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979B1 -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 Google Patents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979B1
KR102147979B1 KR1020190021109A KR20190021109A KR102147979B1 KR 102147979 B1 KR102147979 B1 KR 102147979B1 KR 1020190021109 A KR1020190021109 A KR 1020190021109A KR 20190021109 A KR20190021109 A KR 20190021109A KR 102147979 B1 KR102147979 B1 KR 102147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bent
shoe
heel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태문환
Original Assignee
(주)하이원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원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하이원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02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52Interchangeable heel parts without special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Abstract

본 발명은 구두몸체의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이 서로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뒷굽 교체형 구두의 뒷굽 교체에 따라 달라지는 뒷굽 높이에 맞도록 구두몸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으며, 구두몸체의 구부림 후 구두몸체의 구부러진 각도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 중 앞굽과 뒷굽이 용이하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두 전체에 대한 미려한 미감을 얻을 수 있어 다양한 구두 디자인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에 각각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구두몸체로부터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curve structure of shoes of replaceable heel type}
본 발명은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두를 이용하여 구두의 뒷굽을 필요에 따라 각각 다른 높이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구두의 서로 다른 뒷굽 높이에 따라 각각 구두몸체의 구부러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걷게 되면서 발달되어 온 신발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함께 각종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되어 오늘날에는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특정 운동용 등 다양한 활동에 각각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신발은 발을 감싸 보호하면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리퍼류를 제외한 거의 모든 신발이 신고 벗을 수 있는 상부의 일정 부위를 제외하고 그 내부 공간이 거의 밀폐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한편, 여성용 구두는 크게 굽이 높은 하이힐과 굽이 낮은 단화로 구분되며 하이힐을 장시간 착용한 상태로 활동하는 경우 발목은 물론 종아리 등 다리 및 전신에 피로가 쉽게 누적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직장 여성들의 경우, 출퇴근시 또는 외부 손님이나 지인과의 미팅시에는 뒷굽이 높은 하이힐을 착용하고, 업무 및 일상 생활에서는 뒷굽이 낮은 슬리퍼나 단화 구두를 착용하고 있다.
뒷굽이 높은 하이힐은, 여성의 다리를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예를 들어 자동차를 운전할 경우에는 높은 하이힐 뒷굽에 의해 브레이크를 밟는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여 반드시 굽이 낮은 다른 구두나 다른 신발로 교체 착용하여 운전해야 하고 있다.
즉, 하이힐은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과 접촉면이 적어 운전자의 감각을 둔하게 하며 뒷꿈치가 높은 상태 즉, 무릎을 세운 상태로 운전하는 것과 같은 모양이기 때문에 운전이 불가능하여, 대개의 여성들이 운전을 장시간 해야 하는 경우에는 굽이 낮은 구두를 갈아 신고 운전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구두 몸체에 뒷굽을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한 기술들이 안출된 바 있다.
일예로, 공개특허 10-2014-0102426호인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구두 몸체와 교체형 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교체형 굽은 상기 구두 몸체의 뒷굽에 체결되는 하이힐 굽 및 단화 굽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두 몸체에 고무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신축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단화 굽이 체결된 구두를 사용자가 착용 시 상기 구두 몸체의 바닥면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지면에 닿을 수 있도록 상기 신축부재가 늘어나도록 하되, 상기 교체형 굽에는, 단면이 "T"자 형상의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구두 몸체의 뒷굽에는, 상기 체결부와 대응되는 단면이 "T"자 형상의 체결홈이 일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홈이 일측 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하이힐과 단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를 제공하고 있으며, 뒷굽 높이에 따라 구두몸체가 구부러짐이 용이하도록 신축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신축부재가 구두 밖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구두 전체의 미감을 해치게 됨은 물론 외부로 노출되어 보여지는 신축부재에 의해 구두의 미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신축부재가 고무 및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인조피혁으로 이루어진 구두몸체와의 결합성 및 연결성이 떨어지게 되고 본드와 같은 접착수단으로 연결함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는 동작에 의해 신축부재가 구두몸체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단지 신축부재에 의해 구두몸체가 구부러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높이가 다른 뒷굽의 교체 사용 중 높이가 낮은 뒷굽을 사용할 때는 큰 무리가 없는 반면, 높이가 높은 뒷굽을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구두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할 때 구두의 앞굽이 지면에 닿았다가 떨어질 때 앞굽에 대한 구부러짐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보행 중 사용자가 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4-0102426호(2014.08.22. 공개) 특허문헌 2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132383호(2018.12.12. 공개)
