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371B1 - 선루프 개폐용 핸들 - Google Patents

선루프 개폐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371B1
KR101204371B1 KR20100129583A KR20100129583A KR101204371B1 KR 101204371 B1 KR101204371 B1 KR 101204371B1 KR 20100129583 A KR20100129583 A KR 20100129583A KR 20100129583 A KR20100129583 A KR 20100129583A KR 101204371 B1 KR101204371 B1 KR 101204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nroof
stopper
open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29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130A (ko
Inventor
김문수
신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Priority to KR20100129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371B1/ko
Priority to CN201110440219XA priority patent/CN102555744A/zh
Publication of KR20120068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37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선루프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며 주행 중 선루프의 불안정한 떨림이 없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이 소개된다. 이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제1 아암(13)을 갖는 드럼(10); 드럼(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제2 아암(22)이 연장 형성된 회동체(20); 및 드럼(10) 내에서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30);를 포함한다. 회동체(20)의 리세스(24)에는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에 내측 기어요소(25,26)가 마련되며, 스토퍼(30)의 축방향 일단에는 내측 기어요소(25,26)와 맞물릴 수 있는 외측 기어요소(33,34)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선루프 개폐용 핸들{HANDLE FOR OPENING/CLOSING A SUNROOF}
본 발명은 선루프 개폐용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루프 개방부에 설치되는 선루프의 수동 개폐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선루프는 탑승객에게 넓은 개방감 및 환기에 의한 쾌적함을 제공하며, 최근 차량에의 적용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선루프의 개방은 팝업, 인슬라이딩 또는 아웃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팝업은 선루프 후단이 들려져 루프 개방부가 부분 개방되도록 하는 것인데, 수동식의 경우 팝업을 위한 핸들을 필요로 한다.
종래 수동식 팝업 핸들의 예가 미국특허 제4,614,376호에 소개되어 있는데, 그러나 이 특허에 따른 핸들은, 팝업 상태에서 선루프의 하중 지지력이 약하며 주행 중 선루프가 불안정하다.
또한 상기 핸들은, 사용자가 핸들을 쥔 상태에서 래칫(ratchet)과 멈춤쇠(detent ledge) 간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노브를 누르기가 불편하며, 선루프 개방 과정에 래칫이 회전하는 동안 멈춤쇠와 계속해서 부딪히는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핸들은, 회전축 자체의 둘레면에 형성된 래칫과 회전축에 수평하게 놓인 멈춤쇠가 선접촉되어 록킹되는 구조이기에, 록킹력이 약함은 물론 사용기간 중 래칫과 멈춤쇠 간 관계의 정합성이 안정적으로 보장되기 어려우며, 또한 전체적으로 구조적인 견고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제안된 것으로, 선루프의 하중 지지력이 우수한 선루프 개폐용 핸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핸들을 쥐고 선루프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루프 개폐 과정에 귀에 거슬리는 소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절도감이 있게 단계적(stepwisely)으로 개폐할 수 있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품들 간의 결합관계가 컴팩트하여 견고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구조의 선루프 개폐용 핸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제1 아암이 연장 형성되며 제1 아암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드럼; 상기 드럼과 회전축을 공유하여 드럼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제2 아암이 연장 형성된 회동체; 및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어 드럼과 함께 회전하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동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에 내측 기어요소가 마련된 리세스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의 축방향 일단에는 내측 기어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외측 기어요소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는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회전축은 가압되어 스토퍼를 타단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측 기어요소는 둘레를 따라 축방향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와 상대적으로 패인 복수 개의 홈이 교대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돌출된 선단면이 플랫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아암 간의 끼인각이 실질적으로 0°일 때, 내측 기어요소의 돌기에, 이에 대응하는 외측 기어요소의 돌기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측 기어요소는 2단으로 구성되며, 이 중 제2단은 제1단보다 리세스의 깊은 영역에 제1단보다 작은 반경의 