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632Y1 - 런너 - Google Patents
런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9632Y1 KR200409632Y1 KR2020050034222U KR20050034222U KR200409632Y1 KR 200409632 Y1 KR200409632 Y1 KR 200409632Y1 KR 2020050034222 U KR2020050034222 U KR 2020050034222U KR 20050034222 U KR20050034222 U KR 20050034222U KR 200409632 Y1 KR200409632 Y1 KR 20040963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nner
- inverted
- plate
- standing
- standing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런너에 관한 것으로서,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베이스판(20),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의 일단에 기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립판(30), 및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져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에 고정된 역 ㄱ 자형 앵글(40)을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은 상기 기립판(30)에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진 수직부(41),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시 가설되는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의 두께와 합판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상기 기립판(30)의 상단부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는 수평부(42)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수평 베이스판, 기립판, ㄱ 자형 앵글, 수직부, 수평부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콘크리트 건축에서 마루나 천정을 구축하기 위한 보형틀,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 및 합판 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런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런너가 콘크리트 건축에서 적용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때, 콘크리트 기둥이나 콘크리트 측벽 등을 구축하기 위한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에,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를 걸어두기 위한 런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건축에서, 마루나 천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이나 콘크리트 측벽 등을 구축하기 위한 보형틀(1)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에 양단이 걸치게 하여,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를 등간격을 두고서 복수개 수평으로 가설하고, 이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 위에 천정 거푸집(합판)(4)을 부설하고 나서 생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양단을 상기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에 걸치게 하고 나서 합판(4)을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 위에 덮개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과 상기 합판(4) 사이에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이 개재된 관계로, 빈공간(S)이 형성되게 된다.
이 빈공간(S)은 생콘크리트 타설시 생콘크리트의 누설을 야기하여 생콘크리트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또한 원하는 형상으로의 콘크리트 슬라브 구축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빈공간(S)을 잔목 등으로 메우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에게 성가신 작업이어서 작업효율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에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이 걸치고 나서 그 위에 합판(4)을 부설하게 되면, 상기 보측벽 거푸집(1a)과 상기 합판(4) 사이로 생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게 하는 런너를 상기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과 상기 합판(4) 사이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베이스판, 상기 수평 베이스판의 일단에 기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 립판, 및 상기 기립판에 일정 간격 떨어져 상기 수평 베이스판에 고정된 역 ㄱ 자형 앵글을 포함하고 있고, 여기에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은 상기 기립판에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판에 일정 간격 떨어진 수직부,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시 가설되는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의 일단의 두께와 합판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상기 기립판의 상단부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는 수평부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런너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런너를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런너가 부호 10으로서 전체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 런너(10)는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O)과 마주하는 관통구멍(21)을 가지고 있는 수평 베이스판(20),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의 일단에 기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립판(30), 및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져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에 고정된 역 ㄱ 자형 앵글(4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은 상기 기립판(30)에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진 수직부(41),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시 가설되는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의 두께와 합판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상기 기립판(30)의 상단부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는 수평부(42)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런너(10)의 양단에는 상기 런너(10)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양단벽부(50)가 상기 수평 베이스판(20), 상기 기립판(30) 및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각각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양단벽부(50)는 본 실시예의 필수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런너(10)에 의해 지지될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 합판(4) 및 생콘크리트의 하중을 고려하면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런너(10)의 길이방향 길이가 길 경우에, 상기 런너(10)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과 수평 베이스판(20) 사이의 내부공간에 칸막이 벽부(60)가 복수개 배치되어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 및 수평부(42)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런너(10)의 역 ㄱ 자형 앵글(40)이 실지로,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 합판(4) 및 생콘크리트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기립판(30)과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와의 사이의 공간에 철근(70)을 개재시켜 이 철근(70)을 상기 기립판(30) 및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에 고정시키면,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응력을 보강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이 만곡되어 있으면, 이 만곡에 상응하는 만곡도를 가진 만곡부(80)를 상기 수직부(41)와 상기 수평부(42)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일체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가 구비하고 있으면,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을 본 실시예의 런너(10)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것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런너(10)는 콘크리트 건축물의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때, 도 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콘크리트 기둥이나 콘크리트 측벽 등을 구축하기 위한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에 본 실시예의 런너(10)를 장착한다. 이 장착은 상기 런너(10)의 수평 베이스판(20)에 형성된 구멍(21)과 측벽 거푸집(1a)의 상단면에 형성된 관통구멍(O)을 맞춘 다음, 그 구멍에 공지의 쇄기형 편평한 타이(T)를 삽입하여 수행된다.
