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878B1 -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 Google Patents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878B1
KR101207878B1 KR1020100019259A KR20100019259A KR101207878B1 KR 101207878 B1 KR101207878 B1 KR 101207878B1 KR 1020100019259 A KR1020100019259 A KR 1020100019259A KR 20100019259 A KR20100019259 A KR 20100019259A KR 101207878 B1 KR101207878 B1 KR 10120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ainage
restraining
plate portion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0349A (ko
Inventor
권혁림
Original Assignee
권혁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림 filed Critical 권혁림
Priority to KR102010001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878B1/ko
Publication of KR20110100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23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collecting water in bas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차단판부와 상기 차단판부의 저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기립 형성된 복수의 유로형성기둥을 각각 가지고 상기 유로형성기둥이 기초콘크리트에 지지되고 상기 차단판부가 연접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배수판과, 상기 차단판부의 연접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배수판 상호간을 구속하는 판구속부를 갖는 배수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판구속부는 구속판부와 상기 구속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속돌기를 가지고, 상기 구속판부가 복수개의 차단판부 상면에 나누어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구속판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상기 각 구속돌기와 협조해서 상기 구속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도록 돌기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수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해 지고 배수유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Draining Plate Assembly for Bottom of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초콘크리트와 바닥콘크리트사이에 설치되어 집수정에 연결되는 배수유로를 제공하는 배수판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신축공사시 지하실과 같이 지하수의 양압력(揚壓力)이 큰 곳에는 유입되는 지하수를 소정의 집수정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들 지하수배수시설중 하나로 기초콘크리트와 바닥콘크리트사이에 연접형태로 설치하여 영구적으로 배수유로를 제공하는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배수판의 평면도이다.
종래의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수판(10,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배수판만 도시함)과, 배수판(10) 상호간을 구속하는 판구속부(20)를 갖고 있다.
각 배수판(110)은 차단판부(111)와, 차단판부(111)의 저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기립 형성된 복수의 유로형성기둥(112)을 갖고 있다.
각 유로형성기둥(112)에는 요(凹)홈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판구속부(120)는 차단판부(111)의 두 변영역에 분산 형성된 구속리브(122)와, 차단판부(111)의 나머지 두 변영역 저면에 분산 형성된 구속돌기(122)를 갖고 있다.
각 구속리브(122)에는 돌기공(122a)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공(122a)은 구속돌기(122)와 협조해서 구속판부(1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4 및 도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반에 구조체 슬래브 형태의 기초콘크리트(201)를 타설하고 기초콘크리트(201)에 모르타르층(202)을 형성한다.
다음에 모르타르층(202)상에 유로형성기둥(112)이 기초콘크리트(201)에 지지되고 차단판부(111)가 연접하도록, 배수판(110)을 모르타르층(202)상에 설치된다.
배수판(110)의 설치작업은 구속돌기(122)가 돌기공(122a)을 통과하도록 2개의 배수판을 설치한 후 다시 구속돌기(122)가 돌기공(122a)을 통과하도록 하나의 배수판(110)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배수관조립체상에 부직포를 깔고 바닥콘크리트(203)를 타설한다. 바닥콘크리트(203)의 타설시 유로형성기둥(112)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로형성기둥(112)사이를 통해 지하수는 집수정(204)으로 안내된다.
그런데 종래의 지하바닥용 배수판에 따르면, 차단판부(111)의 변영역에 있는 돌기공(122a)에 구속돌기(122)를 모두 진입시켜 차단판부(111)를 연접시켜야 하기 때문에 배수판(110)의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돌기공(122a)의 인접영역에 가해지는 바닥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연접하는 다른 차단판부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구속돌기가 돌기공으로부터 이탈함) 바닥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돌기공(122a)의 인접영역에 가해지면 차단판부(111)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고 이 공극을 통해 바닥콘크리트가 침투하여 배수유로의 저항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속돌기(122)가 진입되지 않는 돌기공(제일 외측에 배치되는 배수판에 형성된 돌기공)의 개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유로형성기둥(112)사이로 침투하는 바닥콘크리트의 양이 많아져 배수유로의 저항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유로형성기둥사이로 진입하는 콘크리트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단판부와 상기 차단판부의 저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기립 형성된 복수의 유로형성기둥을 각각 가지고 상기 유로형성기둥이 기초콘크리트에 지지되고 상기 차단판부가 연접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배수판과, 상기 차단판부의 연접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배수판 상호간을 구속하는 판구속부를 갖는 배수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판구속부는 구속판부와 상기 구속판부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의 구속돌기를 가지고, 상기 구속판부가 복수개의 차단판부 상면에 나누어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구속판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상기 각 구속돌기와 협조해서 상기 구속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도록 돌기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판구속부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돌기는 원호(圓弧)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일 측의 차단판부에 가해질 때 차단판부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구속판부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기립 형성된 한 쌍의 구속다리부와, 상기 구속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각 구속다리부의 외표면 영역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판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고 배수유로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의 평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B-B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구속부의 사시도,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조립을 위한 보조부품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조립체의 설치상태도,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구속부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구속부의 사시도,
도13은 종래의 배수판의 평면도,
도14 및 도15는 각각 종래의 배수판조립체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판의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B-B선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구속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수판(10)과, 배수판(10) 상호간을 구속하는 판구속부(20)를 갖고 있다.
