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394B1 -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 Google Patents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394B1
KR101807394B1 KR1020160029734A KR20160029734A KR101807394B1 KR 101807394 B1 KR101807394 B1 KR 101807394B1 KR 1020160029734 A KR1020160029734 A KR 1020160029734A KR 20160029734 A KR20160029734 A KR 20160029734A KR 101807394 B1 KR101807394 B1 KR 101807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quid trap
heat exchange
chamber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6076A (ko
Inventor
권오철
Original Assignee
권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철 filed Critical 권오철
Priority to KR1020160029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3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6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6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2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vessels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1Propulsion of the fluid
    • F17C2227/0128Propulsion of the fluid with pumps or compressors
    • F17C2227/0157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5Rega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 본체와 연결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트랩 본체; 상기 액트랩 본체에 연결되어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배관; 상기 압축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는 열교환관; 및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는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챔버 내에서 상기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되는 액트랩 및 상기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LIQUID TRAP AND LIQUEFIED GAS COMPRESSOR MOUNTED WITH LIQUID TRAP}
본 발명은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PG, LNG 등과 같은 액화가스를 위한 액화가스 압축기의 압축기 본체로 액상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가스 압축기는 탱크로리에 있는 LPG와 같은 액화가스를 충전소 또는 저장소의 탱크로 이입(이충전)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액화가스 압축기는 압축기 본체와, 밸브들, 액트랩 등을 포함하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가스는 스트레이너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액트랩을 거치면서 액체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압축기 본체로 유입되어 토출배관으로 토출된다.
압축기 본체로 LPG 등과 같이 가스중의 액체 성분이 유입되는 경우 액압축 등으로 인해 압축기 본체의 손상 또는 파손 요인이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액화가스 압축기는 전단에 필수적으로 액트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지된 액트랩은 내부에 챔버를 갖는 본체 일측으로 스트레이너 및 흡입배관이 연결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가스가 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액트랩 본체 내부에 유입된 가스는 액체 성분이 제거된 형태로 상단 토출구에 연결된 연결배관을 통해 압축기 본체로 배출된다. 또한, 상단 토출구에는 본체 내부에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액상 성분이 모인 경우 연결배관과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부재가 설치되어 연결배관으로 액상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단부재는 플로트식 액유출방지 차단밸브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액트랩 본체 내부에 모인 액상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서 액트랩 본체 일측으로 벤트관을 하부에 설치하여 대기중으로 벤트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데, 이 경우 경제상의 손실과 대기오염, 특히 가연성 및 독성가스인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액트랩 본체 내부에 액상 가스가 설정 레벨로 충전되고 차단부재가 동작하여 연결배관과의 통로가 차단된 경우 드레인관을 통하여 충전된 액첵스를 완전히 제거하고 플로트식 밸브를 아래로 복귀 시키려 해도 차단밸브의와 콤프레서 압축단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하부로 복귀되 않은 현상이 발생하며 진공파괴 밸브등의 조작조치에도 불구하고 밸브시트가 압착되어 통로가 용이하게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어 외부에서 망치로 타격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92529호(2006.08.2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트랩에 고인 액상의 가스를 별도의 동력이나 열원 장치 없이 압축기 본체에서 발생되는 압축열을 이용하여 기화시키고 회수할 수 있는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압축기 본체와 연결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트랩 본체; 상기 액트랩 본체에 연결되어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배관; 상기 압축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는 열교환관; 및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는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챔버 내에서 상기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되는 액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된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로서, 상기 하부챔버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부; 상기 상부챔버의 바닥면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하부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간에 설치되는 이송관; 및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부챔버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간에 설치되는 제1회수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격부는 외부와의 공기 소통이 가능한 통기챔버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트랩 본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열교환 챔버; 상기 액트랩 본체의 내부의 바닥면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상기 열교환 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트랩 본체와 상기 열교환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관; 및 상기 열교환 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트랩 본체와 상기 열교환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회수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트랩 본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열교환 챔버;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액트랩 본체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열교환 챔버에 연결된 이송관; 및 상기 열교환 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열교환챔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챔버에서 상기 연결배관으로의 일측 방향 유동만이 허용되는 제2회수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액트랩; 흡입압력계와 토출압력계를 구비하며 내부로 인입된 가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열교환관으로 공급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가스의 고온을 이용하여 상기 액트랩 내에 모이는 액상 가스를 기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에 의하면, 액트랩에 고인 액상 가스를 압축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시킴으로써 액트랩에 고인 액상 가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액화가스 압축기의 압축기 본체를 통과하면서 압축되는 액화가스는 압축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별도의 열원을 구비하지 않고 압축에 의해 온도가 상승된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액트랩에 고인 액상 가스를 기화하여 회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트랩에 고인 액상 가스를 압축기 본체에서 배출되는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시, 토출가스의 열이 액트랩 본체 내부를 경유하여 압축기 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가능하므로, 열적 안정성을 훼손함이 없이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액트랩에 고인 액상 가스를 기화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 압축기는 탱크로리에 있는 LPG 등의 가스를 충전소 또는 저장소의 탱크로 이입(이충전)하는 작업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베이스(10)에 고정된 압축기 본체와 액트랩을 포함한다.
