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930B1 -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930B1
KR101207930B1 KR1020100121886A KR20100121886A KR101207930B1 KR 101207930 B1 KR101207930 B1 KR 101207930B1 KR 1020100121886 A KR1020100121886 A KR 1020100121886A KR 20100121886 A KR20100121886 A KR 20100121886A KR 101207930 B1 KR101207930 B1 KR 101207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earlite
storage tank
nozz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408A (ko
Inventor
김윤찬
최동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현퍼라이트
Priority to KR1020100121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9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4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insulating la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38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3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인 펄라이트 보충용 노즐의 블라인드(덮개)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개폐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저장탱크의 압력을 10kPa 이상 상태로 유지하며 펄라이트를 보충함으로써 저장된 가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에 따른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방법은
체결프레임(300)에서 브라켓(310)을 분리하는 단계(S110), 노즐(10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랜지(110)의 고정볼트를 좌우 1쌍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는 단계(S120), 체결프레임(300)을 노즐(100) 상부에 위치시키되 이동부재(510)의 플랜지 제거공(511)과 플랜지(110)가 일치되도록 한 후 플랜지 제거공(511)을 조여서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단계(S130), 체결프레임(300)과 노즐(100)에 브라켓(310)을 체결하여 노즐(100)에서 체결프레임(3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계(S140), 플랜지(110)의 나머지 고정볼트를 제거하는 단계(S150), 체결프레임(300)의 스크류(37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를 이동시켜 보충관(550)이 노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S160), 보충관을 하향시켜 보충관(550) 하부가 노즐로 인입되도록 하는 단계(S170), 밸브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공급하는 단계(S180)로 된 준비과정(S100)과;
준비과정이 끝나면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한 후 펄라이트를 충진하는 단계(S310),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구비된 밸브를 열어 압력이 0.32 ~ 0.4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20), 밸브12를 오픈한 후 밸브5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4mpa가 되도록 조정하되, 동시에 밸브18을 오픈한 후 밸브6을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5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30), 밸브12, 밸브18 선단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0.5~1% 이하가 되면 밸브12→밸브 5, 밸브18→밸브 6의 순서로 잠그는 단계(S340), 밸브 17을 오픈하고 밸브14를 오픈한 다음 밸브 5를 오픈하여 0.1mpa로 유지시킨 후 밸브 4를 열어 0.15mpa로 조절하면서 SG(싸이트그라스,내부확인창)를 통하여 보충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350), SG를 통화여 펄라이트 보충작업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밸브4,5를 잠근 후 밸브 14를 잠그고 밸브 17을 잠그고 밸브 16을 오픈하여 펄라이트 저장탱크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고, 밸브18을 오픈하여 관내의 압력을 제거한 후 가스 저장탱크에 보충된 펄라이트 양만큼 다시 펄라이트를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충진하는 단계(S360); 다른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연속적으로 보충하는 단계(S370)로 된 보충과정(S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Pearlite top up system and method of the liquefied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인 펄라이트 보충용 노즐의 블라인드 플랜지(덮개)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개폐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저장탱크의 압력을 10kPa이상 상태로 유지하며 펄라이트를 보충함으로써 저장된 가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가스 저장탱크와 같은 초저온 저장탱크는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초저온용 재질의 내조와, 내조에 저장된 초저온 액화가스의 온도를 유지시켜주는 외조의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내조와 외조 사이에 약 1000mm의 공간을 두고 이곳에 초경량의 다공질로 입도분포 범위가 넓은 비금속광물 가공물인 단열재 펄라이트(perlite) 분말을 충전상태로 유지하여 열침입을 최소화시켜 액화가스의 증발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충전된 펄라이트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사용 중 온도강하시 내조의 수축 및 사용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펄라이트의 체밀화로 침하하게 된다.