각 배수판(10)은 차단판부(11)와, 차단판부(11)의 저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기립 형성된 복수의 유로형성기둥(12)을 갖고 있다.
차단판부(11)는 후술하는 구속판부(21)가 접촉하는 영역 즉, 모서리영역에 원형태의 돌기공(11a)이 각각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돌기공(11a)은 구속돌기(22)와 협조해서 구속판부(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차단판부(11)에는 돌기공(11a)의 내측 영역에 열호(劣弧) 형태의 이동방지턱(1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방지턱(11b)은 구속판부(21)가 차단판부(11)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각 유로형성기둥(12)에는 요(凹)홈 단면 형태로 형성된다.
판구속부(20)는 원형의 구속판부(21)와, 구속판부(21)의 일면에 형성된 4개의 구속돌기(22)를 갖고 있다.
각 구속돌기(22)는 구속판부(21)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기립 형성된 한 쌍의 구속다리부(22a)와, 각 구속다리부(22a)의 외표면 영역에 돌출형성된 걸림턱(22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판구속부(20)는 구속판부(21)가 4개의 차단판부(11) 상면에 모서리영역에 나누어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판구속부(20)가 차단판부(11)의 상면에 접촉할 때 구속돌기(22)는 돌기공(11a)을 통과한다.
구속돌기(22)가 돌기공(11a)을 통과할 때 한 쌍의 구속다리부(22a)는 상대방을 향해 접근(걸림턱이 돌기공을 통과할 때)한 후 원위치로 복귀한다.
구속다리부(22a)는 돌기공(11a)을 통과한 후 돌기공(11a)과 협조해서 구속판부(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턱(22b)는 돌기공(11a)과 협조해서 구속판부(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판구속부(20)에 의해 배수판(10) 상호간은 구속되고, 차단판부(11)의 연접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판구속부(20)는 폴리프로필(PP) 등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6,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반에 구조체 슬래브 형태의 기초콘크리트(201)를 타설하고 기초콘크리트(201)에 모르타르층(202)을 형성한다.
다음에 모르타르층(202)상에 유로형성기둥(12)이 기초콘크리트(201)에 지지되고 차단판부(11)가 연접하도록 배수판(10)을 모르타르층(202)상에 설치된다.
배수판(10)의 설치작업은 4개의 배수판을 설치한 후 판구속부(20)를 일 모서리 영역에 설치하여 4개의 배수판 상호간을 구속시킨 후, 다시 2개의 구속판을 추가로 설치하고 판구속부(20)를 사용하여 추가로 설치된 배수판(10)을 구속시켜 나가는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배수판(10)을 조립할 때 2개의 배수판(10)의 모서리영역이 접촉하는 경우 도6에 도시된 형태의 보조부품(판구속부)을 사용하고 배수판(10)의 모서리영역 중 단독으로 존재하는 모서리영역에는 도7에 도시된 형태의 보조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배수관조립체상에 부직포를 깔고 바닥콘크리트(203)를 타설한다. 바닥콘크리트(203)의 타설시 유로형성기둥(12)에는 콘크리트가 충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로형성기둥(12)사이를 통해 지하수는 집수정(204)으로 안내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기공(11a)을 원형으로 형성하고 구속돌기(22)를 핀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도9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공(11'a)과 판구속부(20')의 구속돌기(22')를 각각 원호(圓弧) 형태로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돌기공(11a)를 차단판부(11)의 모서리영역에 형성하여 구속판부(21)가 4개의 차단판부(11)의 일 모서리영역에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1 및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공(11"a)를 차단판부의 변영역에 형성하여 판구속부(20")의 구속판부(21")가 차단판부의 변영역에 나누어 접촉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판부(11)와 분리된 판구속부(20)를 조작하여 구속돌기(22)가 돌기공(11a)에 진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수판(1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돌기공(11a)의 인접영역에 가해지는 바닥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구속판부(21)를 통해 연접하는 다른 차단판부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돌기공(11a)의 인접영역에 바닥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차단판부(11)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콘크리트의 침투에 따른 배수유로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속돌기(22)가 진입되지 않는 돌기공(제일 외측에 배치되는 배수판에 형성된 돌기공)의 개수가 적어지기 때문에 유로형성기둥(12)사이로 침투하는 바닥콘크리트의 양이 적어져 배수유로의 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호(圓弧) 형태로 구속돌기(22)를 형성함으로써, 판구속부(20)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판구속부가 차단판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음).
