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235B1 - 바닥재용 마감부재 - Google Patents

바닥재용 마감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235B1
KR101206235B1 KR1020100057761A KR20100057761A KR101206235B1 KR 101206235 B1 KR101206235 B1 KR 101206235B1 KR 1020100057761 A KR1020100057761 A KR 1020100057761A KR 20100057761 A KR20100057761 A KR 20100057761A KR 101206235 B1 KR101206235 B1 KR 10120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groove
side wall
fastening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7694A (ko
Inventor
윤상섭
최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2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3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81Skirtings or crown mouldings with a separate cladding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5Hygienic or watertight pl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바닥재용 마감부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는 바닥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과 측벽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위치하며 바닥재와 접하는 곡면부와 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측벽과 맞닿으며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진 체결홈이 형성된 배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재, 및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판과 체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바닥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상부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바닥재용 마감부재{FISHING MEMBER FOR FLOOR COVER}
본 발명은 마감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부에서 바닥재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마감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이나 구조물 공사 시에는 바닥면에 바닥재를 설치한다. 미감과 이물질이 바닥재와 바닥면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바닥재는 통상적으로 바닥에서 벽면까지 이어져 설치된다. 이에 따라 바닥재는 바닥면과 벽면이 연결되는 코너부에서 굴곡되며 이 부분에서 바닥재가 바닥면에서 이격된다. 코너부에서 바닥재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보행자가 코너부를 밟았을 경우에는 바닥재의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바닥재가 바닥면 또는 벽면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 경우에는 코너부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고정된 바닥재가 이탈하여 고정 작업을 다시 해야 하는 등의 문제가 발행한다.
바닥재의 연성이 부족하거나 바닥재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바닥면에서 이격된 부분이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행자에 의하여 밟히게 될 확률은 더욱 커지게 된다. 특히 이 경우에는 벽면과 바닥면 사이에서 이격된 면적이 균일하지 못하므로 시멘트 등을 코너부에 채워 넣더라도 균일한 형태로 시공하는 것은 쉽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재료가 과다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닥재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지지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과 측벽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위치하며 바닥재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과 맞닿으며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진 체결홈이 형성된 배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상부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바닥재용 마감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과 맞닿는 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측면에서 이격되고 베이스부와 하단이 연결된 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에는 상기 측벽에 삽입된 고정유닛이 관통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벽과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완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바닥부를 관통하여 바닥에 삽입된 고정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홈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마감홈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가압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코너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바닥재의 설치 구조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의 장착홈에 상부 지지부재가 삽입되므로 바닥재의 단부가 벽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지지부재와 상부 지지부재가 끼움 결합되므로, 바닥재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는 바닥(120)과 측벽(110)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설치된 하부 지지부재(31)와 하부 지지부재(31)에 형성된 체결홈(315)에 삽입 설치된 상부 지지부재(32)를 포함한다.
본 기재에서 코너부라 함은 바닥(120)과 측벽(110)이 맞닿는 부분과 이에 인접한 부분으로서 바닥(120) 및 측벽(110)은 일정한 강성을 갖는 콘크리트, 철판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닥재(130)는 연성을 갖는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닥재(130)를 구성하는 소재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부 지지부재(31)는 코너부에서 바닥재(130)의 아래에 위치하여 바닥재(130)가 완만하게 굴곡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 지지부재(31)는 바닥재(130)와 맞닿는 곡면부(311)와 곡면부(311)의 하단에서 측벽을 향하여 이어지며 바닥(120)과 맞닿는 베이스부(312), 및 곡면부(311)의 상단과 연결되며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313)를 포함한다.
곡면부(311)는 호(arc) 형상으로 굴곡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닥(120)에서 측벽(110)까지 이어진다. 곡면부(311)는 베이스부(312)에 의하여 바닥(120)에 지지되고 배면부(313)에 의하여 측벽(110)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호형의 단면을 유지할 수 있다.
