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450A - 문틀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문틀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450A
KR20030014450A KR1020010048468A KR20010048468A KR20030014450A KR 20030014450 A KR20030014450 A KR 20030014450A KR 1020010048468 A KR1020010048468 A KR 1020010048468A KR 20010048468 A KR20010048468 A KR 20010048468A KR 20030014450 A KR20030014450 A KR 20030014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wall
frame body
wall surfac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석
Original Assignee
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석 filed Critical 박준석
Priority to KR1020010048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4450A/ko
Publication of KR20030014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45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15Anchoring means
    • E06B1/6038Anchor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문틀 및 그 시공방법은 문틀본체가 4각형상으로 조립되어 시공시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문틀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앙카가결합되어, 상기 앙카의 하측단부를 벽면에 접촉시켜,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문틀의 시공과정이 단순화됨과 아울러,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의 크기에 접합토록 문틀몸체에 다양한 크기의 앙카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문틀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 문틀본체의 일측에 장식판을 부착시켜 상기 앙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틀 및 그 시공방법{Door flam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문틀(창틀을 포함한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문틀의 일측면에 앙카를 결합하여 문틀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벽면에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문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문틀의 조립구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6)의 개구부에 문틀(1)을 위치시킨 다음, 문틀(1)에 못(4)등을 박아 문틀(1)을 벽면(6)에 고정시킨 후, 문틀(1)과 벽면(6) 사이의 공간부에 모르타르 또는 우레탄폼(7) 등을 충진하고, 문틀(1)의 양측면에 장식판(3)을 씌워 마감한다.
상기한 문틀의 시공방법을 도 3a 내지 3e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문틀 판체(1a, 1b, 1c, 1d)를 서로 연결하여 직사각형 형태의 문틀(1)를 만든다. 상기 문틀(1)을 벽면(6)의 개구부(6')에 위치시킨 다음 문틀(1)과 벽면(6) 사이에 쐐기목(9)을 넣어 문틀(1)의 수평, 수직 위치를 확인하면서 문틀의 위치를 조정한 다음, 문틀(1)을 임시 고정시킨다(도 3b 참조).
임시 고정된 문틀(1)에 콘트리트못(4)을 박아 문틀(1)을 벽면(6)에 고정시킨다(도 3c 참조). 문틀(1)과 벽면(6) 사이의 공간부에 모르타르(7)를 충진하고 충진된 모르타르가 흘러나온 경우 이를 제거하여 평편한 면을 이루도록 미장한다(도 3d 참조). 문틀(1)의 측면에 장식판(3)을 부착하여 문틀(1)의 시공을 완료한다(도 3e 참조).
종래기술에 의한 여러종류의 문틀의 형상이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문틀(10)(20)(30)은 각각 좌측벽(12)(22)(32)과 우측벽(13)(23)(33)을 구비하고 있고, 좌측벽의 바닥면(12a)(22a)(32a)과 우측벽의 바닥면(13a)(23a)(33a)은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종래기술의 문틀은 문틀이 설치되는 개구부의 벽면으로 부터 문틀의 좌,우측벽의 바닥면이 동일한 이격거리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서 미설명부호 14, 15는 문틀(10)이 벽면에 시공된 다음 문틀(10)의 양측면과 벽면을 각각 씌워주는 장식판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문틀의 좌, 우측벽이 동일한 높이의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이유는 도 3a 내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1)의 시공시 직사각형의 문틀(1)이 벽면(6)의 개구부 보다 작게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하여 출입이 자유롭게 되어야 함과 아울러 벽면(6)과 문틀(1) 사이에 쐐기목(9)을 삽입하여 문틀(1)의 수평, 수직 위치를 맞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문틀은 문틀(1)을 벽면(6)의 개구부 내에 위치시킨 다음 쐐기목(9)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문틀(1)을 손으로 잡고 쐐기목(9)을 넣는데 2사람 이상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문틀은 문틀(1)과 벽면(6) 사이에 모르타르(7) 등을 충진시킬 때 문틀 양측벽의 바닥면이 벽면으로 부터 이격되어 있어 충진된 모르타르가 문틀과 벽면 사이의 틈새로 흘러 나와 이를 제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1-23684호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 발명에 따른 문틀은 외벽과, 좌,우측벽을 포함하여 형성된 문틀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벽 중 일측벽의 바닥면은 다른 측벽의 바닥면 보다 상기 외벽과 대향된 방향으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문틀을 벽면에 설치하기 위하여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위치시킨 경우 상기 일측벽은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여 벽면에 접촉되고 문틀의 다른 측벽은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문틀의 일측면이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바로세워 벽면에 문틀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발명에 따른 문틀은 문틀의 일측면을 다른 측면보다 길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상기 