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613Y1 -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 Google Patents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613Y1
KR200326613Y1 KR20-2003-0018493U KR20030018493U KR200326613Y1 KR 200326613 Y1 KR200326613 Y1 KR 200326613Y1 KR 20030018493 U KR20030018493 U KR 20030018493U KR 200326613 Y1 KR200326613 Y1 KR 20032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rmwork
horizontal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8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승
Original Assignee
오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승 filed Critical 오정승
Priority to KR20-2003-0018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6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일명; 유로폼)의 수평을 조절하고 높이를 조절하며,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바닥면 또는 슬래브(slab) 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 수평판과 고정 수직판으로 형성된‘┗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바닥부재와;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 수평판과 이동 수직판으로 형성된 ‘┏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바닥부재의 고정 수평판에는 바닥면 또는 슬래브 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못을 박을 수 있는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고정 수평판과 고정 수직판으로 형성된 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1지지판과 제 2지지판으로 구성되어 삽입부를 형성한 지지대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의 상부 양측면에는 보강부재의 결합판과 결합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의 삽입부 내측으로는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의 받침 수평판에는 거푸집과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수단을 체결할 수 있는 결합공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받침 수평판의 내측으로는 바닥부재의 지지대의 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판의 양측면은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을 갖고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과 이동 수직판 사이에는 바닥부재의 고정수직판에 삽입되어 보강부재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틈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재의 좌우측면으로는 또 다른 보강부재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장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용이하고, 또한 작업성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지 않아서 바닥면의 마감처리가 깨끗하게 되고, 또한 거푸집과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설치된 면에 있어서도 마감처리가 깨끗이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탈거하면 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The Lemod for adjustment to horizontal one'ns figure}
본 고안은 거푸집(일명; 유로폼)의 수평을 조절하고 높이를 조절하며,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축조하는 데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후 일정시간 동안 경화되어서 축조되는 건축물의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거푸집이 사용되게 된다. 상기 거푸집은 축조하여야 할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서 그 규격이 300*1200, 400*1200, 450*1200, 500*1200, 600*1200 등으로 다양하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를 수직상태로 견고하게 축조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로 양생된 바닥면이나 슬래브(slab) 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양생되는 바닥면이나 슬래브 면은 작업공정의 신속함과 그 다음 단계의 공정으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1mm ~ 3mm 의 편차를 가지고 양생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층고가 2600mm인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슬래브의 두께를 150mm하여 시공되는 바 거푸집의 규격이 600*1200인 것을 2개 상하로 결합하여 벽체의 거푸집을 형성한다고 하더라도 바닥면에서 슬래브가 형성되는 면까지의 높이는 2550mm이므로 건축물의 층고에 비해 50mm가 남게된다. 상기와 같이 바닥면 또는 슬래브 면의 편차나 건축물의 층고에 비해 남게 되는 높이 분의 차이 50±3mm 에 대하여 종래에는 수평목과 얇은 합판 등을 이용하여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거푸집을 수평으로 설치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푸집을 설치할 좌측과 우측으로 수평줄을 설치하여 수평을 맞춘 다음 수평목과 얇은 합판 등을 이용하여 높이와 수평을 맞춘 후 못을 박아서 고정하고, 상기 수평으로 된 수평목 위에 거푸집을 설치 고정함으로써 완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평목과 얇은 합판 등을 이용하여 거푸집의 높이를 조절하고 수평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수평목의 두께가 고르지 못하거나 또는 바닥면의 편차와 층고의 높이 차이 분에 해당하는 두께의 수평목을 얻을 수 없음으로 인해 수평목을 수평으로 유지하거나 층고의 높이 차이 분에 해당되는 높이 만큼 수평목을 높이기 위해서는 얇은 합판을 수평목의 밑으로 2겹 또는 여러 겹을 겹쳐서 군데 둔데 삽입하여야 하는 번거러움과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 수평목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 수평목 밑에괴여진 얇은 합판에 의해서 생긴 틈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되어 마감상태가 좋지 못하여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목재는 물을 먹으면 뒤틀리는 현상이 있어서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발생되는 혼합물의 수분에 의하여 수평목과 합판은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고, 뿐만 아니라 수평목을 바닥면에 고정할 때 수평목에 망치를 이용하여 못을 박거나 뺄 때 수평목이 쪼개어지는 문제점과, 또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수평목에 콘크리트가 붙어 있어서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한번 사용한 수평목과 얇은 합판은 폐기 처리하여야 함으로 인해 환경오염의 문제점이 있었고, 뿐만 아니라 자재의 손실로 인해서 작업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수평판과 고정 수직판으로 형성된‘┗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바닥부재와,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 수평판과 이동 수직판으로 형성된 ‘┏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로 구성된 거푸집 수평조절 레모드를 제공함으로써,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공정을 단순하게 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지 않도록 하여 마감처리를 깨끗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탈거하면 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재활용이 가능한 철판이나 알루미늄판으로 제작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으로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바닥부재와 보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를 90°돌려서 보강부재의 밑면이 보이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일정 높이로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거푸집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7a는 또 다른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의 사시도.