원주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드럼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 아암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체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아암의 각 회동궤적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드럼은 축방향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제1 서브드럼 내에 배치되며, 스토퍼 타단 측의 제1 서브드럼 개방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회전축은 그 일단이 커버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노브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드럼에는 노브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끼움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회전축과는 별도로 회전축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외측 기어요소가 내측 기어요소와 면접촉될 수 있어, 로킹력이 좋아 선루프 하중 지지력이 우수하며, 주행 중 선루프의 불안정한 떨림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회전축을 중심에 둔 동심원 상에 배열된 내측 기어요소와 외측 기어요소 간의 결합에 의해 로킹이 유지되므로, 로킹력이 더욱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내측 기어요소와 외측 기어요소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로킹력이 더욱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사용자가 핸들을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노브를 눌러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선루프 닫힘 상태에서 내측 기어요소와 외측 기어요소 간의 로킹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개방 초기 단순히 핸들을 잡아 당김에 의해 선루프를 개방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내외측 기어요소의 홈/돌기의 원주방향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절도감이 있게 단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또한 작동 과정 중 종래와 같이 귀에 거슬리는 연속적인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은,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부품들이 컴팩트하게 결합되어 있어 견고하면서도, 또한 회전축을 이용하여 손쉽게 조립 및 분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이용한 선루프 개방 과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a 내지 도 1c까지 각 단계마다의 핸들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a에 도시된 핸들의 분해사시도이며, 이와 도 3b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b의 로킹 상태의 핸들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2a의 로킹 해제 상태의 핸들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루프 개폐용 핸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a 내지 도 1c는 실시예에 따라 글라스패널(3)이 단계적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다. 도 1a는 글라스패널(3)의 닫힘 상태, 도 1b는 1단계 개방상태, 도 1c는 2단계 개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핸들(1)은 개방부(미도시)를 갖는 루프패널(2)의 후단부 측에 설치된다. 도 1a의 글라스패널(3) 닫힘 상태에서 핸들(1)을 시계방향 궤적을 따라 이동시킴에 의해, 글라스패널(3)은 단계적으로 개방된다.
상기 글라스패널(3) 닫힘 상태에서 핸들(1)은 로킹 해제되어 있어, 글라스패널(3)의 1단계 개방은 단순히 핸들(1)을 잡아 당겨 전방으로 미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글라스패널(3)의 1단계 및 2단계 개방상태에서 핸들(1)은 로킹되며, 로킹 해제는 노브(40)를 누름에 의해 달성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a 내지 도 1c의 상태에 대응하는 핸들(1)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c 및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은 회전축(6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1 아암(13) 및 제2 아암(22)을 구비하며, 제1 아암(13)의 선단은 글라스패널(3)에, 그리고 제2 아암(22)의 선단은 루프패널(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은 회전축(60)을 공유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드럼(10)과 회동체(20)를 포함한다. 제1 아암(13)은 드럼(10)에, 제2 아암(22)은 회동체(20)에 마련된다. 글라스패널(3) 개방 과정에서 제2 아암(22)은 제1 아암(1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대 회동된다.
한편, 상기 드럼(10) 내에는, 제2 아암(22)을 제1 아암(13)에 대하여 로킹시키기 위하여, 회전축(60)에 대해 수직한 평면 상에 동심원을 그리며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기어요소가 마련된다.
도 3a 및 도 3b에는 일례에 따른 핸들(1) 구성 부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 b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은 드럼(10), 회동체(20), 회전축(60) 및 드럼(10) 내에 배치되는 스토퍼(30)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10)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 아암(13)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11,12)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서브드럼(11)은 축방향 양단이 개방된 중공 구조로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돌기(11a)가 내측벽 둘레를 따라 이격 형성된다.