배면부(313)의 상단에는 상부 지지부재(32)가 삽입되는 체결홈(315)이 형성되는 바, 체결홈(315)은 배면부(313)의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져 형성되며 체결홈(315)은 측벽(110)과 맞닿는 면에 형성된다. 또한, 배면부(313)의 하단에는 측벽(110)에서 이격된 지지벽(314)이 형성되며, 지지벽(314)은 바닥(120)까지 이어져 베이스부(312)와 연결된다. 지지벽(314)과 곡면부(311) 사이에는 완충 공간(316)이 형성되는 바, 완충 공간(316)은 곡면부(311)로 전달된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부 지지부재(31)는 폴리머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보행자에 의하여 전달되는 충격이 하부 지지부재(31)로 모두 전달되면 하부 지지부재(31)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 공간(316)에서 흡수하므로 하부 지지부재(31)가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벽(314)에는 지지벽(314)을 관통하여 측벽(110)에 삽입되는 고정유닛(34)이 설치된다. 고정유닛(34)을 설치하기 위해서 지지벽(414)에는 고정유닛(34)이 통과하는 관통공(314a)이 형성되어 있으며, 곡면부(311)에는 고정유닛(34)을 설치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홀(311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유닛(34)은 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나사 이외에 못, 핀,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유닛(34)에 의하여 배면부(313)가 측벽(1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제 등에 의하여 배면부(313)가 측벽(1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베이스부(312)가 접착제 등에 의하여 바닥(12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지지벽(314)이 측벽(110)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측벽(110)과 지지벽(314)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도록 고정유닛(34)로 지지벽(314)을 측벽(110)쪽으로 가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313)를 측벽(110)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상부 지지부재(32)는 체결홈(315)에 삽입되는 체결판(323)과 체결판(323)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321)를 포함한다. 체결판(323)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체결홈(315)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부 지지부재(32)는 별도의 고정유닛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하부 지지부재(3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321)에는 바닥재(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홈(3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과 맞닿는 부분에는 가압돌기(321b)가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재(32)는 탄성을 갖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헤드부(321)는 체결판(323)의 상단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헤드부(321)의 일단에 형성된 가압돌기(321b)가 측벽(1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가압돌기(321b)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마감홈(321a)을 형성하는 헤드부(321)의 하단이 바닥재(130)를 내측으로 지지하여 바닥재(130)가 마감홈(321a)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지지부재(31)가 바닥재(13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지지부재(31)에 삽입된 상부 지지부재(32)가 바닥재(130)의 단부를 감싸고 있으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바닥재(130)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바닥재(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는 상부 지지부재(32)에 고정유닛(35)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30)는 하부 지지부재(31)와 상부 지지부재(32)를 포함하고, 상부 지지부재(32)의 체결판(323)에는 체결판(323)을 관통하여 측벽(110)에 삽입되는 고정유닛(35)이 설치된다. 고정유닛(35)은 나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지지부재(32)에도 고정유닛(35)이 설치되므로 상부 지지부재(32)가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어 바닥재(13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40)는 고정돌기(417)와 지지홈(423a)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40)는 하부 지지부재(41)와 상부 지지부재(42)를 포함하며, 하부 지지부재(41)는 호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부(411)와 바닥(120)과 맞닿는 베이스부(412), 및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413)를 포함한다. 배면부(413)에는 고정유닛(34)이 삽입되는 지지벽(414)과, 상부 지지부재(42)의 하단이 삽입되는 체결홈(4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곡면부(411)에는 고정유닛(35)을 설치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4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42)는 체결홈(415)에 삽입되는 체결판(423)과 체결판(423)의 상부에 형성되어 바닥재(130)의 단부를 감싸는 헤드부(421)를 포함한다. 체결판(423)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체결홈(415)에 삽입된다. 헤드부(421)에는 바닥재(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홈(4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과 맞닿는 부분에는 가압돌기(421b)가 형성된다.
한편, 체결홈(415)에는 측벽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돌기(417)가 형성되고, 체결판(423)에는 고정돌기(417)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423a)이 형성된다. 지지홈(423a)과 고정돌기(41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고정돌기(417)와 지지홈(423a)를 형성하면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상부 지지부재(42)가 하부 지지부재(4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유닛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상부 지지부재(42)가 고정되므로 상부 지지부재(42)와 하부 지지부재(41)의 결합에 의하여 바닥재(130)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50)는 고정돌기(517)와 지지홈(523a)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50)는 하부 지지부재(51)와 상부 지지부재(52)를 포함하며, 하부 지지부재(51)는 호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부(511)와 바닥(120)과 맞닿는 베이스부(512), 및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513)를 포함한다. 배면부(513)에는 측벽(110)에서 이격된 지지벽(514)과, 상부 지지부재(52)의 하단이 삽입되는 체결홈(515)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512)에는 고정유닛(36)이 설치되는 바, 고정유닛(36)은 베이스부(512)를 관통하여 바닥(120)에 삽입 설치되다. 이에 따라 하부 지지부재(5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곡면부(511)에는 고정유닛(36)을 설치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5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52)는 체결홈(515)에 삽입되는 체결판(523)과 체결판(523)의 상부에 형성되어 바닥재의 단부를 감싸는 헤드부(521)를 포함한다. 체결판(523)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체결홈(515)에 삽입된다. 헤드부(521)에는 바닥재(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홈(5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과 맞닿는 부분에는 가압돌기(521b)가 형성된다.
