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173B1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173B1
KR101206173B1 KR1020067012639A KR20067012639A KR101206173B1 KR 101206173 B1 KR101206173 B1 KR 101206173B1 KR 1020067012639 A KR1020067012639 A KR 1020067012639A KR 20067012639 A KR20067012639 A KR 20067012639A KR 101206173 B1 KR101206173 B1 KR 10120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ody fluid
sheet body
interlabial pad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3387A (ko
Inventor
사토시 미즈타니
와타루 요시마사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20Tampons, e.g. catamenial tampo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부위에서 체액을 직접 흡수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체액 누설을 저감한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체액 흡수능을 갖는 음순간 패드(20)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20)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질구 및/또는 요도구에 접촉하는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을 갖추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에는, 배출된 체액을 바로 흡수하는 체액 흡수능 및 흡수한 체액을 유지하는 체액 유지능이 높아진 고흡수 유지 영역(30)을 갖는 것으로 했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INTER-LABIAL PAD}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 사이에 장착되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히는, 체액 누설 방지 효과가 높은 쾌적한 착용감을 갖는 구성의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 여성의 음순에 끼워 사용되는 음순간 패드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그 일부를 끼움으로써 장착되기 때문에, 생리대에 비해서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고, 경혈 등의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질 내에 삽입되는 탐폰에 비하여, 장착시의 심리 저항이 낮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으로, 음순간 패드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질구로부터 흘러나오는 체액을 직접 흡수하는 것이지만, 생리대보다도 크기가 작기 때문에, 크기를 바꾸지 않고서 체액 누설을 막는다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체액 누설을 생기게 하기 어려운 음순간 패드가 검토되어 왔다(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피복체의 음순과 접하는 면과 반대측의 면의 긴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대략 타원 형상의 것이다. 이 때문에 착용자는, 돌출부를 잡고서 음순 안으로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 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흡수체 위에 긴 길이 방향의 측부를 따라서 체액 저장용의 흡수층을 더 설치한 것이다. 이 체액 저장층에 의해서 음순과 음순간 패드의 간극으로부터 체액이 새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표 평11-50034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표 2002-534162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음순간 패드는, 모두 체액의 배출 상태를 고려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체액이 새어 나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체액의 배출 상태에 알맞은 샘 방지 효과가 높은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음순간 패드의 체액이 흘러나오는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체액 흡수능 및 체액 유지능을 높임으로써, 체액이 넓게 번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체액 흡수능을 갖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일부 또는 전부가 끼워져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 있어서, 질구 및/또는 요도구에 접촉하는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을 구비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에는 배출된 체액을 바로 흡수하는 체액 흡수능 및 흡수한 체액을 유지하는 체액 유지능이 높아진 고흡수 유지 영역을 갖는 음순간 패드.
(1)의 발명에 의하면, 체액이 배출되는 부위나 그 주변 부분에, 체액 흡수능 및 체액 유지능이 높은, 고흡수 유지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잇달아 배출되는 체액을 직접, 또한 신속하게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음순간 패드와 같이 체액을 흡수하여 포화 상태(오버플로우)가 되어, 체액이 착용자의 음열간이나 음순간 패드의 표면을 흐르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생리대와 달리, 전체에 체액(경혈)이 확산되어 버린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를 제거할 때에, 체액이 손에 묻어 위생적이라고 할 수 없다. 이 점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질구 등에 접촉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된 체액을 바로 집중적으로 흡수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사태를 피할 수 있다.
여기서,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이란 질구 및/또는 요도구와 접촉하는 부분 및 이들의 주변 부분이며, 질구 또는 요도구의 어느 하나 또는 양방, 혹은 적어도 질구 또는 요도구의 어느 한 쪽과 그 주변 부분의 모두가 포함되는 영역이다. 예컨대, 질구 및 그 주변 영역에 고흡수 유지 영역을 형성한 경우에는, 생리용 또는 질 분비물의 흡수용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어떠한 형상의 음순간 패드라도, 체액이 배출되는 영역에 고흡수 유지 영역을 갖는 것이라면, 본 발명에 포함되게 된다.
