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029B1 -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029B1
KR101971029B1 KR1020180070269A KR20180070269A KR101971029B1 KR 101971029 B1 KR101971029 B1 KR 101971029B1 KR 1020180070269 A KR1020180070269 A KR 1020180070269A KR 20180070269 A KR20180070269 A KR 20180070269A KR 101971029 B1 KR101971029 B1 KR 10197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keyhole cover
button
hook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코,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코
Priority to KR1020180070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0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6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pins or key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ⅰ)키홀 커버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에 대응하여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키홀 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에 대응하여 공간부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을 형성하고 있는 버튼 삽입부와, ⅱ)공간부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공간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며, 버튼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을 형성하고, 후크 결합 홀에 후크 결합하며 후크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를 형성하는 푸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LOCK UNIT OF KEY HOLE COVER FOR DOOR LOCK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구비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키홀을 덮어주는 키홀 커버를 간편하게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 장치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장치가 언록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도어 핸들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 외부의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 록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식 도어 록 장치라 하더라도, 장치 자체의 고장이나 리모컨 배터리의 방전,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시의 경우에는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조작에 연동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이는 도어 핸들의 측방에 위치되어 키홀에 키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록 어셈블리는 키홀에 키를 삽입할 수 있도록 키홀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때, 노출된 키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키홀을 덮어서 보호하는 키홀 커버가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서 키홀을 덮어 보호하기 위한 키홀 커버의 적용 구성은 한국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24976호(등록일자: 2012년03월02일)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서 키홀 커버(즉, 도어 록 커버)는 도어 록 몸체(즉, 커버 체결부) 상에 구성되는 푸시 버튼이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 홀에 끼워져 고정하는 구조로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푸시 버튼을 적용한 키홀 커버의 체결 구조에서는 키홀 커버를 푸시 버튼을 통해 도어 록 몸체에 체결하고, 그 키홀 커버의 내측 면에 구비된 복수 개의 걸림 돌기들을 통해 키홀 커버를 도어 록 몸체에 끼움 식으로 체결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도어 록 몸체에 대한 키홀 커버의 체결과 탈거의 반복으로 키홀 커버의 걸림 돌기 부위가 쉽게 마모 및 파손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량 주행 시 키홀 커버의 유동이 발생하거나 키홀 커버가 도어 록 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푸시 버튼과 키홀 커버의 걸림 부위를 증대시키고, 도어 록 몸체에 대한 키홀 커버의 걸림 부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키홀 커버의 걸림 돌기 부위의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ⅰ)상기 키홀 커버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키홀 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을 형성하고 있는 버튼 삽입부와, ⅱ)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공간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버튼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 결합 홀에 후크 결합하며 상기 후크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를 형성하는 푸시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키홀 커버의 내측 면에는 상기 도어 록 몸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단일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ⅰ)상기 키홀 커버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키홀 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을 형성하고 있는 버튼 삽입부와, ⅱ)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공간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튼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을 형성하는 버튼 몸체와, ⅲ)상기 버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후크 결합 홀에 후크 결합하며 상기 후크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 몸체의 누름력에 의해 상기 후크 돌기가 상기 후크 결합 홀에 걸리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버튼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1 안내 홈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안내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홈과 제2 안내 홈 사이에는 상기 버튼 몸체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는 상기 버튼 몸체에서 상기 공간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플렉시블 가능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원래의 형태로 복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몸체에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핀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삽입부에는 상기 핀 슬롯을 관통하는 핀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 턱과 상기 버튼 몸체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푸시 버튼부에 의한 키홀 커버의 걸림 부위를 버튼 몸체의 돌출 걸림 단 및 탄성 몸체의 후크 돌기를 통해 2개소로 증대시킴에 따라, 도어 록 몸체에 대한 키홀 커버의 걸림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푸시 버튼부에 의한 키홀 커버의 걸림부와 함께 단일의 걸림 돌기를 통해 키홀 커버를 도어 록 몸체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키홀 커버의 반복 체결 및 분리에 따른 키홀 커버 걸림 부위의 마모 및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 버튼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100)은 사용자의 키 조작에 연동하며 차량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1)는 도어의 외측에 장착되는 바, 아웃터 도어 핸들의 측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1)는 도어 록 몸체(2), 키 홀(3)을 형성하며 도어 록 몸체(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실린더(4), 그리고 키 실린더(4)에 장착되며, 도어 래치부(9)와 직접 연결되는 작동 로드(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도어 록 어셈블리(1)의 주요 기술적 구성은 당 업계에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차량용 로어 래치 직결식 도어 록 기구의 기본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1)에는 키 실린더(4)의 키 홀(3)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키홀 커버(6)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키홀 커버(6)는 도어 록 몸체(2)의 가장자리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키홀 커버(6)는 각종 리브, 블록 등과 같은 부속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부속 요소들은 키홀 커버(6)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키홀 커버(6)로 통칭한다.