상기 제2 서브드럼(12)은 제1 서브드럼(11) 측이 폐쇄되며, 이의 반대측은 끼움홈(17)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폐쇄된 면에는 회전축(60)이 관통되는 제1축홀(15)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아암(13)은 그 선단에, 제1 힌지핀(P1)을 이용하여 글라스패널(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홀(13a)이 회전축(60)에 평행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1 아암(13)은 측벽을 갖는 구조로서, 선단 부근에는 측벽이 패여진 안착홈(16)가 마련된다.
상기 회동체(20)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1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는 본체(21)를 구비한다. 이 본체(21)는 회전축(60)이 관통하는 제2축홀(21a)과, 드럼(10)과 마주하는 부위에 마련된 리세스(24)를 구비한다.
도 3a에서 보듯이, 상기 리세스(24)는 제2축홀(21a), 다시 말하자면,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에 마련된 내측 기어요소(25,26)를 구비한다. 예로서 내측 기어요소(25,26)는, 둘레를 따라, 축방향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25a,26a)와 상대적으로 패인 복수 개의 홈(25b,26b)이 서로 교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내측 기어요소(25,26)는 일례로서 2단으로 구성된다. 이 중 제2단의 기어요소(26: 26a,26b)는 제1단의 기어요소(25: 25a,25b)보다 리세스(24)의 깊은 영역에 제1단(25)보다 작은 반경의 원주 상에 배열된다.
상기 회동체 본체(21)로부터 연장된 제2 아암(22)의 선단에는 회전축(60)에 평행한 힌지축(23)이 마련된다. 이 힌지축(23)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제2 힌지핀(P2)을 이용하여 이를 루프패널(2)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제2 힌지홀(23a)이 마련된다.
도 2a 및 도 3a에서 보듯이, 예로서 상기 제2 아암(22)은 제1 아암(13)과 포개어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 및 제2 아암(13,22)의 각 회동궤적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여지며, 따라서 유연한 글라스패널(3)의 개폐 동작이 가능하며 하중 지지력이 좋다.
상기 스토퍼(30)는 제1 서브드럼(11) 내에 배치된다. 제1 서브드럼(11)의 가이드돌기(11a)에 대응하여 스토퍼(30)에는 축방향의 가이드홈(32)이 둘레를 따라 마련된다. 따라서 스토퍼(30)는 반드시 제1 서브드럼(11)과 함께 회전되나, 제1 서브드럼(11) 내에서의 축방향 이동은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30)의 축방향 일단에는 내측 기어요소(25,26)와 맞물릴 수 있는 외측 기어요소(33,34)가 서로 대응되게 마련된다. 즉, 외측 기어요소(33,34)도 2단으로 구성되며, 각 단마다 복수 개의 돌기(33a,34a)와 홈(33b,34b)이 교대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토퍼(30)는 스프링(70)에 의해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 스프링(70)에 의해 핸들 로킹 상태에서 외측 기어요소(33,34)는 내측 기어요소(25,26)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a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퍼(30) 타단 측의 제1 서브드럼(11) 개방부는 커버(50)에 의해 폐쇄된다. 커버(50)는 축방향으로 돌출된 샤프트(51)와, 제1 서브드럼(11)의 슬릿(14)에 결합하기 위한 후크(53)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체(20), 드럼(10) 및 스토퍼(30)를 관통하는 회전축(60)의 일단은 샤프트(51)에 끼워진다. 제1 서브드럼(11) 내에서 스프링(70)은 회전축(60) 둘레에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샤프트(51)의 단턱(52)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30)의 일단에는 회전축(60)이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통공이 마련되며, 타단에는 개방부(31)가 마련된다. 이 개방부(31) 측으로부터 삽입된 스프링(70)의 타단은 스토퍼(30) 일단의 벽면을 가압한다.
