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835B1 -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835B1
KR101208835B1 KR1020080005796A KR20080005796A KR101208835B1 KR 101208835 B1 KR101208835 B1 KR 101208835B1 KR 1020080005796 A KR1020080005796 A KR 1020080005796A KR 20080005796 A KR20080005796 A KR 20080005796A KR 101208835 B1 KR101208835 B1 KR 101208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authoring
product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662A (ko
Inventor
허재형
황병석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8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에 흩어져 있는 상품 정보나, 구매자들의 상품 후기 등과 같은 상품 컨텐츠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통합하여 하나의 객체화된 상품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원하는 포맷으로 별도의 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여 상품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은,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객체화된 컨텐츠로서 저작하여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제공하여 유통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를 통한 제3컨텐츠 생성 및 유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3컨텐츠를 구성할 제1컨텐츠/제2컨텐츠를 선택하고, 제3컨텐츠 생성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편집된 형태로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및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유통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Distribution of Object Based Product Contents}
본 발명은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여러 사이트에 흩어져 있는 상품 정보나, 구매자들의 상품 후기 등과 같은 상품 컨텐츠와,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통합하여 하나의 객체화된 상품 컨텐츠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원하는 포맷으로 별도의 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여 상품을 추천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자신의 상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재판매, 광고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은 판매자가 인터넷 쇼핑몰에 상품을 공급하거나 위탁하여 웹 사이트 내에 상품을 이미지로 노출하여 소비자가 노출된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판매자가 스스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고, 직접 자신이 판매할 상품을 촬영한 이미지 및 상품 정보(상품 컨텐츠)를 인터넷 쇼핑몰에 게시하여, 판매자가 직접 제작한 상품 컨텐츠를 통해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판매자가 스스로 인터넷 쇼핑몰을 운영하여 판매 활동을 하는 경우의 대부분의 판매 대상 상품은 이미 다양한 경로로 유통되고 있는 상품이며, 이에 따라 동일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는 일반적으로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게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이와 같이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상품 정보를 판매자들 간에 공유하거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나 툴(Tool)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여러 사이트에 산재된 상품 정보들을 판매자가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각 사이트에 있는 상품 정보를 수집하고 직접 편집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자신의 인터넷 쇼핑몰에 게시하기 위해 원하는 포맷으로 컨텐츠를 제작하고 쇼핑몰에 게시하는 등의 과정 역시 매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구매자의 입장에서도 특정 인터넷 쇼핑몰에 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여러 사이트에서 직접 탐색하여 확인하여야 하므로 상품 정보 수집을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아울러, 구매자가 자신의 관심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3자와 공유하거나, 관심 상품을 제3자에게 추천하는 등 상품 정보를 유통시키고자 할 경우, 구매자가 원하는 정보를 온전히 제3자에게 제공하려면 스스로 유통시킬 컨텐츠를 직접 제작하 여야 할뿐만 아니라, 여러 사이트에 산재된 상품 정보들의 포맷 또한 서로 상이하여, 자신이 원하는 상품 정보를 유통시키는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쇼핑몰 중에는 이메일을 통한 상품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쇼핑몰이 있으나, 이 경우 해당 쇼핑몰에 게시된 상품 정보만이 이메일로 전송되는 것이어서 제공되는 정보에 한계가 있고, 추천 방식 역시 이메일로 한정되어 있어 그 활용이 미미한 실정이며, 상품을 추천받은 자 역시 해당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여러 사이트에서 직접 정보를 탐색하여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상품 정보나 자신이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포맷으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객체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다른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하는 등 이미 저작된 객체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상품을 직접 판매하거나,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재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이로 인한 수익 창출이 가능하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구매자가 특정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정보를 탐색하는 등의 과정으로 인해 발생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자신의 관심 상품이 전시되어 있는 채널에서 해당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상품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객체화된 컨 텐츠로서 저작하여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제공하여 유통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를 통한 제3컨텐츠 생성 및 유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3컨텐츠를 구성할 제1컨텐츠/제2컨텐츠를 선택하고, 제3컨텐츠 생성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 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편집된 형태로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유통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사용자가 제작한 제2컨텐츠를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와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에 포함된 제1컨텐츠 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 발생 시 결제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결제 및 정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는, 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검색을 지원하고,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함께 편집하여, 편집된 형태로 제3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통합 편집부; 및 상기 제3컨텐츠를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추천부; 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연동 화상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3컨텐츠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판매자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외부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 츠를 유통시키는 컨텐츠 저작 서버로서, 사용자가 선택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하여,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유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사용자가 제작한 제2컨텐츠를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와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에 포함된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 발생 시 결제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결제 및 정산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 