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0018A - 창틀고정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창틀고정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0018A
KR20100010018A KR1020090038041A KR20090038041A KR20100010018A KR 20100010018 A KR20100010018 A KR 20100010018A KR 1020090038041 A KR1020090038041 A KR 1020090038041A KR 20090038041 A KR20090038041 A KR 20090038041A KR 20100010018 A KR20100010018 A KR 20100010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rtical
horizontal
vertical panel
horizon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이종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복 filed Critical 이종복
Publication of KR20100010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 E05Y2900/15Balcony glaz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및 보강편을 쉽고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하중부담능력을 갖도록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창틀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양측으로 측부삽입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이 형성된 수평패널과,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평패널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측부삽입공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이 형성된 수직패널 및 일측에 상기 수평패널에 접촉하는 수평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에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측걸림부가 돌출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직패널에 접촉하는 수직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에 상기 수직패널의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는 절곡된 구조의 수직측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평패널과 상기 수직패널을 결합시키는 보강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창틀, 브래킷, 발코니, 이중창

Description

창틀고정용 브래킷{window frame supporting bracket}
본 발명은 창틀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발코니 턱 등에 창틀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아파트나 주택 등의 발코니에 이중창을 설치하는 경우 창틀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해 창틀고정용 브래킷을 사용한다.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발코니 등의 벽체에 수직패널을 고정시키고 수평패널에 창틀을 안착시켜 창틀의 하단과 수평패널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도 12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코니의 벽체(1)의 상면(2)에 시멘트모트타르를 도포한 후에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직패널(5)이 벽체(1)의 내측면(3)에 밀착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수평패널(6)을 시멘트모르타르가 도포된 벽체(1)의 상면(2)에 안착시킨다. 이후 앵커볼트(8)로 수직패널(5)을 발코니 벽체(1)의 내측면(3)에 고정하여 창틀고정용 브래킷(4)을 발코니 벽체(1)에 고정하는 것이 완성된다.
벽체(1)에 고정된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6)의 위로 창틀(9)의 하단을 안치시킨 후 창틀(9)의 하단과 수평패널(6)을 볼트(미도시)로 체결함으로써 창 틀고정용 브래킷에 창틀이 고정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8-30592호에 개시된 종래의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및 보강편으로 구성되며 보강편을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결합하는 방식이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형성된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보강편의 삽입부에 한 쌍의 결착돌기를 삽입부의 양측에 형성하고 결착돌기를 삽입구멍의 양측으로 절곡시켜서 보강편을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고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보강편의 결합방식은 보강편의 2개의 결착돌기를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의 삽입구멍에 모두 절곡시켜야 하기 때문에 보강편을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짧은 길이만큼 위로 돌출된 결착돌기를 잡아서 절곡하기로 어려우므로 현장에서 조립하기는 어렵고 제조공장에서 조립하여야 하고, 따라서 조립된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부피가 커서 물류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종래 현장에서 수직패널이 벽면에 밀착하지 않거나 수평패널이 창틀하단에 밀착하지 않는 경우에는 망치를 사용하여 수평패널 또는 수직패널을 때려서 변형시키는 방법으로 수직패널과 벽면 또는 수평패널과 창틀의 하단을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빈번하였다. 이 때 망치로 브래킷을 때려주면 특히 수직패널이 보강편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및 보강편을 쉽고 견고하게 결합하면서 동시에 향상된 하중부담능력을 갖도록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양측으로 측부삽입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한 수평패널측걸림공의 쌍이 2개 이상 형성된 수평패널과,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평패널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측부삽입공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패널측걸림공의 쌍이 2개 이상 형성된 수직패널 및 일측에 상기 수평패널에 접촉하는 수평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에는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된 구조의 2개 이상의 수평측걸림부들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수직패널에 접촉하는 수직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에는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된 구조의 2개 이상의 수직측걸림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결합되는 보강편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편은 상기 수평측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평패널측걸림공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패널측걸림공에 끼워지고,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직패널측걸림공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수직패널측걸림공에 끼워져서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직측걸림부가 상기 수직패널의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후단에 인접한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양측 부분이 가압되어,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후단에 인접한 