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775B1 -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 Google Patents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775B1
KR101204775B1 KR1020100075680A KR20100075680A KR101204775B1 KR 101204775 B1 KR101204775 B1 KR 101204775B1 KR 1020100075680 A KR1020100075680 A KR 1020100075680A KR 20100075680 A KR20100075680 A KR 20100075680A KR 101204775 B1 KR101204775 B1 KR 101204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bunker
floor
rotatably connected
deform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3610A (ko
Inventor
송성진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스킨 filed Critical (주)디자인스킨
Priority to KR1020100075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1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several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to be put together in one cov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에 전개하여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닥용 안전매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벙커의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놀이 및 수납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와, 상기 배면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매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TRANSFORMABLE MAT INTO BUNKER}
본 발명은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에 전개하여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닥용 안전매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벙커의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놀이 및 수납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의 놀이방 등의 바닥면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바닥용 안전매트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용 안전매트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무늬나 색채, 또는 간단한 학습 내용이 부가되어 있기만 할 뿐 또 다른 놀이의 용도나 휴식의 용도 등으로 사용되기 어려워 그 활용도에 있어서 한계가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에 전개하여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닥용 안전매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벙커의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놀이 및 수납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와, 상기 배면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와, 상기 상부매트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매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전면매트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면매트와 상기 제 1 전면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전면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벙커로 변형시, 상기 배면매트는 상기 바닥매트로부터 회동되어 배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매트가 상기 바닥매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배면매트로부터 회동 위치되되 상기 측면매트가 상기 상부매트로부터 수직 회동되어 상기 바닥매트의 양측 모서리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매트, 배면매트, 측면매트 및 상부매트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는 상기 전면매트부재가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는, 상기 벙커로 변형된 상태로 상기 배면매트가 바닥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전면매트부재가 상기 바닥매트로부터 회동되어 공간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바닥매트의 양측 모서리와 이에 지지되는 상기 측면매트 사이에는 양측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또한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와, 상기 바닥매트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와, 상기 배면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상부매트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상부매트와 상기 제 1 상부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상부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벙커로 변형시, 상기 바닥매트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매트가 수직 회동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면매트는 그 양단이 상기 측면매트의 후면측 모서리에 지지되도록 회동되어 위치되며, 상기 상부매트부재는 그 양단이 상기 측면매트의 상부측 모서리에 지지되도록 회동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바닥매트, 배면매트, 측면매트 및 상부매트부재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측면매트의 후면측 모서리와 이에 지지되는 배면매트의 양단부에는 양측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에 따르면 쿠션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에 전개하여 유아 및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바닥용 안전매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순차적으로 회동시켜 벙커의 형상으로 변형함으로써 놀이 및 수납의 용도로도 사용 가능한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전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전개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작동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전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2d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작동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1)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10)와, 바닥매트(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20)와, 배면매트(2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30)와, 상부매트(3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40)와, 바닥매트(1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매트부재(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닥매트(10)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매트 전체가 바닥면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될 시에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위치되어 안전매트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벙커로 사용될 시에는 벙커 형성을 위한 공간부(60)의 저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닥매트(10)는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압축 스펀지와 같은 복원력을 갖는 쿠션재질의 충전재와, 전술한 충전재를 외부에서 감싸는 다양한 디자인의 외피로 이루어져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되거나 벙커로 사용될 시에 유아 및 어린이들에게 발생 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바닥매트(10)의 충전재 및 외피의 구성은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바 추후에 설명되어야 할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바닥매트(10)의 후방에는 배면매트(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배면매트(20)는 매트 전체가 바닥면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될 시에는 전술한 바닥매트(10)와 함께 바닥면에 면접하게 위치되어 안전매트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벙커로 사용될 시에는 벙커 형성을 위한 공간부(60)의 배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뒤집힌 벙커로서 사용될 시에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어 전술한 바닥매트(10)와 같은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면매트(20)는 전술한 바닥매트(10)와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배면매트(20)가 지지되는 추후에 설명될 측면매트(40) 모서리측이 경사를 갖도록 기울어져 형성되는바, 배면매트(20)는 바닥매트(10)와 예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져 위치된다.