문틀을 포개어 대량으로 운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틀은 벽면에 시공하기 전에 벽면에 견실한 상태로 고정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문틀의 측면부에 장식판을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문틀의 일측면에 길게 형성된 돌출부위는 문틀의 시공후 불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시공후 불필요하게 되는 상기 돌출부위로 인하여 원자재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의 크기에 따라서 각각의 벽면의 개구부에 적합한 크기의 문틀을 제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의 소정위치에 간편하고 견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문틀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문틀의 측면에 장식판을 간편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문틀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문 및 문틀의 형상이 표현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문틀의 단면형상이 표현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종래기술에 의한 문틀의 시공방법이 표현된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종래기술에 의한 문틀의 사시도 또는 정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문틀이 벽면에 설치된 상태가 표현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시공방법이 표현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문틀본체 51 : 스톱퍼
52 : 좌측벽 53 : 우측벽
60 : 앙카 70 : 장식판
75 : 걸림쇠 76 : 발포재
80 : 벽면 90 : 문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은, 문틀이 4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벽면에 시공될 경우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벽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문틀본체와, 상기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연결되고 하측단이 상기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문틀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벽면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앙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의 시공방법은 문틀본체를 연결하여 문틀이 시공되는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4각형상으로 조립하는 제1단계와, 4각형상으로 조립된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측부가 문틀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앙카를 서로 이격된 상태로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문틀본체와 앙카가 결합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위치시키되 상기 앙카의 하측부가 벽면의 일측면에 접촉되도록 문틀본체를 벽면의 개구부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문틀본체와 벽면 사이의 공간부에 발포재를 충전시켜 벽면에 문틀을 시공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 걸림쇠로서 문틀의 일측면과 벽면을 연결시키고 상기 앙카를 관통하도록 콘크리트 못을 벽면에 박아 문틀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은 도 5,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문틀본체(50)와, 문틀본체(50)의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된 복수개의 앙카(60)로 구성된다.
상기의 문틀본체(50)는 외측에 형성되어 도어가 닫힌 경우 도어의 이동을 저지하는 스톱퍼(51)와, 상기 스톱퍼(51)의 좌,우측에 위치한 좌,우측벽(52)(53)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벽(52)(53) 사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좌,우내벽(54)(55)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벽(53)의 저면부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여 파여진 요홈부(5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앙카(60)는 측벽부(62)와, 상기 측벽부의 상측단에서 내측으로 90° 절곡된 절곡부(63)와, 상기 절곡부(63)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홈부(56)에 삽입되는 돌출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62)의 중앙에는 콘크리트 못(65)이 관통되는 구멍(62a)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1)의 표면에는 요철부(61a)가 형성되고, 상기 앙카의 측벽부(62)는 적어도 하측부가 벽면(8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연장된다.
또한, 상기 문틀본체(50)의 우측벽(53)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문틀의 폭방향으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한쌍의 외향돌출단(53a)이 형성되고, 상기 외향돌출단(53a)의 끝단에는 상,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외향걸림턱(53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문틀본체(50)에는 문틀본체(50)가 벽면(80)에 시공된 다음, 장식을 위하여 상기 문틀본체(50)의 우측벽에 씌워지는 장식판(70)이 결합된다.
상기 장식판(70)은 측벽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측벽부(71)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문틀본체(50)의 외향돌출단(53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내향돌출단(72a)이 형성되고, 상기 내향돌출단(72a)의 끝단에는 상기 외향걸림턱(53b)에 걸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내향걸림턱(72b)이 각각 형성되며, 장식판(70)의 내부면(73)과 벽면(80)의 일측면 사이에 공간부(73a)가 형성되어 벽면의 일측면으로 발포재(76)가 흘러나와 벽면의 일측면에 거칠고 일정치 않게 되는 경우에도 장식판(70)의 조립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측벽부(71)의 하측단은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74)가 형성된다.