상기와 같이 키홀 커버(6)는 차량용 도어 록 어셈블리(1)의 키 홀(3)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해 도어 록 몸체(2)에 장착되는 것이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의 도어 록 기구에서 키 홀을 커버링 하는 커버 조립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 록 어셈블리(1)의 도어 록 몸체(2)에서 키 홀(3)이 위치하는 면을 전면으로 정의하고, 그 전면을 기준으로 하는 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하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단부, 상부, 상단 및 상면으로 정의하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단부, 하부, 하단 및 하면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일측 단 또는 다른 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일측 단부 또는 다른 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100)은 버튼 구조체에 대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를 증대시키고, 도어 록 몸체(2)에 대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를 최소화 함으로써,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100)은 기본적으로, 버튼 삽입부(20) 및 푸시 버튼부(4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버튼 삽입부(20)는 도어 록 몸체(2)의 전면 일측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버튼 삽입부(20)는 키홀 커버(6)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11)에 대응하는 공간부(21)를 상하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버튼 삽입부(20)는 상단 및 양 측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공간부(21)는 버튼 삽입부(20)의 내부에 형성되며, 그 버튼 삽입부(20)의 개방 단은 공간부(21) 및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 삽입부(20)의 개방 단이 하단에 형성됨에 따라, 버튼 걸림 홀(11)은 키홀 커버(6)의 하부 면 측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버튼 삽입부(20)의 일 측벽 즉, 도어 록 몸체(2)의 전면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는 측벽에는 공간부(21)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23)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 결합 홀(23)은 키홀 커버(6)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13)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바, 그 후크 걸림 홀(13)은 키홀 커버(6)에서 도어 록 몸체(2)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하는 측벽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푸시 버튼부(40)는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 및 후크 걸림 홀(13)에 작용하는 구성으로서, 버튼 삽입부(20)의 공간부(21)에 상하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그 공간부(21)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 버튼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푸시 버튼부(40)는 상호 일체로 구비된 버튼 몸체(51)와 탄성 몸체(6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튼 몸체(51)는 버튼 삽입부(20)의 공간부(21)에 삽입되는 것으로, 탄성 몸체(61)와 함께 공간부(21)에 삽입된다. 상기 버튼 몸체(51)는 버튼 삽입부(20)의 하부 개방 단으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바, 위에서 언급된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5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돌출 걸림 단(53)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버튼 몸체(51)의 하 단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걸림 단(53)은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에 걸려서 그 키홀 커버(6)가 도어 록 어셈블리(1)의 축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 몸체(61)는 버튼 몸체(51)와 일체로 형성되는 바,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버튼 몸체(51)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몸체(61)는 버튼 몸체(51)의 상단 일측에서 공간부(21)의 내측 방향(도 4를 기준할 때 상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버튼 몸체(51)의 상단 타측을 향해 공간부(21)의 외측 방향(도 4를 기준할 때 하측 방향)으로 플렉시블 가능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몸체(61)는 버튼 몸체(51)의 상단 일측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부분(63)과, 제1 부분(63)에서 라운드 형태로 절곡된 제2 부분(65)과, 제2 부분(65)에서 버튼 몸체(51)의 상단 타측을 향해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67)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공간부(21)에서 제3 부분(67)은 버튼 삽입부(20)의 일 측벽 쪽에 위치하고, 제1 부분(63)은 제3 부분(67)과 이격되며 버튼 삽입부(20)의 타 측벽 쪽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 탄성 몸체(61)에는 공간부(21)에서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후크 결합하며 키홀 커버(6)의 후크 걸림 홀(13)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69)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 돌기(69)는 탄성 몸체(61)의 제3 부분(67)에 버튼 삽입부(20)의 일 측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 돌기(69)는 후크 결합 홀(23)을 통해 후크 걸림 홀(13)에 걸려서 키홀 커버(6)가 도어 록 어셈블리(1)의 축 방향 및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탄성 몸체(61)는 버튼 몸체(51)의 누름력에 의해 공간부(21)에서 후크 돌기(69)가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걸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몸체(61)는 버튼 몸체(51)의 슬라이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몸체(61)에서 제3 부분(67)이 제1 부분(63) 측으로 탄성 변형되고,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 삽입부(20)의 공간부(21)는 푸시 버튼부(4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제1 안내 