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302B1 -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 Google Patents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302B1
KR101206302B1 KR1020100054732A KR20100054732A KR101206302B1 KR 101206302 B1 KR101206302 B1 KR 101206302B1 KR 1020100054732 A KR1020100054732 A KR 1020100054732A KR 20100054732 A KR20100054732 A KR 20100054732A KR 101206302 B1 KR101206302 B1 KR 101206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hoe
wire
fastening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028A (ko
Inventor
이수종
Original Assignee
이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종 filed Critical 이수종
Priority to KR102010005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30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9/00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 A43C9/08Laces; Laces in general for garments made of textiles, leather, or plastics made of paper or wir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실리콘 합성물로 성형되어 미끌림 방지 및 세척이 용이한 덧창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덧창은, 하단부에 지면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상기 신발의 밑창과 접속되는 밑창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밑창 접촉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밑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연장되고; 상기 안착 가이드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차부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체결 와이어 및 상기 체결 와이어를 수축 고정하거나, 인장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체결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덧창의 외피는 실리콘 합성물로써, 실리콘의 기본 구조인 Oil, Rubber, Resi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 또는 소정 비율의 배합에 근거한 복합물이며, 내피는 고무재질 또는 연성이 좋은 플라스틱 종류의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덧창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합성한 후, 신발의 밑창과 몸체를 구획하는 단차 부위로 덧창이 가압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덧창의 세척이 용이하고 미끌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 밑창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덧창의 체결상태가 가식화되지 않아 신발의 고유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GALOSHES HAVING A FUNCTION OF PATCHING ON SOLE OF SHOES}
본 발명은 신발의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변형을 유도하지 않음과 동시에 신발 밑창을 착탈하거나 교체 가능하도록 하되, 미끌림 방지 기능과 세척의 용이성을 부가할 수 있는 실리콘 구조를 갖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구조는 갑피(甲皮 : 창을 대지 않은 상태의 구두의 울)와 중간창 그리고 밑창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발의 갑피는 발을 수용하여 발 전체를 감싸면서 보호하는 부분으로서 주로 기능성 보다는 장식성이 강조되는 곳이다.
신발 중간창은 발바닥을 받쳐서 체중을 지지해주는 부분으로서 주로 보행시 발과 다리의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 개의 충격흡수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신발밑창은 중간창을 통해서 전해지는 체중을 지면과 접촉된 면으로 분산시키고 외부의 위험물로부터 발바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신발밑창의 결합부는 중간창과 부합하는 크기로서 중간창과 결합하며 바닥부는 보행 시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보통 지면과의 마찰력을 크게 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홈을 형성하고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내구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에는 신발의 장기간 착용이나 보행자 걸음걸이 습관 등의 이유로 인하여 신발밑창 바닥부의 한쪽 부분이 마모되어 물이나 흙먼지가 침투하거나 신발밑창과 지면의 접촉면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걸음걸이가 불편해짐에 따라 신발을 계속해서 신을 수 없게 되어 수명이 다 되지 않은 신발 전체를 버리고 새로 구입하거나 사용자가 기존의 신발을 더 오래 신기 위하여 밑창을 교체하고 싶은 경우에는 신발 대리점이나 수리점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시간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신발밑창의 종류에 따라 신발의 용도가 결정되는 도보화, 조깅화. 등산화. 미끄럼 방지화, 충격 방지화, 키 높이화 등을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착용하기 위해서는 용도별로 제작된 신발을 각각 구매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 밑창만을 교체하여 신발의 수명을 높이고 하나의 신발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이 고안되어 있다.
