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499B1 -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499B1
KR101923499B1 KR1020170009286A KR20170009286A KR101923499B1 KR 101923499 B1 KR101923499 B1 KR 101923499B1 KR 1020170009286 A KR1020170009286 A KR 1020170009286A KR 20170009286 A KR20170009286 A KR 20170009286A KR 101923499 B1 KR101923499 B1 KR 101923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ush button
button
hoo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571A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에이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4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 E05B17/18Closures or guards for keyholes shaped as lids or sl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8Key guides; Key pins ; Keyholes; Keyhole f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량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상의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슬롯이 각각 형성되는 버튼 삽입부; 상기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홀에 작용하도록, 전면과 후면의 각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 브릿지의 선단에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면 중앙에 스프링 가이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삽입부에 삽입되어 각 슬롯에 각 후크가 걸려서 조립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푸시버튼의 스프링 가이더에 끼워져 상기 버튼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locking unit of key hole cover for door lock assembl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에 형성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키홀을 덮어주는 키홀 커버를 간편하게 체결하기 위한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록 장치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를 록(lock) 또는 언록(unlock)하거나 리모컨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도어 록 장치가 언록된 상태에서, 도어 핸들을 잡아당기면, 도어 핸들에 연결된 로드 또는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래치가 해제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리모컨을 휴대한 상태에서 도어 외부의 별도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도어 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 상태를 자동 해제시키는 전자식 도어 록 장치가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자식 도어 록 장치라 하더라도, 장치 자체의 고장이나 리모컨 배터리의 방전, 또는 차량의 메인 배터리의 방전 등으로 전자식 도어 록 장치를 사용할 수 없는 비상시의 경우에는 키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라, 차량의 도어에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여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키 조작에 연동하는 수동식 도어 록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이는 도어 핸들의 측방에 위치되어 키홀에 키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도어의 록 또는 언록 작동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록 어셈블리는 키홀에 키를 삽입할 수 있도록 키홀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때, 노출된 키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키홀을 덮어서 보호하는 키홀 커버가 구성된다.
아래 선행기술문헌은 키홀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른 키홀 커버의 적용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24976호(등록일자: 2012년03월02일) 발명의 명칭: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즉, 상기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키홀 커버(즉, 도어록 커버)는 도어 록 몸체(즉, 커버 체결부) 상에 구성되는 푸시버튼이 상기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홀에 끼워져 고정하는 구조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키홀 커버를 체결하기 위하여 도어 록 몸체에 푸시버튼이 구성되는데, 상기 푸시버튼은 도어 록 몸체에 스프링과 함께 핀을 통하여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돌출 작동하면서 작동 스트로크가 제한되어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홀에 끼워져 키홀 커버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푸시버튼은 작동 스트로크를 제한하기 위해 핀을 적용해야 함으로, 상기 푸시버튼 상에 작동 스트로크만큼의 길이로 핀 슬롯을 형성하여야 하고, 상기 핀을 핀 슬롯을 통하여 상기 도어 록 몸체에 고정하는 등의 조립작업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푸시버튼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후크를 상기 도어 록 몸체 상에 형성된 버튼 삽입부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슬롯에 스트로크 작동 가능하게 끼워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푸시버튼의 이탈방지 및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단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삽입부의 외면에 코킹부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이탈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에 스프링 가이더를 형성하여 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상의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슬롯이 각각 형성되는 버튼 삽입부; 상기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홀에 작용하도록, 전면과 후면의 각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 브릿지의 선단에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면 중앙에 스프링 가이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삽입부에 삽입되어 각 슬롯에 각 후크가 걸려서 조립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푸시버튼의 스프링 가이더에 끼워져 상기 버튼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삽입부는 상기 공간부의 전후측에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안내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 브릿지의 선단에 경사진 원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은 상기 후크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삽입부는 상기 돌출단에 대응하는 외면에 코킹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이더는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 중앙에 원형의 봉 형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가이더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 삽입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키홀 커버의 버튼홀에 작동하는 푸시버튼의 전후 양측에 후크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 록 몸체에 형성된 버튼 삽입부 상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슬롯에 상기 양측 후크를 각각 끼우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푸시버튼의 이탈방지 및 스트로크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스트로크 제한을 위한 종래의 핀 등의 구성부품을 삭제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단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삽입부의 외면에 코킹부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버튼의 이탈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에 형성된 스프링 가이더를 통하여 스프링이 안내되도록 하여 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의해 도어 록 몸체에 대하여 키홀 커버의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키홀을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하여 상기 키홀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적용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분해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 몸체에 키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버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적용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이 분해된 도어 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키홀 커버(20)에 형성된 버튼홀(21)에 작용하여 도어 록 몸체(11) 상에 키홀 커버(20)를 체결하여 조립하도록 하는 것으로, 버튼 삽입부(13), 푸시버튼(30), 스프링(40)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 삽입부(13)는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10)의 도어 록 몸체(11) 상의 일측에 공간부(S)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슬롯(15)이 각각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30)은 상기 키홀 커버(20)에 형성된 버튼홀(21)에 작용하는 구성으로, 전면과 후면의 각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 브릿지(31)의 선단에 후크(33)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30)의 일 측면에 돌출단(35)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면 중앙에 스프링 가이더(37)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삽입부(13)의 공간부(S)에 삽입되어 각 슬롯(15)에 각 후크(33)가 걸려서 조립된다.
