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81B1 -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81B1
KR102074681B1 KR1020190107034A KR20190107034A KR102074681B1 KR 102074681 B1 KR102074681 B1 KR 102074681B1 KR 1020190107034 A KR1020190107034 A KR 1020190107034A KR 20190107034 A KR20190107034 A KR 20190107034A KR 102074681 B1 KR102074681 B1 KR 102074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toilet
water outlet
demolded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정
Original Assignee
계림요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림요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림요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4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removing material from solid section preforms for forming hollow articles, e.g. by punching or b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한 부속몰드에 의해 위생도기 내부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이 배수되기 위한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부속몰드에 의해 물 유출 장치가 성형된 후 물 유출구를 펀칭(punching) 방식을 활용하기에, 양변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MOLD FOR TOILET BOW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OILET BOW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탈착이 가능한 부속몰드에 의해 위생도기 내부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이 배수되기 위한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위생도기는 물, 기타 액체 또는 오물 등을 모아 배수관을 통하여 제거해주는 위생기구가 도기로 제조된 것으로, 양변기, 세면기, 소변기 등의 총칭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위생도기는 사용되는 형태에 따라 양변기, 대변기, 비데, 세면기, 물탱크, 세면기 받침대, 샤워상판, 수채, 소변기, 세탁용 수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위생도기 중에서도 양변기는 좌변기라고도 불리며, 크게 물탱크와 몸통으로 구분된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양변기는 수세식으로 물탱크에서 물이 몸통 내부를 세척함과 동시에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이나, 이는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은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에 관한 배경기술 문헌들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5668호(이하, 문헌 1)는 ‘양변기와 그 제조방법’으로 양변기 후방 내측은 베이스부의 제1토수공과 제2토수공에서 토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강한 수세 흐름을 형성하고, 양변기 전방 내측은 좌방중앙부토수공으로부터 토출된 세정수가 림 하단의 상연주벽을 따라 주회하여 오물을 배출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1의 양변기는 도 1에서와 같이, 후방 측에 형성된 세정수 급수로와 연결된 림(rim) 도수로가 양변기 볼부(보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양변기는 림 도수로에 형성된 토수공이 양변기 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지 않아, 양변기 내부를 세척하기 위해 다량의 물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세척되지 않는 부분이 생겨 오물이 부착되어 있거나,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480호(이하, 문헌 2)는 ‘수세식 양변기’로 선회류를 이용하여 보울면을 세정하고, 보울의 바닥부에 설치된 배수구부로부터 세정수를 배출하는 수세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2의 양변기는 도 2에서와 같이, 물 공급부의 전방의 공간을 보울 면으로부터 칸막이하도록 벽체가 형성되어 있으나, 벽체는 유도 수로부를 형성한 후에 벽체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소성 공정 중에 금이 생겨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2653호(이하, 문헌 3)는 ‘초절수형 양변기’로, 사이펀제트식 배출부와 워터폴스 스핀수단을 통해 물을 사이펀제트 방식으로 고압 분사하여 오물제거효율을 증대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3의 양변기는 도 3에서와 같이, 양변기 본체의 내벽에 형성된 워터폴스 스핀수단이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되어 물이 양변기 본체를 따라 회전됨과 동시에 워터폴스 출수구를 통해 아래 방향으로 분사되는 방식으로 물 분사 방식이 다르다.