이에 펄라이트의 침하를 완화하기 위하여 액화가스 저장탱크 건설할 때 내부진동기(internal vibrator)로 강제다짐을 하고, 탱크내부 상부에 공간을 두고 펄라이트를 일부 비축하여 사용 중 침하되었을 때는 펄라이트가 보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강제다짐은 자연침하의 완화효과는 있으나 온도 강하시 내조의 수축에 의한 침하는 막을 수 없어, 상부공간에 비축된 펄라이트로 보충하고도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여 내조의 일부가 드러나게 되고 내조에서 공간부를 통하여 냉기가 외조로 전달되어 결로, 결빙 등의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저장탱크 내의 열손실로 기화가스 발생량이 높아져 운전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강하 이후 침하에 의하여 만들어진 공간에 펄라이트를 보충하고 있다.
온도강하 이후 및 저장탱크 운용시 저장탱크 내부는 15kPa ~ 20kPa 압력으로 기화가스가 채워져 있고 지속적인 탱크내부의 액화가스 표면으로부터 기화가스가 발생하고, 발생된 기화가스로 인하여 탱크내부 압력이 상승하므로 운전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펌프를 가동시켜 재액화하여 운전 적정압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운전압력(15kPa ~ 20kPa)은 펄라이트 보 충전 작업 중 작업안전이나 화재 등의 작업 중 위험요소가 수반하게 되므로 저장탱크의 내부 단열 재료인 펄라이트(Perlite) 보충작업을 위해서 기존 펄라이트 보충전 방법은 이들 작업을 하기 전에 저장탱크 내부 압력을 2 ~ 5kPa로 낮게 유지시키고, 액화가스 액위도 낮게 유지해야한다.
통상적으로 저장탱크 내부압력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플레어 스택으로 가스를 소각하고 있어 번거롭고 가스소모가 많아 고비용의 보충전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저장탱크 내압을 2kPa ~ 5kPa로 낮추는데 증발가스 압축기를 이용하게 되어 상당한 시간과 압축기 운전 경비가 발생한다.
또한, 저장탱크(10)의 노즐을 통하여 펄라이트를 충진시키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0)의 블라인드 플랜지(21; Blind)를 제거시켜야 하는데, 이때 기화가스가 분출되어 작업자는 질식, 가스분출에 의한 냉열에 의한 피해, 화재발생 등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위험이 있다.
펄라이트를 충진한 노즐(20)의 블라인드 플랜지(21)를 취외 시에 펄라이트가 가스에 실려 비산 되어 눈과 호흡기에 흡입되기도 한다.
대형의 저장탱크의 경우에는 수십 개의 노즐(20)이 마련되어 있어서, 각 블라인드 플랜지(21)의 제거 및 펄라이트를 충전할 때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고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충전용 노즐의 블라인드(덮개)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개폐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저장탱크의 압력을 10kPa이상 상태로 유지하며 펄라이트를 보충함으로써 충진된 가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 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장치는
노즐(100)에 보충장치(5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프레임(300)과;
체결프레임(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즐(100)을 통하여 펄라이트를 저장탱크에 보충하기 위한 보충장치(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장치의
체결프레임(300)은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구비되어 노즐(100)에 체결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0)과;
내측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보충장치(500)를 좌우 이송되도록 하는 레일(330)과;
폭방향의 일단에 보충장치(500)가 이송되었을 때 노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볼트(350)와;
보충장치(500)를 이송되도록 하는 스크류(370)가 베어링(371)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장치의
보충장치(500)는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레일(330)에 체결되어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스크류(370)에 의해 좌우이송되되, 일측에 노즐(100)에 체결되어 있는 플랜지(11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중 분리형으로 형성된 플랜지 제거공(511)과 타측에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펄라이트 보충공(512)이 구비되어 있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5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보충관(550)이 삽착되는 보충관 삽입공(531)이 형성되어 있는 보충관 체결부재(530)와;
보충관 체결부재(530)에 체결되어 펄라이트를 저장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노즐(100)의 내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플랜지(55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볼벨브(552)와 치환용 밸브(553)가 체결되어 있는 보충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장치.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방법의
준비과정(S100)은
체결프레임(300)에서 브라켓(310)을 분리하는 단계(S110);
노즐(10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랜지(110)의 고정볼트를 좌우 1쌍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는 단계(S120);
체결프레임(300)을 노즐(100) 상부에 위치시키되 이동부재(510)의 플랜지 제거공(511)과 플랜지(110)가 일치되도록 한 후 플랜지 제거공(511)을 조여서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단계(S130);
체결프레임(300)과 노즐(100)에 브라켓(310)을 체결하여 노즐(100)에서 체결프레임(3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계(S140);
플랜지(110)의 나머지 고정볼트를 제거하는 단계(S150);
체결프레임(300)의 스크류(37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를 이동시켜 보충관(550)이 노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S160);
보충관을 하향시켜 보충관(550) 하부가 노즐로 인입되도록 하는 단계(S170);