본 발명은 구두의 바닥창을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으로 구비하고 이들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을 힌지 연결하여 제1바닥창에 대해 제2바닥창이 구부러짐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뒷굽을 교체하여 사용할 때 구두몸체의 구부러짐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구두몸체의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두의 전체적인 외관에 해를 가하지 않으며 뒷굽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구부러짐 각도를 고정하도록 하여 보행 도중에 구두몸체의 앞굽이 구부러지게 되어 사용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는, 구두몸체에 대해 뒷굽을 교체 가능하도록 한 구두에 있어서, 구두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1바닥창과 상기 제1바닥창과 마주보도록 구두몸체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바닥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창에는 상기 제2바닥창과 마주보는 제1구부림체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창에는 상기 제1구부림체와 마주보도록 제2구부림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서로 연결된 후 구두몸체에 결합되는 뒷굽의 높이에 대해 각각 달라지는 구부림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체가 구비되어, 상기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이 연결되어 구두몸체에 결합되는 뒷굽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바닥창에 대해 제2바닥창이 구부러지도록 하여 뒷굽의 높이에 따라 구두몸체가 구부러지도록 하고, 구두몸체에 결합되는 뒷굽 높이에 따라 각각 달라지는 제2바닥창의 구부러짐 각도가 각도고정체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구부림체는, 상기 제1바닥창 일면에 박힌 제1고정편과; 상기 제1고정편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바닥창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내측에 제1축공을 갖는 제1구부림고정편과;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구부림체는, 상기 제1바닥창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바닥창 일면에 박힌 제2고정편과; 상기 제2고정편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바닥창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에 밀착되고 상기 제1축공과 대응되는 제2축공을 갖는 제2구부림고정편과; 상기 제2구부림고정편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에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제2각도고정구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도고정체는, 상기 제1구부림체의 제1구부림고정편과 상기 제2구부림체의 제2구부림고정편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감덮개와; 상기 마감덮개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축공과 제2축공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축과; 상기 마감덮개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과 제2각도고정구멍 중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각도고정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제1바닥창에 대해 제2바닥창의 구부림 각도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두몸체의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이 서로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뒷굽 교체형 구두의 뒷굽 교체에 따라 달라지는 뒷굽 높이에 맞도록 구두몸체가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구두몸체의 구부림 후 구두몸체의 구부러진 각도가 고정됨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 중 앞굽과 뒷굽이 용이하게 지면에 닿기 때문에 넘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두 전체에 대한 미려한 미감을 얻을 수 있어 다양한 구두 디자인이 가능하다.
또한, 제1바닥창과 제2바닥창에 각각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에 있어서 구두몸체로부터 제1구부림체와 제2구부림체가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가 적용된 구두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에 의해 구두몸체가 구부러지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 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가 적용된 구두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뒷굽(102)을 교체 가능하도록 한 구두몸체(101)가 교체되는 뒷굽(102)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구부러지도록 하고, 구부러진 각도가 고정되어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두몸체(101) 바닥면(103)에 구비되는 제1바닥창(10)과 상기 제1바닥창(10)과 마주보도록 구두몸체(101)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바닥창(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닥창(10)에는 상기 제2바닥창(20)과 마주보는 제1구부림체(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창(20)에는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마주보도록 제2구부림체(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가 서로 연결된 후 구두몸체(101)에 결합되는 뒷굽(102)의 높이에 대해 각각 달라지는 구부림각도(a)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체(5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체되는 뒷굽(102) 높이에 따라 구두몸체(101)의 구부림각도(a)가 각각 달라지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달라지는 구두몸체(101)의 구부림각도(a)에 따라 상기 제1바닥창(10)이 제2바닥창(20)에 대해 구부러진다.