(2) 상기 음순간 패드는,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체를 갖는 것으로, 상기 고흡수 유지 영역은, 상기 흡수체가 적층되어 있는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2)의 발명에 따르면, 고흡수 유지 영역을 흡수체가 2개 이상 적층된 것으로 함으로써, 흡수체의 평량 및 밀도가 높아져, 체액의 흡수능 및 유지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수체를 복수 적층시킴으로써, 고흡수 유지 영역의 두께만을 늘릴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장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질구나 요도구에 포인트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3) 상기 음순간 패드는, 각각이 체액 흡수능을 갖는 제1 시트체 및 제2 시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트체는 장착 상태에 있어서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 및 그 반대측의 면인 이면 시트를 구비하고,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을 갖는 실질적으로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고흡수 유지 영역에는 상기 표면 시트 또는 상기 이면 시트에 상기 제2 시트체를 구비하는 것인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제1, 제2의 시트체는 각각 예컨대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를 구비하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 사이에 흡수체를 갖추고 있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고흡수 유지 영역에 있어서 시트체가 이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흡수 유지 영역의 습윤성이나 이나 클렘 흡수성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높아진다. 또한, 고흡수 유지 영역에 있어서, 예컨대, 제2 시트체는 제1 시트체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시트체의 일부가 제1 시트체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2 시트체는 흡수한 체액을 제1 시트체에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시트체는 체액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체액 흡수능을 갖고 있고, 또한, 흡수한 체액이 아래쪽으로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제1 시트의 이면 시트는 액체 난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시트체와 제1 시트체 사이에 자신의 손가락을 넣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제2 시트체는 제1 시트체의 아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적어도 제2 시트체의 일부가 제1 시트체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2 시트체가 위치하는 제1 시트체의 부분은, 흡수한 체액을 제2 시트체에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체가 위치하지 않는 제1 시트체의 부분은 흡수한 체액이 아래쪽으로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게 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그 부분의 이면 시트가 액체 난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체는, 제1 시트체로부터 투과된 체액, 혹은 그 이 밖에서부터의 체액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체액 흡수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한 체액이 아래쪽으로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이면 시트가 액체 난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시트체와 제1 시트체 사이에 자신의 손가락을 넣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4) 음순 사이에 일부 또는 전부를 끼워 장착되며, 체액을 흡수하는 음순간 패드의 조정 방법으로서, 장착 상태에 있어서, 체액 흡수능 및 체액 유지능이 높은 고흡수 유지 영역을 갖추고, 상기 고흡수 유지 영역의 위치 및 흡수능을 조정하여, 질 분비물 흡수용 또는 요실금용의 것으로 하는 방법.
(4)의 발명에 의하면, 고흡수 유지 영역의 위치 및 흡수능을 조정함으로써, 음순간 패드를,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경혈 이외에도 질 분비물 흡수용이나, 요도구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흡수하기 위한 요실금용으로 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순간 패드의 체액이 유출되는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체액 흡수능 및 체액 유지능을 높임으로써, 체액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음열간이나 음순간 패드 표면을 체액이 흐르는 것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체액이 새거나, 제거할 때에 손을 더럽히거나 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 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경예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6(b)는 상기 변경예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c)는 상기 변경예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2 : 음순 14 : 질구
16 : 요도구 18 : 음핵
19 : 전정상 20, 20A~D : 음순간 패드
22, 22A, 22B : 흡수체 23 : 제2 흡수체
24 : 시트체 24A : 표면 시트
24B : 이면 시트 26A~C : 제1 시트체
27A~C : 제2 시트체 28 : 미니 시트
30, 30A~D : 고흡수 유지 영역 32 : 측단부
34 : 슬릿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한다.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는, 20대에서부터 50대 여성의 평균치를 참고로 작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BMI치 21(=체중 kg/(신장m)2), 직립 상태의 가랑이내 간격 35 cm, 음순 전방 교연 60 mm, 음핵 38 mm, 질구 34 mm, 항문 50 mm 이다. 이들의 값은 신체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각 부위(음핵 전방 교연, 음핵 등)에서 수평선을 그려, 수평선과 교차하는 서경부의 가장 깊은 지점끼리의 총 거리를 측정했다.