한편, 체결홈(515)에는 측벽(110)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돌기(517)가 형성되고, 체결판(523)에는 고정돌기(517)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523a)이 형성된다. 고정돌기(517)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고정돌기(517)의 하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홈(523a)은 아래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하도록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지지부재(52)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정돌기(517)와 지지홈(523a)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부 지지부재(51)와 상부 지지부재(52)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돌기(517)의 턱과 지지홈(523a)의 턱이 맞닿아서 상부 지지부재(52)가 하부 지지부재(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60)는
하부 지지부재(61)에 고정홈(617)이 형성되고, 상부 지지부재(62)에 지지돌기(625)가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60)는 하부 지지부재(61)와 상부 지지부재(62)를 포함하며, 하부 지지부재(61)는 호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부(611)와 바닥(120)과 맞닿는 베이스부(612), 및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613)를 포함한다. 배면부(613)에는 고정유닛(34)이 삽입되는 지지벽(614)과, 상부 지지부재(62)의 하단이 삽입되는 체결홈(61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곡면부(611)에는 고정유닛(34)을 설치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6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62)는 체결홈(615)에 삽입되는 체결판(623)과 체결판(623)의 상부에 형성되어 바닥재의 단부를 감싸는 헤드부(621)를 포함한다. 체결판(623)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체결홈(615)에 삽입된다. 헤드부(621)에는 바닥재(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홈(6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과 맞닿는 부분에는 가압돌기(621b)가 형성된다.
한편, 체결홈(615)에는 고정홈(617)이 형성되고, 체결판(623)에는 고정홈(617)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돌기(625)이 형성된다. 고정홈(617)은 아래로 갈수록 깊이가 감소하도록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고정홈(617)의 상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돌기(625)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단에 턱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부 지지부재(62)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고정홈(617)와 지지돌기(625)이 끼움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하부 지지부재(61)와 상부 지지부재(62)의 결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고정홈(617)의 턱과 지지돌기(625)의 턱이 맞닿아서 상부 지지부재(62)가 하부 지지부재(6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지지부에 가압턱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70)는 가압턱(721c)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동일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감부재(70)는 하부 지지부재(71)와 상부 지지부재(72)를 포함하며, 하부 지지부재(71)는 호형의 단면을 갖는 곡면부(711)와 바닥(120)과 맞닿는 베이스부(712), 및 측벽(110)과 맞닿는 배면부(713)를 포함한다. 배면부(713)에는 측벽(110)에서 이격되며 고정유닛(34)이 설치된 지지벽(714)과, 상부 지지부재(72)의 하단이 삽입되는 체결홈(715)이 형성되어 있다. 곡면부(711)에는 고정유닛(34)을 설치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설치공(7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지지부재(72)는 체결홈(715)에 삽입되는 체결판(723)과 체결판(723)의 상부에 형성되어 바닥재의 단부를 감싸는 헤드부(721)를 포함한다. 체결판(723)은 평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체결홈(715)에 삽입된다. 헤드부(721)에는 바닥재(130)의 단부가 삽입되는 마감홈(7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벽(110)과 맞닿는 부분에는 가압돌기(721b)가 형성된다. 마감홈(721a)의 하단에는 마감홈(72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바닥재(130)를 가압하는 가압턱(721c)이 형성된다. 가압턱(721c)은 바닥재(130)를 향하여 돌출되며,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여 단부가 뾰족한 쇄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닥재(130)를 마감홈(721a)에 삽입한 후, 가압턱(721c)을 누르면 가압턱(721c)이 바닥재(130)를 파고들어서 바닥재(130) 내부로 삽입된다. 가압턱(721c)이 삽입된 상태에서 헤드부(721)의 다른쪽 단부에 형성된 가압돌기(721b)는 측벽(110)과 맞닿아 있으므로 가압턱(721c)이 바닥재(1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바닥재(1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턱(721c)이 바닥재(130)가 아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바닥재(130)가 마감부재(7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측벽 120: 바닥
130: 바닥재 30, 40, 50, 60, 70: 마감부재
31, 41, 51, 61, 71: 하부 지지부재
311: 곡면부 311a: 설치홀
312: 베이스부 313: 배면부
314: 지지벽 314a: 관통공
315: 체결홈 316: 완충 공간
32, 42, 52, 62, 72: 상부 지지부재
321: 헤드부 321a: 마감홈
321b: 가압돌기 323: 체결판
34, 35, 36: 고정유닛 417: 고정돌기
423a: 지지홈 517: 고정돌기
523a: 지지홈 617: 고정홈
621b: 가압돌기 721c: 가압턱

Claims (8)

  1. 바닥과 측벽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위치하며 바닥재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과 맞닿으며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진 체결홈이 형성된 배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상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바닥재용 마감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과 맞닿는 베이스부를 포함하는 마감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측벽에서 이격되고 베이스부와 하단이 연결된 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에는 상기 측벽에 삽입된 고정유닛이 관통 설치된 마감부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과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완충 공간이 형성된 마감부재.