이때, 상기 후크(33)는 상기 후크 브릿지(31)의 선단에 경사진 원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15)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버튼 삽입부(13)의 공간부(S)로부터 푸시버튼(3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버튼 삽입부(13)는 상기 공간부(S)의 전후측에 상기 후크(33)가 삽입되는 후크 안내홈(G)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 삽입부(13)에 푸시버튼(30)을 삽입하는 과정에, 상기 후크(33)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버튼 삽입부(13)에 형성되는 각 슬롯(15)은 상기 후크(33)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푸시버튼(30)의 작동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가이더(37)는 상기 푸시버튼(30)의 내면 중앙에 원형의 봉 형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푸시버튼(30)의 스프링 가이더(37)에 끼워져 상기 버튼 삽입부(13)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버튼(30)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로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스프링 가이더(37)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30)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 삽입부(13)의 내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 삽입부(13)는 상기 돌출단(35)에 대응하는 외면에 코킹부(C)가 형성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30)의 스프링 가이더(37)에 스프링(40)을 끼운 상태로, 상기 버튼 삽입부(13)에 스프링(40)과 함께 푸시버튼(30)을 삽입하여 각 후크(33)가 각 슬롯(15)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상태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단(35)에 대응하는 버튼 삽입부(13)의 외면 일측을 코킹하여 코킹부(C)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버튼 삽입부(13)로부터 푸시버튼(30)의 이탈을 이중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푸시버튼(30)이 스프링(40)과 함께 버튼 삽입부913)의 공간부(S)에 삽입된 상태로, 각 슬롯(15)에 각 후크(33)가 끼워진 상태로,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 삽입부(13)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키홀 커버(20) 상에 형성된 버튼홀(21)에 끼워져 키홀 커버(20)를 체결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 록 몸체에 키홀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키홀 커버(20)는 내면에 형성된 2개의 걸림단(51)을 상기 도어 록 몸체(11) 상의 걸림면(53)에 걸어 둔 상태로, 버튼홀(21)에 푸시버튼(30)이 끼워지도록 하여 도어 록 몸체(11) 상에 체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적용되는 푸시버튼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도어 록 몸체(11)에 키홀 커버(2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키홀 커버(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키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푸시버튼(30)을 밀어 넣어 키홀 커버(20) 상의 버튼홀(21)로부터 푸시버튼(30)이 빠져나오도록 하여 도어 록 몸체(11)로부터 키홀 커버(20)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은 키홀 커버(20)의 버튼홀(21)에 작동하는 푸시버튼(30)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후크(33)를 통하여, 상기 도어 록 몸체(11)에 형성된 버튼 삽입부(13) 상의 전후 양측에 형성된 슬롯(15)에 각각 끼우는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이로써, 버튼 삽입부(13)로부터 푸시버튼(3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스트로크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트로크 제한을 위한 종래의 핀 등의 구성부품을 삭제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30)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단(35)에 대응하여 상기 버튼 삽입부(13)의 외면에 코킹부(C)를 형성하여 상기 푸시버튼(30)이 버튼 삽입부(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30)의 내면에 형성된 스프링 가이더(37)를 통하여 스프링(40)이 안내되면서 작동되도록 하여 스프링(40)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의해 도어 록 몸체(11)에 대하여 키홀 커버(20)의 탈부착이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키홀 커버(20)에 의해 키홀(H)을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차단하여 상기 키홀(H)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도어 록 어셈블리
11: 도어 록 몸체
13: 버튼 삽입부
15: 슬롯
S: 공간부
G: 후크 안내홈
20: 키홀 커버
21: 버튼홀
30: 푸시버튼
31: 후크 브릿지
33: 후크
35: 돌출단
37: 스프링 가이더
40: 스프링
C: 코킹부
H: 키홀

Claims (7)

  1.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 어셈블리의 도어 록 몸체 상의 일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전면과 후면에는 일정길이의 슬롯이 각각 형성되는 버튼 삽입부;