부분은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직측걸림부는 단부가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의 각각의 중앙부분은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평측걸림부 및 상기 수직측걸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틀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양측으로 측부삽입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수평패널측걸림공이 형성된 수평패널과,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평패널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측부삽입공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직 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하도록 수직패널측걸림공이 형성된 수직패널 및 일측에 상기 수평패널에 접촉하는 수평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에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는 절곡된 구조의 수평측걸림부가 돌출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직패널에 접촉하는 수직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에 상기 수직패널의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는 절곡된 구조의 수직측걸림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평패널과 상기 수직패널을 결합시키는 보강편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평측걸림부의 단부는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패널측걸림공에 끼워지며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단부는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직패널측걸림공에 끼워져서 상기 수평패널과 상기 수직패널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평패널 중의 하나 이상에는 단면계수의 증가를 위한 굽은구조의 보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굽은구조의 보강부에는 굽은방향으로의 접힘에 저항하도록 압입에 의한 보강비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패널에는 부러뜨림을 용이하게 하도록 단면적을 감소시킨 절취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평측걸림부는 상기 수평측걸림부의 단부로 진행하면서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에 대하여 경사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편은 단면계수의 증가를 위한 굽은구조의 보강함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보강편의 걸림부가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의 삽입공과 걸림공을 감싸는 방식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이 견고하며 결합의 과정이 쉽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및 보강편에 단면계수가 증가하도록 보강부를 형성하였으므로 하중에 의해 휨 또는 좌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으므로 수평패널과 수직패널 및 보강편을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반비용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은 수평패널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절취부들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에 맞게 수평패널을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 고정용 브래킷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이하 '창틀고정용 브래킷'이라 함)은 창틀의 하단을 지지하는 수평패널(10) 과 수평패널(10)을 지지하며 벽체에 고정되는 수직패널(20)과 상기 수평패널(10)과 수직패널(20) 모두에 결합되어 수평패널(10)의 지지를 보강하는 보강편(30)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1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10)은 외곽이 사각형인 패널구조이며 가운데 부분이 양측부분으로부터 단차지도록 굽어져서 일방향에서 볼 때 양측부분보다 돌출된 구조를 갖는 수평패널측보강부(11)가 형성된다. 수평패널측보강부(11)는 수평패널(10)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서 수평패널(10)이 굽힘하중을 받을 경우 굽힘하중에 대한 부담능력을 증가시킨다. 수평패널측보강부(11)의 양측의 굽혀진 부분에는 굽혀진 방향으로의 굽힘하중을 부담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평패널측보강부(11)의 내측방향으로 압입된 구조의 보강비드(12)가 형성된다.
수평패널측보강부(11)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형태의 복수개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이 형성되며 각각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에 인접한 위치에는 각각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에 대응하여 수평패널측걸림공(14)이 형성된다.
수평패널(10)의 양측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측부삽입공(15)들이 형성된다. 상기 측부삽입공(15)은 장공의 형태이다. 수평패널(10)에는 창틀의 하단과의 결합을 위한 볼트구멍(16)들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직패 널(2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직패널(20)은 외곽이 사각형인 패널구조이며 일단에 위치설정돌기(21)가 형성되며 가운데 부분이 양측부분으로부터 단차지도록 굽어져서 수직패널(20)의 일면의 방향에서 볼 때 양측부분보다 돌출된 구조를 갖는 수직패널측보강부(22)가 형성된다. 수직패널측보강부(22)는 수직패널(20)의 단면계수를 증가시켜서 수직패널(20)이 굽힘하중을 받을 경우 굽힘하중에 대한 부담능력을 증가시킨다. 수직패널측보강부(22)의 양측의 굽혀진 부분에는 굽혀진 방향으로의 굽힘하중을 부담하는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직패널측보강부(22)의 내측방향으로 압입된 구조의 보강비드(23)가 형성된다.
수직패널(20)의 중앙 상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부(27)가 형성된다. 요철부(27)는 수직패널(20)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수직패널(20)에 앵커볼트(미도시)가 체결된 후에 수직패널(20)과 앵커볼트와의 사이에 마찰력을 증가시켜 앵커볼트가 쉽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수직패널측보강부(22)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장공형태의 복수개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이 형성되며 각각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에 인접한 위치에는 각각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에 대응하여 수직패널측걸림공(25)이 형성된다.
수직패널(20)에는 벽체에 고정을 하기 위한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체결구멍(26)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30) 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30)의 걸림부에 의한 수평패널(10) 또는 수직패널(20)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30)은 수평패널(10) 및 수직패널(20)과 결합하여 수직패널(20)과 함께 수평패널(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편(30)의 내측에는 보강편(30)의 양측면을 굽히는 방향으로의 굽힘하중에 대한 단면계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일방향으로 단차지도록 굽어져 함몰된 보강함몰부(31)가 형성된다.
