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90B1 -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90B1
KR101204790B1 KR1020050129123A KR20050129123A KR101204790B1 KR 101204790 B1 KR101204790 B1 KR 101204790B1 KR 1020050129123 A KR1020050129123 A KR 1020050129123A KR 20050129123 A KR20050129123 A KR 20050129123A KR 101204790 B1 KR101204790 B1 KR 10120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tray
unit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555A (ko
Inventor
우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90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65H31/3063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by special supports like carriages, containers, trays, compartments, plates or bars, e.g. moved in a closed lo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1/00Means for control to be used by operator; User interfaces
    • B65H2551/20Display means; Information outpu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ile Receiver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 유니트에서 배출되는 기록 매체가 배지 트레이에 적재되고 배지 트레이는 절환 수단에 의하여 제1 및 제2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므로, 스캐닝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의 사이에 위치한 배지부에서 기록 매체를 간편하게 꺼낼 수 있어 편의성과 사무 능률이 향상되며, 배지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Description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paper discharging tr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지 트레이가 제1 위치로 절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지 트레이가 제2 위치로 절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화상형성장치 본체 102...로커 가이드(locker guide)
110...급지 카세트(cassette) 300...배지 트레이(tray)
310...배지부 320...해제 버튼(button)
321...버튼 스프링(button spring) 322...버튼 스프링 체결부
323...캠 샤프트(cam shaft) 350...로커(locker)
351...로커 스프링 353...경사 캠
355...로커 홈 360...인장 스프링
365...스프링 홈 390...원고 가이드
P...기록 매체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측에 스캐닝 유니트가 장착되고 그 하측에 인쇄 유니트가 장착되어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합기 등의 통칭이며, 기록 매체는 종이, 인화지, OHP필름 등을 일컫는 말이다. 복합기는 스캐닝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를 포함한다. 스캐닝 유니트는 원고에 광을 주사하여 원고면에 인쇄된 화상을 독취한다. 인쇄 유니트는 컴퓨터에서 입력된 인쇄 데이터에 따라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한다.
인쇄 유니트에서 인쇄 완료된 기록 매체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배지부에 적재된다. 스캐닝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가 복합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스캐닝 유니트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상측에 위치하고 그 아래에 인쇄 유니트가 위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배지부는 스캐닝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 사이의 빈 공간에 마련되며, 인쇄 완료된 기록 매체는 이 공간 내부에 마련된 배지부로 배출된다.
사용자는 인쇄된 기록 매체를 꺼내기 위하여 배지부에 접근해야 한다. 이때, 크기가 큰 복합기의 경우 허리를 굽혀야 배지부에 접근할 수 있고, 크기가 작은 복합기의 경우 좁은 공간 내부에 손을 깊숙이 집어 넣어야 배지부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위치에 배치된 배지부는 그 전후 좌우가 대체로 폐쇄된다. 때로는, 사용자가 머리를 숙여 배지부를 들여다 보며 기록 매체를 제대로 꺼냈는지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 이러한 작업 환경은 사용자 편의성이나 사무 능률을 떨어뜨린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지부가 점유하는 공간을 무턱대고 증가시킨다면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가 방해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배지부에 적재된 기록 매체를 간편하게 꺼낼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나 사무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컴팩트(compact)한 크기로 설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유니트;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
상기 스캐닝 유니트 및 상기 인쇄 유니트 사이의 공간 내부에 마련되며, 화상이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배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제1 위치 및 수납된 상기 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배지 트레이;
삭제
상기 배지 트레이의 위치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로 절환시키는 절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상기 배지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나머지 위치에서 상기 배지 트레이를 로킹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호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지 트레이에 마련되는 로커 홈과 상기 배지부에 마련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로킹 부재는,
손으로 눌러지면 상기 로킹을 해제하여 상기 배지 트레이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지 트레이는,
상기 기록 매체의 배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배지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 유니트에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으며, 동일한 발명의 범위내 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아울러,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함께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인쇄 유니트, 스캐닝 유니트가 도시된다. 도시된 전자사진방식 인쇄 유니트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 도시되지 않은 잉크젯 방식이나 염료 승화 방식 인쇄 유니트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도시된 인쇄 유니트는 광주사 유니트(180), 현상 카트리지(140), 정착기(160), 급지 카세트(110)를 포함한다. x축 방향은 기록 매체(P)가 배출되는 방향이다.
