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900B1 -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 Google Patents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900B1
KR101208900B1 KR1020110097398A KR20110097398A KR101208900B1 KR 101208900 B1 KR101208900 B1 KR 101208900B1 KR 1020110097398 A KR1020110097398 A KR 1020110097398A KR 20110097398 A KR20110097398 A KR 20110097398A KR 101208900 B1 KR101208900 B1 KR 101208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am member
storage unit
plate members
co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보현
Original Assignee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6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the difference between a sum paid and a sum charg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에서 이용자가 티켓을 발매하기 위해 투입한 동전을 분류하여 임시적으로 수용 저장하도록 복수개의 구획된 동전 수용부들(101)에 각각 "V"자 형태로 하단부가 맞물려 동전을 수용하도록 쌍으로 대향 배치된 판부재들과,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수용된 동전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양측의 판부재들을 구동시키는 한쌍의 회동축,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외주면쪽으로 개방된 요홈이 형성된 캠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각 쌍의 양측 판부재들이 두개의 이격된 회동축들에 공통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들 각각에 형성된 돌출편(112,114)에 장착된 롤러(116,117)들이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시 롤러가 상기 캠부재의 요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롤러(116,117)와 돌출편(112,114)을 통하여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어 상기 판부재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향하여 개방되어 동전을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판부재의 개폐구조가 매우 간편하여 동전 임시수용부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개폐 제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동전 임시수용부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A COIN STORAGE APPARATUS FOR COIN HANDLER OF A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발매기에 투입되어 10원, 50원, 100원, 500원 짜리로 선별된 동전들을 임시로 저장하여 동전저장통으로의 투입과 반환을 위한 이송부로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간편한 구조로 정확하게 작동하도록 개선된 임시저장부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을 발매함에 있어서 티켓 발매를 자동화하여 점증되는 인건비를 절감하도록 수요자가 동전을 포함한 돈을 투입하면 동전을 진위를 확인하고, 집계하여 티켓을 자동으로 발매토록 하는 자동발매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의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986595호에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는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입된 동전의 진위를 판별하는 진위판별부(1)와, 투입된 동전이 진짜이면 투입된 동전의 종류를 분류하는 동전분류부(2)와, 투입되어 분류된 동전을 분류하여 일시로 저장하는 일시저장부(3)와, 일시저장부(3)에서 투입된 동전이 모여지는 동전저장부(도시생략)와, 일시저장부(3)를 통해 저장되는 동전저장부(4)와, 동전저장부(4)에 동전이 없을 때 동전을 배출시키는 보조호퍼(5)와, 동전을 배출시키는 동전배출부(6)와, 동전배출부(6)에서 배출되는 거스름돈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일시저장부(3)는 동전분류부(2)에서 분류된 동전이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임시저장통(31)으로서 동전이 투입되는 진위판별부(1)와 동전분류부(2)의 하측에 위치되어 동전의 종류 즉, 500원, 100원, 50원, 10원짜리 동전이 각각 분리되어 수용되도록 구획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하부에 제1,2개폐부재(33,35)가 설치되어 임시저장통(31)에 저장된 돈을 배출시키도록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3)와 제2개폐부재(35)로 나누어져 임시저장통(31)의 하부개구를 커버하도록 설치되고, 그 일단이 임시저장통(31) 하부 개구의 양단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즉, 제1개폐부재(33)는 임시저저장통(31)의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개폐부재(35)는 임시저장통(31)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각의 개폐구동부(37)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제1개폐부재(33)와 제2개폐부재(35)는 임시저장통(31)의 하면을 이루되, 임시저장통(31)의 중심부에서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접하는 면은 서로 깍지끼어지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시저장부(3)는 다시 참조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개폐부재(33)의 하측이 동전저장부(4)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제2개폐부재(35)의 하측이 동전배출부(6)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일시저장통(31)에 저장된 동전들은 선택적으로 제1,2개폐부재(33,35)가 개방됨에 따라 개방된 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동전 일시저장부(3)는 개폐구동부(37)로서 