밸브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공급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 펄라이트 보충방법의
보충과정(S300)은
준비과정이 끝나면 펄라이트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 후 펄라이트를 충진하는 단계(S310);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구비된 밸브를 열어 압력이 0.32 ~ 0.4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20);
밸브12를 오픈한 후 밸브5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4mpa가 되도록 조정하되, 동시에 밸브18을 오픈한 후 밸브6을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5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30);
밸브 12, 밸브 18 선단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전체의 1% 이하가 되면 밸브 12밸브 5, 밸브18 밸브 6의 순서로 잠그는 단계(S340);
밸브 17을 오픈하고 밸브14를 오픈한 다음 밸브 5를 오픈하여 0.1mpa로 유지시킨 후 밸브 4를 열어 0.15mpa로 조절하면서 SG(싸이트그라스, 내부확인창)를 통하여 보충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350);
SG를 통화여 펄라이트 보충작업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밸브 4,5를 잠근 후 밸브 14를 잠그고 밸브 17을 잠그고 밸브 16을 오픈하여 펄라이트 저장탱크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고, 밸브18을 오픈하여 관내의 압력을 제거한 후 가스 저장탱크에 보충된 펄라이트 양만큼 다시 펄라이트를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충진하는 단계(S360);
다른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연속적으로 보충하는 단계(S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방법.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은 고압의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충전용 노즐의 블라인드(덮개)를 간편하고 안전하게 개폐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15kPa ~ 25kPa이었던 탱크압력을 가스를 배출하여 기존 2kPa ~ 5kPa로 낮춘 후 펄라이트를 보충하였던 것을 저장탱크의 압력을 10kPa 이상 상태로 유지하며 펄라이트를 보충함으로써 저장된 가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저장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보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보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보충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요 부품도,
도 6 및 도 7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보충설비의 배관도,
도 8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충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 예들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본 발명 크게 노즐(100)에 보충장치(5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프레임(300)과; 체결프레임(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즐(100)을 통하여 펄라이트를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보충하기 위한 보충장치(500)와; 펄라이트 보충설비(70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프레임(300)은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노즐(100)에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프레임(300)의 내측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330)이 구비되어 이하 보충장치(500)가 좌우 이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폭방향의 일단에는 보충장치(500)가 이송되었을 때 노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볼트(350)가 구비되며 타단에는 보충장치(500)를 이송되도록 하는 스크류(370)가 베어링(371)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보충장치(500)는 체결프레임(300)에 체결되어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펄라이트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프레임(300)에 체결되어 좌우이동되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510) 상부에 안착되며, 펄라이트 보충관(550)을 체결하기 위한 보충관 체결부재(530)로 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510)는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레일(330)에 체결되어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스크류(370)에 의해 좌우이송된다.
상기 이동부재(510)의 일측에는 노즐(100)에 체결되어 있는 플랜지(110)를 체결한 후 제거할 수 있도록 플랜지 제거공(5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펄라이트 보충공(512)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플랜지 제거공(511)은 이중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플랜지(1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충관 체결부재(530)는 이동부재(5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보충관(550)이 삽착되는 보충관 삽입공(5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충관 체결부재(530)에는 보조 플랜지(533)가 체결되어 펄라이트 보충시 보충관 체결부재(530)에서 제거한 후 슬라딩 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
보충관(550)은 보충관 체결부재(530)에 체결되어 펄라이트를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노즐(100)의 내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플랜지(55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볼벨브(552)와 치환용 밸브(553)가 체결되어 있다.