    상기 키홀 커버에 형성된 버튼홀에 작용하도록, 전면과 후면의 각 중앙에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 후크 브릿지의 선단에 경사진 원형의 경사면으로 형성된 후크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 측면에 돌출단이 일체로 형성되며, 내면 중앙에 스프링 가이더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버튼 삽입부에 삽입되어 각 슬롯에 각 후크가 걸려서 조립되는 푸시버튼; 및
    상기 푸시버튼의 스프링 가이더에 끼워져 상기 버튼 삽입부의 내부에서 상기 푸시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삽입부는
    상기 공간부의 전후측에 상기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안내홈이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후크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푸시버튼의 작동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삽입부는
    상기 돌출단에 대응하는 외면에 코킹부가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이더는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 중앙에 원형의 봉 형상으로 내측을 향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스프링 가이더에 끼워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푸시버튼의 내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버튼 삽입부의 내면에 지지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KR1020170009286A 2017-01-19 2017-01-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KR101923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86A KR101923499B1 (ko) 2017-01-19 2017-01-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286A KR101923499B1 (ko) 2017-01-19 2017-01-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71A KR20180085571A (ko) 2018-07-27
KR101923499B1 true KR101923499B1 (ko) 2018-12-13

Family

ID=6307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286A KR101923499B1 (ko) 2017-01-19 2017-01-19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717A1 (en) 2022-03-21 2023-09-27 Samkwangwintech Co., Ltd.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liding and ro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053B1 (ko) * 2018-12-07 2020-07-29 주식회사 프라코 도어 록 키홀 커버 일체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3383A1 (en) * 2011-12-16 2013-06-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ush button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976B1 (ko) 2010-06-18 2012-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53383A1 (en) * 2011-12-16 2013-06-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Push button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717A1 (en) 2022-03-21 2023-09-27 Samkwangwintech Co., Ltd.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sliding and rotation
KR20230137017A (ko) 2022-03-21 2023-10-04 (주)삼광윈테크 슬라이딩과 회전을 이용한 커버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571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193B2 (en) Vehicle door inner handle cable connection
KR101124976B1 (ko) 차량용 도어록 커버 체결기구
KR101970852B1 (ko) 차량 도어 록
KR101923499B1 (ko)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JP2006339162A (ja) コネクタ接続器のためのロック装置
CN103348071B (zh) 挂锁
JP2009185539A (ja) カバー組付構造
CN110417277B (zh) 滑扣式机壳装置
EP1925764B1 (en) Handle for vehicle doors, handle and tool as well as proce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this handle
US6769277B1 (en) Structure of a locker
JP4723321B2 (ja) ブレーカ取付構造
JP2010242442A (ja) 車両のドア操作ハンドル
US7243403B2 (en) Buckle safety device
KR200434093Y1 (ko) 도어용 손잡이의 록킹레버 결합구조
CN112236642B (zh) 用于防弹衣的快速解脱系统
KR100655715B1 (ko) 차량용 잠금장치
JP2006202797A (ja) 外装カバー固定構造
CN106968513B (zh) 一种锁体结构、开锁方法及智能车锁
EP2236351B1 (en) Harness fastener system for an infant carrie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971029B1 (ko) 차량의 도어 록 어셈블리용 키홀 커버의 체결유닛
JP4382456B2 (ja) 車両用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CN113574908A (zh) 外壳紧固模块
JP6407583B2 (ja) 車両用操作装置
TWM648969U (zh) 遙控器鑰匙裝置
CN213393344U (zh) 锁扣和栓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