또한, 전술한 배면매트(20)의 후방에는 상부매트(3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상부매트(30)는 매트 전체가 바닥면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될 시에는 전술한 바닥매트(10) 및 배면매트(20)와 함께 바닥면에 면접하게 위치되어 안전매트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벙커로 사용될 시에는 벙커 형성을 위한 공간부(6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매트(30)는 전술한 바닥매트(10) 및 배면매트(20)와 마찬가지로 가로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위치되는 바닥매트(10)와는 서로 평형을 이루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상부매트(30)의 양측면에는 측면매트(40)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측면매트(40)는 매트 전체가 바닥면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될 시에는 전술한 바닥매트(10), 배면매트(20) 및 상부매트(30)와 함께 바닥면에 면접하게 위치되어 안전매트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벙커로 사용될 시에는 벙커 형성을 위한 공간부(60)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매트(40)는 전술한 배면매트(20)의 양측 모서리에 지지되는 제 1 모서리(41)와, 전술한 바닥매트(10)의 양측 모서리에 지지되는 제 2 모서리(43)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매트부재(50)의 회동시 제 2 전면매트(53)의 모서리에 지지되는 제 3 모서리(45)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 1 모서리(41)는 전술한 배면매트(20)의 설명에서와 같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어 배면매트(20)도 이에 따라 기울어져 위치되고, 제 2 모서리(43) 및 바닥매트(10)에는 양측이 지지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지퍼, 벨크로테이프, 스냅단추 등과 같은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된다.
전술한 바닥매트(10), 배면매트(20), 상부매트(30) 및 측면매트(40)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60)의 전면, 즉 바닥매트(10)의 전방에는 전면매트부재(5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 전면매트부재(50)는 매트 전체가 바닥면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로 사용될 시에는 전술한 바닥매트(10), 배면매트(20), 상부매트(30) 및 측면매트(40)와 함께 바닥면에 면접하게 위치되어 안전매트의 일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벙커로 사용될 시에는 놓여지는 위치에 따라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벙커 전방에서 바닥용 안전매트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간부(60)를 개폐하는 도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면매트부재(50)는, 바닥매트(10)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면매트(51)와 제 1 전면매트(51)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전면매트(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전면매트부재(50)가 제 1 전면매트(51)와 제 2 전면매트(53)로 이루어지지만, 필요에 따라 한 개의 전면매트만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세 개 이상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바닥면에 펼쳐져 바닥매트(10)로 사용되던 것을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벙커로 변형하고자 할 경우, 먼저 배면매트(20)를 바닥매트(10)로부터 회동시켜 배면측에 위치되도록 해준다.
그 상태에서 바닥매트(10)와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상부매트(30)를 회동시키고 동시에 상부매트(30) 양측의 측면매트(40)를 수직회동시켜 바닥매트(10)의 양측 모서리와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매트(10), 배면매트(20), 상부매트(30) 및 측면매트(40)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공간부(60)를 가지며 전방에는 전면매트부재(50)가 배치되는 벙커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바닥매트(10)와 측면매트(40)는 바닥매트(10)의 양측 모서리와 제 2 모서리(43)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고정해 줌으로써 벙커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벙커의 형태에서 배면매트(20)가 바닥면에 면접 되도록 위치변경할 경우 전면매트부재(50)가 회동여부에 따라 공간부(60)를 개폐하는 벙커 또는 수납장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전개도가 도시되고, 도 5a 내지 도 5e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1')는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10)와, 상기 바닥매트(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20)와, 상기 바닥매트(10)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40)와, 상기 배면매트(2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부재(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상부매트부재(70)는 상기 바닥매트(10)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상부매트(71)와 상기 제 1 상부매트(71)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상부매트(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벙커로 변형시, 상기 바닥매트(10)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측면매트(40)가 수직 회동되어 위치되고, 상기 배면매트(20)는 그 양단이 상기 측면매트(40)의 후면측 모서리에 지지되도록 회동되어 위치되며, 상기 상부매트부재(70)는 그 양단이 상기 측면매트(40)의 상부측 모서리에 지지되도록 회동되어 위치됨으로써 상기 바닥매트(10), 배면매트(20), 측면매트(40) 및 상부매트부재(70)에 의해 공간부(60)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측면매트(40)의 후면측 모서리와 이에 지지되는 배면매트(20)의 양단부에는 양측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1')는 측면매트(40)가 상부매트(30)가 아닌 바닥매트(10)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는 점, 상부매트(30)가 배면매트(20)의 후방에 연결되고 제 1 상부매트(71) 및 제 2 상부매트(73)로 이루어지며 도 5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벙커를 형성한 후 공간부(6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는 점, 고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측면매트(40)의 후면측 모서리와 이에 지지되는 배면매트(20)의 양단부에 구비된다는 점, 전면매트부재(50)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 각각의 구성부재의 구성 및 전체작용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벙커로 변형가능한 매트(1)와 동일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10 : 바닥매트