또한, 상기 양변기는 워터폴스 출수구만으로 오물을 배출하기 어려워 물이 고압으로 제트 분사되는 제트 출수구가 필요하다.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6427102호(이하, 문헌 4)는 ‘사이펀 수세식 양변기’로, 분사 세정 밸브, 외연 밸브 및 보울을 포함하는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문헌 4의 양변기는 도 4에서와 같이, 양변기의 보울을 세정할 수 있도록 외연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외연 흡입구는 양변기 성형 후에 격벽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소성 시에 금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되거나, 양변기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배경기술 문헌>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5668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1480호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2653호
(문헌 4)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6427102호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탈착이 가능한 부속몰드에 의해 위생도기 내부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이 배수되기 위한 물 유출 장치를 형성하여 일체화 성형되는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유출부에 금이 발생되지 않기 위해 격벽을 덧붙이는 커버 방식이 아닌, 부속몰드에 의해 성형된 후 물 유출구를 펀칭(punching) 방식을 활용하여 양변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양변기 디자인의 다양화를 구현할 수 있는 양변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 유출 장치는 제3몰드(5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위생도기의 물유출부(14)를 성형하는 제2부속몰드(400)와 제1몰드(1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위생도기의 물유출로(18)를 성형하는 제3부속몰드(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부속몰드(400)는 제1공간형성부(4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2부속몰드(400) 탈착 시에 지지되는 제1돌출부(410); 보울부(10) 일 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부(14)와 물유출구(15)가 형성되는 제1공간형성부(420) 및 제1돌출부(410)와 제1공간형성부(420) 사이에 형성되되, 단턱을 포함하는 제1단턱(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부속몰드(600)는 제2공간형성부(6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1몰드(1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돌출부(610) 및 보울부(10) 하단 일 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로(18)가 형성되는 제2공간형성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몰드(1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1단계(S210); 제1부속몰드(3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2단계(S220); 제3부속몰드(600)가 탈형 되어 위생도기에 물유출 관로가 성형되는 제3단계(S230); 제2몰드(200)가 수평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4단계(S240); 위생도기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제3몰드(5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5단계(S250); 제2부속몰드(400)가 탈형 되어 위생도기에 물유출부(14)가 성형되는 제6단계(S260); 위생도기의 상부에 상부판(U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위생도기의 하부판(DP)이 탈형 되고, 제4몰드(700)가 탈형 되는 제7단계(S270); 위생도기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상부판(UP)이 탈형 되는 제8단계(S280); 제4몰드(700)가 탈형 된 위생도기의 물유출부(14)의 벽면에 물유출구(15)가 펀칭되는 제9단계(S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생도기에 배수로(12), 제트구(16), 시트구(20), 급수구(30) 또는 배수구(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펀칭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이 가능한 부속몰드에 의해 물 유출 장치가 형성되어 위생도기 내부로 유입된 물이 선회하여 위생도기 내부를 세정함과 동시에 오물이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이 발생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격벽을 형성하는 커버 방식이 아닌, 부속몰드에 의해 성형되어 물 유출구를 펀칭하는 방식으로 양변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몰드와 부속몰드가 하나씩 탈형 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양변기 디자인이 다양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이 되는 문헌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저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를 제조할 수 있는 몰드 분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제조방법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몰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몰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부속몰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부속몰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몰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부속몰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몰드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양변기; 10: 보울부; 11: 오목부; 12: 배수로; 13: 단턱부; 14: 물유출부; 15: 물유출구; 16: 제트구; 17: 림; 18: 물유출로; 19: 지탱부;
2: 제1지지부; 3: 제2지지부;
20: 시트구;30: 급수구;40: 배수구;50: 관로형성부;
100: 제1몰드;110: 제1평면부; 120: 제1볼록부; 130: 제1홈부; 140: 제1결합부; 150: 제1결합홈부;
200: 제2몰드;210: 제2평면부; 220: 제2홈부; 230: 제1결합볼록부;
300: 제1부속몰드; 310: 제1곡선부; 320: 제2결합홈부;
400: 제2부속몰드; 410: 제1돌출부; 420: 제1공간형성부; 430: 제1단턱;
500: 제3몰드; 510: 제2평면부; 520: 제2볼록부; 530: 제3볼록부; 540: 제2결합부; 550: 물유출공간형성부; 560: 제2결합볼록부;
600: 제3부속몰드; 610: 제2돌출부; 620: 제2공간형성부;
700: 제4몰드;
DP: 하부판; UP: 상부판;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 즉, 양변기(1)의 보울부(10)는 도 5에서와 같이, 오목부(11), 배수로(12), 단턱부(13), 물유출부(14), 물유출구(15), 제트구(16) 및 림(17)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11)는 보울부(10) 내부를 세정하거나, 오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배수로(12)와 제트구(16)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1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림(1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림(17)은 양변기의 커버(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도록 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시트구(20)가 펀칭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시트구(20)가 펀칭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림 내측에는 오목부(11)를 세정하기 위해 림(17) 내부 면을 따라 세정공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방식이나, 본 발명에서는 림(17) 일 측에 형성된 물 유출 장치를 통해 물이 바로 분사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는 림(17) 내부 면에 형성된 수로를 통해 물이 배출됨에 따라 물때나 곰팡이 등이 세척되지 않고, 일반적인 림의 단면이 ㄷ 형상으로 형성되어 솔을 이용하여 세척하여도 보이지 않아 세척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그로 인해 림 내측에서 퀴퀴한 냄새의 발생 원인이기도 하다.