펄라이트 보충설비(700)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펄라이트를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질소저장탱크(710)와 펄라이드 저장탱크(730)로 이루어진다.
질소저장탱크(710)는 내압을 2mpa로 하며 일측에 구비된 6개의 배출라인을 600Nm2/hr의 유량계를 거치도록 한 후 병렬로 정렬하고 0.4mpa압력계를 설치한 후 2개의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3개씩 각각 연결한다.
이때 제1배관은 펄라이트 저장탱크(730)에 제2배관은 펄라이트 저장탱크의 하단에 구비된 보조 펄라이트 공급라인(731)에 제3배관은 보충관(550)에 체결되는 주 펄라이트 공급라인(733)에 연결한다.
펄라이트 저장탱크(730)는 내압이 0.3mpa이며 내부에 펄라이트가 충진되어 있다.
펄라이트 저장탱크의 하단에는 보조 펄라이트 공급라인이 구비되어 질소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는 제1배관에 의해 공급되는 질소에 의해 주 펄라이트 공급라인에 펄라이트를 공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펄라이트 보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준비과정은
우선 체결프레임(300)에서 브라켓(310)을 분리한다.
이 후 노즐(10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랜지(110)의 고정볼트를 좌우 1쌍만 남기고 모두 제거한다.
이후 체결프레임(300)을 노즐(100) 상부에 위치시키되 이동부재(510)의 플랜지 제거공(511)과 플랜지(110)가 일치되도록 한 후 플랜지 제거공(511)을 조여서 플랜지(110)를 고정한다.
이후 체결프레임(300)과 노즐(100)에 브라켓(310)을 체결하여 노즐(100)에서 체결프레임(30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이후 플랜지(110)의 나머지 고정볼트를 제거한다.
이후 체결프레임(300)의 스크류(37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를 이동시켜 보충관(550)이 노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보충관을 하향시켜 보충관(550) 하부가 노즐로 인입되도록 한다.
보충중 보충관 체결부재(530)에 체결된 보조 체결부재(533)를 보충관 체결부재(530)에서 제거한 후 이물질을 청소한다.
이후 보충관(550)에 주 펄라이트 공급라인을 연결한다.
이때 보조체결부재(533)를 다시 보충관 체결부재(530)에 체결한 후 이동부재(510)의 플랜지 제거공(511)에서 플랜지(110)를 제거한 후 슬라이딩 면을 청소한다.
공급과정은
준비과정이 끝나면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한 후 펄라이트를 충진한다.
이후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구비된 밸브를 열어 압력이 0.32 ~ 0.4mpa가 되도록 유지한다.
이후 밸브 12를 오픈한 후 밸브 5를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4mpa가 되도록 조정하되, 동시에 밸브 18을 오픈한 후 밸브 6을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5mpa가 되도록 유지한다.
밸브 12, 밸브 18 선단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0.5~1% 이하가 되면 밸브 12밸브 5, 밸브 18밸브 6의 순서로 잠근다.
밸브 17을 오픈하고 밸브 14를 오픈한 다음 밸브 5를 오픈하여 0.1mpa로 유지시킨 후 밸브 4를 열어 0.15mpa로 조절하면서 SG(싸이트그라스, 내부 확인창)를 통하여 보충상태를 점검한다.
SG를 통화여 펄라이트 보충작업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밸브 4,5를 잠근 후 밸브 14를 잠그고 밸브 17을 잠그고 밸브 16을 오픈하여 펄라이트 저장탱크(730)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고, 밸브 18을 오픈하여 관내의 압력을 제거한 후 가스 저장탱크에 보충된 펄라이트 양만큼 다시 펄라이트를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충진한다.
