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87B1 -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87B1
KR101204787B1 KR1020110027173A KR20110027173A KR101204787B1 KR 101204787 B1 KR101204787 B1 KR 101204787B1 KR 1020110027173 A KR1020110027173 A KR 1020110027173A KR 20110027173 A KR20110027173 A KR 20110027173A KR 101204787 B1 KR101204787 B1 KR 10120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mold
toilet
slip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8828A (ko
Inventor
김태호
정운개
Original Assignee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비앤코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비앤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0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6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floor, e.g. to a floo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1Mould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은 양변기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보울부; 상기 보울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림부; 상기 보울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림부와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울부의 하부면, 지지부 및 측면부를 성형하는 하부몰드와, 상기 보울부의 내부면 및 림부를 성형하는 상부몰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한 하부몰드와, 상부몰드(200)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하부몰드과 상부몰드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슬립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일정시간 동안 슬립이 상기 하부몰드과 상부몰드의 표면에 착육되게 하는 착육단계; 상기 캐비티에 공기를 불어 착육되지 않은 슬립을 제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배니단계; 및 상기 상부몰드과 하부몰드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Toilet stool of one piece typ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림과 바디를 별개로 성형하여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한번에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된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양변기의 평면도와 이의 AA 부분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종래 양변기의 단면은 크게 림과 바디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디는 배설물을 수용하면서 배출할 수 있는 보울(Bowl)과 보울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림은 보울 상단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양변기 커버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면이 평면구조를 가지며 내부는 세척수가 흐르도록 수로가 구비된 대략 사각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 양변기는 림과 바디의 몰드를 따로 제작하여 각각 주입 성형한 후 서로 접합시켜 완성한다.
주입 성형은 슬러리 또는 슬립(미세한 점토를 지닌 수성 슬러리는 슬립 또는 이장이라고 함)을 석고와 같은 흡수성 몰드에 유입시키고 착육층을 형성시켜 성형체를 얻는 방법으로 주로 도자기 위생도기, 식기 등의 성형에 이용되어 왔다. 특히, 위생도기는 거의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
특히, 배니주입성형(排泥鑄入成形?Drain Casting)은 몰드 속에 슬립을 부어 넣은 후 석고형이 슬립의 물을 흡수하여 일정한 두께의 착육층이 형성되면 나머지의 슬립을 쏟아낸 후 반건조 시켜서 형에서 떼어내는 성형방법을 말한다. 주로 주전자,화병 등 속이 비어 있는 형태의 성형에 많이 이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양변기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하부몰드, 상부몰드, 측몰드 등 4개의 몰드를 사용하여 바디를 만들고, 림용 상부몰드와 하부몰드를 사용하여 림을 만든 다음 바디의 상부면에 림을 접합시켜 도 1의 (b)와 같은 양변기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림과 바디를 따로 제작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두 개의 공정이 필요하다.
둘째, 림과 바디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몰드가 필요하므로 몰드 수가 많아서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림과 바디를 접합해야 하는 등의 공정이 부가되어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셋째, 림과 바디의 접합부에 접합자국이 돌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넷째, 림의 하부면 청소가 곤란하고 확인이 어려우므로 악취가 나는 문제가 있어서 청결을 요구하는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림과 바디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하지 않고 한 번의 공정을 통해 림과 바디가 일체로 성형된 일체 성형 양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변기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보울부; 상기 보울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림부; 상기 보울부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림부와 지지부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는 측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울부의 하부면, 지지부 및 측면부를 성형하는 하부몰드와, 상기 보울부의 내부면 및 림부를 성형하는 상부몰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일체 성형 양변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울부 내면에는 단이 진 형상의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변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상측으로 볼록한 하부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볼록부의 외측을 둘러싸되 골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볼록부보다 높은 테두리부가 형성되는 하부몰드와, 중앙에 하측으로 볼록하여 상기 하부볼록부와 인접하게 마주하는 상부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볼록부의 외측은 상기 테두리부와 맞닿으면서 상기 골을 밀폐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상부몰드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하부몰드과 상부몰드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슬립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일정시간 동안 슬립이 상기 하부몰드과 상부몰드의 표면에 착육되게 하는 착육단계; 상기 캐비티에 공기를 불어 착육되지 않은 슬립을 제거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는 배니단계; 및 상기 상부몰드과 하부몰드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체 성형 양변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림과 바디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하는 대신 두 개의 몰드만 사용하여 한 번의 공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어서 공정이 간단하고 제작시간이 줄어들며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림과 바디의 접합자국이 없어서 외관상 매우 미려한 미감을 줄 수 있고 청소가 매우 용이하여 양변기가 매우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양변기의 평면도와 이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양변기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하부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나타난 바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그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보울부(10), 림부(20), 지지부(30), 측면부(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성형된 형상을 이룬다.
상기 보울부(10)는 내부에 배설물 또는 오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을 이루며 하부면은 배수트랩(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울부(10)의 내부면에는 직수공(상수도에서 직접 세척수가 공급되어 토출되는 토출공을 말함.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직수공에는 외부에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튜브(미도시) 등이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림수로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직수공을 통해 세척수가 바로 분사되어 상기 보울부(10) 내부의 배설물이나 오물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림부(20)는 변기 커버(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울부(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종래 림과 달리 수로가 없는 형상이다.