보강편(30)은 일측이 수평패널(1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수평패널(10)과 접하게 되는 수평패널지지단(32)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수직한 타측이 수직패널(2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수직패널(20)과 접하게 되는 수직패널지지단(34)으로 형성된다.
수평패널지지단(32)에는 수평패널지지단(32)의 외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후 수평패널지지단(32)에서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수평측걸림부(33)들이 형성되고, 수직패널지지단(34)에는 수직패널지지단(34)의 외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된 후 수직패널지지단(34)에서 소정의 각도(α°)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수직측걸림부(35)들이 형성된다.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와 수직측걸림부(35)는 보강편(30)을 수평패널(10)과 수직패널(2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와 수직측걸림부(35)를 경사진 구 조로 형성한 것은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 및 수직측걸림부(35)를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10)측삽입공 및 수직패널(20)측삽입공에 삽입한 후 수평패널측걸림공(14) 및 수직패널측걸림공(25)에 끼워넣기 위해 수평측걸림부(33) 및 수직측걸림부(35)를 수평패널측걸림공(14) 및 수직패널측걸림공(25)을 향하여 소정거리만큼 슬라이드시킬 때에 슬라이드 과정이 걸림없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는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에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수평측걸림부(33)가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과 수평패널측걸림공(14)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수평측걸림부(33)의 단부가 수평패널측걸림공(14)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보강편(30)이 수평패널(10)에 고정된다.
보강편(30)의 수직측걸림부(35)도 역시 수직패널(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에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수직측걸림부(35)가 수직패널(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과 수직패널측걸림공(25)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수직측걸림부(35)의 단부가 수직패널측걸림공(25)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보강편(30)이 수직패널(2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결합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수직패널(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24)들에 보강편(30)의 수직측걸림부(35)들을 삽입 후 공구에 의해 절곡시켜 수직측걸림부(35)의 단부를 수 직패널측걸림공(25)에 끼워넣어 수직패널(20)에 보강편(30)을 결합하고, 이후 수직패널(20)의 위치설정돌기(21)를 수평패널(10)의 원하는 위치의 측부삽입공(15)에 삽입하는 동시에 수직패널(20)에 결합된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들을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들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를 절곡하여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의 단부를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측걸림공(14)에 끼워넣음으로써 보강편(30)에 수평패널(10)이 결합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조립이 완성된다. 수평패널의 복수개의 측부삽입공들 중에서 적절한 측부삽입공에 수직패널(20)의 위치설정돌기(21)를 삽입함으로써 수직패널(20)의 결합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립이 완성된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사용방법은 벽체의 상면에 시멘트모르타르를 도포한 후에 수직패널(20)을 벽체의 내측면에 밀착시키고 수평패널(10)을 시멘트모르타르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앵커볼트로 수직패널(20)을 벽체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이후 수평패널(10)의 위로 창틀을 안착시킨 후 창틀의 하단과 수평패널(10)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과 동일하며 다만 수평패널(110)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110)은 사용자가 용도에 맞게 본래의 길이보다 작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평패널(110)에 부러뜨림을 쉽게 하기 위하여 단면적을 감소시킨 복수개의 절취부(115)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절취부(115)들 중에서 원하는 길이에 맞게 수평패널(110)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면적을 감소시킨 복수개의 절취부(115)를 형성하는 방법은 수평패널(110)을 프레스하여 제조하는 기본금형(미도시)에 절취부를 형성할 수 있는 보조금형(미도시)을 삽입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기본금형만을 가지고도 수평패널(110)의 다양한 위치에 절취부(115)들을 형성함으로써 길이가 다른 여러 크기의 수평패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수평패널(10)과 수직패널(20)에 수평패널측보강부(11) 및 수직패널측보강부(22)가 형성되므로 단면계수가 증가하여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보강편(30)과 수평패널(10) 및 수직패널(20)의 체결방식으로 보강편(30)의 수평측걸림부(33)가 수평패널(10)의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을 통과한 후 공구를 사용하여 수평측걸림부(33)를 굽힘으로써 수평측걸림부(33)가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13)과 수평패널측걸림공(14)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수평패널측걸림공(14)에 수평측걸림부(33)의 단부가 끼워지는 구조를 채택하였기 때문에 보강편(30)과 수평패널(10)의 결합이 보다 더 견고해진다. 이러한 보강편(30)과 수평패널(10)의 사이의 결합은 보강 편(30)과 수직패널(20)의 결합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현장에서 조립하여 완성할 수 있으므로 수평패널(10)과 수직패널(20) 및 보강편(30)을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고 따라서 운반시 부피가 작아서 운반비용이 감소된다.