그 다음,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을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평부(41)에 걸치고 그 타단을 다른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평부(42)에 걸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상기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수평상의 전장에 걸친 복수개의 위치에 수행한다.
이 때,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양단이 만곡되어 있으면, 상기 기립대(30) 및 상기 수직부(41)의 사이의 공간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양단의 만곡부를 그 만곡부에 상응하게 만곡되어 있는 만곡부(80)에 맞닿음 시킨다.
그 다음, 합판(4)을 복수개의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성대들보(3)들 상에 부설하게 되면, 상기 기립판(30)의 상단면과 합판(4)의 윗면이 동일레벨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합판 위와 보형틀에 생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켜 콘크리트 슬라브를 구축한다.
그 다음, 보형틀 및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 그리고 런너를 양생된 콘크리트 슬라브로부터 해체한다.
본 고안에 따른 런너에 의하면, 상기 보측벽 거푸집(1a)과 상기 합판(4) 사이로 생콘크리트가 누설되지 않아, 생콘크리트의 손실을 방지하여, 원하는 형상으로의 콘크리트 슬라브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생콘크리트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잔목의 삽입공정을 배제시켜 작업효율이 증대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5)
- 보형틀의 보측벽 거푸집(1a)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수평 베이스판(20),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의 일단에 기립되어 고정되어 있는 기립판(30), 및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져 상기 수평 베이스판(20)에 고정된 역 ㄱ 자형 앵글(40)을 포함하고 있고,여기에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은 상기 기립판(30)에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기립판(30)에 일정 간격 떨어진 수직부(41), 마루나 천정을 구축할 시 가설되는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의 두께와 합판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상기 기립판(30)의 상단부 레벨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되어 있는 수평부(42)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런너의 양단에는 상기 런너(10)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양단벽부(50)가 상기 수평 베이스판(20), 상기 기립판(30) 및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각각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횡단면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과 수평 베이스판(20) 사이의 내부공간에 칸막이 벽부(60)가 복수개 배치되어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 및 수평부(42)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판(30)과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와의 사이의 공간에 철근(70)이 개재되어 상기 기립판(30) 및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의 수직부(41)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브 구축용 가설대들보(3)의 일단의 만곡에 상응하는 만곡도를 가진 만곡부(80)를 상기 수직부(41)와 상기 수평부(42)와의 사이에 개재시켜 일체로 상기 역 ㄱ 자형 앵글(40)가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222U KR200409632Y1 (ko) | 2005-12-05 | 2005-12-05 | 런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34222U KR200409632Y1 (ko) | 2005-12-05 | 2005-12-05 | 런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9632Y1 true KR200409632Y1 (ko) | 2006-02-24 |
Family
ID=4175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34222U KR200409632Y1 (ko) | 2005-12-05 | 2005-12-05 | 런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9632Y1 (ko) |
-
2005
- 2005-12-05 KR KR2020050034222U patent/KR20040963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0238B1 (ko) |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 |
KR20180045140A (ko) |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 |
KR200481707Y1 (ko) |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 |
JP2019526004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 |
KR100893765B1 (ko) |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 |
KR19980702605A (ko) | 현가 플로어의 건축 방법 | |
KR20090083615A (ko) | 에이치빔 및 그 에이치빔을 이용한 철골구조 건축물의시공방법 | |
KR100949785B1 (ko) | 피씨 보 제작용 몰드 | |
KR100923564B1 (ko) | 스틸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교량 바닥판과 그 시공방법 및 구조 | |
KR100750997B1 (ko) |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 |
KR101828341B1 (ko) | 판형벽체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 |
US4228625A (en) | Construction system | |
KR200409632Y1 (ko) | 런너 | |
KR101880813B1 (ko) |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
JP3945668B2 (ja) |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 |
KR20100057293A (ko) | 슬라이드 폼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의 연속 타설방법 | |
JP3701078B2 (ja) | 道路床版工法 | |
KR200414945Y1 (ko) |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 |
KR200477823Y1 (ko) |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용 필러폼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연결구조 | |
KR101078292B1 (ko) | 슬래브 거푸집 조립체 및 슬래브 시공 방법 | |
JPH1129910A (ja) | コンクリート橋脚の構築方法 | |
KR200303949Y1 (ko) |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 |
KR102207334B1 (ko) | 유로폼의 타이 홀 고정용 브라켓 | |
CN218138763U (zh) | 倒角建筑结构用浇筑模具 | |
KR0145358B1 (ko) |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