도 3a, 도 3b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서브드럼(12)의 끼움홈(17)에는 상기 노브(40)가 끼워지며, 노브(40)에는 회전축(60)의 타단이 끼워지는 튜브(41)가 마련된다. 노브(40)가 가압되면, 튜브(41)의 단턱(61)과의 걸림 작용에 의해 스토퍼(30)가 스프링(70)의 탄성력을 이기고 타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핸들 로킹 상태와 해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핸들 로킹 상태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2a에 도시된 핸들 로킹 해제 상태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핸들(1) 로킹 상태에서 스토퍼(30)는 스프링(70)에 의해 스토퍼(30)가 회동체(20) 측으로 가압되어, 내측 기어요소(25,26)의 돌기(25a,26a)/홈(25b,26b)에 외측 기어요소(33,34)의 홈(33b,34b)/돌기(33a,34a)가 각각 맞물린다. 제2 아암(22)은 제1 아암(13)에 대하여 상대 회동되지 못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글라스패널(3) 닫힘 상태에서, 제2 아암(22)의 힌지축(23)은 제1 아암(13)의 안착홈(16)에 안착되어, 제1 및 제2 아암(13,22) 사이의 끼인각은 실질적으로 0°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글라스패널(3) 닫힘 상태에서, 내측 기어요소(25,26)와 외측 기어요소(33,34)는 서로 맞물리지 않고, 내측 기어요소(25,26)의 돌기(25a,26a)에 외측 기어요소(33,34)의 돌기(33a,34a)가 접촉된다.
따라서 노브(40)를 누를 필요없이, 단순히 핸들(1)을 전방으로 잡아 당김에 의해 글라스패널(3)은 1단계 개방될 수 있으며, 1단계 개방상태에서 내측 기어요소(25,26)와 외측 기어요소(33,34)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위와 같은 편이한 글라스패널(3)의 1단계 개방을 위해, 내측 기어요소(25,26)의 돌기(25a,26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돌출된 선단면은 플랫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보다 좋게는 내측 기어요소(25,26)의 모든 돌기들(25a,26a)의 선단면이 플랫하다.
상기 돌기들(25a,26a,33a,34a)이 일정 길이의 플랫한 선단면을 갖는 핸들(1)을 이용할 경우, 글라스패널(3)은 절도감 있게 단계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플랫한 선단면의 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단계적인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기어요소(33,34)는 내측 기어요소(25,26)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글라스패널(3)의 1단계 개방상태에서, 다시 노브(40)가 가압되면 스토퍼(30)의 외측 기어요소(33,34)가 회동체(20)의 내측 기어요소(25,26)로부터 멀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핸들(1)을 시계방향의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면, 외측 기어요소(33,34)의 돌기(33a,34a)가 내측 기어요소(25,26)의 돌기(25a,26a)를 타고 넘어가, 글라스패널(3)은 2단계 개방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80은 제2 아암(22) 선단의 힌지축(23)에 결합되는 마감부재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1: 핸들 2: 루프패널
3: 글라스패널 10: 드럼
11: 제1 서브드럼 12: 제2 서브드럼
13: 제1 아암 20: 회동체
22: 제2 아암 24: 리세스
25,26: 내측 기어요소 30: 스토퍼
33,34: 외측 기어요소 40: 노브
50: 커버 60: 회전축
70: 스프링

Claims (8)

  1. 제1 아암(13)이 연장 형성되며 제1 아암(13)에 수직한 방향의 회전축(60)을 갖는 드럼(10);
    상기 드럼(10)과 회전축(60)을 공유하여 드럼(1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며, 제2 아암(22)이 연장 형성된 회동체(20); 및
    상기 드럼(10) 내에 배치되어 드럼(10)과 함께 회전하되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스토퍼(30);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체(20)는 회전축(60)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에 내측 기어요소가 마련된 리세스(24)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30)의 축방향 일단에는 내측 기어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외측 기어요소가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30)는 일단 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회전축(60)은 가압되어 스토퍼(30)를 타단 측으로 축방향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어요소는 둘레를 따라 축방향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와 상대적으로 패인 복수 개의 홈이 교대 배열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돌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그 돌출된 선단면이 플랫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아암(13,22) 간의 끼인각이 실질적으로 0°일 때, 내측 기어요소의 돌기에, 이에 대응하는 외측 기어요소의 돌기가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기어요소(25,26)는 2단으로 구성되며, 이 중 제2단은 제1단보다 리세스(24)의 깊은 영역에 제1단보다 작은 반경의 원주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 아암(13)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11,12)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체(20)는 제1 및 제2 서브드럼(11,1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제1 및 제2 아암(13,22)의 각 회동궤적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드럼(11)은 축방향 양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토퍼(30)는 제1 서브드럼(11) 내에 배치되며, 스토퍼(30) 타단 측의 제1 서브드럼(11) 개방부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커버(50)에 의해 폐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0)은 그 일단이 커버(50)에 연결되며, 타단에는 노브(40)가 마련되고,
    상기 제2 서브드럼(12)에는 노브(40)가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끼움홈(17)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루프 개폐용 핸들.