즉, 상기 제1바닥창(10)의 제1구부림체(30)와 연결된 제2구부림체(40)가 연결된 제2바닥창(20)이 구두몸체(101)에 결합된 뒷굽(102)의 높이에 따라 구두몸체(10)의 앞굽과 뒷굽(102) 과의 높이차가 발생될 경우 상기 제2바닥창(20)이 제1바닥창(10)에 대해 구부러짐에 따라 구두몸체(101)의 앞굽과 뒷굽(102)이 모두 지면에 닿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가 서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이 연결되어 구두몸체(101)에 결합되는 뒷굽(102)의 높이에 따라 상기 제1바닥창(10)에 대해 제2바닥창(20)이 구부러지도록 하여 뒷굽(102)의 높이에 따라 구두몸체(101)가 구부러지도록 하고, 구두몸체(101)에 결합되는 뒷굽(102) 높이에 따라 각각 달라지는 제2바닥창(20)의 구부러짐 각도(a)가 각도고정체(50)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뒷굽(102)의 높이차에 따라 구두몸체(101)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각도고정체(50)에 의해 구두몸체(101)의 구부림각도(a)가 고정되기 때문에 보행 도중에 구두몸체(101)의 앞굽과 뒷굽(102)이 각각 지면에 닿게 되어 보행 시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구부림각도(a)가 틀어지게 되어 보행자가 지면을 잘 못 디디게 됨에 따라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구부림체(30)는, 상기 제1바닥창(10) 일면에 박힌 제1고정편(31)과, 상기 제1고정편(31)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바닥창(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내측에 제1축공(32)을 갖는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구부림체(40)는, 상기 제1바닥창(10)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바닥창(20) 일면에 박힌 제2고정편(41)과, 상기 제2고정편(41)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바닥창(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에 밀착되고 상기 제1축공(32)과 대응되는 제2축공(42)을 갖는 제2구부림고정편(43)과, 상기 제2구부림고정편(4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에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제2각도고정구멍(4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각도고정체(50)는, 상기 제1구부림체(30)의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상기 제2구부림체(40)의 제2구부림고정편(43)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감덮개(51)와, 상기 마감덮개(51)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축공(32)과 제2축공(42)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축(52)과, 상기 마감덮개(5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과 제2각도고정구멍(44) 중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각도고정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제1바닥창(10)에 대해 제2바닥창(20)의 구부림각도(a)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돌부(5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덮개(51)의 형상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며, 예를 들어 회사의 로고나 모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구부림체(30)의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제2구부림체(40)의 제2구부림고정편(43)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축공(32)과 제2축공(42)을 관통하여 상기 각도고정체(50)의 연결축(52)이 연결되어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를 연결함에 따라 제1구부림체(30)가 연결된 제1바닥창(10)에 대해 제2구부림체(40)가 연결된 제2바닥창(20)이 구부러짐이 가능하다.
또한, 제1바닥창(10)에 대해 제2바닥창(20)이 구부러진 상태에서 구두몸체(101)의 구부림각도(a)가 설정된 후,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제2구부림고정편(43)에 각각 구비된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과 제2각도고정구멍(44) 중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각도고정구멍에 상기 각도고정체(50)의 각도고정돌부(53)가 끼워짐에 따라 구두몸체(101)의 구부림각도(a)가 고정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을 서로 연결하는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를 덮어 이들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각각 어느 한 면을 덮어주는 주름형신축부(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주름형신축부(60)는 신축성을 갖는 피혁원단 또는 주름형 피혁원단 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주름형신축부(60)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측으로 먼지나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주름형신축부(60)에 의해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이 연결되기 때문에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축(52)을 상기 마감덮개(51)에 구비하지 않고, 상기 제1구부림체(30)의 제1축공(32)을 없앤 후 상기 제1구부림체(30)에 상기 연결축(52)을 연장 돌출하여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가 연결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 구두몸체 102 : 뒷굽
103 : 구두몸체 바닥면
10 : 제1바닥창 20 : 제2바닥창
30 : 제1구부림체 31 : 제1고정편
32 : 제1축공 33 : 제1구부림고정편
34 : 제1각도고정구멍 40 : 제2구부림체
41 : 제2고정편 42 : 제2축공
43 : 제2구부림고정편 44 : 제2각도고정구멍
50 : 각도고정체 51 : 마감덮개
52 : 연결축 53 : 각도고정돌부
60 : 주름신축부

Claims (3)