이후 다른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연속적으로 보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노즐 300 : 체결프레임
500 : 보충장치 700: 펄라이트 보충설비

Claims (5)

  1. 노즐(100)에 보충장치(50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프레임(300)과;
    체결프레임(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노즐(100)을 통하여 펄라이트를 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보충하기 위한 보충장치(500)와;
    펄라이트 보충설비(70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프레임(300)은 사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부에 구비되어 노즐(100)에 체결프레임(300)을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310)과;
    내측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보충장치(500)를 좌우 이송되도록 하는 레일(330)과;
    폭방향의 일단에 보충장치(500)가 이송되었을 때 노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스토퍼볼트(350)와;
    보충장치(500)를 이송되도록 하는 스크류(370)가 베어링(371)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보충장치(500)는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레일(330)에 체결되어 체결프레임(300)에 구비된 스크류(370)에 의해 좌우이송되되, 일측에 노즐(100)에 체결되어 있는 플랜지(11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이중 분리형으로 형성된 플랜지 제거공(511)과 타측에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펄라이트 보충공(512)이 구비되어 있는 이동부재(510)와;
    이동부재(510)의 상부에 체결되며, 보충관(550)이 삽착되는 보충관 삽입공(531)이 형성되어 있는 보충관 체결부재(530)와;
    보충관 체결부재(530)에 체결되어 펄라이트를 저장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에는 노즐(100)의 내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플랜지(551)가 구비되고, 상측에는 개방하려 펄라이트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볼벨브(552)와 치환용 밸브(553)가 체결되어 있는 보충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장치.
  4. 체결프레임(300)에서 브라켓(310)을 분리하는 단계(S110)
    노즐(100)에 장착되어 있는 플랜지(110)의 고정볼트를 좌우 1쌍만 남기고 모두 제거하는 단계(S120)
    체결프레임(300)을 노즐(100) 상부에 위치시키되 이동부재(510)의 플랜지 제거공(511)과 플랜지(110)가 일치되도록 한 후 플랜지 제거공(511)을 조여서 플랜지(110)를 고정하는 단계(S130)
    체결프레임(300)과 노즐(100)에 브라켓(310)을 체결하여 노즐(100)에서 체결프레임(30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단계(S140)
    플랜지(110)의 나머지 고정볼트를 제거하는 단계(S150)
    체결프레임(300)의 스크류(370)를 이용하여 이동부재(510)를 이동시켜 보충관(550)이 노즐(100)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S160)
    보충관을 하향시켜 보충관(550) 하부가 노즐로 인입되도록 하는 단계(S170)
    밸브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공급하는 단계(S180)로 된 준비과장(S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방법.
  5. 청구항 4의 준비과정(S100)이 끝나면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한 후 펄라이트를 충진하는 단계(S310);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구비된 밸브를 열어 압력이 0.32 ~ 0.4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20);
    밸브12를 오픈한 후 밸브5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4mpa가 되도록 조정하되, 동시에 밸브18을 오픈한 후 밸브6을 서서히 열어 압력계가 0.05mpa가 되도록 유지하는 단계(S330);
    밸브12, 밸브18 선단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측정하여 산소농도가 0.5~1% 이하가 되면 밸브12→밸브 5, 밸브18→밸브 6의 순서로 잠그는 단계(S340);
    밸브 17을 오픈하고 밸브14를 오픈한 다음 밸브 5를 오픈하여 0.1mpa로 유지시킨 후 밸브 4를 열어 0.15mpa로 조절하면서 SG(싸이트그라스,내부 확인창)를 통하여 보충상태를 점검하는 단계(S350);
    SG를 통화여 펄라이트 보충작업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밸브4,5를 잠근 후 밸브 14를 잠그고 밸브 17을 잠그고 밸브 16을 오픈하여 펄라이트 저장탱크의 내부 압력을 제거하고, 밸브18을 오픈하여 관내의 압력을 제거한 후 가스 저장탱크에 보충된 펄라이트 양만큼 다시 펄라이트를 펄라이트 저장탱크에 충진하는 단계(S360);
    다른 펄라이트 저장탱크를 개방하여 펄라이트를 연속적으로 보충하는 단계(S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라이트 보충방법.