두개의 정역회전가능한 스텝모터들을 제 1, 2 개폐부재(33,35)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임시저장부의 측벽에 형성된 슬로트에서 제 1, 2 개폐부재(33,35)의 지지축이 가이드되게 하는 구조로 구성이 복잡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라 슬로트에 이물질들이 끼여 지지축이 슬로트에서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자동 발매기의 동전 임시저장부 구조에 구조개선책이 요망되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986595호(2010.10.04)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자동발매기의 동전 임시저장부의 복잡한 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정역회전가능한 구동모터로 두개의 개폐부재들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임시저장부에 수용된 동전들을 하측의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도록 개선된 구조의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임시 동전수용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는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에서 이용자가 티켓을 발매하기 위해 투입한 동전을 분류하여 임시적으로 수용 저장하도록 복수개의 구획된 동전 수용부들에 각각 "V"자 형태로 하단부가 맞물려 동전을 수용하도록 쌍으로 대향 배치된 판부재들과,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수용된 동전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양측의 판부재들을 구동시키는 한쌍의 회동축,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외주면쪽으로 개방된 요홈이 형성된 캠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각 쌍의 양측 판부재들이 두개의 이격된 회동축들에 공통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들 각각에 형성된 돌출편에 장착된 롤러들이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시 롤러가 상기 캠부재의 요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롤러와 돌출편을 통하여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어 상기 판부재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향하여 개방되어 동전을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캠부재에는 두개의 홀이 형성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판부재들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캠부재의 회동에 따른 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두개의 센서가 상기 동전 수용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동축들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편들에는 스프링이 각각 제공되어 상기 판부재들이 "V"자 형태로 하단부가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들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수용부는 "V"자로 하단부가 맞물려 그 사이에 수용되는 동전들을 임시로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곳으로 동전을 배출하도록, 두개의 판부재들에 결합된 두개의 회동축을 구동하는 회동축의 반경방향 돌출편에 장착된 롤러들이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맞물려 회동하도록 하여 판부재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조가 매우 간편하여 동전 임시수용부의 제조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고, 캠부재에 형성된 두개의 홀을 통해 센서에 의해 캠부재 위치를 감지하여 간편하게 모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판부재의 개폐 제어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동전 임시수용부의 작동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동전처리장치의 개폐부재가 작동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동전 임시저장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임시저장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동전 임시저장부의 정면쪽의 구성요소들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반대쪽에서 본 동전 임시저장부의 사시도.
도 7과 8은 각각 도 4의 동전 임시저장부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의 임시저장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6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전 임시저장부는 예를들어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티켓을 발매하기 위해 투입한 동전을 분류하여 임시적으로 수용 저장하여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에서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티켓을 발매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동전은 10원, 50원, 100원 및 500원의 4 종류로 투입되는 동전을 분류하여 각각 임시적으로 수용하도록 동전 임시저장부(100)는 전체 케이스가 4개로 구획된 동전 수용부(101)들이 일렬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각각의 동전 수용부(101)들에는 동전을 수용하도록 "V"자 형상으로 하단이 서로 접촉된 상태로 한쌍의 판부재(103, 104)들이 배치되고, 상기 각 쌍의 일측의 판부재들(103)들은 대향 배치된 판부재(104)들에 대하여 서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주 어느 한 방향으로 함께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같은 쪽의 판부재(103)(104)들은 공통된 회동축(105)(106)들에 고정되고, 상기 회동축(105,106)들은 임시수용부 케이스의 전측 단부벽에 브라켓(109)에 의해 장착된 구동부로서의 정역회전가능한 모터(107)의 출력축에 장착된 캠부재(108)를 통하여 연동하여 회동된다.