수평패널(10)로부터 가해지는 하중 때문에 보강편(30)에 좌굴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30)은 단면계수가 증가하도록 보강함몰부(31)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좌굴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보강편의 수평측걸림부 및 수직측걸림부가 절곡되어 수평패널의 수평패널측걸림공 및 수직패널의 수직패널측걸림공에 끼워지는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수평패널측걸림공 및 수직패널측걸림공을 형성하지 않고 보강편의 수평측걸림부 및 수직측걸림부를 절곡하여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보강편을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과정 중에서 펀칭과정에 사용되는 펀칭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장치는 크게 가압부와 받침부로 구성된다.
가압부(200)는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양측 부분을 눌러서 변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접촉부(210)가 형성된다. 각각의 접촉부(210)는 양측에 각각 경사면(212)이 형성되어서 아래방향으로 점차 폭이 좁아지고 따라서 접촉부(210)의 하단은 뾰족하게 형성된다.
받침부(220)는 가압부(200)가 수직패널(120)을 펀칭할 때에 수직패널(120)의 아래에서 수직패널(120)을 받쳐준다. 받침부(220)에는 보강편(130)이 위치할 수 있는 틈새(2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에서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시키는 과정중에서 펀칭작업을 하기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은 다른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과 동일하며 다만 수직패널(120)과 보강편(130)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펀칭잡업이 추가되어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과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형상이 변경된 점에 차이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가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에 들어가서 걸린 상태에서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위에서 가압부(200)가 하강하여 펀칭을 하면, 가압부(200)의 한 쌍의 접촉부(210)는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양 옆의 부분을 파고들어 펀칭홈(121)을 형성하고 펀칭홈(121)의 주위 부분을 변형시킨다. 이 때 접촉부(210)의 양측이 경사면(212)으로 되어 있으므로 접촉부(210)가 파고들어가는 지점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 즉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에 가까운 부분은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변형을 하고, 수직패 널측중앙삽입공(124)의 양측 부분이 내측으로 밀려들어오는 변형을 하기 때문에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폭이 좁아진다.
이와 동시에 가압부(200)의 한 쌍의 접촉부(210)의 내측의 경사면(212)이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을 가압하여 변형시키기 때문에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의 폭은 약간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끝에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뿌리부분(136)이 밀착한 상태에서 수직측걸림부(135)의 뿌리부분(136)의 뒤에서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폭이 좁아지고 이와 동시에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의 폭이 증가하면,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를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이 꽉 조여서 움직이지 못하게 구속하는 형상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구조를 갖는 브래킷을 망치로 때려주더라도 수직패널(120)이 보강편(130)에서 분리되거나 이탈되지 않는다.
즉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가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일단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과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양측 부분이 동시에 가압되어,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은 폭이 증가하는 변형을 하고 수직측걸림부(135)의 후단에 인접한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은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 사이의 감싸는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보강편(130)은 수평패널로부터 전달되어 아래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보강편(130)이 아래로 밀리더라도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에서 빠져버리지 않도록 절곡된 구조의 수직측걸림부(135)의 단부가 아래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수직측걸림부(135)의 수직패널지지단에 연결된 부분인 뿌리부분(136)이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단부에 걸려서 더 이상 보강편(130)이 아래로 밀려내려가지 못한다.