홈(25)과 제2 안내 홈(2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안내 홈(25)은 버튼 삽입부(20)의 하부 개방단과 연결되는데, 제1 안내 홈(25)에는 버튼 몸체(5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안내 홈(27)은 제1 안내 홈(25)과 연결되는데, 도 4를 기준할 때 제1 안내 홈(25)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안내 홈(27)에는 탄성 몸체(6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안내 홈(25)과 제2 안내 홈(27) 사이에는 버튼 몸체(51)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29)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 턱(29)은 버튼 몸체(51)의 누름 이동을 설정된 위치에서 저지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푸시 버튼부(40)는 버튼 몸체(51)와 탄성 몸체(61)를 포함함에 따라,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은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에 체결되고,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는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후크 결합하며 키홀 커버(6)의 후크 걸림 홀(13)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 버튼부(40)에 의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체결 부위)를 돌출 걸림 단(53) 및 후크 돌기(69)를 통해 2개소로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푸시 버튼부(40)에 의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를 2개소로 증대시킴에 따라, 도어 록 몸체(2)에 대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홀 커버(6)의 내측 면에는 도어 록 몸체(2)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단일의 걸림 돌기(1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15)는 도어 록 몸체(2)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에 끼움 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100)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푸시 버튼부(40)의 버튼 몸체(51)는 버튼 삽입부(20)의 공간부(21)의 제1 안내 홈(25)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상기 버튼 몸체(51)는 공간부(21)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되고, 그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은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에 체결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버튼부(40)의 탄성 몸체(61)는 공간부(21)의 제2 안내 홈(27)에 삽입된 상태에 있으며, 그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는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후크 결합하며 키홀 커버(6)의 후크 걸림 홀(13)에 체결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버튼 몸체(51)는 공간부(21)에서 제1 안내 홈(25)과 제2 안내 홈(27) 사이의 걸림 턱(29)과 일정 유격을 두고 공간부(21)에 삽입된 상태에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키홀 커버(6)는 단일의 걸림 돌기(15)를 통해 도어 록 몸체(2)의 가장자리 걸림 면에 끼움 식으로 체결된 상태에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록 몸체(2)에 키홀 커버(6)가 체결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홀 커버(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키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푸시 버튼부(40)의 버튼 몸체(51)를 눌러서 공간부(21)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푸시 버튼부(40)의 버튼 몸체(51) 및 탄성 몸체(61)는 공간부(21)에서 제1 및 제2 안내 홈(25, 27)을 따라 상측 방향(도 4 기준)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한 과정에 버튼 몸체(51)는 제1 안내 홈(25)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제1 안내 홈(25)과 제2 안내 홈(27) 사이의 걸림 턱(29)에 걸려서 누름 이동이 저지되고, 그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은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 몸체(61)는 제2 안내 홈(27)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데, 그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는 키홀 커버(6)의 후크 걸림 홀(13)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고,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 몸체(61)는 후크 돌기(69)가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걸리면서 탄성 변형되는데, 버튼 몸체(51)의 슬라이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푸시 버튼부(40)의 누름 동작으로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이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고,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가 키홀 커버(6)의 후크 걸림 홀(13)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하여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돌출 걸림 단(53) 및 후크 돌기(69)가 키홀 커버(6)의 버튼 걸림 홀(11) 및 후크 걸림 홀(13)로부터 빠져 나온 상태에서,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어셈블리(1)의 축 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그 키홀 커버(6)의 걸림 돌기(15)가 도어 록 몸체(2)의 가장자리 걸림 면으로부터 이탈되면서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푸시 버튼부(40)에 작용하는 누름력을 해제하게 되면, 푸시 버튼부(40)의 탄성 몸체(61)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바, 그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는 버튼 삽입부(20)의 후크 결합 홀(23)에 끼워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몸체(61)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과정에, 푸시 버튼부(40)는 탄성 몸체(6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 즉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이 공간부(21)로부터 돌출된 위치로 복귀한다.