압축기 본체(100)는 흡입압력계(110)와 토출압력계(120)를 구비하며, 내부에 가압 장치 및 밸브 장치 등을 구비하여 압축기 본체(100)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를 압축하면서 이송한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액화가스 압축기는, 압축기 본체(100)와, 액트랩 본체(200)를 경유하여 상기 탱크로리(미도시) 등으로부터 가스를 압축기 본체(100)로 공급하는 흡입배관(300)과, 상기 압축기 본체(100) 내부로부터 가압된 가스를 토출하는 토출배관(400)을 포함한다. 흡입압력계(110) 및 토출압력계(120)는 각각 압축기 본체(100)의 흡입압력과 토출압력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배관(300)으로부터 압축기 본체(100)로 흡입되는 가스 중 액상의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액트랩 본체(200)가 상기 흡입배관(300)과 압축기 본체(100) 사이에 설치된다.
액트랩 본체(200)는 일반적으로 원통 형상의 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상기 액트랩 본체(200)에 연결된 흡입배관(300)에는 흡입가스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221)가 설치되고, 상기 액트랩 본체(200) 내부에 모인 액상 가스 액면의 위치를 감지하는 액면계(222)가 설치된다.
액트랩 본체(200)는 상단토출구(211)에 연결된 연결배관(210)을 통해 압축기 본체(100)와 연결된다. 흡입배관(300)을 통해 유입된 가스는 액트랩 본체(200)를 거쳐 연결배관(210)을 통해 압축기 본체(100)로 유입된다.
액트랩 본체(200) 내부에는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액상 성분이 모이는 경우 압축기 본체(100) 내부로 액상 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로트 밸브(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로트 밸브(220)는 플로트에 의해 가이드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데, 내부에 일정 레벨 이상으로 액상 가스가 모이는 경우 상승하여 상단 토출구(211)를 막는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트랩 본체(200)는 상부에 상단토출구(211)를 구비하고 내부에 각각 상,하로 구획된 상부챔버(230) 및 하부챔버(2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상부챔버(230) 및 하부챔버(240) 사이에는 이격부(250)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챔버(230) 및 하부챔버(240)가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챔버(230) 및 하부챔버(240) 사이에는 이송관(500) 및 제1회수관(600)이 설치되어 상부챔버(230)및 하부챔버(240)를 연통시킨다.
이격부(250)는 하부챔버(240)로부터 상부챔버(230)로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하부챔버(240)와 상부챔버(230)를 이격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이격부(250)는 외부와 통기된 통기챔버로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챔버(240)에서 모이는 열이 상부챔버(230)로 전달되지 않고 외기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격부(250)는 통기챔버에 한정되지 않고, 단열소재를 충진한 단열층, 진공을 이용한 진공 단열층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구조를 단순화하는 측면에서 통기 챔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챔버(230) 및 하부챔버(240) 사이에는 상기 상부챔버(230)의 바닥면에 고이는 액상의 가스를 자중에 의해 하부챔버(240)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50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챔버(230)는 아래로 오목한 원호형 바닥면을 가지며 이송관(500)은 상부챔버(230)의 바닥면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240)에서 기화된 가스를 상부챔버(230)로 회수시키기 위한 제1회수관(600)이 설치된다. 상기 제1회수관(600)은 이송관(500)을 통해 하부챔버(240)로 유입된 액상의 가스가 하부챔버(240) 내에서 기화된 후 상부챔버(230)로 다시 돌려지는 경로가 되는 것으로, 제1회수관(600)의 상단이 상부챔버(230)의 바닥면 위로 연장되어 액상의 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관(500) 및 제1회수관(600)은 상기 하부챔버(240)에서 상부챔버(230)로의 열전달과 관련하여 영향을 최소화하는 크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챔버(240) 내에는 분기관(700)과 연결된 열교환관(710) 설치되어 상기 하부챔버(240) 내로 유입된 액상의 가스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을 제공한다.
상기 분기관(700)은 상기 토출배관(400)으로부터 분기되어 하부챔버(240)를 향하여 연장된 것으로서, 압축기 본체(100)로부터 토출배관(400)으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 중 일부가 유동하는 경로가 된다. 압축기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가스는 압축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에 의하여 승온하여 고온이 된다. 분기관(700)을 통해 하부챔버(240)의 열교환관(710)으로 고온의 가스를 공급하여 하부챔버(240) 내부로 유입된 액상의 가스가 기화되도록 한다.
