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279B1 - 기액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기액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279B1
KR101145279B1 KR1020110113124A KR20110113124A KR101145279B1 KR 101145279 B1 KR101145279 B1 KR 101145279B1 KR 1020110113124 A KR1020110113124 A KR 1020110113124A KR 20110113124 A KR20110113124 A KR 20110113124A KR 101145279 B1 KR101145279 B1 KR 10114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line
fruit
mixed liquid
heat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Original Assignee
(주)진공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공플랜트 filed Critical (주)진공플랜트
Priority to KR102011011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2Evaporators with heat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진공라인을 통기라인으로 교체하고, 가열탱크에 액상의 열매를 충전시키고 나서, 가열한 다음, 증기화된 열매를 상기 통기라인의 도중에 개재된 개폐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열어 증기와된 열매를 상기 통기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서 상기 가열탱크를 진공화시킴으로써 통기라인을 제1성분배출라인에 접속시키지 않음으로써, 제1성분배출라인을 접속시키는 공정이 배제되어 배관길이를 종래보다 단축시킴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종래보다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기액분리장치{apparatus for dividing compound into liquid and vapor}
본 발명은 기액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액분리장치는 예를 들면 2개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액상의 혼합물을 기액으로 분리하기 위해, 기액으로 분리될 상기 액상의 혼합물을 증발기에서 진공상태에서 공급받아 가열하여 혼합물중 기화점이 낮은 제 1성분을 기체상태로 증발기로부터 배출하여 응축기에서 액화시켜 저장하고, 기화점이 높은 제 2성분을 액체상태로 배출시켜 저장탱크에 저장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기액분리장치는 증발기의 가열방식이, 물이나 다른 물질(끓는점이 300℃ 이상의 액체)등의 열매를 가열하여서 증발기의 재킷에 순환시켜 증발기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1 방식이나, 증기(스팀)를 증발기의 재킷에 순환시켜 증발기의 내부를 가열하는 제2 방식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펌프(1)를 가동시키면, 액저장탱크(2)에 저장된 물이나 다른 물질의 열매가 순환라인(3)을 따라 가열장치(4)에 유입되어 소정 온도로 가열되면서 증발기(5)의 재킷(5a)에 투입되었다가 다시 상기 액저장탱크(2)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방식은 증발기의 작동중에는 연속적으로 순환펌프(1)가 가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순환펌프의 시일손상이 자주 발생되어 순환펌프의 유지보수 비용이 증대될 뿐만아니라 순환펌프의 수명이 단축되고, 액저장탱크, 순환펌프, 가열장치 및 증발기 간의 높이차에 따른 펌프의 양정길이로 인하여 열매를 순환이송시키기 위한 큰 동력을 가진 펌프가 필요하게 되며, 순환라인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가열된 열매가 순환라인을 경유하여 순환되는 도중에 방열되어 가열효율이 낮고, 겨울에 상기 열매가 얼어서 각종 기기들을 동파를 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열매에 부동액이 첨가되어서 이로 인해 열매가 순수물질이 아닌 것으로 되기 때문에, 순환라인뿐만 아니라 액저장탱크, 순환펌프, 가열장치 및 증발기의 재킷에 스케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 방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1)에 충전된 물이나 다른 물질의 열매가 상기 보일러(11)에서 가열되어 증기로 상태변화가 되어서 순환라인(12) 도중에 개재된 감압밸브(13)에 의해 소정압력으로 증발기(14)의 재킷(15)에 유입되어 증발기(14)를 가열한 다음, 소실된 열량 만큼 응축수트랩밸브(16)를 경유하여 응축수탱크(17)에 유입되게 되며, 상기 보일러(11)의 열매의 양이 부족한 경우 응축수탱크(17)에 있는 응축수를 순환라인(12) 도중에 개재된 열매공급펌프(18)에 의해 상기 보일러(11)에 보충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방식은, 증발기 재킷에 일정 압력의 증기를 공급하기 위한 감압밸브(13), 응축수만을 응축수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응축수트랩밸브(16), 및 응축수를 보일러에 공급하기 위한 열매공급펌프(18)가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할 뿐만아니라 유지보수에 상당한 비용이 필요되며, 응축수탱크(17)가 대기와 유통되어 있는 개방형 열매순환방식이어서, 응축수탱크(17)와 다른 기기들 간의 압력차로 인하여 이 응축수탱크(17)로부터 액상의 열매가 증기로 방출되어 열매의 열 및 양이 이 응축수탱크(17)에서 많이 손실되며, 증기상태의 열매를 이용하는 관계로 열매에 부동액을 첨가하지 못해 겨울에 상기 증발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열매가 얼어서 응축수탱크, 열매공급펌프, 보일러 및 이들을 접속하고 있는 각종 배관들을 동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열매의 양의 손실로 인하여 보일러에 새로운 비순수재질인 열매(예를 들면, 비순수 물)를 자주 공급하게 되어, 보일러에 스케일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액분리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발명되어 등록특허 10-060134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기액분리장치는 상기 등록특허공보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중에 전자개폐밸브(1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1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121); 그리고 상기 증발기(1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1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진공펌프에 유통되어 있고 일단이 증발기(1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128)을 구비고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기액분리장치는 증발기를 가열하기 위한 폐쇄사이클의 가열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폐쇄사이클의 가열시스템은, 상기 증발기(121)의 재킷(1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160);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증발기(121)의 재킷(1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공급라인(161); 일단이 상기 증발기(121)의 