다른 한편, 상기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에 재 조립하기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역순의 과정을 통해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에 체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100)에 의하면, 푸시 버튼부(40)에 의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체결 부위)를 버튼 몸체(51)의 돌출 걸림 단(53) 및 탄성 몸체(61)의 후크 돌기(69)를 통해 2개소로 증대시킴에 따라, 도어 록 몸체(2)에 대한 키홀 커버(6)의 걸림 부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푸시 버튼부(40)에 의한 키홀 커버(6)의 걸림부와 함께 단일의 걸림 돌기(15)를 통해 키홀 커버(6)를 도어 록 몸체(2)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키홀 커버(6)의 반복 체결 및 분리에 따른 키홀 커버(6) 걸림 부위의 마모 및 파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록 몸체(2)에 대한 키홀 커버(6)의 체결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차량 주행 시 키홀 커버의 유동이 발생하거나 키홀 커버가 도어 록 몸체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푸시 버튼부(40)를 버튼 삽입부(20)의 공간부(21)에 끼우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구성부품들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전기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기 실시 예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은 전기 실시 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버튼 몸체(151)에 핀 슬롯(171)이 형성된 푸시 버튼부(14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은 전기 실시 예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면서, 핀(181)이 핀 슬롯(171)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버튼 삽입부(12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핀 슬롯(171)은 도면을 기준할 때, 버튼 몸체(151)에 상하 방향을 따라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181)은 도어 록 몸체(2)의 전면 측에서 버튼 삽입부(120)에 고정되게 끼워지고, 핀 슬롯(171)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은 전기 실시 예에서와 같은 공간부(121)에서 제1 안내 홈(25)과 제2 안내 홈(27) 사이의 걸림 턱(29), 및 버튼 몸체(151)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91)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191)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그 스프링(191)의 일단은 버튼 몸체(151)의 상단에 지지되고, 타단은 걸림 턱(29)에 지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에 있어, 탄성 몸체(61)와 같은 푸시 버튼부(140)의 나머지 구성 및 버튼 삽입부(120)의 나머지 구성 등은 전기 실시 예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에 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부(140)는 핀 슬롯(171)을 통해 핀(181)에 지지된 상태로, 공간부(121)에서 제1 안내 홈(25) 및 제2 안내 홈(27)을 따라 그 핀 슬롯(171)의 구간만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 버튼부(140)는 누름력이 작용하면, 스프링(191)을 압축하며 공간부(12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 누름력이 제거되면, 스프링(19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공간부(12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버튼 몸체(151)의 핀 슬롯(171)을 관통하여 버튼 삽입부(120)에 고정되는 핀(181)을 적용함에 따라, 푸시 버튼부(140)가 버튼 삽입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푸시 버튼부(140)의 버튼 몸체(151)와 걸림 턱(29) 사이에 스프링(191)을 개재함에 따라, 푸시 버튼부(140)의 스트로크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200)에 있어, 나머지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 예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록 어셈블리
2: 도어 록 몸체
3: 키 홀
4: 키 실린더
5: 작동 로드
6: 키홀 커버
9: 도어 래치부
11: 버튼 걸림 홀
13: 후크 걸림 홀
15: 걸림 돌기
20, 120: 버튼 삽입부
21, 121: 공간부
23: 후크 결합 홀
25: 제1 안내 홈
27: 제2 안내 홈
29: 걸림 턱
40, 140: 푸시 버튼부
51, 151: 버튼 몸체
53: 돌출 걸림 단
61: 탄성 몸체
63: 제1 부분
65: 제2 부분
67: 제3 부분
69: 후크 돌기
171: 핀 슬롯
181: 핀
191: 스프링

Claims (10)

  1.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으로서,
    상기 키홀 커버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키홀 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을 형성하고 있는 버튼 삽입부; 및
    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공간부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버튼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을 형성하고, 상기 후크 결합 홀에 후크 결합하며 상기 후크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를 형성하는 푸시 버튼부;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 커버의 내측 면에는,
    상기 도어 록 몸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단일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3.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으로서,
    상기 키홀 커버의 한쪽에 구비된 버튼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키홀 커버의 다른 한쪽에 구비된 후크 걸림 홀에 대응하여 상기 공간부와 연결된 후크 결합 홀을 형성하고 있는 버튼 삽입부;
    상기 공간부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상기 공간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버튼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출 걸림 단을 형성하는 버튼 몸체; 및