즉, 림(17) 내부 면에 수로를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보울부(10) 내부에서 퀴퀴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고, 항상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림(17) 외주 면에는 제2지지부(3)가 형성되고, 오목부(11)를 지지하기 위해 오목부(11) 하부 면에 제1지지부(2)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림(17) 일 측에 물탱크(미도시)를 지지할 수 있는 지탱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탱부(19)에 급수구(30)가 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2)는 도 6에서와 같이 오목부(11)와 배수트랩 및 배수구(40)를 보호하기 위해 양변기(1) 하부에 둥글게 둘러싸면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되, 오목부(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3)는 림(17)과 제1지지부(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되, 상단에는 림(17)과 결합되고, 하단에는 제1지지부(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수로(12)는 보울부(10) 내부를 세정한 물과 오물을 배출하기 위해 오목부(11) 하부면 일 측에 배수트랩과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13)는 림(17)의 상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오목부(11)의 상부에 단면이 L 형상으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유출부(14)는 단턱부(13)의 일 측 벽면 내측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유출구(15)는 물유출부(14)의 일 측 벽면에 펀칭될 수 있다.
또한, 물유출구(15)는 도 7에서와 같이, 물탱크의 하단과 연결되는 급수구(3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림(17) 내측에 형성된 물 유출로(18)를 거쳐 물유출구(15)로 분출되어 단턱부(13)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내려가게 된다.
즉, 물유출구(15)에서 배출되어 선회되는 물이 림(17) 내측에 형성된 단턱부(13)를 세척함과 동시에 오목부(11) 내에 포함되는 오물을 함께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트구(16)는 오목부(11) 하부면 타 측에 펀칭되어 형성되되, 물이 분사되어 강제적으로 사이펀 작용을 일으켜 흡입, 배출 능력이 향상되고, 오목부(11)에 오물이 부착되거나, 악취 발산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유출로(18)는 림(17) 내측에 형성되되, 물유출구(15)와 급수구(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제1지지부(2), 오목부(11) 하부 면과 배수트랩 하부 면이 성형되는 제1몰드(100), 제1몰드(100)와 제3몰드(5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물탱크를 지지하는 지탱부(19)가 성형되는 제2몰드(200), 제1몰드(100)와 제2몰드(2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수트랩 상부 면이 성형되는 제1부속몰드(300), 제3몰드(5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물유출부(14)가 성형되는 제2부속몰드(400), 오목부(11) 내부면, 림(17)과 물유출공간이 성형되는 제3몰드(500), 제1몰드(100)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물유출로(18)가 성형되는 제3부속몰드(600) 및 제1몰드(100)와 제3몰드(500) 사이에 위치하여 제2지지부(3)가 성형되는 제4몰드(700)가 일체로 성형되어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 성형 양변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일체 성형 양변기의 제조방법은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몰드는 제1몰드(100), 제2몰드(200), 제1부속몰드(300), 제2부속몰드(400), 제3몰드(500), 제3부속몰드(600)와 제4몰드(700)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제1몰드(100), 제2몰드(200), 제1부속몰드(300), 제2부속몰드(400), 제3몰드(500), 제3부속몰드(600) 및 제4몰드(700)가 결합되는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상기 제1몰드(100)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1지지부(2)와 제2지지부(3)가 만나는 하단 면이 형성되는 제1평면부(110), 제1지지부(2)와 오목부(11) 하부 면이 형성되기 위해 제1평면부(110) 중앙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볼록부(120), 배수트랩 하부 면이 형성되기 위해 제1볼록부(120) 중앙에 하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제1홈부(130), 제3부속몰드(600)가 탈착 되는 제1결합부(140) 및 오목부(11)를 형성하기 위한 제3몰드(500)가 탈착 되는 제1결합홈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제2몰드(200)는 도 12에서와 같이, 제1몰드(100)와 제3몰드(500) 사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물탱크를 지지함과 동시에 급수구(30)를 통해 유입된 물이 물유출로(18)를 형성하기 위한 제2평면부(210), 제2평면부(210) 중심 일 측에 홈이 형성되어 물유출로(18)가 형성되는 제2홈부(220) 및 제2평면부(210) 일단에 돌출 형성되어 배수트랩을 형성하기 위한 제1부속몰드(300)가 탈착 되는 제1결합볼록부(230)가 포함된다.