  5. 바닥과 측벽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위치하며 바닥재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과 맞닿으며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진 체결홈이 형성된 배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상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재는 상기 곡면부와 상기 배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바닥과 맞닿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부의 하단에는 상기 측벽에서 이격되고 베이스부와 하단이 연결된 지지벽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에는 상기 측벽에 삽입된 고정유닛이 관통 설치되며,
    상기 지지벽과 상기 곡면부 사이에는 완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 공간과 접하는 상기 곡면부에는 설치홀이 형성된 마감부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 마감부재
  7. 바닥과 측벽이 연결되는 코너부에 위치하며 바닥재와 접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상단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과 맞닿으며 상단에서 아래로 이어진 체결홈이 형성된 배면부를 포함하는 하부 지지부재; 및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닥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마감홈이 형성된 헤드부를 갖는 상부 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끼움 결합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마감부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아래로 갈수록 높이가 감소하도록 형성된 마감부재.
KR1020100057761A 2010-06-17 2010-06-17 바닥재용 마감부재 KR10120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761A KR101206235B1 (ko) 2010-06-17 2010-06-17 바닥재용 마감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761A KR101206235B1 (ko) 2010-06-17 2010-06-17 바닥재용 마감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94A KR20110137694A (ko) 2011-12-23
KR101206235B1 true KR101206235B1 (ko) 2012-11-28

Family

ID=4550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761A KR101206235B1 (ko) 2010-06-17 2010-06-17 바닥재용 마감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2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285A (ja) * 1999-01-29 2000-08-08 Noda Corp 幅木材と床材の納まり構造
JP2002147009A (ja) * 2000-11-16 2002-05-22 Nippon Mizushori Giken:Kk アール巾木
KR200384978Y1 (ko) 2005-02-01 2005-05-24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시트방수지 시공부재
JP2005530066A (ja) * 2002-06-14 2005-10-06 アルトロ・リミテッド 床材用の改良仕上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285A (ja) * 1999-01-29 2000-08-08 Noda Corp 幅木材と床材の納まり構造
JP2002147009A (ja) * 2000-11-16 2002-05-22 Nippon Mizushori Giken:Kk アール巾木
JP2005530066A (ja) * 2002-06-14 2005-10-06 アルトロ・リミテッド 床材用の改良仕上げ
KR200384978Y1 (ko) 2005-02-01 2005-05-24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시트방수지 시공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94A (ko) 201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1868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CA2308098C (en) Fastening member
US10508454B2 (en) Exterior-material securing member and building exterior structure
JP6514439B2 (ja) 外壁材の接合構造
KR101206235B1 (ko) 바닥재용 마감부재
US8042310B2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JP4454507B2 (ja) デッキ材の固定構造
KR101602324B1 (ko) 걸레받이
KR101040234B1 (ko) 데크 어셈블리
CA2579852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JP6457174B2 (ja) 壁材留具
JP5187801B2 (ja) パネル支持構造
KR20120109219A (ko) 탁자의 모서리 고정구
JP7305511B2 (ja) 床見切材
JP2008045388A (ja) デッキ材の取り付け構造
JP2014132141A (ja) 壁パネルの支持構造
KR101597339B1 (ko) 건축용 바닥판재
KR200281484Y1 (ko) 유로폼용 보조각목 고정구
KR200412757Y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0443616Y1 (ko) 이중경사면이 구비된 타일
KR101179928B1 (ko) 벽체 배수판 본체 간격조절 마감재
JP6401216B2 (ja) 断熱パネル支持具および断熱パネルユニット
KR200289690Y1 (ko) 천장에 설치되는 석고택스 지지구
KR20100010018A (ko) 창틀고정용 브래킷
KR101391391B1 (ko)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