KR20100129583A 2010-12-17 2010-12-17 선루프 개폐용 핸들 KR101204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9583A KR101204371B1 (ko) 2010-12-17 2010-12-17 선루프 개폐용 핸들
CN201110440219XA CN102555744A (zh) 2010-12-17 2011-12-15 天窗开关用手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9583A KR101204371B1 (ko) 2010-12-17 2010-12-17 선루프 개폐용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30A KR20120068130A (ko) 2012-06-27
KR101204371B1 true KR101204371B1 (ko) 2012-11-26

Family

ID=46402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29583A KR101204371B1 (ko) 2010-12-17 2010-12-17 선루프 개폐용 핸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4371B1 (ko)
CN (1) CN1025557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645B1 (ko) * 2013-11-12 2015-08-17 이제호 기저귀 교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3785A (en) 1981-12-23 1985-06-18 Cars & Concepts, Inc. Latch mechanism for hinged panels
US4614376A (en) 1984-02-07 1986-09-30 Idex (Jersey) Limited Hand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46595Y (zh) * 1996-02-07 1997-02-05 赵茂 汽车用可开启顶窗
CN2725071Y (zh) * 2004-09-07 2005-09-14 江阴协统汽车附件有限公司 卡车天窗总成
CN201132484Y (zh) * 2007-11-09 2008-10-15 上海海马汽车研发有限公司 一种天窗开关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3785A (en) 1981-12-23 1985-06-18 Cars & Concepts, Inc. Latch mechanism for hinged panels
US4614376A (en) 1984-02-07 1986-09-30 Idex (Jersey) Limited Han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55744A (zh) 2012-07-11
KR20120068130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86845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WO2014030531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1204371B1 (ko) 선루프 개폐용 핸들
JP2002089542A (ja) 小型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小型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用電話機
KR102388838B1 (ko) 창호용 잠금장치
KR101732674B1 (ko) 푸쉬풀 동작으로 개방되는 도어락 장치
WO2020080344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099940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KR200402605Y1 (ko) 콤팩트케이스
JP6754256B2 (ja) ヒンジ
KR200489444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손잡이
JP5121260B2 (ja) 家具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JP2013204238A (ja) レバーハンドル
JP2008106803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200393089Y1 (ko) 교실용 도어록의 잠금 및 열림장치
CN110067441A (zh) 一种智能门锁执手的传动换向装置
CN106014018B (zh) 一种用于童车的锁具
JP7304832B2 (ja) 引き戸の開き装置
KR102654720B1 (ko) 자동잠금 작동 및 해제의 스위칭이 가능한 슬라이딩 창호의 핸들 조립체
JP2009047258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JP4994893B2 (ja) 家具における扉のラッチ装置
KR200454933Y1 (ko) 자동차용 트레이 커버 록킹장치
JP4531634B2 (ja) 収納装置
CN221002306U (zh) 门把手组件
JP2004332449A (ja) ドア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