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757Y1 -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757Y1
KR200412757Y1 KR2020060001419U KR20060001419U KR200412757Y1 KR 200412757 Y1 KR200412757 Y1 KR 200412757Y1 KR 2020060001419 U KR2020060001419 U KR 2020060001419U KR 20060001419 U KR20060001419 U KR 20060001419U KR 200412757 Y1 KR200412757 Y1 KR 2004127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formwork
pedestal
b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균
Original Assignee
대흥건설 주식회사
이재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건설 주식회사, 이재균 filed Critical 대흥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1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7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7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7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이 거푸집 해체시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는 수평조절구가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와 대향 되도록 절곡되고,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전후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제1 절곡부에 밀착고정시키는 밀착구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착구를 제1 절곡부측으로 가압시키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거푸집, 받침대, 수평, 층고

Description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Support for mold level adju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받침부 13 : 제1 절곡부
15 : 가이드 홀 17 : 제2 절곡부
19 : 가이드부 21 : 고정홀
22 : 밀착구 23 : 이탈방지턱
24 : 경사가압판 26 : 수평 안내부
28 : 이탈방지구 31 : 단턱
33 : 단턱부 42 : 고정공
44 : 고정구 46 : 고정부
200 : 수평조절구 210 : 각재
220 : 합판 300 : 거푸집
310 : 벽체부 F : 바닥면
본 고안은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시공시 바닥 콘크리트 타설하여 바닥 슬래브를 먼저 축조한 후,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하여 거푸집 하부에 수평 및 층고 조절구(각재, 합판 등)를 설치한 후, 그 위에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을 설치하여 벽체 및 기둥을 축조하고, 축조된 벽체 및 기둥의 상부에 슬라브 거푸집 구조물을 설치하고 있다.
이때, 바닥 슬래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상면을 평평하게 양생한 것이지만, 점성이 큰 콘크리트를 굴곡이 전혀 없는 수평면으로 만드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벽체 및 기둥 구축을 위해 상기 거푸집을 바닥 슬래브의 상면에 안착시킬 경우 슬래브의 굴곡진 상면과 거푸집 저면 간에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는 거푸집을 수평하게 배치하는데 방해가 되며, 특히 다수개의 거푸집을 일렬로 수평하게 정렬시켜야 할 경우에는 굴곡진 바닥 슬래브 상면의 영향으로 인해 각 거푸집 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벽체 거푸집은 주로 유로폼과 같은 기능성 판넬이 사용되며 이러한 벽체 거푸집은 바닥면에 설치될 때에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수평조절구의 상측에 놓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구는 주로 각재나 합판이 사용되고, 수평조절뿐만 아니라 층고의 조정을 하는 역할을 하며 벽체 거푸집이 바닥면의 불규칙한 표면영역이나 경사진 영역들에 의해 경사진 자세로 조립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면, 바닥면과 상기 벽체 거푸집사이에 각재나 합판들을 끼워서 상기 벽체 거푸집이 수평한 자세를 갖도록 가조립 한 후 못과 같은 고정부재로 바닥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바닥면의 수평조절과 아울러 층고를 조정하는 역할을 행한다.