또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에 결합된 형상으로 상기 보울부(10)를 지지한다. 좀더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에 둥글게 둘러싸인 형상을 가져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측면부(40)는 상기 림부(20)와 지지부(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즉 상기 측면부(40)의 상단은 상기 림부(20)의 외측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부(30)의 하단과 결합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측면부(40), 보울부(10), 림부(20), 지지부(30)에 의해서 밀폐되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 성형 양변기는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 지지부(30) 및 측면부(40)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는 하부몰드(100)와, 상기 보울부(10)의 내부면과 림부(20)를 성형할 수 있는 상부몰드(200)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번에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를 제조하기 위한 상,하부몰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하부몰드(100)와 상부몰드(200)를 결합하는 결합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몰드(100)는 바닥에 배치되고 중앙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하부볼록부(120)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하부볼록부(120)의 상면은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을 성형하고 측면은 상기 지지부(30)를 성형할 수 있다.
또 상기 하부볼록부(120)의 외측에는 상기 하부볼록부(120)보다 높은 테두리부(140)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볼록부(120)와 테두리부(140) 사이에는 골(160)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테두리부(140)는 상기 측면부(40)를 성형한다. 상기 골(160)은 상기 지지부(30)와 측면부(40)가 결합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몰드(200)는 상기 하부몰드(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중앙에 하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의 상부볼록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볼록부(220)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볼록부(120)의 상부면과 인접하게 마주한다. 이때, 상기 상부볼록부(220)와 하부볼록부(120)는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보울부(10)의 두께를 형성하도록 일정거리를 두고 인접하게 대향된다.
참고로 상기 상부볼록부(220)는 상기 보울부(10)의 내부면을 성형한다.
상기 상부볼록부(220)의 외측부분은 상기 테두리부(140)의 상부면과 맞닿으면서 상기 골(160)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상부볼록부(220)의 측면과 상기 하부볼록부(120)의 측면 및 상기 테두리부(140)는 슬립이 주입되는 공간에 해당하는 캐비티(c)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주입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주입단계는 상기 결합단계에서 형성된 캐비티(c)에 슬립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슬립은 이장(泥漿)이라고도 하는데, 도기 제조에 쓰이는 고체 입자의 현탁액(懸濁液)을 의미한다. 보통 점토와 석분 등을 물과 적정 비율로 혼합한 액체이다.
슬립을 주입할 때는 상기 캐비티(c)와 연통된 별도의 주입구(미도시)를 통해 슬립을 주입시킬 수 있으며 약 1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다음으로 착육단계는 상기 캐비티(c)에 주입된 슬립이 상,하부몰드(200,100)에 두께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좀더 설명하자면, 일정시간이 지나면 슬립이 건조되면서 두께가 증가되기 시작하는데, 슬립 속에 포함된 물이 상기 상,하부몰드(200,100) 속으로 흡수된다. 왜냐하면, 상기 상,하부몰드(200,100)는 다공질 재료 특히, 대부분 석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수분이 잘 흡수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몰드(200,100) 표면에 있는 슬립 속에 포함된 수분부터 흡수되기 시작하여 슬립의 원료가 상기 상,하부몰드(200,100) 표면에 착육되는데, 착육된 원료의 두께가 양변기의 외형이 갖는 두께와 거의 같은 두께를 가지는 시점까지 건조시킨다. 보통 약 60~70분 정도가 소요된다.
다음으로 배니단계는 상기 착육단계에서 착육된 슬립 원료를 제외하고 아직 물이 포함된 슬립을 제거하여 상기 공간부(s)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것은 상기 캐비티(c)에 공기를 불어 착육되지 않은 슬립을 제거하면서, 상기 캐비티(c) 내부에 공기압을 가하여 일정한 두께로 착육된 슬립 원료의 형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보통 20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다.
상기 배니작업은 도기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탈형단계는 상기 상부몰드(200)와 하부몰드(100)를 분리함으로써 착육되어 완성된 일체 성형 양변기를 얻는 과정이다. 분리된 제품은 손질하고 건조시킨 후 직수공이나 체결공과 같이 필요한 구멍을 뚫게 된다.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일체 성형 양변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보울부(10)의 내면에 단이 진 형상의 단턱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수세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단턱부(50)는 상기 상부몰드(200)의 상부볼록부(220)를 변형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단턱부(50)의 상측에 세척수가 나오는 직수공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보울부 20 : 림부
30 : 지지부 40 : 측면부
50 : 단턱부
100 : 하부몰드 120 : 하부볼록부
140 : 테두리부 160 : 골
200 : 상부몰드 220 : 상부볼록부
s : 공간부 c : 캐비티

Claims (3)

  1. 양변기에 있어서,
    오목한 형상의 보울부(10);
    상기 보울부(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림부(20);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부(30);
    상기 림부(20)와 지지부(3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결합되어 공간부(s)를 형성하는 측면부(4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울부(10)의 하부면, 지지부(30) 및 측면부(40)를 성형하는 하부몰드(100)와, 상기 보울부(10)의 내부면 및 림부(20)를 성형하는 상부몰드(200)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성형 양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10) 내면에는 단이 진 형상의 단턱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일체 성형 양변기.