상기 고안들은 밑창의 발뒤꿈치 부분에 통공과 걸림턱을 형성하고 여기에 고정핀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신발 뒷겉창을 교체하거나 밑창의 걸림부재가 중간창의 걸림홈부에 분리, 결합되어 교체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교체방식들은 뒷겉창이나 밑창의 극히 일부분만을 앞겉창이나 중간창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교체방식이 다소 복잡하고 밑창과 중간창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여 보행이나 주행시 체중이 실린 발을 지탱하지 못해 고정핀 또는 걸림부재가 부러지거나 홈 사이가 헐구어져 쉽게 망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65503호에서는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을 개시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은 신발밑창 바닥부(2)와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 그리고 테두리(5)로 구성되어 있어,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을 신발몸체에 필요에 따라 결합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신발밑창(1)의 형상과 재질은 도보화, 조깅화. 등산화. 미끄럼방지화, 충격방지화, 키높이화 등과 같이 신발의 다양한 용도에 따라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도 1B와 같이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는 신발몸체 하부결합부의 크기와 부합하는 형상으로 여기에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 하부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는 몸체 벨크로테입과 접착함으로써 벨크로테입(4)의 수백 개 암수 루프가 단단히 결합하도록 하여 신발몸체와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을 일체로 강하게 접착시켜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A와 같이 신발밑창 바닥부(2)는 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서 신발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신발밑창 바닥부(2)의 바닥면(2a)에는 미끄럼방지용 홈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와 같이 테두리(5)는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교체가능한 신발밑창(1)의 형상을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어 신발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신발몸체 테두리 부분이 여기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신발밑창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교체 및 충격흡수가 가능한 신발밑창은 신발밑창 바닥부(2')와 벨크로테입(4')이 형성되어 있는 신발밑창 상부결합부(3') 그리고 테두리(5')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 스프링이 신발밑창 바닥부(2') 내부에 고르게 고정삽입되어 있어 스프링의 탄성변형을 이용한 보행 시 체중에 의한 충격에너지를 흡수?축적시켜 완충하는 작용을 한다. 교체가능한 신발밑창은 신발밑창이 마모되어 신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 신발밑창만을 교체하여 신발을 계속하여 신을 수 있도록 하여 신발의 수명을 높이고, 신발용도에 따라 신발밑창을 바꿔줌으로써 하나의 신발을 다용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밑창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하고 신발 착용 시 밑창과 중간창의 접착력이 강해 걷거나 달리는 체중에도 결합부분이 헐구어져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체 가능한 신발밑창에 스프링을 부착시키거나 삽입하여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걸을 때 마치 구름 위를 사뿐사뿐 걸어다니는 기분을 느끼게 함으로써 보행자의 신체 피로감을 덜어주고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신경통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입을 이용한 신발밑창의 착탈 구조는, 신발의 수명을 높이기 위한 것이나 이를 이용하기에 매우 불편한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벨크로 테입은 적당히 부착될 경우 쉽게 분리되며, 잦은 활동에 의해 강하게 부착될 경우에는 이를 분리하기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는 밑창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하기 위한 목적에 위배되는 사항으로 그 실효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신발밑창을 부착하고 보행할 경우, 벨크로테입의 두께로 인해 외관의 미려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양쪽 발의 하중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신발의 높낮이가 상이하여 사용자들이 불편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밑창으로 체결되는 덧창의 이탈을 충분히 방지하고, 덧창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여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덧창의 재질을 실리콘 재질 또는 실리콘 합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덧창의 세척이 용이하고 미끌림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은, 신발몸체와 밑창 사이에 단차부가 형성된 신발의 상기 밑창으로 착탈되는 덧창에 있어서, 상기 덧창은 하단부에 실리콘 합성물로 성형된 지면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상기 신발의 밑창과 접속되는 밑창 접촉면을 형성하며, 상기 밑창 접촉면의 외주부에는 상기 밑창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가 연장되고; 상기 안착 가이드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차부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체결 와이어 및 상기 체결 와이어를 수축 고정하거나, 인장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체결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재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의 일단으로 와이어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 타단이 유입되기 위한 인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구로 유입되는 와이어를 인장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이 내설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인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일측 대향면으로 상호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 종단면에서 외향되게 연장되는 노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은 중앙에 상기 와이어를 관통시키기 위한 중앙 절개홈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우징과 힌지결합되는 힌지 결합구를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의 상단부에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은, 덧창의 하단 외피를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고, 덧창의 상단을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합성한 후, 신발의 밑창과 몸체를 구획하는 단차 부위로 덧창이 가압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덧창의 세척이 용이하고 미끌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발 밑창과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여 실용성을 높이고, 덧창의 체결상태가 가식화되지 않아 신발의 고유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벨크로 테입을 이용한 신발밑창의 착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덧창을 설명하기 위한 신발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3b, 3c는 도 2의 덧창을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 4b,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및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201)은 신발몸체(203)와 상기 신발몸체(203)의 하단에 결합되는 밑창(20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밑창(205)은 신발몸체(203)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신발몸체(203) 하단에 본딩되는 구조이다. 상기 신발몸체(203)는 가죽 또는 인조가죽 등의 재질로 제조되고, 상기 밑창(205)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 또는 그의 합성물로 성형된다.