    상기 버튼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서 상기 후크 결합 홀에 후크 결합하며 상기 후크 걸림 홀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 몸체의 누름력에 의해 상기 후크 돌기가 상기 후크 결합 홀에 걸리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탄성 몸체;
    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버튼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1 안내 홈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안내 홈
    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홈과 제2 안내 홈 사이에는,
    상기 버튼 몸체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이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는,
    상기 버튼 몸체에서 상기 공간부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공간부의 외측 방향으로 플렉시블 가능하게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몸체는,
    상기 버튼 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원래의 형태로 복원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키홀 커버의 내측 면에는,
    상기 도어 록 몸체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와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단일의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몸체에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핀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 삽입부에는 상기 핀 슬롯을 관통하는 핀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버튼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안내 홈과,
    상기 제1 안내 홈과 연결되며, 상기 탄성 몸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안내 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안내 홈과 제2 안내 홈 사이에는 상기 버튼 몸체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 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 턱과 상기 버튼 몸체 사이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KR1020180070269A 2018-06-19 2018-06-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KR10197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69A KR101971029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269A KR101971029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029B1 true KR101971029B1 (ko) 2019-05-15

Family

ID=6657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269A KR101971029B1 (ko) 2018-06-19 2018-06-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0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94A (ko) * 2000-02-01 2001-08-1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탑커버 록킹장치
KR20110138123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KR101136281B1 (ko) * 2005-07-11 201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락킹 장치
KR101207605B1 (ko) * 2010-05-27 2012-12-03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294A (ko) * 2000-02-01 2001-08-1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탑커버 록킹장치
KR101136281B1 (ko) * 2005-07-11 2012-04-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락킹 장치
KR101207605B1 (ko) * 2010-05-27 2012-12-03 주식회사 대동 차량의 락 어셈블리 보호구조
KR20110138123A (ko) * 2010-06-18 2011-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4976B1 (ko)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US7249452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4969673A (en) Door latch with block-out type child safety feature
US20060038417A1 (en) Handle assembly with dual latch feature
EP0064297A2 (en) Inside-handle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door assembly
EP0908112A1 (en) Locking device of a buckle of belt-shaped ornament
EP1658411B1 (en) Handle assembly with dual latch feature
KR200477705Y1 (ko) 미닫이 창호용 자동잠금장치
JP4927023B2 (ja) 非常停止用押ボタンスイッチ
KR101971029B1 (ko)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KR101923499B1 (ko)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CN107799337B (zh) 开关按钮闭锁装置
JP4148495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US7093331B1 (en) Buckle and frame for restraint system resistant to a harsh environment
KR102139053B1 (ko) 도어 록 키홀 커버 일체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KR102042029B1 (ko) 차량의 포브 키
KR102098752B1 (ko) 고정격자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US5121954A (en) Closure for ends of band or the like
KR200347270Y1 (ko) 창호용 잠금 장치
EP0467088B1 (en) Closure for ends of band or the like
KR102121845B1 (ko) 밴드형 결합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19980046411U (ko) 오조립 방지형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200203198Y1 (ko) 프라이버시용 도어록
KR0121636Y1 (ko) 차량의 도어 핸들레버 로킹장치
KR200147588Y1 (ko) 자동 잠김 도어록의 자동 잠김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