또한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단부가 수직패널(120)의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과 수직패널측걸림공(125)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서 수직패널(120)에 결합하고 있는데, 이 구조에서 보강편(130)이 윗방향으로 타격을 받거나 충격을 받으면 보강편(130)이 위로 밀리면서 수직측걸림부(135)도 함께 위로 밀리게 되어 수직측걸림부(135)의 단부가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과 수직패널측걸림공(125)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는 결합구조가 풀려버린다. 따라서 보강편(130)이 수직패널(120)로부터 헐거워져서 빠져버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은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위쪽에 위치한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의 부분의 폭이 펀칭공정에 의해 좁아졌기 때문에 수직측걸림부(135)가 위로 이동할 수 없게되고, 따라서 보강편(130)에 윗방향으로 타격을 가하더라도 보강편(130)이 위로 밀려올라갈 수 없다. 그 결과 보강편(130)의 수직측걸림부(135)의 단부가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124)과 수직패널측걸림공(125)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는 결합구조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강편(130)과 수직패널(120)의 견고한 결합이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에 형성된 수평패널측보강부와 수직패널측보강부는 모두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패널측보강부와 수직패널측보강부의 함몰된 구조는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이 보강편과 결합할 때에 보강편의 수평측걸림부 및 수직측걸림부가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보강편의 수평측걸림부 및 수직측걸림부가 수평패널 및 수직패널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면 수평패널과 창틀의 하단이 밀착하지 못하게 되고 수직패널이 벽면에 밀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직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의 걸림부에 의한 수평패널 또는 수직패널과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수평패널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과정 중에서 펀칭과정에 사용되는 펀칭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에 서 보강편과 수직패널의 결합시키는 과정중에서 펀칭작업을 하기 이전과 이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보강편과 수직패널 사이의 감싸는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창틀고정용 브래킷의 사용상태도이다.

Claims (3)

  1. 창틀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양측으로 측부삽입공이 형성되고 중앙에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한 수평패널측걸림공의 쌍이 2개 이상 형성된 수평패널;
    벽체에 고정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수평패널에 직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측부삽입공에 삽입되는 위치설정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내측에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인접한 수직패널측걸림공의 쌍이 2개 이상 형성된 수직패널; 및
    일측에 상기 수평패널에 접촉하는 수평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에는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수평패널지지단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된 구조의 2개 이상의 수평측걸림부들이 형성되며, 타측에 상기 수직패널에 접촉하는 수직패널지지단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에는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으로부터 돌출된 후 절곡되어 상기 수직패널지지단을 따라 연장되는 절곡된 구조의 2개 이상의 수직측걸림부들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결합되는 보강편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편은 상기 수평측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수평패널의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을 통과하도록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수평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평패널측걸림공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수평패널측걸림공에 끼워지고,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단부가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을 통과하도 록 삽입된 후 공구에 의해 절곡되어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과 상기 수직패널측걸림공의 사이의 부분을 감싸면서 상기 수직패널측걸림공에 끼워져서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직측걸림부가 상기 수직패널의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에 삽입되고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일단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후단에 인접한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양측 부분이 가압되어, 상기 수직패널측중앙삽입공의 상기 수직측걸림부의 후단에 인접한 부분은 폭이 좁아지도록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직측걸림부는 단부가 아래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패널 및 상기 수직패널의 각각의 중앙부분은 상기 보강편의 상기 수평측걸림부 및 상기 수직측걸림부가 돌출되지 않도록 함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고정용 브래킷.
KR1020090038041A 2008-07-21 2009-04-30 창틀고정용 브래킷 KR201000100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517 2008-07-21
KR20080070517 2008-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18A true KR20100010018A (ko) 2010-01-29

Family

ID=4181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041A KR20100010018A (ko) 2008-07-21 2009-04-30 창틀고정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00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19B1 (ko) * 2010-04-23 2013-07-16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19B1 (ko) * 2010-04-23 2013-07-16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38972B2 (en) Finishing panel fixing device
KR102414815B1 (ko) 외장재의 부착구 및 건물의 외장 구조
KR101846842B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JP3867719B2 (ja) 留め付け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外壁施工構造並びに外壁施工方法
KR20100010018A (ko) 창틀고정용 브래킷
KR100981307B1 (ko) 창틀 받침용 브래킷
JPH0643788B2 (ja) 内側パネル部材用の溝をもつフレ−ム付き窓
KR200384097Y1 (ko) 샌드위치패널
KR101647742B1 (ko) 문틀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7329211B2 (ja) 外壁材受け具
US8042310B2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KR101250507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1926476B1 (ko) 건축물의 수직 패널
KR20110118260A (ko) 창틀 고정용 브래킷
JP6457174B2 (ja) 壁材留具
JP3126276U (ja) I型ビーム取付け金物
KR200354388Y1 (ko) 조립식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CA2579852C (en) Fastening member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structure
JP3420933B2 (ja) パネル状材の取付金具
JP3485051B2 (ja) 間仕切パネルのパネル板構造
JP4510215B2 (ja) 鋼製大引きの連結構造
KR20030014450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180005412A (ko) 외장패널 결합체
KR102380449B1 (ko) 벽체 배수판용 클립바 고정클립
RU64240U1 (ru) Крепление и внешнестен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