상기 열교환관(710)은 하부챔버(240)의 바닥면에 고이는 소량의 액상 가스도 기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챔버(240)의 바닥면에 밀착 형성되고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열교환핀(71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분기관(700)은, 예컨대 LPG 가스를 위한 액화가스 압축기의 경우, 토출배관(400)으로부터 분기되어 흐르는 대략 80℃의 고온의 기체 가스를 상기 하부챔버(240) 내의 열교환관(710)으로 공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챔버(230)로부터 이송관(500)을 통해 자중으로 흘러 하부챔버(240)에 고이는 액상 가스가 열교환관(710)이 공급하는 열을 흡수하여 기화한다. 그리고 기화된 가스는 제1회수관(600)을 통해 상부챔버(230)로 회수되고, 상단토출구(211)에 연결된 연결배관(210)을 통해 압축기 본체(100)로 배출된다.
열교환관(710)을 거치면서 열을 방출한 가스는 출구측 분기관(700)을 통해 외부로 이송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구성을 피하기 위하여 이들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화가스 압축기의 액트랩은 액트랩 본체(200)와 분리 형성된 별도의 열교환 챔버(2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트랩 본체(2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대(80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액트랩 본체(200)의 하부에는 열교환 챔버(241)가 배치된다. 열교환 챔버(241) 내부에는 상기 토출배관(4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700)과 연결된 열교환관(7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트랩 본체(200)는 내부에 단일 챔버를 가지며, 상단토출구(211)에 연결된 연결배관(210)을 통해 기체 가스가 압축기 본체(100)로 배출된다. 상기 흡입배관(300)을 통해 액트랩 본체(200)로 흡입된 가스 중 액상의 가스는 액트랩 본체(200) 내의 바닥면에 모인다.
상기 열교환 챔버(241)는 밀폐된 챔버로 이루어지며 제1실시예와 유사하게, 상기 액트랩 본체(200)의 바닥면에 모이는 액상 가스가 열교환 챔버(241)로 이송 가능하게 액트랩 본체(200)와 열교환 챔버(241)간에는 이송관(50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 챔버(241)에서 기화된 가스가 액트랩 본체(200)로 회수되도록 제1회수관(600)이 설치된다.
상기 액트랩 본체(200)와 열교환 챔버(241)는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열교환 챔버(241)와 액트랩 본체(200)와의 열전달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단일 챔버를 갖는 공지의 액트랩 본체를 이용하여 구조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액트랩을 구성할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제3실시예에 따른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액트랩 본체(200)와 분리 형성된 별도의 열교환 챔버(24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트랩 본체(2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대(80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액트랩 본체(200)의 하부에는 열교환 챔버(241)가 배치된다. 열교환 챔버(241) 내부에는 상기 토출배관(400)으로부터 분기된 분기관(700)과 연결된 열교환관(7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트랩 본체(200)로부터 액상 가스를 열교환 챔범(241)로 이송시키는 이송관(500)은 일측이 액트랩 본체(200)의 일측에 형성된 드레인(260)에 연결된다. 즉, 이송관(500)을 드레인(260)에 연결하여 액트랩 본체(200)에 모인 액상의 가스를 열교환 챔버(241)로 이송한다. 상기 이송관(500)의 타측은 열교환 챔버(241)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액트랩 본체(200)에서 이송관(500) 연결을 위한 구조 변경 없이 이송관(500)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열교환 챔버(241)에는 상기 분기관(700)에 연결된 열교환관(710)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회수하기 위한 제2회수관(610)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일단은 상기 열교환 챔버(241)에 연결된 상기 제2회수관(610)의 타단은 상기 연결배관(210)에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연결배관(210)에는 액트랩 본체(200) 내부에 형성된 진공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진공록킹 해제구를 구비하고 있는바, 제2회수관(610)의 타단의 진공록킹 해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관(610)은 상기 액트랩 본체(200)의 상단토출구(211)에 연결되는 연결배관(210)에 연결되어 액트랩 본체(200) 내의 기체 가스가 압축기 본체(100)로 배출한다. 제2회수관(610) 및 연결배관(210)의 연결부분에는 밸브 등이 구비되어 가스의 흐름이 일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트랩 본체(200)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를 압축기 본체(100)에서 배출되는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시킴으로써 액트랩 본체(200)에 고인 액상 가스를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트랩 본체(200)에 고인 액상 가스를 압축기 본체(100)에서 배출되는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하는 시스템에서, 열이 액트랩 본체(2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하부챔버 또는 열교환 챔버에 공급된 열이 액상 가스의 기화에 사용되지 않고 액트랩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가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의 기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실시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압축기 본체 200 : 액트랩 본체
210 : 연결배관 211 : 상단토출구
220 : 차단부재 230 : 상부챔버
231 : 단일챔버 240 : 하부챔버
241 : 열교환 챔버 250 : 이격부
260 : 드레인관 300 : 흡입배관
400 : 토출배관 500 : 이송관
600 : 제1회수관 610 : 제2회수관
700 : 분기관 710 : 열교환관
800 : 지지대

Claims (6)

  1. 삭제
  2. 압축기 본체와 연결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트랩 본체;
    상기 액트랩 본체에 연결되어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배관;
    상기 압축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는 열교환관; 및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는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챔버 내에서 상기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되어지되,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된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로서, 상기 하부챔버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상기 액트랩 본체에서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를 서로 이격시키는 이격부;
    상기 상부챔버의 바닥면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하부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 간에 설치되는 이송관; 및
    상기 하부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부챔버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 간에 설치되는 제1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트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외부와의 공기 소통이 가능한 통기챔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트랩.