이때, 상기 수평 및 층고 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이 못 등의 고정부재로 바닥에 고정시켜 벽체를 축조한 후, 벽체 거푸집 해체시 각재 및 합판에서 못 등의 고정부재를 분리시킬 때 각재나 합판이 갈라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한번 사용한 각재 및 합판은 대다수가 폐기처분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의 추가부담은 물론이거니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거푸집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각재 및 합판 등이 거푸집 해체시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고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는 수평조절구가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와 대향 되도록 절곡되고,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전후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제1 절곡부에 밀착고정시키는 밀착구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착구를 제1 절곡부측으로 가압시키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상기 경사가압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돌출된 수평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더욱이,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일단이 받침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해체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단턱이 구비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대향 되어 구비되고, 그의 후단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받침부(11), 제1 절곡부(13), 제2 절곡부(17), 밀착구(22), 그리고 경사가압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착구(22)는 상기 제2 절곡부(17)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15)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19)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9)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홀(21)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가압판(24)이 상기 고정홀(21)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착구(22)를 제1 절곡부(13)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경사가압판(24)의 일단에는 이탈방지턱(23)이 구비되어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이동시, 상기 경사가압판(24)이 상기 고정홀(2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11)의 일측에는 수평안내부(26)가 구비되어 상기 경사가압판(24)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받침부(11)의 상부에 일단이 받침부(11) 외측으로 돌출된 단턱(31)이 구비된 단턱부(3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안내부(2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경사가압판(24)에 가압을 할 경우,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내됨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경사가압판(24)에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수직하중으로 인한 하부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턱(31)이 구비된 단턱부(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를 설치하여, 벽체 및 기둥을 축조한 후,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를 해체시, 상기 단턱(31)에 노루발못뽑이(빠루) 등을 걸어 해체하게 되면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1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부(46)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46)는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공(4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42)에 고정구(미도시)를 삽입고정함으로써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를 건축물 바닥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착구(22)는 상기 제2 절곡부(17)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 홀(15)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19)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9) 소정의 위치에는 고정홀(21)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19)의 일단에는 이탈방지구(28)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구(22)가 상기 가이드 홀(15)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부(19)는 2개가 대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적어도 2개 이상 대향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바닥면(F) 소정의 위치에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를 안착시킨 후,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받침부(11)에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합판(200)을 설치하며, 상기 수평조절구(200)의 상측에 거 푸집(30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구(200)는 바닥면(F)이 수평 하지않은 정도에 따라 층고조정 및 수평조절을 위해 합판(220)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합판(220)과 각재(210)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상기 바닥면(F)에 고정구(44)로 고정되며, 해체가 용이하도록 단턱(31)이 구비된 단턱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벽체 또는 기둥 거푸집(300)이 벽체부(310)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300)이 설치되는 하부영역에 대응하여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가 바닥면(F)에 고정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고정부(46)는 거푸집(300)의 외측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0)의 받침부(11)에 수평조절구로 사용되는 다수개의 합판(220)이 안착되며, 상기 합판(220)의 상단에 거푸집(300)이 셋팅되게 된다. 즉, 전체적인 거푸집 시공구조는 벽체 또는 기둥 거푸집(300), 합판(220),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300) 및 합판(220)은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경사가압판(24)을 가압시킴으로써 밀착구(22)가 제1 절곡부(13) 측으로 밀착고정되 어 별도로 고정구(44)를 사용하여 거푸집(300) 및 합판(220)을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상기 거푸집(300)이 다수개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에 대응하여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는 바닥면(F)과 수평이 되도록 고정구(4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받침부(11)에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다수개의 합판(220)이 안착되며, 상기 각재(210)의 상단에 벽체 거푸집(300)이 위치하여 고정구(44)에 의해 각재(210)에 고정되게 된다.
즉, 전체적인 거푸집 시공구조는 벽체 거푸집(300), 각재(210), 합판(220),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순서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건축물의 바닥슬래브를 축조한 후, 바닥면(F)의 수평이 맞지 않아 수평 및 층고의 유격이 발생하고, 그 유격의 크고 작음에 따라 각재(210) 및 합판(220) 등이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상기 각재(210) 및 합판(220)은 수평조절뿐만 아니라 층고를 조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합판(220)은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10)의 경사가압판(24)을 가압시킴으로써 밀착구(22)가 제1 절곡부(13) 측으로 밀착고정되어 별도로 고정구(44)를 사용하여 고정하지 않아도 된 다.