20 : 배면매트 30 : 상부매트
40 : 측면매트 41 : 제 1 모서리
43 : 제 2 모서리 45 : 제 3 모서리
50 : 전면매트부재 51 : 제 1 전면매트
53 : 제 2 전면매트 60 : 공간부
70 : 상부매트부재 71: 제 1 상부매트
73 : 제 2 상부매트

Claims (9)

  1. 바닥면에 면접하게 배치되는 바닥매트;
    상기 바닥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배면매트;
    상기 배면매트의 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매트;
    상기 상부매트의 양측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매트; 및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면매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면매트는 상기 바닥매트로부터 회동되어 배면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부매트가 상기 바닥매트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배면매트로부터 회동 위치되되 상기 측면매트가 상기 상부매트로부터 수직 회동되어 상기 바닥매트의 양측 모서리와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기 바닥매트, 배면매트, 측면매트 및 상부매트에 의해 내부에 벙커 형성을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전면매트는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전개되어 바닥용 안전매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회동에 의해 상기 공간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매트부재는, 상기 바닥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면매트와 상기 제 1 전면매트의 전방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전면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는, 상기 벙커로 변형된 상태로 상기 배면매트가 바닥면으로 위치되고 상기 전면매트부재가 상기 바닥매트로부터 회동되어 공간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의 양측 모서리와 이에 지지되는 상기 측면매트 사이에는 양측을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75680A 2010-08-05 2010-08-05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101204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680A KR101204775B1 (ko) 2010-08-05 2010-08-05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680A KR101204775B1 (ko) 2010-08-05 2010-08-05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610A KR20120013610A (ko) 2012-02-15
KR101204775B1 true KR101204775B1 (ko) 2012-11-26

Family

ID=4583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680A KR101204775B1 (ko) 2010-08-05 2010-08-05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863B1 (ko) * 2011-12-21 2013-06-07 황정은 유아용 놀이매트
KR101383077B1 (ko) * 2012-07-23 2014-04-08 이재혁 피라미드형 하우스 전환이 가능한 매트 구조
KR101339325B1 (ko) * 2012-11-29 2013-12-09 (주)디자인스킨 다용도 하우스형 범퍼매트
KR101869343B1 (ko) * 2016-10-12 2018-06-21 (주)디자인스킨 다목적 놀이블록
KR102277742B1 (ko) * 2021-05-21 2021-07-15 김보람 돗자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8095U (ko) 1972-10-24 1974-07-05
KR200174724Y1 (ko) * 1997-06-13 2000-04-01 최병옥 조립식 쇼파겸용 침구
KR200440481Y1 (ko) * 2008-01-09 2008-06-13 김유경 휴대용 아기 침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8095U (ko) 1972-10-24 1974-07-05
KR200174724Y1 (ko) * 1997-06-13 2000-04-01 최병옥 조립식 쇼파겸용 침구
KR200440481Y1 (ko) * 2008-01-09 2008-06-13 김유경 휴대용 아기 침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610A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775B1 (ko) 벙커로 변형 가능한 매트
US20140158563A1 (en) Computer case and stand with integrated pillow
KR101204773B1 (ko) 완구용 집으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101290685B1 (ko) 범퍼블럭이 구비된 매트
US20140090175A1 (en) Baby changing pad
US9631417B2 (en) Screen corner attachment
KR101300608B1 (ko) 하우스로 변형 가능한 매트
WO2016124089A1 (zh) 折叠式容器及其咬合结构
JP6824848B2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1204774B1 (ko) 소파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101769253B1 (ko) 하우스형 변형 매트
KR101650338B1 (ko) 영유아의 복합놀이기구용 범퍼매트 어셈블리
KR101229304B1 (ko) 텐트로 변형 가능한 매트
KR101668449B1 (ko) 놀이매트 시스템
JP3173909U (ja) フラップテーブル
JP5118364B2 (ja) 化粧料容器
KR101339326B1 (ko) 도어형 범퍼 매트
JP3168552U (ja) 収納スツール
JP2016137945A (ja) 折り畳み式収納箱
KR200462771Y1 (ko) 다용도 수납장
KR101354912B1 (ko) 슬라이딩 매트
JP3183983U (ja) 看板
JP5342916B2 (ja) 収納装置
JP6453270B2 (ja) 収納ケース
JP6646016B2 (ja) 二重床用の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