[제1 실시형태]
<전체 구조>
처음에,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기본적인 전체 구조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이하, 패드로 한다)(2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로 긴 형상이며, 바로 위에서 보면 Y축을 장경으로 하고, X축을 단경으로 하는(중앙이 잘록한) 대략 표주박 형상을 하고 있다. 그리고 패드(20)의 일부에는, 고흡수 유지 영역(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패드(20)의 형상은 타원형,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 여성의 음순에 적합한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패드(20)는, 긴 길이 방향 중앙선을 접음축으로 하여 둘로 접어 구부려 사용하는 타입의 것이지만, 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드(20)의 외형의 총 치수는 긴 길이 방향 50~180 mm이 바람직하고, 80~120 mm 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은 30~100 mm이 바람직하고, 50~80 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는 패드(2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패드(20)는 착용자의 음순(12)에 끼워져 있으며, 패드(20)의 고흡수 유지 영역(30)은 질구(14)와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질구(14)로부터 배출된 경혈을 집중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고흡수 유지 영역(30)의 긴 길이 방향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자극에 대하여 민감한 음핵(18)을 포함하는 전정상(19)의 앞쪽에는 설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패드(20)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패드(20)는 흡수체(22)와 이 흡수체(22)를 피복하는 시트체(24)를 갖추고 있다. 각각의 부재는 풀이나 시일로 고정되어 있다. 한편, 시트체(24)의 착용자의 음순에 접촉하는 부분(이하, 표면 시트(24A)라 함)은 체액을 투과하는 액체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착용자의 음순에 접촉하지 않는 부분(이하, 이면 시트(24B)라 함)은 체액을 투과하지 않는 액체 난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체 난투과성 재료로서는, 수지와 무기 필러의 혼합물에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 필름, 10~30%의 개공을 갖고 구멍 직경이 0.1~0.6 mm의 범위에서 모세관을 흡수체(22)로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액체 차단 시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 15~60 μm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젖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또는 부직포, 종이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 재료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여, 10~30%의 개공을 갖고, 구멍 직경이 0.1~0.6 mm, 평량 15~35 g/m2의 범위에서 조정한 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예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루에어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에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져 있더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섬유 사이 거리가 매우 작은 멜트블로운을 포함하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의 3층 구성(SMS)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층의 평량은 5~15 g/m2, 1~10 g/m2, 5~10 g/m2의 범위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1에 기재한 패드(20)의 B-B' 단면, 즉, 고흡수 유지 영역(3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고흡수 유지 영역(30)은 흡수체(22)와 흡수체(22) 위에 겹쳐진 제2 흡수체(23)로 이루어진다. 제2 흡수체(23)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긴 길이 방향은 5~180 mm이며, 특히 10~10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짧은 길이 방향은 5~100 mm이며, 특히 10~8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2~10 mm, 특히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2 흡수체(23)가 음열에 보다 진입하기 쉽도록, 단면 형상은 샤프한 볼록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면 형상이 샤프하다는 것은, 제2 흡수체(23)의 외관 높이가 외관의 짧은 길이 치수보다도 높은 것을 말한다. 여기서, 외관 치수란, 양단부끼리를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의 최단 거리 치수를 말한다.
또한, 제2 흡수체(23)는 시트체(24)로부터의 경혈 누설을 고려하면 시트체(24)의 이면 시트(24B)보다도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제2 흡수체(23)의 총 치수는 긴 길이 방향이 10~50 mm의 범위이며, 짧은 길이 방향이 10~5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관의 높이는 3~30 mm의 범위이며, 1~20 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체는 2장 이용하고 있는데, 흡수체의 적층 패턴을 변화시켜 1장으로 이용하더라도 좋지만 2장 이상 이용하여 겹쳐도 좋다. 또한, 제2 흡수체(23)의 평면 형상은 사각, 삼각, 타원, 역삼각, 물방울형 등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후방으로 뻗어갈수록 짧은 길이 치수가 좁아지는 물방울형 등은 음순 형상에 따르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흡수체>
이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흡수체(22) 및 제2 흡수체(23)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흡수체(22) 및 제2 흡수체(23)는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합성 섬유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부피가 크고, 형태 붕괴가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섬도 1.1~6.6 dtex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레이온을 95~60%의 혼합비로 적층한 섬유를,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한 평량 50~500 g/m2, 1~20 mm의 부피를 갖는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흡수체(22) 및 제2 흡수체(23)의 제법은, 에어레이드법, 멜트블로운법, 스펀레이스법, 초지법 등에 의해 시트화된 것을 니들링이나 도트형, 격자형 등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더라도 좋다. 한편, 엠보스 면적율은 O.3~6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체>
이어서, 시트체(24)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한편, 시트체(24)는 표면 시트(24A) 및 이면 시트(24B)를 포함하는 것이다.