광주사 유니트(180)는 화상 정보에 대응되는 광을 감광체(142)에 주사하여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주사 유니트(180)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광원과, 광원에서 조사된 레이저빔을 편향시키는 빔편향기를 포함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시된 현상 카트리지(140)는 그 내부에 대전롤러(141), 감광체(142), 현상롤러(143), 공급롤러(144), 교반기(145), 토너 저장부(146)를 구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감광체(142) 및 대전롤러(141)가 현상 카트리지(140)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토너 저장부(146)는 토너를 저장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토너 저장부(146)에 저장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현상 카트리지(140)는 x축 음의 방향으로 핸들(147)을 밀면 화상형성장치 본 체(101)에 장착되고, x축 양의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핸들(147)을 당기면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서 분리된다.
감광체(142)는 그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되며, 원통 드럼의 외주 면에 증착 등의 방법으로 광도전성 물질층이 코팅된다. 감광체(142)는 대전롤러(141)에 의하여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광주사 유니트(180)에서 조사된 광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 잠상이 그 외주면에 형성된다.
현상롤러(143)는 그 표면에 고체 분말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으며, 이들 토너를 감광체(142)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하여 토너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롤러(143)에는 토너를 감광체(142)로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다.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외주면이 서로 접촉되며 현상닙(Nip)을 형성하거나, 상기 외주면이 서로 이격되며 현상갭(Gap)을 형성한다. 현상닙(Nip) 또는 현상갭(Gap)은 현상롤러(143) 및 감광체(142)의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크기로 균일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상갭이나 현상닙을 통하여 토너가 이동되며 현상이 이루어진다.
공급롤러(144)는 현상롤러(143)에 토너가 부착되도록 토너를 공급해준다. 교반기(145)는 토너 저장부(146)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토너를 교반시키며 이를 공급롤러(144) 쪽으로 이송한다.
전사롤러(150)는 감광체(142)의 외주면에 대면되며, 감광체(142)에 현상된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전사되도록 토너화상과 반대 극성의 전사 바이어스 전 압이 인가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및 기구적인 접촉압력에 의해 토너화상이 기록 매체(P)로 옮겨진다.
정착기(160)는 서로 마주보는 가열롤러와 가압롤러를 구비하며, 기록 매체(P)에 전사된 토너 화상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토너 화상을 기록 매체(P)에 정착시킨다.
배지롤러(170)는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를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한다. 화상형성장치 외부로 배출된 기록 매체(P)는 배지부(310)에 적재된다.
기록 매체(P)의 이동 경로는 다음과 같다. 화상형성장치는 기록 매체(P)가 저장되는 급지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픽업롤러(120)는 급지 카세트(110)에 저장된 기록 매체(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여 인출한다. 피드롤러(130)는 픽업된 기록 매체(P)를 현상 카트리지(140) 방향으로 이송한다. 감광체(142)와 전사롤러(150) 사이에 기록 매체(P)가 통과되며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토너화상이 전사된 기록 매체(P)는 정착기(160)의 열과 압력에 의하여 정착된다. 정착이 완료된 기록 매체(P)는 배지롤러(170)에 의하여 배지부(310)로 배출된다.
도시된 스캐닝 유니트는 광을 주사하여 원고의 화상을 독취하는 스캐닝 모듈(90), 원고를 올려놓는 평판 유리(50,51), 자동으로 원고를 급지하는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한다. x축 방향은 부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화상의 독취를 위하여 이동되는 방향이며, y축 방향은 주주사 방향으로서, 스캐닝 모듈(90)이 원고의 화상을 일시에 독취하는 방향이다.
원고를 독취하기 위하여는 스캐닝 모듈(90)이 이동되거나, 원고가 이동될 필 요가 있다. 스캐닝 모듈(90)이 이동되는 방식은 플랫-베드형(flat-bed type), 원고가 이동되는 방식은 쉬트-피드형(sheet-feed type)으로 불린다. 도시된 스캐닝 유니트는 플랫-베드형에 자동급지장치(10)(ADF : auto document feeder)를 구비하여 쉬트-피드형을 겸한다.