3컨텐츠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와 연동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검색을 지원하고,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함께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형태로 상기 컨텐츠 제작 서버에 의해 제3컨텐츠가 생성되도록 하는 컨텐츠 통합 편집부; 및 상기 제3컨텐츠를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객체 추천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는, 유무선 연동 화상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3컨텐츠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판매자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객체화된 컨텐츠로서 저작하여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제공하여 유통하는 컨텐츠 유통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하나 이상의 제1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하는 단계; 사용자가 제작한 제2컨텐츠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와 상기 등록받은 제2컨텐츠를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복수의 제1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1컨텐츠들을 표준화하는 단계; 상기 표준화된 복수의 제1컨텐츠를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유통 단계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포맷 변환된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은, 컨텐츠 객체화 단계 이후,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구성하는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은,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 이후,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가 발생되면,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결제 및 정산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판매자 또는 구매자가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상품 정보나 자신이 직접 제작한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포맷으로 게시할 수 있고, 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객체를 원하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다른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객체화된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를 저작한 사용자 또는 다른 사용자가 다른 사이트들에 유통시키거나 제3자에게 전달하여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품을 벼룩시장이나 알뜰시장 등과 같은 시스템을 통해 직접 판매하거나,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재판매 및 광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한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가 특정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상품의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정보를 탐색할 필요 없이, 자신의 관심 상품이 게시되어 있는 채널에서 바로 검색하여 상품 활용 방법이나 상품에 대한 의견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판매자가 인터넷 사이트의 내용에 맞는 여러 상품 정보를 한꺼번에 게시함으로써, 구매자에게 상품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상품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판매 혹은 재판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상품에 호의적인 고객을 상품 홍보 및 재판매자로 활동하게 하여 확장된 형태의 커머스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고, 실질적인 상품 이용 후기 정보 취득을 통해 촤별화된 상품 지식 기반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쇼핑의 재미 요소를 강화시킬 수 있고, 구매자와 판매자 간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서비스는 웹(인터넷) 기반 혹은 설치형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통해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컨텐츠들을 하나로 객체화시켜 사용자가 별도의 인터넷 페이지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서비스는 상품 판매 니즈를 가진 판매자가 다양한 인터넷 사이트 즉, 쇼핑몰, 동영상 UCC(User Created Contents) 사이트, 커뮤니티 사이트 등 여러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 컨텐츠와, 판매자가 직접 제작한 컨텐츠(SCC; Seller Created Contents)를 통합하여 하나의 객체화된 상품 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게 하며, 저작된 객체를 XML, RSS Feed, HTML, Widget, google gadget 등 다양한 포맷 중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게시하여 준다.
이를 통해 벼룩시장, 알뜰시장 등에서와 같은 직접 판매형 서비스와 재판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객체화되어 생성된 컨텐츠들은 제3자가 검색, 포맷을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웹) 기반 혹은 설치형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통해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컨텐츠들을 저작하여 하나로 객체화하는 기능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을 선택하여 별도의 인터넷 페이지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및 사용자 또는 제3자가 객체화된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원하는 포맷으로 변경하여 유통시키는 기능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없는 중고 상품에 대해 거래를 제안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하고, 판매자가 원하는 형태로 쇼핑몰 외에 원하는 사이트에 자신의 상품을 게시하여 직접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관심 상품에 대한 객체화된 컨텐츠 저작을 통해 단일 혹은 복수의 상품에 대한 재판매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 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텐츠 저작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컨텐츠 저작 서버(100) 및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로 구성된다.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100)는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컨텐츠(이하, '제1컨텐츠'라 칭함)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이하, '제2컨텐츠'라 칭함)들을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객체화된 상품 컨텐츠(이하, '제3컨텐츠'라 칭함)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이메일, 단문 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제3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100)는 여러 인터넷 사이트의 표준화되지 않은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켜 사용자가 저작을 통해 게시하도록 하는 비정형화된 인터넷 컨텐츠 표준화 기술과, 사용자가 저작하여 게시하고자 하는 상품 컨텐츠를 객체화하고 XML, RSS Feed, HTML, Widget, google gadget 등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상품 컨텐츠 저작을 통한 객체화 기술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는 인터넷 기반 클라이언트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형 클라이언트로서 존재하며,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100)를 통한 제3컨텐츠 생성 및 유통 서비스 이용을 위해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100)와 연동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이다.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는 제3컨텐츠를 구성할 제1컨텐츠/제2컨텐츠를 선택하고, 제3컨텐츠 생성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며, 게시된 제3컨텐츠들에 대한 검색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가 게시한 제3컨텐츠를 객체의 속성 정보까지 포함하여 검색하거나, 게시되어 있는 객체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하도록 하는 객체 검색 및 클리핑 기술,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제2컨텐츠 및 인터넷 사이트들에 게시된 제1컨텐츠를 함께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사용자가 제3컨텐츠를 다른 사람에게 단문 메시지나 이메일을 통해 전송하는 객체 전달 기반 추천 기술 등을 필요로 하며, 추가로 상품 유무선 연동의 화상 통신을 통해 상품을 직접 보거나 판매자로부터 상품에 대한 설명을 직접 들을 수 있게 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술 등이 적용된다.