상기 각각의 회동축(105,106)들은 양단부가 동전 수용부(101) 케이스의 측단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105,106)들 각각의 양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편(112,113)(114,115)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동전 수용부 케이스 전측으로 돌출연장된 회동축들의 전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2,114)들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16,117)들이 상기 캠부재(108)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캠부재의 회동시 그 외주면에서 구름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캠부재(108)에는 90°로 간격으로 배치된 두개의 홀(120,121)과 외주면으로 개방된 요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120,121)들은 상하로 수용부 케이스에 배치된 두개의 센서(122,123)들에서 캠부재의 회동각을 감지하고 동전처리장치에 제공된 컨트롤러에서는 상기 센서들의 신호를 전송받아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컨트롤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요홈(110)은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돌출편(112,114)들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116,117)들이 삽입되어 돌출편이 회동됨으로써 결국 회동축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판부재들이 회동되어 'V"자 형으로 맞물린 상태의 하단부가 개방되어 판부재들 사이에 수용된 동전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축(105,106)의 후측 돌출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3,115)들에는 각각 일단이 고정된 스프링(118)들의 타단이 연결되어 회동축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여 회동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소멸될 때 전측 돌출단부들의 돌출편들에 제공된 롤러들이 캠부재의 홀에서 빠져나와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동전 임시저장부의 작동을 도 7과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모터(107)에 의해 캠부재(10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동축(105,106) 각각의 돌출편(112,114)에 장착된 롤러(116,117)들이 캠부재의 외주면에서 구름운동하게 된다. 상기 캠부재의 시계방향 회전시 그 외주면에서 구름운동하는 롤러(116,117)들이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11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삽입되고 계속된 캠부재의 회전에 따라 돌출편(112)과 함께 회동축(10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판부재(103)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하단부가 개방됨에 따라 초기에 상기 판부재들이 "V"자 형태로 배치되어 그 사이에 수용된 동전들이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즉 도 3의 동전배출부(6)로 배출된다. 이때 회동축(105)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3)에 제공된 스프링(118)이 인장되면서 탄성의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때 회동축(106)의 돌출편(114)에 장착된 롤러(117)는 캠부재 외주면에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판부재(104)는 최초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런 다음, 상기 모터(107)가 역회전하여 캠부재(108)가 초기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부재 외주면의 요홈(110)에서 돌출편(112)의 롤러(116)가 빠져 나와 캠부재의 외주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회동축(106)의 반대쪽의 돌출된 단부에 제공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편과 회동축이 초기위치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회동축들에 고정된 판부재(103, 104)들은 다시 "V"자 형태로 배치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판부재(103, 104)들 "V"자 형태로 배치되어 동전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모터(107)에 의해 캠부재(10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110) 속에 롤러(117)가 갇히게 되고 이어서 돌출편(114)과 함께 회동축(10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동축들에 고정된 판부재(1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판부재들이 "V"자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수용된 동전들이 도면에서 우측방향으로, 즉 도 2의 동전저장부(4)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모터(107)에 의해 캠부재(108)가 초기 위치로,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롤러(117)가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110)에 갇힌 상태에서 빠져 나와 캠부재의 외주면에 배치되면 회동축(106)의 반대쪽 단부에 제공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편(114)과 회동축(106)이 초기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회동축에 고정된 판부재(103, 104)들은 다시 초기의 "V"자 형태로 배치되어 투입되는 동전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철 승차권과 같은 자동발매기의 동전 임시저장부는 하나의 모터로 4개의 동전 수용부들 각각에 쌍으로 배치된 판부재들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동전 배출부와 동전 저장부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동전 수용부에 수용된 동전들을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두개의 판부재(103, 104)들에 결합된 두개의 회동축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서 회동축의 반경방향 돌출편에 장착된 롤러들이 캠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에 맞물려 회동하도록 하고 두개의 홀을 통해 센서에 의해 위치를 감지하여 간편하게 모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종래 동전처리장치에서의 동전 임시수용부 구조와 비교하여 매우 간편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동전 임시수용부의 작동의 신뢰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동전 임시저장부는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 뿐만 아니라 동전을 사용한 자판기등에도에 있어서 복수개의 동전 수용부들 각각에서 판부재들이 "V"자 형태로 맞물린 구조로 동전을 임시로 저장하고 필요시 동전배출부와 동전저장부중 어느 한 쪽으로 배출하도록 사용되며, 기존의 자동발매기의 동전 임시저장부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1 : 동전 수용부 103, 104 : 판부재
105,106 : 회동축 110 : 요홈