평판유리(50,51)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이송되는 원고가 접촉되는 제1평판유리(50)와 정지된 원고가 접촉되는 제2평판유리(51)를 구비한다. 제1평판유리(50)와 제2평판유리(51)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표시패널(40)에는 스캐닝 유니트의 동작과 상태가 표시되고, 각종의 조작키가 구비된다. 급지대(20)에 적재된 원고는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여 제1평판유리(50)로 이송된다.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정지되어 있는 스캐닝 모듈(90)은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독취한다. 독취된 원고는 배지대(30)로 배출된다. 제1 및 제2평판유리(51)의 단부 사이에는 경사면을 가진 원고안내부재(70)가 마련된다. 원고안내부재(70)는 제1평판유리(50)를 통과하는 원고의 선단부를 배지대(30)로 안내한다. 자동급지장치(10)에 의하지 않고 낱장으로 공급되는 원고는 제2평판유리(51) 상면에 놓여진다. 스캐닝 모듈(90)이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되며 정지된 원고의 화상을 독취한다. 스캐닝 모듈(90)은, 제1평판유리(50)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자동급지장치(10)로 공급되는 원고를 독취하고, 제2평판유리(51)의 배면에 위치할 때는 정지된 원고를 독취한다.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스캐닝 유니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배지부(310)에는 인쇄 완료 후 배출되는 기록 매체(P)가 적재된다. 일 실시 예로서, 배지부(310)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상측에 위치한 스캐닝 유니트와 그 하측에 위치한 인쇄 유니트 사이의 빈 공간에 마련된다. 배지부(310)에 적재된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P)가 인쇄 유니트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인 x축에 수직한 방향(y축 음의 방향)으로 꺼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될수록 배지부(310)가 점유할 수 있는 공간도 줄어든다. 배지부(310)의 크기가 소형화될수록 사용자 접근성이 저하되고 기록 매체(P)를 꺼내기 곤란해진다.
배지부(310)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배지 트레이(300)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배지 트레이(300)는 제1 및 제2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제1 위치는 기록 매체(P)의 수납이 가능한 위치로서, 배지 트레이(300)가 배지부(310)의 내부 측벽(311)에 근접되는 위치이다. 제2 위치는 배지 트레이(30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위치이다. 제2 위치에서는 배지 트레이(300)가 외부로 개방되므로 배지 트레이(300)에 적재된 기록 매체(P)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지 트레이(300)가 제1 위치로 절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화상형성장치에서 상측의 스캐닝 유니트를 절개하여 배지부(310)가 잘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도시된 배지 트레이(300)는 제1 위치로 이동된 상태이며, 제1 위치는 인쇄 유니트에서 배출되는 기록 매체(P)를 배지 트레이(300)의 상면에 수납할 수 있는 위치이다.
절환 수단은 배지 트레이(300)의 위치를 제1 및 제2 위치로 절환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절환 수단은 탄성 부재와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배지 트 레이(300)를 제1 및 제2 위치로 탄력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는 배지부(310)의 측벽(311) 및 배지 트레이(300)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는 인장 스프링(360)이며, 배지 트레이(300)를 제1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시킨다. 즉, 배지 트레이(300)에는 y축 양의 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한다.
인장 스프링(360)과 배지 트레이(300)의 접촉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지 트레이(300)에는 스프링 홈(365)이 마련된다. 인장 스프링(360)은 스프링 홈(365) 내부에서 인장 및 수축된다. 원고 가이드(390)는 배지 트레이(300)에 돌출되며 적재된 원고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원고 가이드(390)는 배지 트레이(30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이상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지 트레이(300)에 기록 매체(P)의 적재가 완료된 후, 배지 트레이(300)를 손으로 잡아서 y축 음의 방향으로 끌어 당기면 제2 위치로 이동된다. 로킹 부재는 배지 트레이(300)를 제2 위치에 로킹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배지 트레이(300)가 제1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있을 때, 인쇄 유니트에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표시패널(40)에 에러 메세지가 출력된다. 배지 트레이(300)가 제1 위치로 복귀된 경우에 한하여 인쇄 명령이 수행된다. 기록 매체(P)가 배지 트레이(300)의 정 위치에 적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배지 트레이(300)가 제2 위치로 절환된 상태를 도시한 절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로서, 로킹 부재는 상호 체결되는 것으로, 배지 트레이(300)에 마련되는 로커 홈(355)과 배지부(310)에 마련되는 로커(350)를 포함한다. 인장 스프링(360)은 상대적으로 더 인장된 상태이며 로킹 부재는 배지 트레이(300)가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지 트레이(300) 상면에 적재된 기록 매체(P)를 사용자가 꺼낸 뒤, 해제 버튼(320)이 눌러지면 상기 로킹이 해제된다. 이때, 배지 트레이(300)는 인장 스프링(360)에 의하여 제1 위치로 탄력 복귀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 부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일 실시예로서, 로킹 부재는 로커(350)와 로커 홈(355)을 구비한다. 로커(350)는 배지부(310)에 마련된 로커 가이드(102)에 삽입되며 z축을 따라 상승 및 하강된다. 로커 가이드(102) 및 로커(350) 사이에는 로커 스프링(351)이 삽입된다. 로커 스프링(351)은 로커(350)에 마련된 경사 캠(353)을 해제 버튼(320)과 연결된 캠 샤프트(323)의 말단부에 밀착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해제 버튼(320)을 누르면 로커(350) 및 로커 홈(355)의 체결이 해제된다. 버튼 스프링(321)은 해제 버튼(320)을 화상형성장치 본체(101) 외부로 돌출시키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일 실시예로서, 버튼 스프링(321)은 해제 버튼(320)에 마련된 버튼 스프링 체결부(322) 및 화상형성장치 본체(101)에 그 양단부가 고정되며 인장력을 작용한다. 해제 버튼(320)은 캠 샤프트(323)와 연결된다. 해제 버튼(320)이 눌러지면 캠 샤프트(323)는 x축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경사 캠(353)을 눌러 로커(350)를 하강시킨다. 로커(350)가 하강되면 로커(350) 및 로커 홈(355)의 체결이 해제되고, 배지 트레이(300)는 인장 스프링(360)에 의하여 제1 위치로 탄성 복귀된다.
