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206Y1 - 구두용 보조굽 - Google Patents

구두용 보조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206Y1
KR200243206Y1 KR2020010013131U KR20010013131U KR200243206Y1 KR 200243206 Y1 KR200243206 Y1 KR 200243206Y1 KR 2020010013131 U KR2020010013131 U KR 2020010013131U KR 20010013131 U KR20010013131 U KR 20010013131U KR 200243206 Y1 KR200243206 Y1 KR 2002432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el
shoe
auxiliary
attached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규선
Original Assignee
허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규선 filed Critical 허규선
Priority to KR2020010013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2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2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206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용 보조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마모된 구두의 뒷굽에 부착되는 보조굽의 접지면 일단은 높고 타단은 낮게 구배지도록 하고, 상기 보조굽의 접지면 중앙부는오목하게 만곡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본 고안은 편마모된 상기 뒷굽에 상기 보조굽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착용자가 보행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보행에 따른 체형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구두용 보조굽{AUXIALLY HEEL OF A SHOE}
본 고안은 구두용 보조굽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편마모된 상기 뒷굽에 상기 보조굽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착용자가 보행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 구두용 보조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두는 보행시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구두갑피에둘러쌓여 앞창과 중창 및 밑창등으로 이루어진 구두몸체와, 상기 구두몸체의 후방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는 뒷굽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두 뒷굽은 합성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보행하기 쉽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두는 사용자의 보행습관에 따라 구두의 뒷굽이 제일먼저 지면에 닿으면서 보행되는 습관에 인하여 구두의 뒷굽이 제일 먼저 마모되어 지는데, 이때 착용자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구두 뒷굽의 바깥쪽 모서리 부분이 더욱더 심한 편마모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구두 뒷굽의 편마모에 따른 착용자의 원활한 보행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신체에 영향을 미쳐 착용자의 체형을 변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100)의 뒷굽(110)이 마모된 부위에 보조굽(120)을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였다.
즉, 착용자에 따라 편마모가 발생된 부위의 구두(100)의 뒷굽(110)에 일정두께를 갖고 평판형태인 보조굽(120)을 접착제로 부착시킨 다음 체결핀(130) 등으로 상기 뒷굽(110)과 상기 보조굽(120)을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편마모된 상기 구두(100)의 뒷굽(110)에 부착 고정되는 보조굽(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이 평판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편마모된 구두(100)의 뒷굽(110)에 잘 맞지 않아 수선시간이 지연되었음은 물론 구두(100)의 뒷굽(110)에 보조굽(120)이 부착 고정되더라도 착용자가 거부감을 느끼게 되어 불편한 상태로 보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편마모된 구두의 뒷굽에 부착 고정되는 보조굽의 일측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구두의 뒷굽에 보조굽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착용자가 보행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구두의 뒷굽에 보조굽의 접지면이 부착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보조굽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뒷굽의 편마모된 바깥둘레에 부착되는 상기 접지면의 일단은 두께가 두껍고 그 타단은 얇게 구배지도록 하여 상기 구두의 뒷굽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보조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도 1은 종래 구두의 뒷굽에 보조굽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굽의 사시도.
도 3의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굽이 구두 뒷굽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구두 뒷굽에 보조굽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두 30 : 뒷굽
40 : 보조굽 42 : 접지면
이하,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굽의 사시도이고, 도 3의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굽이 구두 뒷굽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구두 뒷굽에 보조굽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두(10)는 구두갑피에 둘러쌓여 앞창과 중창 및 밑창등으로 이루어진 구두몸체(20)와, 상기 구두몸체(20)의 후방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뒷굽(30)과, 착용자의 보행시 편마모된 구두(10)의 뒷굽(30)에 부착되는 보조굽(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미설명부호(50)는 상기 뒷굽(39)에 보조굽(40)을 고정 시키는 체결핀이다.
상기 구두(10)의 뒷굽(30)은 합성고무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보행하기 쉽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굽(4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편마모된 상기 구두(10)의 뒷굽(30)에 부착되는 것으로, 편마모된 구두(10)의 뒷굽(30)에 접착제로 부착되는 접지면(42)의 일단 즉, 상기 뒷굽(30)의 편마모된 바깥둘레에 부착되는 부위는 두께가 두껍고 그 타단은 낮게 구배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면과 닿는 부위는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굽(40)에는 상기 뒷굽(30)에 체결핀(50)으로 고정 될 수 있게 체결공(4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두(10)의 뒷굽(30)에 부착되는 상기 보조굽(40)의 접지면(42) 중앙부가 오목하게 만곡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두(10)를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상기 구두(10)의 뒷굽(30)이 지면과의 마찰 또는 보행습관에 따라 편중 마모되었을 경우 편마모된 구두(10)의 뒷굽(30)에 보조굽(40)의 접지면(42)에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보조굽(40)을 상기 뒷굽(30)에 부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두(10)의 뒷굽(30) 저면 바깥둘레에 보조굽(40)의 접지면(42) 일단 바깥둘레가 일치되면서 부착되고, 상기 보조굽(40)의 접지면(42) 오목하게 만곡진 중앙부에는 도 5와 같이 편마모된 상기 뒷굽(30)의 바깥둘레에서내측 부위 즉, 편마모되지 않은 뒷굽(30) 부위가 위치하게 되면서 부착된다.
상기한 보조굽(40)이 뒷굽(30)에 설치되면, 상기 보조굽(40)의 체결공(44)에 체결핀(50)을 체결하게 되면 상기 보조굽(40)이 상기 뒷굽(30)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 되는 것으로, 상기 구두(10)의 뒷굽(30)이 편마모되는 것을 최소화 시키고, 편마모된 상기 뒷굽(30)에 상기 보조굽(40)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보행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보행에 따른 체형 변화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굽(40)을 부착하고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보조굽(40)이 닿게 되는데, 이때에는 상기 구두(10)의 뒷굽(30)에서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체결핀(50)을 뽑아낸 다음 상기 뒷굽(30)과 상기 보조굽(40)을 분리 시킨다. 그런 다음 새로운 보조굽(40)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구두(10)의 뒷굽(30)에 교체하여 부착 고정시키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편마모된 구두의 뒷굽에 부착되는 보조굽의 접지면 일단은 높고 타단은 낮게 구배지도록 하고, 상기 보조굽의 접지면 중앙부는오목하게 만곡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본 고안은 편마모된 상기 뒷굽에 상기 보조굽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착용자가 보행시 거부감을 느끼지 않게 되어 보행에 따른 체형 변화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구두(10)의 뒷굽(30)에 보조굽(40)의 접지면(42)이 부착되는 구두에 있어서,
    상기 보조굽(4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뒷굽(30)의 편마모된 바깥둘레에 부착되는 상기 접지면(42)의 일단은 두께가 두껍고 그 타단은 얇게 구배지도록 하여 상기 구두(10)의 뒷굽(30)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보조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굽(40)의 접지면(42) 중앙부가 오목하게 만곡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보조굽.
KR2020010013131U 2001-05-07 2001-05-07 구두용 보조굽 KR2002432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31U KR200243206Y1 (ko) 2001-05-07 2001-05-07 구두용 보조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31U KR200243206Y1 (ko) 2001-05-07 2001-05-07 구두용 보조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206Y1 true KR200243206Y1 (ko) 2001-10-12