또한, 상기 신발몸체(203)와 밑창(205) 사이에는 단차부(209)가 형성되며, 밑창(205)이 신발몸체(203)의 표피로부터 외향되게 돌출되도록 단차진 구조를 갖는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밑창(205)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덧창(207)이 체결된다. 상기 덧창(207)은 밑창(205)과 동일형상의 구조 또는 유사한 구조로 성형되며, 상기 단차부(209)를 요철 홈으로 활용하여 체결토록 한다. 즉, 상기 덧창(207)은 상측이 개구된 구조로서, 상측으로 상기 밑창(205)을 수용할 수 있도록 밑창(205)의 외주면과 동일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덧창(207)의 개구면 저면은 상기 밑창(205)의 하단면과 밀착되도록 평면 구조를 갖거나, 상기 밑창(205)의 저면으로 형성된 무늬와 대응되도록 요철 구조를 갖는다.
상기 덧창(207)은 실리콘 또는 그의 복합물로 성형될 수 있는데, 상기 실리콘은 화학적으로 폴리머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무기적 특성으로 인해, 내열성, 화학적 반응성, 전기 절연성, 내마모성, 광택성을 갖는다. 또한 실리콘은 배합적 특성에 따라 낮은 표면장력, 소수성 및 발수성, 환경 친화성, 무독성 등의 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덧창(207)은 지면과의 절연성을 유도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낮은 표면장력과 발수성을 갖기 때문에 세척이 극히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성 및 무독성으로 인해 어린이용으로 적용하기에 적절한 구조를 갖는다.
실리콘 재질의 덧창(207)은 실리콘의 기본 구조인 Oil, Rubber, Resi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 또는 소정 비율의 배합에 근거한 복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재질은 탄성과 연성이 높아, 상기 덧창(207)으로써 상기 단차부(209)로 체결되기 위한 재질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덧창(207)의 상단부는 실리콘에 비해 탄성이 낮은 합성고무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 예컨대, ABS, PC, 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덧창(207)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덧창(207)은 하단부에 지면 접촉면(303)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상기 신발(201)의 밑창(205)과 접속되는 밑창 접촉면(305)을 형성하며, 상기 밑창 접촉면(305)의 외주부에는 상기 밑창(20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301)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 가이드(301)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차부(209)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체결 와이어(309) 및 상기 체결 와이어(309)를 수축 고정하거나, 인장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11)로 이루어진 체결장치(307)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311)는 안착 가이드(301)의 외주면과 연통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체결 와이어(309)를 조이거나, 이를 해제시킨다.