  3. 양변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상측으로 볼록한 하부볼록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볼록부(120)의 외측을 둘러싸되 골(160)을 형성하면서 상기 하부볼록부(120)보다 높은 테두리부(140)가 형성되는 하부몰드(100)와, 중앙에 하측으로 볼록하여 상기 하부볼록부(120)와 인접하게 마주하는 상부볼록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볼록부(220)의 외측은 상기 테두리부(140)와 맞닿으면서 상기 골(160)을 밀폐하는 캐비티(c)를 형성하는 상부몰드(200)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단계;
    상기 하부몰드(100)과 상부몰드(200)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에 슬립을 주입하는 주입단계;
    일정시간 동안 슬립이 상기 하부몰드(100)과 상부몰드(200)의 표면에 착육되게 하는 착육단계; b
    상기 캐비티(c)에 공기를 불어 착육되지 않은 슬립을 제거하여 공간부(s)를 형성하는 배니단계; 및
    상기 상부몰드(200)과 하부몰드(100)을 탈형하는 탈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 성형 양변기의 제조방법.
KR1020110027173A 2011-03-25 2011-03-25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73A KR101204787B1 (ko) 2011-03-25 2011-03-25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7173A KR101204787B1 (ko) 2011-03-25 2011-03-25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28A KR20120108828A (ko) 2012-10-05
KR101204787B1 true KR101204787B1 (ko) 2012-11-26

Family

ID=4728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173A KR101204787B1 (ko) 2011-03-25 2011-03-25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9239B2 (en) 2014-03-18 2017-08-01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Dual-jet toilet
US10060113B2 (en) 2014-03-21 2018-08-28 Kohler Co. Rimless toilet
KR101962616B1 (ko) 2018-11-14 2019-03-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14946B4 (de) * 2013-12-30 2017-04-13 Duravit Aktiengesellschaft Druckgussform zur Herstellung eines Gießlings
CN107201775B (zh) * 2016-03-17 2023-06-02 九牧厨卫股份有限公司 一种座便器及其模具和制造方法
CN107738336B (zh) * 2017-11-23 2023-11-07 唐山奇隆洁具有限公司 坐便器妇洗器的模型及模型的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89A (ja) 2000-03-30 2001-10-10 Toto Ltd 水洗便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4052329A (ja) 2002-07-18 2004-02-19 Toto Ltd 便器とその成形型および製造方法
JP3766979B2 (ja) 1997-01-13 2006-04-1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大便器及びその鋳込み成形用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6979B2 (ja) 1997-01-13 2006-04-1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大便器及びその鋳込み成形用型装置
JP2001279789A (ja) 2000-03-30 2001-10-10 Toto Ltd 水洗便器とその製造方法
JP2004052329A (ja) 2002-07-18 2004-02-19 Toto Ltd 便器とその成形型および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9239B2 (en) 2014-03-18 2017-08-01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Dual-jet toilet
US10060113B2 (en) 2014-03-21 2018-08-28 Kohler Co. Rimless toilet
US10233627B2 (en) 2014-03-21 2019-03-19 Kohler Co. Rimless toilet
KR101962616B1 (ko) 2018-11-14 2019-03-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828A (ko) 201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787B1 (ko) 일체 성형 양변기 및 이의 제조방법
RU2584017C2 (ru) Керамический унитаз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1481926B (zh) 一种陶瓷洁具
US73535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sting toilet bowls
JP2649630B2 (ja) 陶磁器の鋳込み成形方法
CN103770202A (zh) 一种坐便器模具及其分模工艺和坐便器
KR101962616B1 (ko)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183934A (zh) 一种分体式马桶及其制备方法
CN104552561A (zh) 用于注浆成型的多孔模具
CN102398301A (zh) 卫浴陶瓷坯件的直压成型专用模具
RU2592614C2 (ru) Керамический унитаз
CN201483841U (zh) 混凝土不粘卫生洁具
CN203726607U (zh) 一种坐便器模具和坐便器
US1435644A (en) Sanitary bowl
KR102098538B1 (ko) 림리스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201738424U (zh) 一种新型蹲便器
KR102194104B1 (ko) 양변기
KR100933497B1 (ko) 조립식 도자기 뚜껑 성형틀
CN207448738U (zh) 坐便器水箱的注浆设备
JP2005113519A (ja) 水洗大便器の製造方法及び水洗大便器
CN204546719U (zh) 用于注浆成型的多孔模具
CN217225974U (zh) 一种用于制作虹吸式坐便器坯体排污口的模具及其坯体和坐便器
KR100542292B1 (ko) 일체형배수관을 가진 양변기 및 제조방법
CN203600410U (zh) 内套式高品质芯模制管装置
KR102225309B1 (ko) 림리스 투피스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