또한, 좌측내벽(54)의 내측면에는 돌출턱(54a)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턱(54a)에는 문틀본체(50)를 벽면에 임시 고정시키기 위하여 걸림쇠(75)의 일단이 걸어지고 타단은 벽면(80)의 일측면에 걸어지는데 걸림쇠(75)의 타단에 못(75a)을 박아 문틀본체(50)를 영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도 6에서 미설명부호 58은 문틀본체(50)를 보강시켜주는 보강재를 나타내고, 75는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을 벽면(80)에 임시 고정시켜주는 걸림쇠를 나타내며, 76은 문틀과 벽면(70) 사이에 충전되는 우레탄폼과 같은 발포재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문틀을 벽면에 시공하는 방법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문틀본체(50)를 조립하여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 보다 크기가 작은 사각형상이 되도록 조립한다(제1단계, 도 7a 참조).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문틀본체(50)의 우측벽의 저면에 형성된 요홈부(56)에 일정간격을 두고 앙카(60)의 돌출부(61)를 삽입하여 문틀본체(50)에 앙카(60)를 결합시킨다(제2단계, 도 6, 도 7b 참조).
문틀본체(50)와 앙카(60)가 결합된 문틀을 벽면(80)의 개구부(80')에 위치시켜 앙카(60)의 측벽부(62)의 하측부가 벽면(80)의 일측에 접촉되도록 함과 아울러, 문틀본체(50)의 좌측내벽(54)의 돌출턱(54a)과 벽면(80)의 일측 사이에 걸림쇠(75)를 걸어, 문틀본체(50)가 벽면의 개구부(80')내의 시공위치에 입설되도록 한다(제3단계, 도 6 및 도 7c 참조).
제3단계가 완료된 다음, 문틀의 수평 수직위치를 확인하고 고인목(미도시)으로 임시 고정한 후, 앙카(60)의 구멍(62a)을 통하여 콘크리트 못(65)을 벽면(80)에 박아서 문틀을 시공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발포재를 충전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걸림쇠(75)를 제거하거나 부착된 상태로 벽면(70)과 문틀 사이의 공간부(B)에 발포재(76)를 충전시켜 문틀을 시공한다(제4단계, 도 6, 도 7d 참조).
그 다음, 문틀본체(50)의 우측벽(53)에 형성된 외향돌출부(53a)에 장식판(70)의 내향돌출단(72a)을 끼워넣으면 문틀본체(50)의 외향돌출턱(53b)에 장식판(70)의 내향돌출턱(72b)이 걸리게 되어 장식판(70)이 문틀본체의 우측벽(53)에 부착되므로 문틀의 설치가 완료된다(제5단계, 도6, 도 7e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문틀 및 그 시공방법은 문틀본체가 4각형상으로 조립되어 시공시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 내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문틀이 상기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앙카가결합되어, 상기 앙카의 하측단부를 벽면에 접촉시켜, 사각형상으로 조립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문틀의 시공과정이 단순화됨과 아울러,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의 크기에 접합토록 문틀몸체에 다양한 크기의 앙카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문틀의 시공이 완료된 다음, 문틀본체의 일측에 장식판을 부착시켜 상기 앙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문틀이 4각형상으로 조립되어 벽면에 시공될 경우 문틀이 설치되는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벽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문틀본체와, 상기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측면부가 상기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상기 문틀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되어 벽면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앙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앙카에는 상기 요홈부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 및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가 결합되는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일측면을 씌워주는 장식판이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한쌍의 이격된 외향돌출단으로 구성되어 장식판의 상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이격된 내향돌출단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향돌출턱의 선단에는 서로 맞물리는 내,외향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본체의 내부에 돌출된 내벽의 일측에 돌출턱이 형성되어 걸림쇠의 일단이 걸리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8. 문틀본체를 연결하여 문틀이 시공되는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4각형상으로 조립하는 제1단계와, 4각형상으로 조립된 문틀본체의 일측면에 상기 벽면의 개구부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하측부가 문틀본체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된 앙카를 결합시키는 제2단계와, 문틀본체와 앙카가 결합된 문틀을 벽면의 개구부에 위치시키되 상기 앙카의 하측부가 벽면의 일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문틀본체를 벽면의 개구부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문틀과 벽면 사이의 공간부에 발포재를 충전시켜 벽면에 문틀을 시공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시공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 상기 앙카를 관통하도록 콘크리트 못을 벽면에 박아 상기 문틀을 벽면에 고정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시공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 걸림쇠를 사용하여 상기 문틀을 벽면에 고정하는 과정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시공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완료후, 상기 앙카가 결합된 문틀본체의 일측면을 장식판으로 씌워주는 제5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의 시공방법.