상기 체결 와이어(309)는 도 3B에 도시된 A-A' 단면도와 같이, 안착 가이드(301)의 내측면 일측으로, 상기 단차부(209)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323)를 부착하여 그 내부로 인입 공간부(325)를 형성한 후, 상기 인입 공간부(325)에 와이어(321)를 내장한다. 상기 커버(323)는 고정부재(311)로부터 연장되도록 상기 안착 가이드(301)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커버(323)는 와이어(321)의 이탈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덧창(207)은 외피부(327)와 내피부(329)로 구획될 수 있으며, 외피부(327)는 실리콘 재질 또는 그의 합성물로 성형되고, 내피부(329)는 고무재질 또는 연성이 좋은 플라스틱 종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323)는 내피부(329)와 동일 재질로 성형되거나, 임의의 탄성 재질로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321)는 구리에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한 후 투명한 나일론을 덧씌운 와이어, 스테인레스 스틸을 엮어 만든 와이어, 인조섬유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섬유재질의 와이어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덧창(207)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덧창(207)의 개구부 안측으로 상기 신발(201)의 밑창(205)이 인입되며, 상기 밑창(205)과 신발본체(203) 사이를 구획하는 단차부(209)가 상기 체결 와이어(309)에 대응된다. 이때, 상기 체결장치(307)의 고정부재(311)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 와이어(309)를 수축시키며, 체결 와이어(309)는 상기 단차부(209)를 가압한다. 이는 상기 덧창(207)이 밑창(205)을 수용하도록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 와이어(309)의 가압력으로 인해 덧창(207)과 밑창(205) 간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러면, 상기 체결 와이어(309)를 인장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11)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311)를 설명하기 위한 설치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11)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401)의 일단으로 와이어(321)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321) 타단이 유입되기 위한 인입구(415)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구(415)로 유입되는 와이어(321)를 인장시키기 위한 체결수단(413)이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11)는 덧창(207)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나, 덧창(207)의 외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덧창(207)의 외주면에서 고정부재(311)의 작동을 유도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413)은 상기 와이어(321)의 타단을 인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401)의 대향면으로 상호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판스프링(405)과, 상기 판스프링(405)의 일측 종단면에서 외향되게 연장되는 노브(403)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405)은 중앙에 상기 와이어(321)를 관통시키기 위한 중앙 절개홈(407)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405)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우징(401)과 힌지결합되는 힌지 결합구(411)를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405)의 상단부에는 상기 와이어(321)의 타단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409)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수단(413)은 힌지 결합구(411)를 중심으로 노브(403)를 가압 회동시켜, 상기 인입구(415)로 유입 설치된 와이어(321)의 타단을 하향되게 인장한다. 상기 와이어(321)의 타단을 인장시킬 경우, 고정된 와이어(321)의 일단에 의해 와이어(321)의 전체 길이를 줄이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323)에 내설된 와이어(321)는 신발의 단차부(209)를 가압함으로써, 신발의 밑창(205)을 수용하도록 체결된 덧창(207)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신발(201)의 밑창(205)을 수용하도록 성형된 덧창(207)이 상기 밑창(205)으로 인입되면, 덧창(207)의 안착 가이드(301)에 의해 상기 밑창(205)의 측부가 안내되어 밑창(205)이 덧창(207)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안착 된다. 이때, 상기 덧창(207)의 안착 가이드(301)의 내측면에는 체결 와이어(309)가 내설되며, 체결 와이어(321)는 커버(323)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다.