도 7b는 또 다른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정 수평판 2: 고정 수직판
3: 바닥부재 4: 받침 수평판
5: 이동 수직판 6,6′: 보강부재
7,19: 관통공 8,9: 돌출턱
10: 제 1지지판 11: 제 2지지판
12: 삽입부 13: 지지대
14: 결합판 15,21: 장공
16,18: 주름형상 17: 결합공
20: 틈 22: 오홈부
W1, W2: 폭 H1, H2: 높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사시도와, 도 2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바닥부재와 보강부재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와, 도 3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를 90°돌려서 보강부재의 밑면이 보이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 및 도 3의 정면도인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면(30) 또는 슬래브(slab)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 수평판(1)과 고정 수직판(2)으로 형성된‘┗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바닥부재(3)와; 거푸집(40)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 수평판(4)과 이동 수직판(5)으로 형성된 ‘┏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6)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에는 바닥면(30) 또는 슬래브 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못(미기재)을 박을 수 있는 관통공(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평판(1)의 밑면 전후로 바닥부재(3)가 바닥면에 더욱 더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턱(8)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7)이 형성되어 있는 밑면 후측으로도 못을 박을 때 발생될 수 있는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턱(9)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수평판(1)과 고정 수직판(2)으로 형성된 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제 1지지판(10)과 제 2지지판(11)으로 구성되어 삽입부(12)를 형성한 지지대(13)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3)의 상부양측면에는 보강부재(6)의 결합판(14)과 결합되기 위한 장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3)의 삽입부(12) 내측으로는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에는 거푸집(40)과 결합되기 위하여 결합수단을 체결할 수 있는 결합공(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받침 수평판(4)의 내측으로는 바닥부재(3)의 지지대(12)의 삽입부(13)에 삽입되어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14)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판(14)의 양측면은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18)을 갖고 볼트(미기재)와 너트(미기재)에 의하여 결합되기 위한 관통공(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14)과 이동 수직판(5) 사이에는 바닥부재(3)의 고정 수직판(2)에 삽입되어 보강부재(6)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틈(20)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재(6)의 좌우측면으로는 또 다른 보강부재(6′)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장공(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을 바닥면에 고정할 때 못을 바닥부재(3)의 관통공(7)에 원활하게 박을 수 있도록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의 폭(W1)보다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의 폭(W2)을 넓게 형성하고, 뿐만 아니라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에 형성된 관통공(7)이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의 폭(W1)을 지나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과 고정 수직판(2)의 내측에 구비된 지지대(13) 일측은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의 폭(W1)의 끝단부에서 과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의 폭(W2)의 끝단부까지 대각선을 형성하여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7a는 또 다른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의 사시도와 도 7b는 또 다른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보강부재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강부재(6)의 이동 수직판(5)의 일측과 타측에는 옹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누출 방지용 판(미기재)을 끼울 수 있는 요홈부(22)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일정 높이로 올린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와 도 6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거푸집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의 바닥면이나 슬래브 면에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바닥부재의 고정 수평판에 형성된 관통구에 못을 박아서 바닥부재를 고정시키고, 보강부재에 형성된 주름모양의 결합편을 바닥부재의 삽입부의 내측에 형성된 주름모양에 안착시킨 후 수평줄을 이용하여 보강부재의 받침 수평판을 수평으로 맞추고 나서 보강부재의 결합편을 상하로 조절하여 거푸집을 설치할 보강부재의 수평을 조절하고 또한 층고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합편을 상하로 조절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였을 때 층고의 높이가 되도록 보강부재의 받침 수평판의 높이를 조절하고 난 후 바닥부재의 지지대에 형성된 장공과 보강부재의 결합편에 형성된 관통공에 볼트를 넣어서 너트로 체결한 다음 보강부재의 받침 수평판에 거푸집을 설치하면 된다.