KR1020100121886A 2010-12-02 2010-12-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KR101207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86A KR101207930B1 (ko) 2010-12-02 2010-12-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886A KR101207930B1 (ko) 2010-12-02 2010-12-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08A KR20120060408A (ko) 2012-06-12
KR101207930B1 true KR101207930B1 (ko) 2013-01-08

Family

ID=46611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886A KR101207930B1 (ko) 2010-12-02 2010-12-02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83A (ko) 2018-01-10 2019-07-18 한국가스공사 구조가 개선된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 충전방법
KR200489929Y1 (ko) 2018-06-29 2019-08-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저장탱크용 수평 및 경사도계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95U (ja) * 1992-08-07 1994-03-0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低温タンク
JPH08121697A (ja) * 1994-10-20 1996-05-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タンク屋根部のパーライト粒補給方法
KR100891950B1 (ko) * 2008-05-28 2009-04-08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지 자동가압수단을 구비한 펄라이트 충진장치와자동가압수단이 구비된 펄라이트 충진방법
JP2009281526A (ja) * 2008-05-23 2009-12-03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液化ガス貯槽の製造方法および液化ガス貯槽製造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95U (ja) * 1992-08-07 1994-03-01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低温タンク
JPH08121697A (ja) * 1994-10-20 1996-05-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タンク屋根部のパーライト粒補給方法
JP2009281526A (ja) * 2008-05-23 2009-12-03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液化ガス貯槽の製造方法および液化ガス貯槽製造ユニット
KR100891950B1 (ko) * 2008-05-28 2009-04-08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지 자동가압수단을 구비한 펄라이트 충진장치와자동가압수단이 구비된 펄라이트 충진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383A (ko) 2018-01-10 2019-07-18 한국가스공사 구조가 개선된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9% Ni강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재 충전방법
KR200489929Y1 (ko) 2018-06-29 2019-08-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저장탱크용 수평 및 경사도계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408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83446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7546744B2 (en) Storage tank for a cryogenic liquid and method of re-filling same
US7617848B2 (en) Method and device for filling a container with liquid gas from a storage tank
TWI418725B (zh) 低釋出率的鋼瓶包裝
KR20010074448A (ko) 물질을 보관하는 콘테이너로 사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3268658B1 (en) Increased storage capacity of gas in pressure vessels
KR101207930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펄라이트 보충장치 및 그 방법
KR20210070293A (ko) 액화 수소를 저장 및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JP6388960B2 (ja) 車両タンク内の極低温燃料を排出及び補充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02575809B (zh) 用于大量超高纯度氦供给和使用的方法及系统
KR20120036334A (ko) 화물선용 연소가스-시스템
US20160281927A1 (en) Liquid natural gas transfer
JP2013032839A (ja) 移動式容器
EP0064887B1 (fr) Réservoir de gaz liquéfié, notamment de méthane
KR20080095634A (ko) 액화가스 충진탱크
CN218519861U (zh) 一种火箭液体推进剂填充系统
JP3592309B2 (ja) バルク貯槽内の清掃装置
WO2023094500A1 (fr) Réservoir de stockage de gaz liquéfié et procédé de transfert de fluide
RU2297373C2 (ru) Система заправки переохлажденным кислородом бака окислителя разгонного блока
CN108679439A (zh) 一种埋地式lng储罐及储存系统
KR101165599B1 (ko) Lng 저장탱크 보냉재 재충진 장치
US1886175A (en) Method of charging containers with carbon dioxide
KR101807394B1 (ko)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KR20090066848A (ko) 저장탱크의 노즐 블라인드 개폐장치
JP2011027228A (ja) 残留物回収システムおよび残留物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