이는 상기 체결 와이어(321)가 커버(323)에 의해 형성된 인입 공간부(325)를 따라 안착 가이드(30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체결 와이어(321)는 그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311)의 하우징(401)에 고정 체결되며, 체결 와이어(321)의 타단은 하우징(401)의 인입구(415)를 통해 체결수단(413)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413)은 하단부에 힌지 결합구(411)가 형성되며, 힌지 결합구(411)는 하우징(401)의 대향면 사이에 설치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가 회동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수단(413)은 힌지를 중심으로 와이어(321)를 인장시키기 위한 판스프링(405) 구조를 갖고, 판스프링(405)의 상단 일측에는 판스프링(405) 회전시키기 위한 노브(40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405)의 중앙에는 중앙 절개홈(407)을 형성하는데, 이는 판스프링(405)의 회동 시 와이어(321)를 관통시키기 위함이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덧창(207)을 밑창(205)에 체결하고자 할 경우, 덧창(207)이 밑창(205)에 안착된 후, 상기 노브(403)를 하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판스프링(405)은 힌지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동되며, 도 4C와 같이 판스프링(405)의 설치 임계각도를 넘을 경우, 상기 와이어(321)는 중앙 절개홈(407)을 관통한다. 이는 판스프링(405)의 복원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사용자가 노브(403)를 충분히 가압함으로써 와이어(321)를 인장시키고 이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413)이 하향으로 회동되어 설치 임계각도를 넘을 경우, 와이어(321)의 복원력에 의해 체결수단(413)이 상향으로 복귀됨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덧창(207)을 벗고자 할 경우, 상기 노브(403)를 상향으로 강제 회동시켜, 체결수단(413)을 복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413)은 회동 각도를 제한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401)의 일측면 즉, 덧창(207)의 외향면으로 노브 안내홈(417)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01)의 상측에는 판스프링(405)의 복귀 각도를 제한하도록 개구부(419)를 형성한다. 상기 노브 안내홈(417)은 힌지 결합구(411)의 중심 축 보다 하향되게 위치토록 하여 판스프링(405)의 회절 각도를 제한하고, 상기 개구부(419)를 통해 판스프링(405)의 복귀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결국, 사용자는 덧창(207)을 밑창(205)에 끼워 안착시킨 후, 상기 체결수단(403)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413)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갖지 않고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덧창(207)을 신발 밑창(205)에 장착하여 착용하게 되며, 착용 이후에는 덧창(207)만을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덧창(207)은 실리콘 재질 또는 이의 합성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게 되어 어린이 신발에 적용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은 실리콘 구조로 이루어져 미끌림 방지 기능을 강화할 수 있고, 신발 세척이 용이하여 노약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에 따라, 신발산업의 기능성 확장으로 인한 산업적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 : 신발 203 : 신발몸체
205 : 밑창 207 : 덧창
209 : 단차부 301 : 안착 가이드
303 : 지면 접촉면 305 : 밑창 접촉면
307 : 체결장치 309 : 체결 와이어
311 : 고정부재 321 : 와이어
323 : 커버 325 : 인입 공간부
327 : 외피부 329 : 내피부
401 : 하우징 403 : 노브
405 : 판스프링 407 : 중앙 절개홈
409 : 체결구 411 : 힌지 결합구
415 : 인입구

Claims (5)

  1. 신발몸체(203)와 밑창(205) 사이에 단차부(209)가 형성된 신발(201)의 상기 밑창(205)으로 착탈되는 덧창에 있어서,
    상기 덧창(207)은 하단부에 실리콘 합성물로 성형된 지면 접촉면(303)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상기 신발(201)의 밑창(205)과 접속되는 밑창 접촉면(305)을 형성하며, 상기 밑창 접촉면(305)의 외주부에는 상기 밑창(205)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착 가이드(301)가 연장되고;
    상기 안착 가이드(301)는 그 내주면을 따라 상기 단차부(209)와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체결 와이어(309) 및 상기 체결 와이어(309)를 수축 고정하거나, 인장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311)로 이루어진 체결장치(307)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와이어(309)는 상기 안착 가이드(301)의 내측면 일측으로, 상기 단차부(209)와 대응하는 위치에 커버(323)를 부착하여 그 내부로 인입 공간부(325)를 형성한 후, 상기 인입 공간부(325)에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덧창(207)은 지면과 맞닿는 외피부(327)와 상기 밑창(205)과 맞닿는 내피부(329)로 구획되고;
