은 동일하나, 건조부(100)의 구조를 달리하여 증발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한 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조부(100)를 다중관 형태로 구현하여 내부에 제1건조공간(100a-1)이 형성된 제1건조부(100a)가 설치되고, 제1건조공간(100a-1) 내에 제2건조부(100b)가 설치되어 제2건조부(100b) 내에는 제2건조공간(100b-1)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건조부(100b) 주변에 제1건조공간(100a-1)의 면적이 충분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건조공간(100a-1)에서의 증발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건조부(100b)에는 통공(100b-2)이 형성되어 제2건조공간(100b-1)과 제1건조공간(100a-1)이 상호 연통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원료공급부(200)에 추가된 분사노즐(216a)과 가열부(300)에 추가된 열풍덕트(320b)는 제1건조공간(100a-1)과 제2건조공간(100b-1)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작용과정을 설명하면,
앞이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열풍과 농축액이 제1건조공간(100a-1)과 제2건조공간(100b-1)에 동시에 공급되면 제1건조공간(100a-1)과 제2건조공간(100b-1) 전체에 걸쳐 증발이 이루어지고 제2건조공간(100b-1)에서 발생된 증기는 통공(100b-2)을 통해 제1건조공간(100a-1)으로 배출된 뒤 배기구로 배출된다.
이때 제2건조공간(100b-1)내에 독립적인 공간이 새로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인 증기의 배기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그만큼 증기의 가열시간도 증가되기 때문에, 증기에 함유된 미세염분까지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비록 앞의 실시예에 비해 건조부의 구조는 복잡해 지기는 하지만 그만큼 소금의 생산효율은 더욱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이러한 구조로 제2건조부(100b)외에 건조부를 추가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경우 앞에서 설명한 원리에 의해 소금 생산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건조부(100b)의 구조는 이러한 다중관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제1건조부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등의 구조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건조부 110 : 건조공간
120 : 원료유입구 130 : 가열유입구
140 : 배기구 150 : 소금배출구
200 : 원료공급부 210 : 농축액 공급부
212 : 저장탱크 214 : 원료공급관
216 : 분사노즐 216a : 원료공급구
216b : 토출구 216c : 공기공급부
216d : 단면축소부 220 : 압축공기 공급부
222 : 공기압축기 224 : 공기공급관
300 : 가열부 310 : 가열송풍기
312 : 히터 320 :열풍덕트
400 : 배기부 410 : 흡기장치
420 :흡기덕트 500 : 이송부
100a : 제1건조부 100b : 제2건조부

Claims (9)

  1. 내부에 제1건조공간이 형성된 제1건조부 및 상기 제1건조공간에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건조공간과 연결된 제2건조공간을 갖는 제2건조부를 포함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염분 농축액을 미세 입자상태로 분사하는 원료공급부, 그리고
    상기 건조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건조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원료공급부는,
    염분 농축액이 저장된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건조공간에 염분 농축액 공급하는 원료공급관을 가지는 농축액 공급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압축부 및 상기 공기압축부와 원료공급관을 연결하여 압축공기를 원료공급관에 공급하는 공기공급관을 가지는 압축공기 공급부
    를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일단부가 원료공급관 단부에 설치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내부에 단면축소부가 형성되고
    단면축소부 일측에는 공기공급관이 연결되는
    소금제조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가열송풍기 및 가열송풍기와 상기 건조공간을 연결하여 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덕트를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원료공급부의 농축액 배출압력과 상기 가열부의 열풍배출압력이 상호 동일한
    소금제조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건조공간과 연결되어 건조공간 내 증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건조부는 하부에 소금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소금배출구 아래쪽에 설치되어 배출된 소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
    를 더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8. 삭제
  9.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1건조공간 내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1공급부 및 제2건조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제2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공급부는,
    상기 제1건조공간 내에 농축액을 분사하는 제1분사부 및 상기 제2건조공간에 농축액을 분사하는 제2분사부를 포함하는
    소금제조장치.
KR1020100053013A 2010-06-04 2010-06-04 소금 제조장치 KR10108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3A KR101080994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013A KR101080994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0994B1 true KR101080994B1 (ko) 2011-11-09