도 3 및 도 4를 통해 컨텐츠 저작 서버(100) 및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저작 서버(100)는 컨텐츠 객체화부(110), 포맷 변환부(120), 유통부(130), 결제 및 정산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객체화부(110)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편집된 형태로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객체 DB에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블록으로서, 세부 기능 단위로 구분할 경우 컨텐츠 수집부, 컨텐츠 표준화부, 객체 생성부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수집부는 외부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1컨텐츠를 수집하여 컨텐츠 표준화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수집부는 문서 구조 해석 기술을 기반으로 외부 쇼핑몰 및 기타 각종 인터넷 서비스의 비정형 데이터를 획득하는 기술을 활용하며, 웹 문서의 구조 해석 및 속성 분석 기능, 문서 구조 해석 결과를 표현하기 위한 문서 구조 정의 언어, GUI 기반의 데이터 추출 지원 도구 등을 가질 수 있다.
컨텐츠 표준화부는 여러 인터넷 사이트들에 산재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켜 객체 생성부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컨텐츠 표준화부는 비정형 데이터 추출 기술을 통해 추출된 데이터를 속성별로 객체 표준으로 변환하고, RSS, JSON, REST 등 웹 서비스 표준 기술로 익스포트(Export)하는 기술을 가질 수 있으며, 데이터 속성별 객체 표준화 기능, 각종 웹 서비스 표준 기술을 활용한 제3컨텐츠로의 데이터 전달 형태 정의 기능, 웹 서비스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데이터 변환 규칙 정의 기능 및 그 변환 추이를 모니터링하는 기능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생성부는 표준화된 제1컨텐츠를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제2컨텐츠와 통합하여 객체화된 하나의 상품 컨텐츠 즉,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객체 DB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110)는 기 생성된 제3컨텐츠에 포함된 제1컨텐 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주기적으로 외부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된 컨텐츠의 정보 변경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음, 포맷 변환부(120)는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XML, RSS Feed, HTML, Widget, google gadget 등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한다.
유통부(13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된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여 제3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결제 및 정산부(140)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 발생 시 외부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 기능을 지원하거나,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결제 및 정산부(140)는 비즈니스 모델에 따라, 사용자가 저작한 제3컨텐츠에 광고를 삽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광고 수익을 정산할 수 있고, 해당 제3컨텐츠의 활용을 통한 커머스 서비스로부터 발생되는 거래 수수료 또는 상품 광고 수수료 등을 사용자, 광고주, 쇼핑몰 운영자 등 각 서비스 이용 주체들에게 정산할 수 있다.
다음, 도 4를 통해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는 컨텐츠 저작 서버(100)를 통한 제3컨텐츠 생성 및 유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210), 컨텐츠 통합 편집부(220), 객체 추천부(230),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240)로 구성될 수 있다.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210)는 사용자나 판매자, 혹은 방문자 등이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하고,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 통합 편집부(220)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함께 편집하여, 편집된 형태로 제3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즉, 제3컨텐츠를 저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어플리케이션 논리 구현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비즈니스 로직 정의 언어 및 GUI 기반의 저작 도구를 제공한다.