    상기 외피부(327)는 실리콘의 기본 구조인 Oil, Rubber, Resin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결합 또는 소정 비율의 배합에 근거한 복합 재질이며, 상기 내피부(329)는 고무재질 또는 연성이 좋은 플라스틱 종류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와이어(321)는 구리에 폴리우레탄으로 코팅한 후 투명한 나일론 을 덧씌운 와이어, 스테인레스 스틸을 엮어 만든 와이어, 인조섬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섬유재질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11)는,
    소정 형상의 하우징(401)의 일단으로 와이어(321) 일단이 고정되고, 와이어(321) 타단이 유입되기 위한 인입구(415)를 형성하며, 상기 인입구(415)로 유입되는 와이어(321)를 인장시키기 위한 체결수단(413)이 내설되고;
    상기 체결수단(413)은 상기 와이어(321)의 타단을 인장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401)의 일측 대향면으로 상호 힌지결합되어 회동하는 판스프링(405)과, 상기 판스프링(405)의 일측 종단면에서 외향되게 연장되는 노브(403)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405)은 중앙에 상기 와이어(321)를 관통시키기 위한 중앙 절개홈(407)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405)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우징(401)과 힌지결합되는 힌지 결합구(411)를 형성하며, 상기 판스프링(405)의 상단부에는 상기 와이어(321)의 타단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구(40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KR1020100054732A 2010-06-10 2010-06-10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KR101206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32A KR101206302B1 (ko) 2010-06-10 2010-06-10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4732A KR101206302B1 (ko) 2010-06-10 2010-06-10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28A KR20110135028A (ko) 2011-12-16
KR101206302B1 true KR101206302B1 (ko) 2012-12-04

Family

ID=4550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4732A KR101206302B1 (ko) 2010-06-10 2010-06-10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3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94542A (en) * 2017-01-10 2022-11-30 Abilitier Inc Shoe heel cov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67Y1 (ko)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EP1714572A1 (en) 2005-04-21 2006-10-25 DE TOGNI, Stefano Footware with a quick removable sole
JP2009148329A (ja) 2007-12-19 2009-07-09 Kosuteikku:Kk 履物
JP2009542404A (ja) * 2006-07-12 2009-12-03 スピネリ,ダビデ,パオロ 着脱可能な靴底及びつま皮を具備した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167Y1 (ko) 2004-09-13 2004-12-16 노경섭 이중밑창을 갖는 신발
EP1714572A1 (en) 2005-04-21 2006-10-25 DE TOGNI, Stefano Footware with a quick removable sole
JP2009542404A (ja) * 2006-07-12 2009-12-03 スピネリ,ダビデ,パオロ 着脱可能な靴底及びつま皮を具備した靴
JP2009148329A (ja) 2007-12-19 2009-07-09 Kosuteikku:Kk 履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028A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7570B2 (en) Attachment system for shoe uppers
JP2017527420A (ja) 適応可能な靴
WO2011079480A1 (zh) 具有造型及固定结构的鞋子
US20140082974A1 (en) Footwear accessory
US6772539B1 (en) Shoes
KR101206302B1 (ko) 신발 밑창에 착탈되는 덧창
US20150282554A1 (en) Barefoot running spikes and accessories
US20080000103A1 (en) Shoes having deployable traction elements
CN203040845U (zh) 防滑鞋套
CN103005771B (zh) 防滑鞋套
KR20130122357A (ko)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밑창 및 이러한 밑창을 갖는 신발.
KR101144963B1 (ko) 조립식 슬리퍼
KR200418392Y1 (ko) 보조신발창
KR200417573Y1 (ko) 끈이 없는 샌들
KR200474036Y1 (ko) 신발 결속구
KR20090069062A (ko) 미끄럼 방지 신발
KR20090054001A (ko) 신발체결구
KR20040103263A (ko) 기능성 구두 뒷굽
KR102147979B1 (ko)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CN106723622A (zh) 鞋套
KR20140129718A (ko) 신발
US20220330654A1 (en) Shoe sole assembly, sho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hoe
KR200410272Y1 (ko) 발 보호용 양말 또는 덧신
KR20120093456A (ko) 바닥이 얇은 신발
CN201767141U (zh) 一种高跟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