Family

ID=4539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013A KR101080994B1 (ko) 2010-06-04 2010-06-04 소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099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97A1 (ko) * 2012-03-29 2013-10-03 Kim Jin Ho 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2754B1 (ko) * 2012-09-04 2014-01-16 김진호 용암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16935B1 (ko) * 2012-12-28 2015-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 소금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94236B1 (ko) 2017-03-28 2017-11-06 (주)세현이앤씨 폐염수 처리 설비
KR20180068464A (ko) * 2016-12-14 2018-06-22 김민호 해수 담수화장치 및 천일염 제조방법
KR101951116B1 (ko) * 2017-08-31 2019-02-22 조삼증 열풍순환을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102221496B1 (ko) * 2020-10-15 2021-03-02 장철순 천일염제조기
KR20210033609A (ko) 2019-09-19 2021-03-29 류성열 무화과로부터 항혈전 기능의 콜라겐 저분자 효율적 추출 방법 및 그 용도
KR20240032548A (ko) 2022-09-02 2024-03-12 김진호 소금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211Y1 (ko) * 2005-04-18 2005-10-12 (주)해강 해양 심층수 및 해양성 염수를 이용한 미세 분말미네랄소금 제조 방법과 감압 미네랄응축수 회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211Y1 (ko) * 2005-04-18 2005-10-12 (주)해강 해양 심층수 및 해양성 염수를 이용한 미세 분말미네랄소금 제조 방법과 감압 미네랄응축수 회수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7397A1 (ko) * 2012-03-29 2013-10-03 Kim Jin Ho 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37049B1 (ko) * 2012-03-29 2013-12-06 김진호 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352754B1 (ko) * 2012-09-04 2014-01-16 김진호 용암해수로부터 미네랄 소금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16935B1 (ko) * 2012-12-28 2015-05-04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 소금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180068464A (ko) * 2016-12-14 2018-06-22 김민호 해수 담수화장치 및 천일염 제조방법
KR101956293B1 (ko) * 2016-12-14 2019-06-24 김민호 해수 담수화장치 및 천일염 제조방법
KR101794236B1 (ko) 2017-03-28 2017-11-06 (주)세현이앤씨 폐염수 처리 설비
KR101951116B1 (ko) * 2017-08-31 2019-02-22 조삼증 열풍순환을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20210033609A (ko) 2019-09-19 2021-03-29 류성열 무화과로부터 항혈전 기능의 콜라겐 저분자 효율적 추출 방법 및 그 용도
KR102221496B1 (ko) * 2020-10-15 2021-03-02 장철순 천일염제조기
KR20240032548A (ko) 2022-09-02 2024-03-12 김진호 소금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994B1 (ko) 소금 제조장치
KR101099128B1 (ko) 기능성 미세 소금 제조장치
CN104764298B (zh) 循环流化床设备
CN203944143U (zh) 一种喷雾干燥机
CN207384871U (zh) 一种制药用喷雾干燥机
CN206511932U (zh) 一种颗粒状无水氯化钙连续生产装置
CN205042132U (zh) 新型喷雾干燥机
CN207838339U (zh) 多段式多功能的离心喷雾干燥塔
CN207247724U (zh) 硫酸锌干燥装置
CN203525341U (zh) 一种离心式喷雾干燥系统
CN108793294A (zh) 一种浓盐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CN101919443A (zh) 吸收式低温干燥塔
CN205851055U (zh) 一种循环粉碎干燥机
CN204208318U (zh) 应用于干化染料浆料的新型压力式染料喷雾干化系统
CN208081877U (zh) 萘系减水剂或其同系分散剂的高热效型喷雾干燥器
CN206980128U (zh) 两次喷雾的喷雾干燥塔
CN204104718U (zh) 一种喷雾造粒的猪血再用装置
CN204104793U (zh) 一种清洁的猪血球蛋白粉制备装置
KR101208999B1 (ko) 상승기류를 이용한 건조장치
CN206285515U (zh) 一种喷雾干燥塔
CN104399262B (zh) 一种猪血蛋白粉干燥回收装置
CN206056203U (zh) 轻质石材保温装饰板浆料干燥制粉装置
CN204121789U (zh) 一种猪血蛋白粉干燥回收装置
CN204910818U (zh) 匀速喷雾干燥机
CN204958951U (zh) 一种用于淀粉糖生产的结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