표면 시트(24A)는 투수성이며 또한 액체 친수성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소재가 사용된다. 이러한 것으로서는, 포인트본드, 에어스루 등의 제조 방법으로 얻어지는 부직포를 단독으로 이용한 재료 또는 이들을 복합한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중, 착용자가 음순간 패드와 음순 내벽과의 사이에 어긋남이 생겨 이물감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음순 내벽과의 친화성을 고려하여, 적어도 셀룰로오스계의 액체 친수성 섬유를 주체로 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천연 코튼 5~30%,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를 70~95%의 비율로 혼합한 섬유를, 평량 20~50 g/m2의 범위에서 조정한 후, 수류 교락에 의해 섬유끼리를 교락시키고 건조시켜, 두께를 0.3~1.0 mm의 범위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때에 사용하는 사(絲)의 질은, 천연 코튼이라면 섬유 길이가 25~51 mm의 범위, 레이온 또는 아세테이트라면 섬유 길이 15~60 mm의 범위에서, 섬도 1.1~6.6 dtex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또한, 투과 구멍을 갖는 필름이나, 섬유층에 필름이 라미네이트 가공되어, 투과 구멍을 갖는 것이라도 좋다.
표면 시트(24A)의 체액 배출구와 접촉하는 영역(이하, 체액 배설구 접촉 영역이라고 함)에 있어서는, 체액의 투과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섬유 사이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밀도를 작게 하거나, 투과 구멍을 형성하는 것,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구체적인 개공 필름의 예로서는, 체액 배설구 접촉 영역의 개공 직경은 0.2~5 mm, 피치는 0.2~10 mm, 개공 면적율은 10~50%의 범위이며, 그 주변 영역의 개공 직경은 0.05~3 mm, 피치는 0.2~10 mm, 개공 면적율은 3~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법으로서는, 미리 개공 조건을 변화시킨 패턴 드럼에 필름을 통지(通紙)하여, 석션 흡인함으로써 개공하는 소위 PFW나, 균일한 개공 조건을 갖는 PFW로 형성한 전정상 접촉 영역에 핀 엠보스 가공에 의해서 개공을 더욱 부가한 것이라도 좋다. 개공의 배열은 지그재그형, 격자형, 물결형 등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개공의 형상은 환형, 타원형, 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공부의 주변에 밸브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외압이 가해지더라도 개공이 밸브로 막히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 특히 체액 배설구 접촉 영역의 개공부의 밸브의 높이는 다른 주변 영역의 밸브의 높이보다도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24B)는 흡수체에 유지된 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체 난투과성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장착시의 후끈함을 저감시킬 수 있어, 장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액체 난투과성 재료로서는, 두께 15~60 μm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젖산, 폴리부틸숙시네이트 또는 부직포, 종이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 재료를 들 수 있다. 또한, 무기 필러를 충전시켜 연신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통기성 필름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여, 10 ~30%의 개공을 갖고, 구멍 직경이 0.1~0.6 mm, 평량 15~35 g/m2의 범위로 조정한 필름을 들 수 있다. 부직포의 예로서는, 스펀본드 부직포나,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루에어 부직포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에 발수 처리가 실시되어져 있더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극세 섬유로 구성되어, 섬유 사이 거리가 매우 작은 멜트블로운을 포함하는 SMS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평량은 5~15 g/m2, 1~10 g/m2, 5~10 g/m2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면 시트(24B)에는 미니 시트(28)를 부착하여 장착할 때에 착용자가 미니 시트(28)와 이면 시트(24B)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장착하기 쉽게 하더라도 좋다.