상기 제1부속몰드(300)는 도 13에서와 같이, 제1몰드(100)의 제1홈부(130) 방향으로 인입되어 착탈 되어 배수트랩을 형성하는 제1곡선부(310)와 제2몰드(200)의 제1결합볼록부(230)에 착탈 되어 배수트랩 형성 시에 불량이 최소화되는 제2결합홈부(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2부속몰드(400)는 도 14에서와 같이, 제1공간형성부(4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2부속몰드(400) 탈착 시에 지지되는 제1돌출부(410), 단턱부(13)의 일 측 벽면 내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부(14)와 물유출구(15)가 형성되는 제1공간형성부(420) 및 제1돌출부(410)와 제1공간형성부(420) 사이에 형성되되, 단턱이 형성되는 제1단턱(430)이 포함된다.
상기 제3몰드(500)는 도 15에서와 같이, 림(17)과 지탱부(19)를 형성하는 제2평면부(510), 오목부(11)의 단턱부(13)를 형성하기 위해 제2평면부(510) 일 측이 하부방향으로 타원 형상이 돌출 형성되는 제2볼록부(520), 오목부(11)의 내부 면을 형성하기 위해 제2볼록부(520) 일 측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3볼록부(530), 제2볼록부(520) 측면에 홈이 형성되되, 물유출부(14)를 형성하기 위한 제2부속몰드(400)가 탈착 되는 제2결합부(540), 제2볼록부(520) 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물유출로(18)가 형성되기 위한 공간이 성형되는 물유출공간형성부(550) 및 제2볼록부(520) 일 측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제1몰드(100)의 제1결합홈부(150)와 탈착 되는 제2결합볼록부(560)가 포함된다.
상기 제3부속몰드(600)는 도 16에서와 같이, 제1몰드(100)의 제1결합부(140)에 탈착되며, 제2공간형성부(6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3부속몰드(600)를 지지하는 제2돌출부(610) 및 보울부(10) 하단 일 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로(18)를 형성되는 제2공간형성부(620)가 포함된다.
또한, 제3부속몰드(600)는 단면이 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몰드(700)는 도 17에서와 같이, 하부에 제1몰드(100)와 상부에 제3몰드(500), 후면에 제2몰드(200)가 맞닿아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a)에서와 같이, 몰드가 결합되면, 제3몰드(500)가 바닥면으로 되게 회전하여 제1몰드(100), 제3몰드(500)와 제4몰드(700)에 형성된 주입구에 슬립을 주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슬립은 제련되지 않는 광석과 물 등이 혼합되어 주입 성형이 가능한 미분의 현탁액을 의미한다.
그 후, 일정시간 동안 슬립이 제1몰드(100), 제3몰드(500)와 제4몰드(700)의 표면에 두께를 형성하는 착육 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착육 되는 단계는 일정시간이 지나면, 슬립이 건조되면서 두께가 증가하게 되는데, 슬립 속에 포함된 물이 제1몰드(100), 제3몰드(500)와 제4몰드(700) 속으로 흡수된다.
이는 몰드가 다공질 재료로 제조되어 수분을 잘 흡수하는 장점이 있다.
즉, 제1몰드(100), 제3몰드(500)와 제4몰드(700) 표면에 있던 슬립 속에 포함된 수분이 흡수됨에 따라 슬립의 원료가 제3몰드(500)와 제4몰드(700) 표면에 착육 된다.
이때, 착육 된 원료의 두께가 양변기의 외형을 갖는 두께와 거의 같은 두께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다음으로 몰드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3몰드(500)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각도(20~30°)를 형성한 뒤, 제1몰드(1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에어구에 공기를 불어넣어 착육 되지 않은 슬립이 배출 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슬립이 배출되는 단계는 제3몰드(500)가 바닥면으로부터 25°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몰드 내로 공기압이 가해지면, 착육 되지 않는 슬립이 제거되면서, 일정한 두께로 착육 된 슬립이 양변기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양변기의 형태로 성형된 성형품 외주 면에 형성된 몰드가 탈형 될 수 있다.
몰드가 탈형 되는 단계는 도 9(b)에서와 같이, 제1몰드(1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1단계(S21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9(c)에서와 같이, 제1부속몰드(3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2단계(S220)가 수행된다. 이때, 도 6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저면에 형성되는 배수구(40)가 펀칭되는 단계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9(c)에서와 같이, 제3부속몰드(600)가 탈형 되어 양변기(1)에 물유출 관로가 성형되는 제3단계(S230)가 수행된다. 이는 도 6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저면에 일 측에 관로형성부(50)가 형성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림(17) 내측에 물유출로(18)가 일정한 크기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3단계(S230)는 격벽을 따로 덧붙이는 방식보다, 제3부속몰드(600)가 탈형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격벽에 금이 생겨 누수가 발생되거나, 격벽이 양변기 일 측에 잘 붙지 않아 불량품이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3부속몰드(600)가 탈형 됨으로써, 사출 시에 림(17) 내측에 물유출로(18)가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장점이 있다.