또한 한 쌍의 구속다리부(22a)와 각 구속다리부(22a)의 외표면 영역에 돌출형성된 걸림턱(22b)을 갖도록 구속돌기(22)를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하중이나 압출 압력이 돌기공(11a)의 인접영역에 가해질 때 차단판부(11)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욱 더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걸림턱에 의해 구속판부와 차단판부의 접촉상태가 유지됨).
10, 110 : 배수판 11, 111 : 차단판부
12, 112 : 유로형성기둥 20, 120 : 판구속부
21 : 구속판부 22, 122 : 구속돌기
121 : 구속리브

Claims (4)

  1. 차단판부와 상기 차단판부의 저면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기립 형성된 복수의 유로형성기둥을 각각 가지고 상기 유로형성기둥이 기초콘크리트에 지지되고 상기 차단판부가 연접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배수판과, 상기 차단판부의 연접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배수판 상호간을 구속하는 판구속부를 갖는 배수판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판구속부는 구속판부와 상기 구속판부로부터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기립 형성된 한 쌍의 구속다리부와 상기 구속판부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도록 상기 각 구속다리부의 외표면 영역에 돌출형성된 걸림턱을 각각 구비한 복수의 구속돌기를 가지고, 상기 구속판부가 복수개의 차단판부 상면에 나누어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차단판부는 상기 구속판부가 접촉하는 영역에 상기 각 구속돌기와 협조해서 상기 구속판부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걸림작용을 하도록 돌기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에는 상기 구속판부가 상기 차단판부의 판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이동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1020100019259A 2010-03-04 2010-03-04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10120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59A KR101207878B1 (ko) 2010-03-04 2010-03-04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9259A KR101207878B1 (ko) 2010-03-04 2010-03-04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49A KR20110100349A (ko) 2011-09-14
KR101207878B1 true KR101207878B1 (ko) 2012-12-04

Family

ID=4495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9259A KR101207878B1 (ko) 2010-03-04 2010-03-04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8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18Y1 (ko) 2001-02-08 2001-07-19 송성용 녹지조성용 배수판
KR100759112B1 (ko) * 2006-04-19 2007-09-19 유승만 배수판
KR200438121Y1 (ko) 2006-11-17 2008-01-24 박옥교 벽체 배수판의 모양캡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218Y1 (ko) 2001-02-08 2001-07-19 송성용 녹지조성용 배수판
KR100759112B1 (ko) * 2006-04-19 2007-09-19 유승만 배수판
KR200438121Y1 (ko) 2006-11-17 2008-01-24 박옥교 벽체 배수판의 모양캡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349A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KR20160006924A (ko)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017061841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構造体
KR101207878B1 (ko)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101774952B1 (ko) 친환경 우수저류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087644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저류조용 벽체부 구축물 구조
JP5993970B2 (ja) 防水瓦
KR200462427Y1 (ko)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20130029168A (ko) 지하바닥용 배수판조립체
KR20120131034A (ko) 루프이음에 의한 프리캐스트 천정판과 보의 결합구조를 가지는 조립식 컨테이너 구조물
KR101133158B1 (ko) 콘크리트 pc박스용 변화구간 연결구조
JP3170419U (ja) 足場用敷板
KR101785627B1 (ko) Pc패널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799697B1 (ko) 지하바닥용 배수판
JP7424354B2 (ja)
JP2013194458A (ja) 空間構築ブロック
TWM542041U (zh) 建築物防漏構造
KR101325717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307420B1 (ko) 보강토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구조물
TWI621757B (zh) Building leakage preven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08862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JP7194626B2 (ja) 駅ホームの補強構造
JP5350052B2 (ja) 構造物の可動部接合構造
JP6465513B2 (ja) 床構造
KR200439756Y1 (ko) 거푸집의 폼지지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