<미니 시트>
미니 시트(28)에는 상술한 표면 시트(24A)나 이면 시트(24B)와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장성 혹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를 미니 시트(28)에 사용함으로써, 착용자의 손가락의 굵기에 따라서 미니 시트(28)가 짧은 길이 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다. 이하에 신장성 혹은 신축성을 갖는 소재의 일례를 들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공중합체(SIS), 우레탄 등의 합성 고무, 비정질 올레핀계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개공 폼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코어 성분이 고융점이고 시스 성분이 저융점 성분으로 구성된 열 수축성을 갖는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P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P/PP 등의 복합 합성 섬유를 원재료로 하여, 수류 교락시킨 스펀레이스 부직포, 열 수축을 촉진시킨 슈링크 타입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신장성을 부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단락선, 원형으로 오려내는 등의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22), 제2 흡수체(23) 및 시트체(24), 미니 시트(28)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더라도 좋다.
<점착제>
점착제로서는, 수성 고분자, 가교제, 가소제, 수분을 포함하는 겔 점착제 등, 다종 다양한 접착제를 들 수 있지만, 도포 안정성을 고려하면, 감압형 핫멜트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포 안정성이 높은 감압형 핫멜트 점착제로서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를 15~25 질량%, 가소제를 15~35 질량%, 점착 부여제를 40~70 질량%로 용융 혼합한 것을 들 수 있다. 이 감압형 핫멜트 점착제에는 산화방지제, 형광방지제 등을 0.1~1.0 질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더라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20A)는 고흡수 유지 영역(30A)에서 시트체가 이중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고흡수 유지 영역(30A)은 각각이 체액 흡수능을 갖는 제1 시트체(26A) 및 제2 시트체(27A)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 시트체(26A)는 흡수체(22A)를 포함하고 제1 실시형태의 시트체(24)와 같은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시트체(27A)는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체와 그것을 포장하는 시트의 복합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신체로부터 일단 체액을 몰수하여 그것을 제1 시트체(26A)로 용이하게 투과할 수 있는 액체 투과성의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흡수체를 포장하는 시트는 액체 투과성의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좋고, 이면이 액체 난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라도 좋다. 후자의 경우는, 제2 시트체는 매우 유연성이 높기 때문에, 음순과의 추종성이나 밀착성이 매우 높아진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드(20A)의 고흡수 유지 영역(30A)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시트체(27A)는 제1 시트체(26A)의, 신체에 접하는 면 위에 형성되고 있다. 제2 시트체(27A)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1 시트체(26A)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여도 좋지만, 제1 시트체(26A)로부터의 경혈 누설을 고려하면 제1 시트체의 이면 시트보다도 작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시트체(27A)는 제1 시트체(26A)와 접촉하는 면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으면 되며, 예컨대 측단부(32)가 제1 시트체(26A)에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이로써 제2 시트체(27A)가 착용자의 음순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1 시트체(26A)와 제2 시트체(27A)의 위치가 반대인 예를 들 수 있다. 도 6(a)~도 6(c)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음순간 패드(20B)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는 제1 시트체(26B)와 제2 시트체(27B)의 위치를 적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위아래를 장착시와 반대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체(7B)가 제1 시트체(26B)의 아 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2 시트체(27B)가 적층되어 있는 제1 시트체(26B)의 부분은, 흡수한 체액을 제2 시트체(27B)로 투과하는 액체 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24A)나, 이면 시트(24B)에 관해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면 중 수직 방향(H축 방향)이 착용자의 신체에 접하는 신체면측이다.