이후, 도 9(d)에서와 같이, 제2몰드(200)가 수평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4단계(S240)가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9(e) 및 도 9(f)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제3몰드(5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5단계(S250)가 수행된다.
이때, 하부판(DP)은 제1몰드(100)가 탈형 된 위치에 결합되며,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DP)이 결합된 양변기(1)는 하부판(DP)이 바닥으로 가도록 180° 회전될 수 있다.
이후에 제3몰드(5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f)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보울부(10) 내측에 결합된 제2부속몰드(400)가 탈형 되어 양변기(1)에 물유출부(14)가 성형되는 제6단계(S260)가 수행된다.
제6단계(S260)로 인해 양변기(1)의 단턱부(13) 일 측 벽면 내측에 오목한 홈이 성형되어 급수구(30)에 유입되는 물이 물유출로(18)를 거쳐 물유출부(14)에 펀칭된 물유출구(15)로 물이 배출되면서, 보울부(10)를 세척함과 동시에 오물이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제2부속몰드(400)가 양변기(1)에서 탈형 즉, 사출되는 방식에 의해 별도의 격벽을 설치하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림(17) 일 측면에 하나 이상의 시트구(20)가 펀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g) 및 도 10(h)에서와 같이, 양변기(1)의 상부에 상부판(U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양변기(1)의 하부판(DP)이 탈형 되고, 제4몰드(700)가 탈형 되는 제7단계(S270)가 수행된다.
이때, 상부판(UP)은 제3몰드(500)가 탈형 된 위치에 결합되며,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판(UP)이 결합된 양변기(1)는 다시 상부판(UP)이 바닥으로 가도록 180° 회전될 수 있다.
양변기(1)의 하부판(DP)이 상측 방향으로 탈형된 후, 제4몰드(700)가 탈형 된다.
이때, 양변기(1)의 상부판(UP)을 아래로 내리면, 고정된 제4몰드(700)로부터 중력에 의해 아래로 탈형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양변기(1)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상부판(UP)이 탈형 되는 제8단계(S280)가 수행된다.
상기 하부판(DP)은 제7단계(S270)에서 하부판(DP)이 탈형 된 위치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DP)이 다시 결합된 양변기(1)는 다시 하부판(DP)이 바닥으로 가도록 180° 회전될 수 있다.
하부판(DP)이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부판(UP)이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된다.
이때, 지탱부(19) 일 측에 급수구(30)가 펀칭되고, 양변기(1)의 오목부(11) 하부면 일 측에 배수로(12)가 펀칭된 후, 오목부(11) 하부면 타 측에 제트구(16)가 펀칭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i)에서와 같이, 제4몰드(700)가 탈형 된 양변기(1)의 물유출부(14)의 벽면에 물유출구(15)가 펀칭되는 제9단계(S290)가 수행된다.
이때, 물유출구(15)는 하나 이상이 펀칭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개가 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유출구(15)의 모양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 제1지지부(2) 배면에 건조받침목(미도시)을 결합한 후, 지탱부(19) 일 측면 가장자리에 물탱크를 접합하여 건조되면,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 유출 장치를 포함하는 위생도기 및 그 제조방법으로, 탈착이 가능한 부속몰드에 의해 물 유출구가 펀칭되어 위생도기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오목부(11), 단턱부(13), 림(17)과 지탱부(19)가 형성되는 제3몰드(5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양변기의 물유출부(14)를 성형하는 제2부속몰드(400)와;
    제1지지부(2)와 제2지지부(3)가 만나는 하단 면이 형성되는 제1몰드(1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어 양변기의 물유출로(18)를 성형하는 제3부속몰드(600)를 포함하며,
    제2부속몰드(400)는 제1공간형성부(4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2부속몰드(400) 탈착 시에 지지되는 제1돌출부(410); 보울부(10) 일 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부(14)와 물유출구(15)가 형성되는 제1공간형성부(420) 및 제1돌출부(410)와 제1공간형성부(420) 사이에 형성되되, 단턱을 포함하는 제1단턱(430)을 포함하고,
    제3부속몰드(600)는 제2공간형성부(620) 일 측에 돌출 형성되되, 제1몰드(100)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돌출부(610) 및 보울부(10) 하단 일 측에 인입되어 물유출로(18)가 형성되는 제2공간형성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몰드.