  1. 구두몸체(101)에 대해 뒷굽(102)을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구두몸체(101)의 바닥면(103)에 구비되는 제1바닥창(10)과 상기 제1바닥창(10)과 마주보도록 구두몸체(101) 바닥면에 구비되는 제2바닥창(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바닥창(10)에는 상기 제2바닥창(20)과 마주보는 제1구부림체(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바닥창(20)에는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마주보도록 제2구부림체(40)가 구비되며,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가 서로 연결된 후 구두몸체(101)에 결합되는 뒷굽(102)의 높이에 대해 각각 달라지는 구부림각도(a)를 고정하는 각도고정체(50)가 구비된 구두의 구부림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구부림체(30)는 상기 제1바닥창(10) 일면에 박힌 제1고정편(31)과, 상기 제1고정편(31)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바닥창(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내측에 제1축공(32)을 갖는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구부림체(40)는 상기 제1바닥창(10) 일면과 마주보는 상기 제2바닥창(20) 일면에 박힌 제2고정편(41)과, 상기 제2고정편(41)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2바닥창(2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에 밀착되고 상기 제1축공(32)과 대응되는 제2축공(42)을 갖는 제2구부림고정편(43)과, 상기 제2구부림고정편(4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되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에 구비되는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 중 어느 하나와 대응되게 위치되는 복수개 제2각도고정구멍(44)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도고정체(50)는 상기 제1구부림체(30)의 제1구부림고정편(33)과 상기 제2구부림체(40)의 제2구부림고정편(43)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구부림고정편(33)의 외면에 밀착되는 마감덮개(51)와 상기 마감덮개(51)의 내측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제1축공(32)과 제2축공(42)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축(52)과, 상기 마감덮개(5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복수개 제1각도고정구멍(34)과 제2각도고정구멍(44) 중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각도고정구멍을 연결하여 상기 제1바닥창(10)에 대해 제2바닥창(20)의 구부림각도(a)를 고정하는 각도고정돌부(53)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구부림체(30)와 제2구부림체(40)에 의해 상기 제1바닥창(10)과 제2바닥창(20)이 연결되어 구두몸체(101)에 결합되는 뒷굽(102)의 높이에 따라 제1바닥창(10)에 대한 제2바닥창(20)의 구부러짐 각도(a)가 상기 제1구부림체(30) 및 제2구부림체(40)를 연결하는 각도고정체(50)에 의해 조절 및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21109A 2019-02-22 2019-02-22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KR102147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09A KR102147979B1 (ko) 2019-02-22 2019-02-22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09A KR102147979B1 (ko) 2019-02-22 2019-02-22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979B1 true KR102147979B1 (ko) 2020-08-26

Family

ID=7224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09A KR102147979B1 (ko) 2019-02-22 2019-02-22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9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16Y1 (ko) * 2002-04-23 2002-08-30 이상돈 기어봉
KR100805349B1 (ko) * 2006-11-14 2008-02-20 김부성 접이식 뒷굽을 가지는 여성용 구두
KR20140102426A (ko) 2013-02-14 2014-08-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
KR101726096B1 (ko) * 2015-12-31 2017-04-1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두
KR20180132383A (ko) 2017-06-02 2018-12-12 오현주 교체형 구두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016Y1 (ko) * 2002-04-23 2002-08-30 이상돈 기어봉
KR100805349B1 (ko) * 2006-11-14 2008-02-20 김부성 접이식 뒷굽을 가지는 여성용 구두
KR20140102426A (ko) 2013-02-14 2014-08-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
KR101726096B1 (ko) * 2015-12-31 2017-04-13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두
KR20180132383A (ko) 2017-06-02 2018-12-12 오현주 교체형 구두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582Y1 (ko) 건강신발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KR101054622B1 (ko) 조립신발
KR102147979B1 (ko)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KR20140102426A (ko)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
KR100300342B1 (ko) 조립식 완충 구두굽
KR102014894B1 (ko) 뒷굽 교체가 용이한 하이힐
KR101335031B1 (ko) 솔 교체용 친환경 레져신발
KR101068228B1 (ko) 착탈 가능한 이동형 지압기구를 구비하는 기능성 신발
KR20050082552A (ko) 다이어트용 신발 및 그 사용방법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KR200418392Y1 (ko) 보조신발창
KR101233989B1 (ko) 조립신발
US20230180883A1 (en) Footwear system and method having footwear upper linings for cushioning and shock absorption
KR100627676B1 (ko) 신발의 솔 구조
KR102376773B1 (ko) 컨버터블 신발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100782376B1 (ko) 키 높이 신발용 밑창의 경량화 및 충격완화 구조
KR200226066Y1 (ko) 슬리퍼
KR101101415B1 (ko) 신발 중창
KR100731511B1 (ko) 전후방이 상향 경사진 구두밑창
KR102049408B1 (ko) 쿠션기능을 갖는 신발
KR200418471Y1 (ko) 신발의 솔 구조
KR200352368Y1 (ko) 실내용 슬리퍼 밑창의 구조
KR200243206Y1 (ko) 구두용 보조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