거푸집 수평 조절용 레모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거푸집의 수평을 조절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거푸집의 규격에 따라서 300*1200, 400*1200, 450*1200, 500*1200, 600*1200 등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축조하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서 기존 거푸집의 규격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규격보다 큰 것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도 6의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바닥면에 고정되어 거푸집을 수평으로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서 거푸집을 서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위에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의하여 양생되는 바닥면이나 슬래브 면은 1mm ~ 3mm의 편차를 가지고 양생되고, 또한 층고의 높이에 따라서 규격품의 거푸집을 사용하더라도 50mm ~ 120mm의 편차를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한 H1의 높이가 만약 51mm일 때는 H2의 높이는 대략 53mm가 되게 된다. 이때 상기 H1의 높이와 H2의 높이가 서로 수평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의 바닥부재를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보강부재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여 최좌측에는 1mm 상승시키고 최우측에는 3mm 상승시키고 나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된다. 이때 사용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는 바닥부재와 보강부재의 기본 높이는 50mm 이고 보강부재를 상측으로 최대한 올렸을 때 100mm가 되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는 바닥면이나 슬래브 면의 편차와 층고의 높이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거푸집의 수평과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용이하고, 또한 작업성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바닥면으로부터 누출되지 않아서 바닥면의 마감처리가 깨끗하게 되고, 또한 거푸집과 본 고안의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가 설치된 면에 있어서도 마감처리가 깨끗이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축조하고자 하는 건축물을 양생한 후에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를 탈거하면 거푸집을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바닥면(30) 또는 슬래브(slab)면에 고정되기 위하여 고정 수평판(1)과 고정 수직판(2)으로 형성된‘┗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바닥부재(3)와; 거푸집(40)의 수평과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받침 수평판(4)과 이동 수직판(5)으로 형성된 ‘┏ ’자 형상의 절곡부를 갖는 보강부재(6)로 구성된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에는 관통공(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 수평판(1)의 밑면에는 돌출턱(8)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7)이 형성되어 있는 밑면 후측으로도 돌출턱(9)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 수평판(1)과 고정 수직판(2)으로 형성된 절곡부의 내측으로는 삽입부(12)를 형성한 지지대(13)가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3)의 상부 양측면에는 장공(1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13)의 삽입부(12) 내측으로는 세로방향으로 주름형상(16)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에는 결합공(17)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고, 받침 수평판(4)의 내측으로는 결합판(14)이 구비되되 상기 결합판(14)의 양측면은 관통공(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판(14)과 이동 수직판(5) 사이에는 틈(20)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재(6)의 좌우측면으로는 또 다른 보강부재(6′)와 서로 연결되기 위한 장공(2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3)의 고정 수평판(1)의 폭(W2)은 보강부재(6)의 받침 수평판(4)의 폭(W1)보다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6)의 이동 수직판(5)의 일측과 타측에는 옹벽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누출 방지용 판을 끼울 수 있는 요홈부(22)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KR20-2003-0018493U 2003-06-12 2003-06-12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KR200326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493U KR200326613Y1 (ko) 2003-06-12 2003-06-12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8493U KR200326613Y1 (ko) 2003-06-12 2003-06-12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613Y1 true KR200326613Y1 (ko) 2003-09-17

Family

ID=493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493U KR200326613Y1 (ko) 2003-06-12 2003-06-12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6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92Y1 (ko) 2008-04-29 2010-05-24 윤병주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KR101721806B1 (ko) * 2016-07-22 2017-03-30 박순태 시스템 동바리 편심방지 u헤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792Y1 (ko) 2008-04-29 2010-05-24 윤병주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KR101721806B1 (ko) * 2016-07-22 2017-03-30 박순태 시스템 동바리 편심방지 u헤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186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anels
KR200326613Y1 (ko) 거푸집 수평 조절 레모드
JP6770771B1 (ja) 梁底型枠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JP2007217871A (ja) 乾式基礎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98117Y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KR19980053385A (ko) 벽체 슬라브 구축용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CN2439490Y (zh) 插接式活动地板撑架
KR100667161B1 (ko) 거푸집 수평조절구용 받침대
KR200448792Y1 (ko) 조립식 모서리 거푸집
CN2646283Y (zh) 建筑砼柱浇筑木模互紧扣式紧固件
CN219451497U (zh) 一种木胶合板封闭式楼梯施工装置
KR100403239B1 (ko) 건축용 바닥 슬라브 거푸집 패널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200143182Y1 (ko) 건물의 바닥 시공용 수평 조정판
KR200164230Y1 (ko) 콘크리트건축물벽체시공용벽판재하부받침대
KR200163444Y1 (ko) 거푸집용수평지지장치
KR200394597Y1 (ko) 높낮이 조절형 유로폼 받침대
KR200405440Y1 (ko) 콘크리트 천장공사용 패널 받침대
KR200233682Y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JP3356853B2 (ja) 型枠装置
KR200251474Y1 (ko) 일체조립되는 거푸집
KR200409632Y1 (ko) 런너
KR101575201B1 (ko) 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강구조물 시공방법
KR200306755Y1 (ko) 유로폼 패널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