  2. 청구항 1의 양변기 몰드로 제조되는, 양변기.
  3. 삭제
  4. 청구항 1의 양변기 몰드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1몰드(1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1단계(S210);
    제1부속몰드(3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2단계(S220);
    제3부속몰드(600)가 탈형 되어 양변기에 물유출 관로가 성형되는 제3단계(S230);
    제2몰드(200)가 수평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4단계(S240);
    양변기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제3몰드(500)가 상측 방향으로 탈형 되는 제5단계(S250);
    제2부속몰드(400)가 탈형 되어 양변기에 물유출부(14)가 성형되는 제6단계(S260);
    양변기의 상부에 상부판(U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양변기의 하부판(DP)이 탈형 되고, 제4몰드(700)가 탈형 되는 제7단계(S270);
    양변기의 하부에 하부판(DP)이 결합 및 회전되고, 상부판(UP)이 탈형 되는 제8단계(S280);
    제4몰드(700)가 탈형 된 양변기의 물유출부(14)의 벽면에 물유출구(15)가 펀칭되는 제9단계(S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몰드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양변기에 배수로(12), 제트구(16), 시트구(20), 급수구(30) 또는 배수구(4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펀칭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몰드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6. 청구항 4 또는 5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양변기.
KR1020190107034A 2019-08-30 2019-08-30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KR102074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34A KR102074681B1 (ko) 2019-08-30 2019-08-30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034A KR102074681B1 (ko) 2019-08-30 2019-08-30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51A Division KR102194104B1 (ko) 2020-01-31 2020-01-31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81B1 true KR102074681B1 (ko) 2020-02-07

Family

ID=6957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034A KR102074681B1 (ko) 2019-08-30 2019-08-30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309B1 (ko) * 2020-06-25 2021-03-09 이누스(주) 림리스 투피스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114347232A (zh) * 2021-12-01 2022-04-15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马桶泥坯坑口残留水的自动排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744A (ko) * 1999-02-07 2000-09-15 박연수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20130005838U (ko) * 2012-03-28 2013-10-08 박재화 양변기
CN106945154A (zh) * 2017-04-17 2017-07-14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简化生产工艺的坐便器立浇成型结构
KR101962616B1 (ko) * 2018-11-14 2019-03-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744A (ko) * 1999-02-07 2000-09-15 박연수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20130005838U (ko) * 2012-03-28 2013-10-08 박재화 양변기
CN106945154A (zh) * 2017-04-17 2017-07-14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能够简化生产工艺的坐便器立浇成型结构
KR101962616B1 (ko) * 2018-11-14 2019-03-2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5309B1 (ko) * 2020-06-25 2021-03-09 이누스(주) 림리스 투피스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114347232A (zh) * 2021-12-01 2022-04-15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马桶泥坯坑口残留水的自动排水装置
CN114347232B (zh) * 2021-12-01 2023-08-15 佛山职业技术学院 一种马桶泥坯坑口残留水的自动排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627B2 (en) Rimless toilet
JP5954685B2 (ja) 水洗大便器
KR102074681B1 (ko)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KR101962616B1 (ko) 물탱크 저장식 일체 성형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1238020A (zh) 水洗便器
CN109183934B (zh) 一种分体式马桶及其制备方法
CN105247142A (zh) 具有集成在冲洗水分配器中的私密喷淋装置的坐便器
CN101522998A (zh) 便器装置
KR102194104B1 (ko) 양변기
CN205421480U (zh) 一种座便器及其模具
CN113684902B (zh) 一种新型冲水粘接结构的蹲便器及其制造方法
CN107201775B (zh) 一种座便器及其模具和制造方法
KR102098538B1 (ko) 림리스 양변기 및 그 제조방법
CN211037202U (zh) 一种新型低噪声冲落式座便器
CN210597524U (zh) 一种非陶瓷材料的坐便器
JP2001279789A (ja) 水洗便器とその製造方法
CN209412938U (zh) 座便器
JP6079967B2 (ja) 水洗大便器
CN202416517U (zh) 座便器
JP2001342671A (ja) 水洗便器および便器のリム部素地を製造する方法
JP2002106048A (ja) 水洗便器および便器のリム部素地を製造する方法
TWM557762U (zh) 沖水馬桶
US20090241249A1 (en) Toilet bowl
CN109972714A (zh) 一种新型的座便器冲洗机构
KR20020070732A (ko) 분사 회전형 개폐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