따라서, 상기 경사가압판(24)이 구비됨으로써 망치 등을 사용하여 상기 경사가압판(24)을 일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되는 각재(210) 및 합판(220)에 밀착구(22)가 밀착고정되고, 거푸집(300) 및 수평조절구(200)의 해체시에는 상기 경사가압판(24)를 설치시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밀착구(22)가 간단하게 분리되므로 설치 및 해체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조절구(200)의 높이가 높아지면 상기 수평조절구(200)로 사용되는 각재(210)에 거푸집(300)을 고정구(44)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의 설치시 적용함으로써 벽체 및 기둥 거푸집의 설치후, 해체시 고정구(예:대못 등)를 분리하게 되면, 수평조절구 및 층고조정구로 사용되는 각재나 합판 등이 갈라지고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각재 및 합판은 물론이거니와 받침대도 재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더욱이, 기존의 방식에 따를 경우 각재 및 합판의 파손에 의해 발생하여 비용의 추가부담발생 및 건축 폐자재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경사가압판을 적용하여 망치 등으로 거푸집 및 수평조절구를 밀착고정 및 분리함에 있어 작업이 단순화되므로 작업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셋째, 수평안내부를 두어 경사가압판을 가압할 경우, 상기 경사가압판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안내되도록 함은 물론이거니와, 상기 경사가압판에 작업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수직하중으로 인한 하부로 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단턱이 구비된 단턱부를 구비하여 해체시, 노루발못뽑이(빠루) 등을 상기 단턱에 걸어 분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바닥면으로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4)

  1. 수평조절구가 안착되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와 수직이 되도록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1 절곡부와 대향 되도록 절곡되고, 중앙에 가이드 홀이 형성된 제2 절곡부와;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 안내되는 가이드부를 가지고, 전후이동됨에 따라 상기 수평조절구를 선택적으로 제1 절곡부에 밀착고정시키는 밀착구와;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밀착구를 제1 절곡부측으로 가압시키도록 경사면을 갖는 경사가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일측에 상기 경사가압판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돌출된 수평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부에 일단이 받침부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의 해체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단턱이 구비된 단턱부를 더 포함하여 이 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2개 이상 대향 되어 구비되고, 그의 후단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20060001419U 2006-01-17 2006-01-17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04127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19U KR200412757Y1 (ko) 2006-01-17 2006-01-17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419U KR200412757Y1 (ko) 2006-01-17 2006-01-17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4811A Division KR100667161B1 (ko) 2006-01-17 2006-01-17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757Y1 true KR200412757Y1 (ko) 2006-03-31

Family

ID=4176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419U KR200412757Y1 (ko) 2006-01-17 2006-01-17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7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8631C (en) Peripheral stabilizing system for elevated flooring surface
US8397471B2 (en) Tool for straightening wooden planks
KR100667161B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101777933B1 (ko) 스트립핑 헤드 및 거푸집 시스템
KR200412757Y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101024888B1 (ko) 거푸집 지지용 트러스빔 설치구조
US11643814B2 (en) Systems for recessing subfloor structures
JPH1144084A (ja) 床板材の敷設構造
JP7460447B2 (ja) 階段型枠
KR20180136749A (ko) 슬라브 패널 시스템
KR102204998B1 (ko) 박벽돌 건식시공 단위 시스템
KR101616229B1 (ko) 조립식 난간
KR100714650B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0392038Y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0394597Y1 (ko) 높낮이 조절형 유로폼 받침대
KR100812250B1 (ko) 조립식 수직면 거푸집 설치구조
GB2436334A (en) Joist Hanger
KR200326613Y1 (ko)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KR100747686B1 (ko) 지지파이프 거치대가 구비된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219541Y1 (ko) 건축용 거푸집 받침대
KR200249907Y1 (ko) 거푸집의 레벨 조절장치
KR200303810Y1 (ko) 콘크리트 거푸집 하부 수평 규준틀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90123069A (ko) 벽체용 알루미늄패널 거푸집의 하부 고정장치
KR100641887B1 (ko) 슬라브판넬에 결합되어 벽체 판넬과 직접 체결되는체결기구 및 그 해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