108 : 캠부재 112,114,113,115 : 돌출편
116,117 : 롤러 118 : 스프링
120,121 : 홀 122,123 : 센서

Claims (3)

  1. 전철 승차권과 같은 티켓의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에서 이용자가 티켓을 발매하기 위해 투입한 동전을 분류하여 임시적으로 수용 저장하도록 복수개의 구획된 동전 수용부들(101)에 각각 "V"자 형태로 하단부가 맞물려 동전을 수용하도록 쌍으로 대향 배치된 판부재들과, 상기 판부재들 사이에 수용된 동전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배출하도록 양측의 판부재들을 구동시키는 한쌍의 회동축, 상기 회동축을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외주면쪽으로 개방된 요홈(110)이 형성된 캠부재(108)가 제공되고, 상기 각 쌍의 양측 판부재들이 두개의 이격된 회동축들에 공통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축들 각각에 형성된 돌출편(112,114)에 장착된 롤러(116,117)들이 상기 캠부재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캠부재의 회전시 롤러가 상기 캠부재의 요홈에 삽입되어 회동되는 롤러(116,117)와 돌출편(112,114)을 통하여 상기 회동축이 회전되어 상기 판부재들을 동전저장부와 동전배출부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향하여 개방되어 동전을 배출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에는 두개의 홀(120,121)이 형성되고, 컨트롤러에 의해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판부재들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상기 캠부재(108)의 회동에 따른 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는 두개의 센서(122,123)가 상기 동전 수용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105,106)의 후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3,115)들에는 스프링(118)이 각각 제공되어 상기 판부재들이 "V"자 형태로 하단부가 맞물리게 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축들에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KR1020110097398A 2011-09-27 2011-09-27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KR101208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98A KR101208900B1 (ko) 2011-09-27 2011-09-27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7398A KR101208900B1 (ko) 2011-09-27 2011-09-27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900B1 true KR101208900B1 (ko) 2012-12-06

Family

ID=4790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98A KR101208900B1 (ko) 2011-09-27 2011-09-27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9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3B1 (ko) 2017-03-09 2018-06-01 주식회사 큐브인 벽부형 승차권 발매기를 이용한 무임승차 방지 시스템
CN110942547A (zh) * 2019-11-29 2020-03-31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多币种可扩展的硬币暂存装置及系统
KR20230087769A (ko) * 2021-12-10 2023-06-19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기의 임시저장 장치
CN110942547B (zh) * 2019-11-29 2024-06-07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多币种可扩展的硬币暂存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57Y1 (ko) 2001-03-31 2001-10-10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동전처리장치
KR200445721Y1 (ko) 2009-04-01 2009-08-27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KR100986595B1 (ko) 2010-02-10 2010-10-08 주식회사 에이텍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057Y1 (ko) 2001-03-31 2001-10-10 주식회사 케이디이컴 동전처리장치
KR200445721Y1 (ko) 2009-04-01 2009-08-27 국제시스템산업 주식회사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KR100986595B1 (ko) 2010-02-10 2010-10-08 주식회사 에이텍 자동발매기용 동전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493B1 (ko) 2017-03-09 2018-06-01 주식회사 큐브인 벽부형 승차권 발매기를 이용한 무임승차 방지 시스템
CN110942547A (zh) * 2019-11-29 2020-03-31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多币种可扩展的硬币暂存装置及系统
CN110942547B (zh) * 2019-11-29 2024-06-07 南京熊猫电子股份有限公司 多币种可扩展的硬币暂存装置及系统
KR20230087769A (ko) * 2021-12-10 2023-06-19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기의 임시저장 장치
KR102601894B1 (ko) 2021-12-10 2023-11-15 (주)에이텍모빌리티 동전입금기의 임시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0396B2 (en) Voucher cassette
US7422095B2 (en) Bill handling device and bill accommodating unit
US9898883B1 (en) Dual-bill passage auto-search bill acceptor
KR101208900B1 (ko) 자동발매기의 동전처리장치용 동전 임시저장부
US20060260905A1 (en) Coi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for rapidly recycling coins
CN102074070B (zh) 硬币暂时贮留机构
CN110310440B (zh) 一种柜员现金循环机
US8151967B2 (en) Banknote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banknotes therefrom
JP3411155B2 (ja) コイン払出装置
US11861965B2 (en) Coin counting apparatus including bad coin sorting unit
CN105765635B (zh) 纸张类处理装置
KR20070106819A (ko) 불량주화 배출장치가 구비된 동전 계수기
EP1850295B1 (en) Coin dispensing method for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dispensing device, and coin recycling machine using the coin dispensing device
KR101070588B1 (ko) 2매 방출 방지기능을 갖는 지폐 카세트
US11521453B2 (en) Value note box
KR200457949Y1 (ko) 지폐식별장치
CN210836218U (zh) 硬币暂存器
US20040074737A1 (en) Coin differentiating unit of coin dispenser
JP2003263665A (ja) 貨幣回収装置
CN108428280B (zh) 纸币暂存机构及纸币处理装置
KR101747173B1 (ko) 기어 및 렉기어를 통한 중앙 직선 동작 리젝트 포켓 적용 다포켓 계수정사기
JP6281260B2 (ja) 硬貨処理装置
JP2019185155A (ja) 硬貨処理装置
CN103548061A (zh) 纸张类识别装置
JPH0646428B2 (ja) 金券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