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605B1 -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605B1
KR101207605B1 KR1020100049808A KR20100049808A KR101207605B1 KR 101207605 B1 KR101207605 B1 KR 101207605B1 KR 1020100049808 A KR1020100049808 A KR 1020100049808A KR 20100049808 A KR20100049808 A KR 20100049808A KR 101207605 B1 KR101207605 B1 KR 101207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assembly
opening
cover
hook
assembl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0252A (ko
Inventor
정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0004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60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60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사이드 도어 외부로 돌출 배치된 락 어셈블리의 외관 또는 키 삽입홀을 후크 결합 또는 그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락 어셈블리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차량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Protection structure of rock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삽입홀을 통하여 물이 락 어셈블리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상기 키 삽입홀만을 개폐하는 셔터를 설치하는 대신, 사이드 도어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 상기 락 어셈블리에 후크 결합되는 락 어셈블리 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우 양측에는 복수개의 사이드 도어가 배치되고, 그 사이드 도어가 각각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는 동작으로 차실 내부를 개폐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이 차실 내부로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사이드 도어에는 최근 그립 타입의 아웃 도어 핸들이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이 외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그 내부에 조립된 락 어셈블리를 동작시켜 상기 사이드 도어의 잠금 및 해정을 이루어 개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락 어셈블리에는 사용자가 자동차의 키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도어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거나(이를 해정이라 함), 해정상태를 잠금상태로 전환(이를 락킹이라 함)시키는 키 삽입홀이 형성되는데, 상기 키 삽입홀의 경우 외부로 바로 노출됨으로써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키 삽입홀이 외부로 상시 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키 삽입홀로 물이 들어감으로써 겨울철 내빙됨으로써 부품의 작동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도 아울러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기 키 삽입홀을 외측으로부터 가리는 락 어셈블리 커버가 구비되었으나, 사용자가 자동차 키를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의 하측에 형성된 키 홀에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삽입하여 위로 제치는 동작으로 상기 키 삽입홀을 개방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도어 외부로 돌출 배치된 락 어셈블리의 외관 또는 키 삽입홀을 후크 결합 또는 그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락 어셈블리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차량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는, 사이드 도어를 개폐하도록 사이드 도어의 외부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아웃 도어 핸들과, 상기 아웃 도어 핸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를 조작하도록 키삽입홀이 형성된 락 어셈블리와, 상기 락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키 삽입홀을 개폐하는 락 어셈블리 커버와, 상기 락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를 상기 락 어셈블리에 후크 걸림 및 그 후크 걸림을 해제시키는 개폐 조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는, 일단부가 상기 락 어셈블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기 락 어셈블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가 힌지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상기 락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조작부는, 후크단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락 어셈블리에 형성된 이동부재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은, 상기 후크단이 노출되어 이동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후크단의 대향단이 외부로 노출 및 삽입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후크단이 상기 락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에는 상기 후크단과 후크 걸림되는 걸림부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외부로 돌출 배치된 락 어셈블리의 외관 또는 키 삽입홀을 후크 결합 또는 그 후크 결합을 해제시키는 동작으로 개폐시키는 락 어셈블리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함은 물론 차량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이드 도어(101)의 외부면에서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동되면서 상기 사이드 도어(101)를 개폐하도록 상기 사이드 도어(101)에 설치된 아웃 도어 핸들(105)과,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일측에 설치되고, 자동차 키(110)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사이드 도어(101)를 잠금 상태로 전환(이를 락킹이라 칭함) 또는 잠금이 해제되는 상태로 전환(이를 해정이라 칭함)하는 락 어셈블리(120)와, 상기 락 어셈블리(120)의 외관을 가리도록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일측에 설치된 락 어셈블리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은 대략 전방에 위치된 상기 사이드 도어(101)와 후방에 위치된 사이드 도어(101)를 구분하는 파팅 라인(미도시)에 가까운 일단이 힌지(137)에 의해 결합되고, 사용자가 상기 파팅 라인에서 먼쪽에 위치된 타단을 차량의 외측으로 잡아당길 경우 소정 각도 회전 작동하면서 도면상 보이지 않는 상기 사이드 도어(101)의 내부에 장착된 도어래치 어셈블리(미도시)를 동작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일측에 설치된 상기 락 어셈블리(120)는, 상기 자동차 키(110)가 삽입되도록 키 삽입홀(125)이 형성된다. 상기 키 삽입홀(125)은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키(1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 도어(10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기 키 삽입홀(125)에 상기 자동차 키(110)를 삽입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미도시된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를 작동시켜 상기 사이드 도어(101)를 잠금 또는 그 잠금을 해정시키게 된다.