KR1020010048468A 2001-08-11 2001-08-11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14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468A KR20030014450A (ko) 2001-08-11 2001-08-11 문틀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468A KR20030014450A (ko) 2001-08-11 2001-08-11 문틀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450A true KR20030014450A (ko) 2003-02-19

Family

ID=2771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468A KR20030014450A (ko) 2001-08-11 2001-08-11 문틀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445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48A (ko) * 2001-11-06 2003-05-14 박준석 문틀
KR20030048165A (ko) * 2001-12-11 2003-06-19 박준석 문틀의 조립구조
KR20030049129A (ko) * 2001-12-14 2003-06-25 박준석 문틀 조립구조
KR100450630B1 (ko) * 2002-01-16 2004-10-01 박준석 조립식 문틀
KR100880591B1 (ko) * 2008-03-20 2009-01-30 구본건 문틀 보강 프레임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9431U (ko) * 1973-07-09 1975-04-03
KR960009677U (ko) * 1994-09-02 1996-04-12 농촌진흥청 상, 하이동식 약제살포장치
JPH0978942A (ja) * 1995-09-20 1997-03-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具取付用枠構造
KR200177649Y1 (ko) * 1999-10-29 2000-04-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조립식 문틀
KR200193618Y1 (ko) * 2000-01-24 2000-08-16 이종석 새천년 문틀구조
KR200211399Y1 (ko) * 2000-07-12 2001-01-15 동흥기업주식회사 문틀
KR200224353Y1 (ko) * 2000-11-30 2001-05-15 박준석 문틀
KR200226339Y1 (ko) * 2000-12-29 2001-06-15 박준석 문틀
KR200230517Y1 (ko) * 2001-02-09 2001-07-19 박준석 문틀
KR20030002019A (ko) * 2001-06-30 2003-01-08 박준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9431U (ko) * 1973-07-09 1975-04-03
KR960009677U (ko) * 1994-09-02 1996-04-12 농촌진흥청 상, 하이동식 약제살포장치
JPH0978942A (ja) * 1995-09-20 1997-03-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建具取付用枠構造
KR200177649Y1 (ko) * 1999-10-29 2000-04-15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조립식 문틀
KR200193618Y1 (ko) * 2000-01-24 2000-08-16 이종석 새천년 문틀구조
KR200211399Y1 (ko) * 2000-07-12 2001-01-15 동흥기업주식회사 문틀
KR200224353Y1 (ko) * 2000-11-30 2001-05-15 박준석 문틀
KR200226339Y1 (ko) * 2000-12-29 2001-06-15 박준석 문틀
KR200230517Y1 (ko) * 2001-02-09 2001-07-19 박준석 문틀
KR20030002019A (ko) * 2001-06-30 2003-01-08 박준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548A (ko) * 2001-11-06 2003-05-14 박준석 문틀
KR20030048165A (ko) * 2001-12-11 2003-06-19 박준석 문틀의 조립구조
KR20030049129A (ko) * 2001-12-14 2003-06-25 박준석 문틀 조립구조
KR100450630B1 (ko) * 2002-01-16 2004-10-01 박준석 조립식 문틀
KR100880591B1 (ko) * 2008-03-20 2009-01-30 구본건 문틀 보강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KR100459842B1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030014450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H0531626B2 (ko)
KR200230517Y1 (ko) 문틀
KR101647742B1 (ko) 문틀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8557B2 (ja) タイルブロツクを用いた建物の外装壁
GB2250533A (en) Window frame mounting structure
KR100761988B1 (ko) 조립식 문틀
JP3933564B2 (ja) 壁パネルの接続構造及びその組立方法
KR100714986B1 (ko) 문틀
KR20080057278A (ko) 지지 부재 조립체
KR20200088728A (ko) 벽돌 판넬 조립체
KR20030037548A (ko) 문틀
JP3617855B2 (ja) 水切り構造
KR100450630B1 (ko) 조립식 문틀
KR200175294Y1 (ko) 옹벽 마감용 패널구조
JP4708638B2 (ja) 外装材取付構造および外装材取付方法
KR20030049129A (ko) 문틀 조립구조
JPH0481018B2 (ko)
JP4313737B2 (ja) 外壁材の取付構造及び外壁材の取付方法
JP2578099Y2 (ja) ユニット塀
JP3051979B2 (ja) 建築物用下地枠組
KR101817778B1 (ko) 문틀 및 문틀보강재 결합구조
JPH0613992Y2 (ja) 連窓サッ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