객체 추천부(230)는 상기 제3컨텐츠를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 전송은 실질적으로 컨텐츠 저작 서버(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객체 추천부(230)는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 전송을 컨텐츠 저작 서버(100)로 요청하기 위한 소정의 서비스 요청 기능 정도를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 직접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200) 내부적으로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 전송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240)는 유무선 연동 화상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3컨텐츠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판매자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유무선 연동 화상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한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 등록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제1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들을 방문하여 수집하면, 컨텐츠 저작 서버는 수집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들을 표준화시킨다(S501).
다음, 사용자가 자신이 제작한 제2컨텐츠를 등록하고 객체화를 요청하면(S503), 컨텐츠 저작 서버는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한다(S505).
다음, 사용자가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고자 하는 포맷을 선택하면, 컨텐츠 저작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제3컨텐츠의 포맷을 변환하고,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이메일, 단문메시지 등을 이용하여 전달한다(S507).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이 생성된 제3컨텐츠는 해당 컨텐츠를 구성하는 제1컨텐츠의 출처인 인터넷 사이트에서 해당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컨텐츠 저작 서버는 해당 변경 정보를 획득하여 변경된 정보로의 업 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저작하여 게시한 제3컨텐츠를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포맷을 변경하여 다른 사이트에 다시 유통시킬 수 있고, 다른 사용자가 사용자의 제3컨텐츠를 포맷 변경하여 다른 사이트에 게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이용자가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통해 구매하고 싶은 상품을 발견한 경우, 바로 구매를 하거나 판매자와 화상 기반으로 직접 커뮤니케이션할 수도 있다.
한편 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상품 구매가 발생되면,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S509), 이러한 정산 과정은 매 상품 구매 발생시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통합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제3컨텐츠는 복수의 제1컨텐츠들만으로 생성될 수도 있고, 제2컨텐츠들만으로 생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 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상품 판매 행위를 유발하는 인터넷 서버 장치 및 인터넷 서버 장치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상품 정보들을 통합하여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상품 컨텐츠를 저작하고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된 형태의 커머스 운영이 요구되는 인터넷 서버 장치에서 활용될 수 있고, 특히 상품 홍보 및 재판매를 유도할 필요가 있는 인터넷 서버 장치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텐츠 저작 서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텐츠 저작 서버 110 : 컨텐츠 객체화부
120 : 포맷 변환부 130 : 유통부
140 : 결제 및 정산부 200 :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
210 :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 220 : 컨텐츠 통합 편집부
230 : 객체 추천부 240 :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

Claims (15)

  1.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객체화된 컨텐츠로서 저작하여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으로서,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제공하여 유통하며, 상기 제3컨텐츠에 포함된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와;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를 통한 제3컨텐츠 생성 및 유통 서비스 이용을 위한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상기 제3컨텐츠를 구성할 제1컨텐츠/제2컨텐츠를 선택하고, 제3컨텐츠 생성을 위해 상기 선택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통합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상기 제2 컨텐츠를 상기 표준화된 제1 컨텐츠와 결합하여,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를 통해 편집된 형태로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및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유통부;
    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는,
    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검색을 지원하고,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
    제1컨텐츠와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함께 편집하여, 편집된 형태로 제3컨텐츠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통합 편집부; 및
    상기 제3컨텐츠를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추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4. 외부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유통시키는 컨텐츠 저작 서버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사용자가 제작한 제2컨텐츠를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와 결합하여 객체화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유통시키기 위해 상기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부;
    상기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3자에게 전달하는 유통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에 포함된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저작 서버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 발생 시 결제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결제 및 정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
  8.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3컨텐츠를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저작 서버와 연동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서,
    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검색을 지원하고, 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클리핑하여 별도의 인터넷 사이트에 원하는 형태로 게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객체 검색 및 클리핑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1컨텐츠 및 제2컨텐츠를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함께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형태로 상기 컨텐츠 제작 서버에 의해 제3컨텐츠가 생성되도록 하는 컨텐츠 통합 편집부;
    상기 제3컨텐츠를 단문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 제3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객체 추천부; 및
    유무선 연동 화상 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3컨텐츠에 해당하는 상품을 직접 보거나, 판매자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상기 제3컨텐츠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화상 기반 커뮤니케이션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작 클라이언트.