Family

ID=7310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31U KR200243206Y1 (ko) 2001-05-07 2001-05-07 구두용 보조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2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33A (ko) * 2018-11-27 2020-06-04 이준 수선용 구두 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833A (ko) * 2018-11-27 2020-06-04 이준 수선용 구두 굽
KR102122048B1 (ko) 2018-11-27 2020-06-11 이준 수선용 구두 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8177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perforated covering and removable components
CA2522011C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US9408434B2 (en) Footwear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US20030093919A1 (en) Double-layer shoe with a removable shoe-model lining
US20190045878A1 (en) Shoe constructions
US6675502B1 (en) Integrated injection forming shoe midsole having a dual-layer pad
KR200243206Y1 (ko) 구두용 보조굽
US7739809B2 (en) Shoe having a replaceable portion and replacement method
KR101995532B1 (ko) 조립형 인솔
KR20140102426A (ko) 교체형 굽이 구비된 구두
KR200346303Y1 (ko) 신발 밑창 구조
KR200401208Y1 (ko) 다용도 신발의 솔 구조
US20050034326A1 (en) Shoe structure
KR102147979B1 (ko) 뒷굽 교체형 구두의 구부림구조
KR200224478Y1 (ko) 회전식 구두뒷굽
KR200388747Y1 (ko) 건강 신발
KR101212772B1 (ko) 트랙킹 겸용 구두
EP3498121B1 (en) Orthopaedic heel for shoe and related orthopaedic footwear
KR200229733Y1 (ko) 발가락 덮개부가 구비된 신발깔창
JP3012040U (ja) 靴底の構造
KR200278190Y1 (ko) 구두주걱 내장형 구두
KR20010000357U (ko) 맨발패션을 위한 다기능 양말
KR101179597B1 (ko) 신발용 보호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