  4. 압축기 본체와 연결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트랩 본체;
    상기 액트랩 본체에 연결되어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배관;
    상기 압축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는 열교환관; 및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는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챔버 내에서 상기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되어지되,
    상기 액트랩 본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열교환 챔버;
    상기 액트랩 본체의 내부의 바닥면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상기 열교환 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트랩 본체와 상기 열교환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이송관;
    상기 열교환 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회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액트랩 본체와 상기 열교환챔버 사이에 설치되는 제1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트랩.
  5. 압축기 본체와 연결배관을 매개로 연결되는 액트랩 본체;
    상기 액트랩 본체에 연결되어 가스를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흡입배관;
    상기 압축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토출가스 중 일부를 공급받는 열교환관; 및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되는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인 액상 가스는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챔버 내에서 상기 토출가스의 열을 이용하여 기화되어지되,
    상기 액트랩 본체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열교환관이 설치된 열교환 챔버;
    상기 액트랩 본체 내부에 고이는 액상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상기 액트랩 본체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열교환 챔버에 연결된 이송관;
    상기 열교환 챔버에서 상기 열교환관에 의해 제공된 열에 의해 기화된 가스를 상기 연결배관으로 회수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열교환챔버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배관에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챔버에서 상기 연결배관으로의 일측 방향 유동만이 허용되는 제2회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트랩.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액트랩;
    흡입압력계와 토출압력계를 구비하며 내부로 인입된 가스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 본체;
    상기 압축기 본체에서 압축된 가스가 토출되는 토출배관; 및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토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열교환관으로 공급하는 분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압축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가스의 고온을 이용하여 상기 액트랩 내에 모이는 액상 가스를 기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KR1020160029734A 2016-03-11 2016-03-11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KR101807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34A KR101807394B1 (ko) 2016-03-11 2016-03-11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734A KR101807394B1 (ko) 2016-03-11 2016-03-11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76A KR20170106076A (ko) 2017-09-20
KR101807394B1 true KR101807394B1 (ko) 2017-12-08

Family

ID=6003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734A KR101807394B1 (ko) 2016-03-11 2016-03-11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3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6076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22491B (zh) 具有隔开的低温空间的低温流体储罐
KR101221132B1 (ko) 주유소용 스테이지1,2와 연계 가능한 유증기 회수장치
KR101639551B1 (ko)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AU2006254686B2 (en) Storage tank for a cryogenic liquid and method of re-filling same
WO2020188193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de stockage et de fourniture de carburant fluide
WO2016056481A1 (ja) ドレン回収装置
KR20090017690A (ko) 배출 라인 체크 밸브를 갖는 탑재형 급유 증기 회수 시스템
JP6347253B2 (ja) ベーパ回収装置
KR101807394B1 (ko) 액트랩 및 액트랩을 구비한 액화가스 압축기
EP3004770B1 (en) Condensate and flash steam recovery system
EP3488139A1 (fr) Module et systeme de depressurisation d'un reservoir cryogenique.
KR200428568Y1 (ko) 유기화합물질 회수 설비용 압력 진공 밸브장치
JP5958409B2 (ja) ベーパ回収装置
EP2601472A1 (fr) Vaporiseur a tubes en forme de u
KR101334892B1 (ko) 수액기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열 회수시스템
CN208123888U (zh) 一种液化天然气储罐闪蒸气回收装置
EP2568243B1 (en) Vapour phase drying apparatus
CN108137227B (zh) 安全移动加油系统
US20080289718A1 (en) Liquid vacuum apparatus and method
JP2005088952A (ja) タンク圧力管理システム
KR101145279B1 (ko) 기액분리장치
JP7070521B2 (ja) ベーパ回収装置
CN210829178U (zh) 一种带排气阀的新型油井接口装置
KR970006097Y1 (ko) 주유중의 휘발가스 회수장치
AU2017248252B2 (en) System for reclaiming liquefied petroleum g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