  9. 삭제
  10. 컨텐츠 객체화부, 포맷 변환부, 유통부, 및 결제 및 정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텐츠 저작 서버에서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객체화된 컨텐츠로서 저작하여 유통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외부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수집한 비정형화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시키고,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 컨텐츠인 제2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상품 컨텐츠로 객체화하여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객체화 단계와;
    상기 포맷 변환부가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에서 생성된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상기 유통부가 상기 포맷 변환된 제3컨텐츠를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제공하여 유통하는 컨텐츠 변환 및 유통 단계;
    를 포함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하나 이상의 제1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1컨텐츠를 표준화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사용자가 제작한 제2컨텐츠를 등록받는 단계;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상기 표준화된 제1컨텐츠와 상기 등록받은 제2컨텐츠를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정형화된 복수의 제1컨텐츠를 수집하고, 수집된 제1컨텐츠들을 표준화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가 상기 표준화된 복수의 제1컨텐츠를 결합하여 객체화시켜 제3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포맷 변환 및 유통 단계는,
    상기 포맷 변환부가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의 포맷을 사용자가 선택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유통부가 상기 포맷 변환된 제3컨텐츠를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제3자에게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 이후,
    상기 컨텐츠 객체화부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를 구성하는 제1컨텐츠의 정보가 변경된 경우, 해당 제1컨텐츠를 수집한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변경된 정보를 획득하고, 변경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3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컨텐츠 업데이트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객체화 단계 이후,
    상기 결제 및 정산부는 상기 생성된 제3컨텐츠로 인한 구매가 발생되면, 상기 제3컨텐츠로 인해 발생된 구매 및 상품 광고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산을 수행하는 결제 및 정산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방법.
KR1020080005796A 2008-01-18 2008-01-18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KR101208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96A KR101208835B1 (ko) 2008-01-18 2008-01-18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796A KR101208835B1 (ko) 2008-01-18 2008-01-18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62A KR20090079662A (ko) 2009-07-22
KR101208835B1 true KR101208835B1 (ko) 2012-12-06

Family

ID=4129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796A KR101208835B1 (ko) 2008-01-18 2008-01-18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8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99951A (zh) * 2008-06-06 2009-12-09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发布网站信息的方法、装置及系统
US11758212B2 (en) 2011-04-29 2023-09-12 Frequency Ip Holdings, Llc Aggregation and presentation of video content items with feed item customization
WO2012148425A1 (en) * 2011-04-29 2012-11-01 Frequency Networks, Inc. Creation and presentation of selective digital content feeds
AU2011202182B1 (en) 2011-05-11 2011-10-13 Frequency Ip Holdings, Llc Creation and presentation of selective digital content fee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662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837B1 (ko) 구매 상품 피드 연동 장치, 시스템 및 그 연동 방법
JP2007058387A (ja) アフィリエイト管理方法及びアフィリエイト管理サーバ
KR100890422B1 (ko) 사용자 후기 집중 관리를 활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서비스 방법
JP2008525872A (ja) ウェブをベースにしたマーケティングシステム
US20150324897A1 (en) Internet vending machine/mobile vend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CN105190664A (zh) 报告移动应用的动作
KR20190086245A (ko) Sns를 이용한 광고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12073990A (ja) 広告配信システムおよび広告配信方法
KR101208835B1 (ko) 객체 기반 상품 컨텐츠 저작/유통 시스템 및 방법
JPH11143952A (ja) 取引情報センター装置、顧客装置及び店舗装置
EP2884449A1 (en) Transaction support system
KR20090076575A (ko) 표준 상품카탈로그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카탈로그 서버,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저장매체
US8150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sale using sale contents
JP3276145B1 (ja) インターネット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041663A (ja) 広告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90107835A (ko) 멀티채널 쇼핑몰 시스템
JP2012098992A (ja) 広告提供システム、広告提供管理装置、広告提供管理方法および広告提供管理プログラム
JP2002298015A (ja) 広告評価システム、広告評価方法及び広告評価プログラム
JPWO2019022036A1 (ja) データ連携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75724B1 (ko) 실시간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JP200132537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作成支援ツール
JP2013250753A (ja) 情報提供サーバ、関連情報サーバ、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KR100857858B1 (ko) 개인마켓구축 대행서비스 제공방법
JP2007087369A (ja) 広告床利用システム
KR20210066353A (ko) 블록체인 기반 보상 가능한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22

Effective date: 201202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01010029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22

Effective date: 201202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