한편, 제2 시트체(27B)가 적층되어 있지 않은 제1 시트체(26B)의 부분은, 흡수한 체액이 아래쪽으로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지 않기 위해서, 이면 시트가 액체 난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의 도 1에 도시한 것이다. 또한 다른 예로서는, 두께를 0.3~1.0 mm의 범위에서 조정한 스펀레이스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흡수체의 이면 전면을 덮는 이면 시트를 갖추고, 제2 시트체(27B)가 위치하지 않는 영역에는 라미네이트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패드(20B)의 고흡수능 영역(30B)의 단면(C-C' 단면)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시트체(26B) 및 제2 시트체(27B)를 포함한다. 제1 시트체(26B)는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체(22B)와, 그것을 포장하는 시트를 포함한다. 흡수체를 포장하는 시트는 액체 투과성의 재료만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좋고, 이면이 불투과성 재료로 만들어진 시트라도 좋지만, 제2 시트체(27B)가 형성되어 있는 제1 시트체(26B)에는 흡수한 체액을 제2 시트체(27B)로 투과하는 액체 투과능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시트체(27B)가 위치하지 않는 제1 시트체(26B)에는(D-D' 단면), 흡수한 체액이 아래쪽으로 실질적으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이면 시트가 액체 난투과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20C)는 제2 시트체(27C)와 제1 시트체(26C)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드(20C)의 고흡수 유지 영역(30C)을 둘로 접어 겹쳤을 때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시트체(27C)는 제1 시트체(26C) 위에 형성되고 있지만, 제2 시트체(27C)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를, 제2 실시형태의 그것보다도 길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시트체(26C)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다. 착용자는 이 간극에 자신의 손가락을 넣고 패드(20C)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2 시트체(27C)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 또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단락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20D)는 고흡수 유지 영역(30D)에 슬릿(34)이 형성된 것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드(20D)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고흡수 유지 영역(30C)에는 슬릿(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슬릿(34)에 도달한 체액의 모세관 현상에 의한 확산이 방지된다. 또한, 이 슬릿(34)의 형상은 특별히 상관은 없지만, 긴 길이 방향과 짧은 길이 방향으로 넣음으로써, 패드(20D)에 가요성을 부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음순과의 추종성이나 밀착성이 향상된다. 한편, 이 슬릿(34)은 실시형태 1~3의 패드의 고흡수 유지 영역에 형성하더라 도 좋다.
[제5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그 구성 부재의 소재가 생분해성, 수분산성 및 수용성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음순간 패드는, 사용한 후에 그대로 화장실에 떨어트려 흘려 버릴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드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의 패드(20)와 같은 식의 것을 이용하며,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생분해성」이란, 미생물의 존재 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분해되는 것을 말하며,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서,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서는 섬유끼리가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특히 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서는 용해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표면 시트>
표면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스펀레이스 부직포 외에, 섬유 길이가 1~15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습식 스펀레이스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재료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가수분해에 의한 생분해성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폴리젖산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는 평량이 20~60 g/m2의 범위에서 조정된 멜트블로운 부직포나 평량이 15~30 g/m2의 범위, 섬유 도가 1.1~3.3 dtex의 범위에서 조정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한편, 각 부직포 재료에는 개공 처리를 실시하더라도 하지 않더라도 좋다.
<흡수체 및 제2 흡수체>
흡수체 등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니들링으로 얻어지는 부직포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고분자 흡수 재료의 생분해성 등을 고려하면, 카르복시셀룰로오스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면 시트>
이면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 필름, PVA 필름의 한면 혹은 양면 혹은 부분적으로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 처리를 실시한 필름 시트, 전분 필름, 폴리젖산 또는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가수분해에 의한 생분해성 수지를 원료로 한 필름, 및 티슈 등과의 라미네이트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무기 안료를 0.1~5%의 범위에서 혼합하여 착색을 하더라도 좋다.
<미니 시트>
미니 시트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생분해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블로운 부직포 등, 또는 PVA, CMC 등의 수용성 재료를 원료로 한 필름, 부직포 등, 및 셀룰로오스 섬유,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등을 주체로 한 수분산성 티슈, 스펀레이스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분해성 재료를 주체로 한 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로서, 섬도가 0.1~3.3 dtex의 범위, 평량이 15~40 g/m2의 범위로 조정된 시트로서, 콜게이트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니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음순간 패드의 체액이 흘러나오는 부위와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 체액 흡수능 및 체액 유지능을 높임으로써, 체액을 넓게 번지게 하는 일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체액 흡수능을 갖는 음순간 패드로서,
    각각 체액 흡수능을 갖는 제1 시트체 및 제2 시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트체는, 장착 상태에서 신체에 접촉하는 표면 시트, 그 반대측의 면인 이면 시트, 상기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는 것이고,