재킷(1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16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배출라인(1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열매공급라인(161)의 도중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1 성분배출라인(128)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에 전자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진공라인(164)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기 개시의 기액분리장치는 먼저, 가열탱크(160)에 증발가능한 열매를 충전시킨 다음, 전자개폐밸브(V1)를 열어 가열탱크(160), 증발기(121)의 재킷(122), 열매배출라인(163), 열매공급라인(161), 진공라인(164), 및 증발기(121)를 소정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고 나서, 전자개폐밸브(V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열탱크(160)를 전기히터나 스팀공급원 등을 이용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그 다음, 전자개폐밸브(124)를 열어 혼합액공급라인(1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121)로 공급시켜 혼합액을 기액분리하여 제1 성분을 제1배출라인(128)을 경유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증발기(121)의 기액분리 공정시, 상기 증발기(121)의 재킷(122)에는 상기 가열탱크(160)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매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열매공급라인(161)을 경유하여 증발기(121)의 재킷(122)에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121)의 혼합액을 기액분리하면서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응축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122)에는 소실되지 않은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증기상태로 상기 재킷(122)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고,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상기 재킷(122)의 하부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재킷(12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탱크(160)에 자연낙하에 의해 상기 열매배출라인(163)을 경유하여 유입된다.
진공상태에서 증기의 열매을 순환시키면서 기액분리장치의 증발기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시스템이 기액분리장치에 제공되어, 첫째로 열매를 이송시키기 위한 순환펌프나 열매공급펌프 그리고 고가의 감압밸브 및 트랩을 배제시킴과 동시에 펌프의 배제로 인한 열매의 순환라인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하였으며, 순수한 열매 만이 증기상태 또는 액체상태로 상기 열매공급라인, 재킷, 열매배출라인에 이송될 수 있어서, 이들에 대하여 종래에 발생 되었던 스케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를 종래보다 저렴하게 한다는 작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시의 기액분리장치는 순수한 열매 만을 증기상태로 상기 열매공급라인 및 재킷으로 이송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액체상태(응축수)로 열매배출라인에 이송시킬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열매배출라인의 응축수와 가열탱크의 하단에 위치된 액상의 열매가 서로 혼합될 수 있는 상태이어서, 가열탱크에 저장된 열매에 부동액을 혼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겨울에 상기 증발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열매가 얼어서 각종 기기들을 동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기 개시의 기액분리장치에서 상기 열매공급라인(161)을 배제시키고 진공라인(164)의 일단을 재킷(122)에 접속시켜도 종래의 기액분리장치의 작용한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실험을 거쳐서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개량된 기액분리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10-0632345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량된 기액분리장치(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중에 전자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장치(10)는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배출라인(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재킷(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1 성분배출라인(28)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에 전자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진공라인(64)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액분리장치(10)는 먼저, 가열탱크(60)에 증발가능한 열매를 충전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를 가동시키고 전자개폐밸브(V1)를 열어 증발기(21)의 재킷(22), 열매유입/배출라인(63), 가열탱크(60), 진공라인(64), 및 증발기(21)를 소정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고 나서, 전자개폐밸브(V1)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가열탱크(60)를 전기히터나 스팀공급원 등을 이용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그 다음, 전자개폐밸브(24)를 열어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로 공급시켜 혼합액을 기액분리하여 제1 성분을 제1배출라인(28)을 경유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증발기(21)의 기액분리 공정시,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에는 상기 가열탱크(60)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매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열매유입/배출라인(63)을 경유하여 증발기(21)의 재킷에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21)의 혼합액을 기액분리하면서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응축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22)에는 소실되지 않은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증기상태로 상기 재킷(22)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고,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상기 재킷(22)의 하부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재킷(2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탱크(60)에 자연낙하에 의해 상기 열매유입/배출라인(63)을 경유하여 유입된다.