배지 트레이(300)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및 배지 트레이(300) 를 로킹시키는 로킹 부재의 실시예가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로서, 탄성 부재는 배지부(310)의 측벽(311)과 배지 트레이(300)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스프링이며 배지 트레이(300)를 제2 위치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 경우, 로커 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의 반대쪽인 y축 음의 방향으로 치우치게 마련된다. 예를 들어 로커 홈(355)은 원고 가이드(390)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된다. 손으로 배지 트레이(300)를 제1 위치로 밀어 넣으면 로커(350)가 로커 홈(355)에 삽입되면서 배지 트레이(300)는 제1 위치에서 로킹된다. 배지 트레이(300)에 기록 매체(P)의 적재가 완료된 다음, 해제 버튼(320)을 누르면 상기 로킹이 해제되면서 배지 트레이(300)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위치로 탄성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인쇄 유니트에서 배출되는 기록 매체가 배지 트레이에 적재되고 배지 트레이는 절환 수단에 의하여 제1 및 제2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므로, 스캐닝 유니트와 인쇄 유니트 사이에 위치한 배지부에서 기록 매체를 간편하게 꺼낼 수 있어 편의성과 사무 능률이 향상되며, 배지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고를 독취하는 스캐닝 유니트;
    기록 매체에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 유니트;
    상기 스캐닝 유니트 및 상기 인쇄 유니트 사이의 공간 내부에 마련되며, 화상이 인쇄된 상기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배지부;
    상기 배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제1 위치 및 수납된 상기 기록 매체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배지 트레이;
    상기 배지 트레이의 위치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로 절환시키는 절환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상기 배지 트레이를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나머지 위치에서 상기 배지 트레이를 로킹하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호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배지 트레이에 마련되는 로커 홈과 상기 배지부 에 마련되는 로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수단은,
    손으로 눌러지면 상기 로킹을 해제하여 상기 배지 트레이를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탄력적으로 복귀시키는 해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 트레이가 상기 제1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인쇄 유니트에 인쇄 명령이 입력되면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50129123A 2005-12-24 2005-12-24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101204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23A KR101204790B1 (ko) 2005-12-24 2005-12-24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9123A KR101204790B1 (ko) 2005-12-24 2005-12-24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555A KR20070067555A (ko) 2007-06-28
KR101204790B1 true KR101204790B1 (ko) 2012-11-26

Family

ID=3836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9123A KR101204790B1 (ko) 2005-12-24 2005-12-24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555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851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39502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tray
JP5873848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2483603A (zh) 电子照相成像设备
JP4723004B2 (ja) 光走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CN109502379B (zh) 片材供给设备和成像设备
JP4207079B2 (ja) 画像形成装置
US7773267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scanner function
US2006014067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24243B2 (en) Structure for installing developing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US666504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20544B1 (ko) 화상형성장치
US112943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topper preventing unintentional opening of main body
KR101204790B1 (ko) 배지 트레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6030643A (ja) 画像形成装置
JP3642295B2 (ja) レーザプリンタ
JPH07215511A (ja) シート積載装置及び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1356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1070113A (ja) 画像読取装置
KR20080064363A (ko) 화상독취장치
JP3972931B2 (ja) 画像形成装置
JP4557448B2 (ja) 画像形成装置
JP4057944B2 (ja) 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H073019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3119195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