상기 락 어셈블리(120)는 대략 상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타단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상기 사이드 도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락 어셈블리(120)의 선단부를 외부로부터 보호/차폐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외형과 일체감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대략 호형의 내구면 및 외구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구면이라 함은 대략 구(球) 형상체의 내주면의 의미로 사용되고, 외구면이라 함은 대략 구(球) 형상체의 내주면의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과 직접 접하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 부분은 수직면을 형성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외형과 일체감을 가지도록 내구면 및 외구면 형상의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내구면은 상기 락 어셈블리(12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키 삽입홀(125)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외구면은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외형과 매칭시킴으로써 소비자에게 일체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의 외관이 일정한 형상을 가진 경우 그 형상의 일부로서 매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은 사용자가 손으로 그립(GRIP)하기 쉽도록 외측 방향으로 라운딩지게 포밍부를 형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 또한 그 형상이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이 형성하는 포밍부의 일부가 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이유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외관 재질은, 상기 아웃 도어 핸들(105)을 형성하는 외관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 도어(10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락 어셈블리(1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137)에 의하여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락 어셈블리(120)는, 상기 키 삽입홀(125)이 배치되고, 상기 키 삽입홀(125)이 상기 사이드 도어(101)의 정위치에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마운팅 패널부(12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는, 상부에 해당하는 일단이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의 상측에 힌지(137)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해당하는 타단이 상기 키 삽입홀(125)을 감싸면서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의 하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타단부는,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 구비된 개폐 조작부(150)에 의하여 후크(도면부호 미표기)에 의하여 착탈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는,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 배치되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를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 후크 걸림 및 그 후크 걸림을 해제시키는 개폐 조작부(150)를 더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 조작부(150)는,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가 힌지(137)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의 타측에 배치되고, 후크단(141)이 형성된 이동부재(140)와, 상기 이동부재(140)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 형성된 이동부재 결합홀(123)을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 형성된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123)은 대략 상기 이동부재(140)가 삽입되어 상하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이동부재(140)의 일단과 타단이 각기 다른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2개소에 개구부(123a)(123b)가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에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내구면 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1개구부(123b)와 상기 마운팅 패널부(121)의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제2개구부(123a)로 이루어진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123)에 형성된 상기 제1개구부(123b)와 상기 제2개구부(123a)는 상기 이동부재(140)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서로 연통된다.
상기 제1개구부(123b) 측으로 돌출 배치된 상기 이동부재(140)의 일단(141)에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와 후크 결합되는 후크단(141)이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개구부(123a) 측으로 돌출 배치된 상기 이동부재(140)의 타단(142)은 사용자가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를 회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개폐 조작부(150)를 작동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차 키(110)를 접촉시키는 조작단(142)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부재(140)의 타단(142), 즉 상기 조작단(142)을 상기 자동차 키(110)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123)을 향하여 밀어 넣으면 상기 후크단(141)이 소정 거리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123)의 안내를 받아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와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한편,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힌지(137) 결합된 부분에는 미도시의 탄성부재가 개재되는데,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후크 결합이 해제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내구면에는 상기 이동부재(140)의 후크단(141)과 후크 결합되는 걸림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후크단(141)과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 중 상기 제2개구부(123a)가 형성된 부분에는 사용자가 곧바로 상기 조작단(142)에 상기 자동차 키(110)를 접촉시킬 수 있도록 개구단(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단(135)은 과도하게 클 필요가 없고, 단지 상기 조작단(142)이 상기 개구단(135)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족하다.