하지만, 상기 개량된 기액분리장치(10)에서 상기 진공라인(64)을 상기 제1 성분배출라인(28)에 접속시키기 않고서도 종래의 기액분리장치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여러 실험을 거쳐서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진공라인을 통기라인으로 교체하고, 가열탱크에 액상의 열매를 충전시키고 나서, 가열한 다음, 증기화된 열매를 상기 통기라인의 도중에 개재된 개폐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열어 증기와된 열매를 상기 통기라인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서 상기 가열탱크를 진공화시킴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해 통기라인을 제1성분배출라인에 접속시키지 않음으로써, 제1성분배출라인을 접속시키는 공정이 배제되어 배관길이를 종래보다 단축시킴과 동시에 제조단가를 종래보다 낮출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기액분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개념도, 및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액분리장치의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기액분리장치가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기액분리장치(10)는 종래의 기액분리장치와 같이,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장치(10)는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배출라인(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재킷(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 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기액분리장치(10)에 있어서는 먼저, 가열탱크(60)에 증발가능한 열매를 충전시키고 나서, 전기히터나 스팀공급원 등을 이용하여 가열한 다음, 가열에 의해 증기화된 열매를 상기 제1 및 제2통기라인(64, 65)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나서 상기 개폐밸브(V1, V2)들 중 어느 하나를 닫아서 상기 가열탱크(60)가 부압상태(예를 들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로 되게 한다.
그 다음,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를 가동시켜, 증발기(21)를 소정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고 나서, 상기 가열탱크(60)를 전기히터나 스팀공급원 등을 이용하여 소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그 다음, 개폐밸브(24)를 열어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상기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로 공급시켜 혼합액을 기액분리하여 제1 성분을 제1배출라인(28)을 경유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증발기(21)의 기액분리 공정시,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에는 상기 가열탱크(60)에서 소정 온도로 가열된 열매의 일부가 증기화되어 열매유입/배출라인(63)을 경유하여 증발기(21)의 재킷에 유입되고, 상기 증발기(21)의 혼합액을 기액분리하면서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응축된다.
여기에서 상기 재킷(22)에는 소실되지 않은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증기상태로 상기 재킷(22)의 상부에 위치되게 되고, 소실된 에너지를 가진 열매는 상기 재킷(22)의 하부에 위치되게 되어, 상기 재킷(22)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가열탱크(60)에 자연낙하에 의해 상기 열매유입/배출라인(63)을 경유하여 유입된다.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 재킷(22)이 증발기(21)의 외면에 외접되어 증발기(21)의 내부 공간과 별개로 된 공간을 갖는 것으로서 도시 및 설명되어 있으나, 이 재킷(22)은,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1)의 내부에 배설된 히팅코일관(22')으로 대체가능하며, 이때, 상기 히팅코일관(22')의 하단이 열매유입/배출라인(63)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히팅코일관(22')과 가열탱크(60)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히팅코일관(22')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통기라인(64)에 접속되거나,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제2통기라인(65)이 접속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경실시예로서, 상기 재킷(22) 또는 히팅코일관(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21)에 유입된 혼합액을 내관(22a)에서 자연낙하식으로 공급받아 열매가 유입된 외관(22b)에 의해 상기 유입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부피팽창시켜 다시 상기 증발기(21)에 유입시키는 공지의 열교환기(22")로 대체가능하다.
이 때,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2b)의 하단이 열매유입/배출라인(63)에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2b)과 가열탱크(60)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만들기 위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2b)의 상단이 선택적으로 상기 제1통기라인(64)에 접속되거나,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제2통기라인(65)이 접속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변경실시예로서, 열매유입/배출라인(6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22) 또는 열교환기(22")의 외관(22b)에 열매를 공급하기 위해, 일단이 재킷(22) 또는 열교환기(22")의 외관(22b)의 하단에 접속되고, 타단이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된 열매배출라인(63a)과 그리고 재킷(22) 또는 열교환기(22")의 외관(22b)에서 열량이 소실된 열매를 자연낙하식으로 공급받기 위해 일단이 재킷(22) 또는 열교환기(22")의 외관(22b)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가열탱크(60)의 하단에 접속된 열매유입라인(63b)으로 대체가능하다.