    상기 제2 시트체는, 상기 제1 시트체의 긴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질구에 접촉하는 체액 배출구 접촉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시트체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1 시트체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와 동일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시트체의 측단부는 상기 제1 시트체의 측단부의 근방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시트체는 상기 제2 시트체의 측단부를 제외한 영역에서는 상기 제1 시트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서,
    상기 장착 상태에서 상기 제1 시트체의 긴 길이 방향의 중앙선을 접음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시트체와 제2 시트체가 함께 둘로 접히는 형태의 음순간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67012639A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KR101206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1091 2003-12-09
JP2003411091 2003-12-09
PCT/JP2004/018277 WO2005055903A1 (ja) 2003-12-09 2004-12-08 陰唇間パ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387A KR20060123387A (ko) 2006-12-01
KR101206173B1 true KR101206173B1 (ko) 2012-11-29

Family

ID=34674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2639A KR101206173B1 (ko) 2003-12-09 2004-12-08 음순간 패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87621B2 (ko)
EP (1) EP1693031A4 (ko)
JP (1) JP4939056B2 (ko)
KR (1) KR101206173B1 (ko)
CN (1) CN100528115C (ko)
TW (1) TWI348903B (ko)
WO (1) WO2005055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7587B2 (ja) * 2005-09-30 2011-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953611B2 (ja) * 2005-10-04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646230B2 (ja) * 2005-10-19 2011-03-09 花王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5737680B1 (ja) * 2014-02-28 2015-06-17 メルシィ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凸状吸収体を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と専用サニタリーショーツ
GB201505516D0 (en) 2015-03-31 2015-05-13 Ge Healthcare Uk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iological sample collectors and handl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31B1 (ko) 1992-11-13 2000-05-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인터래비얼 위생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1000474A (ja) 1999-05-12 2001-01-09 Mcneil Ppc Inc 吸収性の陰唇間用物品
WO2002094156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WO2002094147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208A (en) * 1991-01-10 1994-08-09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US5672165A (en) * 1992-10-19 1997-09-30 Belecky; June Marian Menstrual hygiene product
US5873869A (en) * 1995-03-02 1999-0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oam absorbent structure providing improved menses acquisition and fit
JP3461510B2 (ja) 1995-11-22 2003-10-27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水分散性でフラッシュ可能な吸収製品
US6183456B1 (en) * 1997-06-1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183587B1 (en) * 1997-11-2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EP1016389A1 (en) * 1998-12-30 2000-07-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dimension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an absorbent core having special fluid handling properties
US6613955B1 (en) * 1999-10-01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s with wicking barrier cuffs
WO2002094161A1 (en)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al pad and package thereof
WO2002094158A1 (fr) *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KR100797492B1 (ko) 2001-05-22 2008-01-24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931B1 (ko) 1992-11-13 2000-05-15 로날드 디. 맥크레이 인터래비얼 위생 패드 및 그 제조방법
JP2001000474A (ja) 1999-05-12 2001-01-09 Mcneil Ppc Inc 吸収性の陰唇間用物品
WO2002094156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WO2002094147A1 (fr) 2001-05-22 2002-11-28 Uni-Charm Corporation Serviette interlabia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3031A1 (en) 2006-08-23
US7387621B2 (en) 2008-06-17
KR20060123387A (ko) 2006-12-01
TWI348903B (en) 2011-09-21
TW200520738A (en) 2005-07-01
CN1889909A (zh) 2007-01-03
JP4939056B2 (ja) 2012-05-23
WO2005055903A1 (ja) 2005-06-23
JPWO2005055903A1 (ja) 2007-07-05
US20050137558A1 (en) 2005-06-23
CN100528115C (zh) 2009-08-19
EP1693031A4 (en) 2010-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303B1 (ko) 흡수성 물품용 보조 시트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US7307197B2 (en) Interlabial pad having a labial-following layer
JP2014532525A (ja) 二重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050083796A (ko) 흡수성 제품용 반-소수성 커버
EP1407742B1 (en) Interlabial pad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KR100797492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101013921B1 (ko) 표면측 시트 및 음순간 패드
US7354425B2 (en) Interlabial pad
JP4976066B2 (ja) 吸収性物品
KR101206173B1 (ko) 음순간 패드
JP2008006204A5 (ko)
KR100797491B1 (ko) 음순간 패드
KR20050103934A (ko) 음순간 패드 및 음순간 패드의 개별 포장체
JP5080049B2 (ja) シート部材、吸収性物品、陰唇間パッドおよび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JP5039731B2 (ja) 陰唇間パッド
JP4671865B2 (ja) 陰唇間パッド
JP5058543B2 (ja) 補助吸収性物品
JP2004016307A (ja) 生理用ナプキン
JP2002000655A (ja) 体液吸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