미설명 도면부호 144는 상기 이동부재(140)를 사용자가 상기 자동차 키(110)로 밀어넣은 경우 그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부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사이드 도어(101)가 잠금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그 잠금 상태를 해정시키기 위하여, 반대로 상기 사이드 도어(101)가 해정 상태로 있는 경우에는 그 해정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키 삽입홀(125)에 상기 자동차 키(110)를 삽입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락 어셈블리(120)에 위치된 상기 키 삽입홀(125)은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에 의하여 차폐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휴대하고 있는 상기 자동차 키(110)를 가지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개구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이동부재(140)의 조작단(142)을 상측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의 걸림부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후크단(141)이 이동하면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와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130)가 상측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키 삽입홀(125)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자동차 키(110)를 상기 키 삽입홀(125)에 삽입하여 당초 원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1: 사이드 도어 105: 아웃 도어 핸들
110: 자동차 키 120: 락 어셈블리
121: 마운팅 패널부 123: 이동부재 결합홀
123a: 제1개구부 123b: 제2개구부
125: 키 삽입홀 130: 락 어셈블리 커버
130': 걸림부 135: 개구단
137: 힌지 140: 이동부재
141: 후크단 142: 조작단
144: 탄성부재 150: 개폐 조작부

Claims (8)

  1. 사이드 도어의 외부면에 소정 각도 회동되면서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하도록 상기 사이드 도어에 설치된 아웃 도어 핸들과;
    상기 아웃 도어 핸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도어를 개폐하도록 키삽입홀이 형성된 락 어셈블리와;
    상기 락 어셈블리의 외관을 가리도록 상기 아웃 도어 핸들의 일측에 힌지 설치되어 회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락 어셈블리를 노출시키거나 은닉시키고, 상기 아웃 도어 핸들의 외관면에 매칭되게 형성된 락 어셈블리 커버와;
    상기 락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를 상기 락 어셈블리에 후크 걸림 및 그 후크 걸림을 해제시키는 개폐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는, 일단부가 상기 락 어셈블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상기 락 어셈블리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가 힌지 결합된 부분과 대향되는 상기 락 어셈블리의 타측에 배치되고, 후크단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가 삽입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락 어셈블리에 형성된 이동부재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은, 상기 후크단이 노출되어 이동되는 제1개구부와, 상기 후크단의 대향단이 외부로 노출 및 삽입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 중 상기 제2개구부가 인접하는 부분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자동차 키가 상기 이동부재와 접촉되도록 개구된 개구단이 형성된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는,
    상기 이동부재 결합홀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부는 상기 후크단이 상기 락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개구부는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락 어셈블리 커버에는 상기 후크단과 후크 걸림되는 걸림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KR1020100049808A 2010-05-27 2010-05-27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KR101207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08A KR101207605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808A KR101207605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52A KR20110130252A (ko) 2011-12-05
KR101207605B1 true KR101207605B1 (ko) 2012-12-03

Family

ID=4549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9808A KR101207605B1 (ko) 2010-05-27 2010-05-27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6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29B1 (ko) * 2018-06-19 2019-05-15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39A (ja) * 2004-01-15 2005-07-28 Tochigiya Co Ltd 鍵穴保護装置
US20070193320A1 (en) * 2006-02-21 2007-08-23 Magna Closures Inc. Hidden Key Cyli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0939A (ja) * 2004-01-15 2005-07-28 Tochigiya Co Ltd 鍵穴保護装置
US20070193320A1 (en) * 2006-02-21 2007-08-23 Magna Closures Inc. Hidden Key Cyli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029B1 (ko) * 2018-06-19 2019-05-15 주식회사 프라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0252A (ko) 2011-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936B2 (en) Hidden key cylinder
KR20140077869A (ko) 은닉된 키 실린더를 구비하는 차량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931160B1 (ko) 히든타입 아웃사이드핸들
US20100162777A1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with removable cap for the lock cylinder
KR101554069B1 (ko) 외부 판넬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의 도어 개방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도어 개방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도어
US5709420A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6572486B2 (ja) 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07605B1 (ko)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KR101956990B1 (ko)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KR101070537B1 (ko) 차량의 도어 키 홀 보호구조
JP2004027563A (ja) テールゲートの構造
US8671623B2 (en) Vehicle door manual lock assembly
KR102139053B1 (ko) 도어 록 키홀 커버 일체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0444089B1 (ko) 차량의 슬라이딩 사이드도어 잠금장치
KR101207680B1 (ko) 차량의 사이드 도어 락 어셈블리
JP6834329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構造および車両用ドア構造
US20170044804A1 (en) Key handle with codable lock core for truck cap application
KR102109118B1 (ko) 차량용 도어록 커버 장치
KR20050042320A (ko) 자동차의 사이드도어용 인너핸들
KR20130070028A (ko) 자동차용 풀핸들 일체형 인사이드 핸들 구조
CN211808984U (zh) 车辆用门装置
KR200389071Y1 (ko) 차량용 도어 래치장치
JP3876599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198669B1 (ko) 트렁크 리드의 레버인출장치
JP4678490B2 (ja) 車体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