10; 기액분리장치, 15; 혼합액공급통, 21; 증발기, 24; 개폐밸브, 26; 혼합액공급라인, 28; 제 1성분배출라인

Claims (6)

  1.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의 내부 공간과 별개로 된 공간을 갖고서 상기 증발기(21)에 외접된 재킷(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배출라인(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재킷(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 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2.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에 내장된 히팅코일관(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히팅코일관(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배출라인(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히팅코일관(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 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3.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의 내부와 접속된 열교환기(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3b)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배출라인(63);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3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열교환기(22")는 증발기(21)에 유입된 혼합액을 내관(22a)에서 자연낙하식으로 공급받아 열매가 유입된 외관(23b)에 의해 상기 유입된 혼합액을 가열하여 부피팽창시켜 다시 상기 증발기(21)에 유입시키는 열교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4.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21)의 내부 공간과 별개로 된 공간을 갖고서 상기 증발기(21)에 외접된 재킷(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배출라인(63a);
    일단이 상기 증발기(21)의 재킷(22)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라인(63b); 그리고
    일단이 상기 재킷(22)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 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5. 도중에 개폐밸브(24)가 구비되어 있는 혼합액공급라인(26)을 경유하여 혼합액공급통(15)에서 혼합액을 공급받아 혼합액을 기액으로 분리하는 증발기(21); 그리고 상기 증발기(21)의 내부를 진공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21)에서 분리된 기체상태의 제 1성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일단이 진공펌프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증발기(21)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제 1성분배출라인(28)을 구비고 있는 기액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1)를 가열하기 위해, 열교환기(22")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열매를 가열하는 가열탱크(60);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3b)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배출라인(63a);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3b)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하단에 접속되어 있는 열매유입라인(63b); 그리고
    일단이 상기 열교환기(22")의 외관(23b)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1)가 개재되어 있는 제1통기라인(64) 또는 일단이 상기 가열탱크(60)의 상단에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외부와 통기된 상태에서 도중에 개폐밸브(V2)가 개재되어 있는 제2통기라인(65)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탱크(60)는 가열탱크(60)에 증발가능한 열매가 충전되고 나서, 열원에 의해 가열된 다음, 가열에 의해 증기화된 열매를 상기 제1 및 제2통기라인(64, 65)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나서 상기 개폐밸브(V1, V2)들 중 어느 하나를 닫아서 부압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액분리장치.
KR1020110113124A 2011-11-02 2011-11-02 기액분리장치 KR10114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24A KR101145279B1 (ko) 2011-11-02 2011-11-02 기액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124A KR101145279B1 (ko) 2011-11-02 2011-11-02 기액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5279B1 true KR101145279B1 (ko) 2012-05-24

Family

ID=46271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124A KR101145279B1 (ko) 2011-11-02 2011-11-02 기액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5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622B1 (ko) * 2014-09-30 2014-12-17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호기조 반송수 do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무산소조를 교반하는 고도처리효율을 증대시킨 오폐수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05B1 (ko) * 2002-01-25 2005-03-31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기액분리기
KR200388780Y1 (ko) 2005-04-04 2005-07-07 김상범 기액분리장치
KR100601348B1 (ko) 2005-04-12 2006-07-24 김상범 기액분리장치
KR20090053683A (ko) * 2007-11-22 2009-05-2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액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505B1 (ko) * 2002-01-25 2005-03-31 주식회사 그린이엔씨 기액분리기
KR200388780Y1 (ko) 2005-04-04 2005-07-07 김상범 기액분리장치
KR100601348B1 (ko) 2005-04-12 2006-07-24 김상범 기액분리장치
KR20090053683A (ko) * 2007-11-22 2009-05-27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기액 분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622B1 (ko) * 2014-09-30 2014-12-17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호기조 반송수 do저감장치를 이용하여 무산소조를 교반하는 고도처리효율을 증대시킨 오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144B1 (ko) 침지 냉각
EP1143210B1 (de) Sorptionskühler
CN109964084A (zh) 低于大气压的供热和供冷系统
CN110022956B (zh) 可携式萃取装置
KR101145279B1 (ko) 기액분리장치
CN105091509A (zh) 一种热泵真空干燥装置
JP5754263B2 (ja) 真空冷却装置
KR100632345B1 (ko) 기액분리장치
JP5808933B2 (ja) 冷凍機の抽気装置及び抽気方法
KR102181232B1 (ko) 진공증발농축장치
KR200389233Y1 (ko) 기액분리장치
CN104129804A (zh) 一种一体式蒸发结晶系统及工艺
KR100601348B1 (ko) 기액분리장치
KR101867702B1 (ko) 진공 저온 농축기용 증발 탱크
SE1450313A1 (sv) Absorption av vatten genom användning av ett isolerat hus
KR20160071544A (ko) 응결수 순환 냉각 방식 제습기
TWI422528B (zh) 太陽能真空海水淡化器
CN207133674U (zh) 一种可快速调节温度升降的电热水浴槽
JP2010130923A (ja) 真空解凍装置
KR101334892B1 (ko) 수액기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열 회수시스템
CN209147757U (zh) 一种盐废水处理装置
KR101155656B1 (ko) 기액분리장치
JP5808045B2 (ja) 純蒸気発生装置の運転方法
EP2384770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a sterilizer
CN101671104B (zh) 真空沸腾污泥脱水干化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