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277B1 - 축산용 전자 인식표 - Google Patents

축산용 전자 인식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277B1
KR101204277B1 KR1020110054785A KR20110054785A KR101204277B1 KR 101204277 B1 KR101204277 B1 KR 101204277B1 KR 1020110054785 A KR1020110054785 A KR 1020110054785A KR 20110054785 A KR20110054785 A KR 20110054785A KR 101204277 B1 KR101204277 B1 KR 10120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frame
cap
frame bas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곤
Original Assignee
김일곤
주식회사 선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곤, 주식회사 선진텍 filed Critical 김일곤
Priority to KR102011005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2Pliers specially adapted for fixing ear-tags to e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1Ear-tags
    • A01K11/004Ear-tags with electronic identification means, e.g. transpo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귀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에 바코드와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회로의 재사용이 가능토록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전자 인식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전자인식표는 원통형 판상의 캡평부와 상기 캡평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캡평부 면에 수직인방향으로 신장되는 캡원주부를 가지는 캡; 원통형 판상의 프레임베이스,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 면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프레임사이드,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 하면에 수직으로 신장되고, 홈부와 첨두부가 형성된 핀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핀프레임; 원통형 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의 제2면에 실장되며 온도센서 및 광센서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로부; 및 중앙에 와셔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가 상기 와셔홀을 관통하여, 상기 핀부의 상기 홈부에 상기 와셔홀의 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결합되는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축산용 전자 인식표{The electro-identification for stockbreeding}
본 발명은 축산용 전자 인식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에 바코드와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회로의 재사용이 가능토록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하는 전자 인식표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육류 소비량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 사육되는 가축 사육두수도 크게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육류 소비량의 주된 대상은 닭, 오리와 같은 가금류와 소, 돼지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가축의 사육환경은 과거에는 영세농에 의한 농/수산업과 축산업의 겸업이 주된 구조로 가구당 사육두수가 적은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축산 전업농 또는 기업형 축산단체에 의해 가구당 사육두수가 몇 배로 증가하였다. 이를 반영하듯, 90년대에 비해 00년대에는 축산 농가수가 64% 감소한 반면, 사육두수는 20%가량 증가하였다. 이는 곧 축산 종사자 1인당 사육두수의 증가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육환경의 변화 원인은 실제 수입과 직결되는 축산 시설, 축산 장비, 사료의 재배/생산/공급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축산 시설의 현대화, 사료 공급 및 분뇨 처리 시설의 자동화가 이루어져 가축당 노동력이 절감되고, 이로 인해 1인당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하지만, 축산업은 시설, 장비에서는 크게 변화된 반면, 가축 단위당 개체관리, 질병 관리, 통계정보 수집과 같은 기반영역에서의 발전은 크게 더디며, 브루셀라, 구제역과 같은 질병의 발생시 통계정보의 미흡, 개체관리의 미숙 등으로 인해 질병 확산 및 전파 이로 인한 피해가 큰 실정이다. 즉, 현재까지 대규모로 사육되는 가축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과거와 별반 차이가 없이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의 미비 중 하나의 원인은 가축 개체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의 개발이 미흡한데 기인한다. 가축 개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는 무선생체 단말이 필요하며 일부 개발된 제품이 있긴 하지만, 이를 이용하기 곤란한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실제로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일례로, 기존의 생체단말의 경우 사용하기 불편한 크기와 무게로 인해 가축에 부착이 어려우며, 부착 후에도 가축의 활동으로 인한 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 피하에 전자칩을 이식하고 이를 외부 스캐너로 인식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고가의 전자칩이 사용되며, 재활용이 어렵고, 도축시 제거가 용이하지 않고, 스캐너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체를 스캔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은 돼지, 소, 염소와 같은 대형 개체의 경우 귀표와 함께 병행하여 사용됨으로써 관리를 위한 비용의 중복된 사용으로 실효성이 매우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귀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에 바코드와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회로의 재사용이 가능토록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한 축산용 전자인식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전자인식표는 원판상의 캡평부와 상기 캡평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캡평부의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는 캡원주부를 가지는 캡; 원판상의 프레임베이스,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프레임사이드,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에 수직으로 신장되고, 홈부와 첨두부가 형성된 핀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핀프레임; 원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의 제2면에 실장되는 온도센서 및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로부; 및 중앙에 와셔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가 상기 와셔홀을 관통하여, 상기 핀부의 상기 홈부에 상기 와셔홀의 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결합되는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핀프레임의 상면에는 플라이어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라이어 삽입부는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과 수평하게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자석이 수납되는 자석 수납부에 의해 폐쇄되고, 타측이 상기 프레임사이드를 관통하여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라이어 삽입부의 외부 표면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돌출된다.
상기 와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베이스 바닥면과 마주대하는 제1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 바닥면 방향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판스프링;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인 제2면에 상기 와셔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면과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베이스면을 관통하여 상기 핀부 내부에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핀홀 내부에 수납된다.
상기 회로부는 지피에스(GPS)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용 전자인식표는 귀표 형태로 제작되어 외부에 바코드와 일련번호 등이 기재되도록 함과 아울러, 자동으로 가축의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회로의 재사용이 가능토록하여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일례를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2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정면예시도.
도 3은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측면예시도.
도 4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저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7은 전자인식표의 정면 분해사시도.
도 8은 전자인식표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9는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일례를 도시한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정면예시도이며, 도 3은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측면예시도이다. 또한, 도 4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평면 예시도이며, 도 5는 조립된 전자인식표의 저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전자인식표의 정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전자인식표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도 9는 회로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10)는 캡(100), 회로부(200), 핀프레임(300) 및 와셔(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자인식표(10)는 가축 특히, 소, 염소, 돼지와 같이 등록 및 이에 따른 관리가 필요한 축종의 신체에 부착되어, 부착된 가축의 관리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인식표(10)는 가축의 신체 중 부착이 용이하고, 부착 후 소손 및 이탈이 적은 귀 부분에 주로 부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인식표(10)는 외부 장치에 가축 개체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구비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각종 생체정보를 외부장치에 제공하여, 전산시스템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는 자료수집 및 개체식별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된다. 이를 위해. 전자인식표(10)는 기존의 비전자인식표와 마찬가지로 가축 개체의 식별을 위한 개체식별번호(바코드 포함할 수 있음)가 외부에 인쇄되어 표시되며, 이를 전산처리 가능하도록 전자화한 전자ID가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전자인식표(10)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가축 개체의 체온, 맥박, 호흡, 활동파형, 동잡음과 같은 생체정보를 수집, 처리하여 외부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인식표(10)는 소모성 부분과 재활용 부분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소모성 부분은 개체의 생장 기간 이후에 폐기되는 부분으로 개체 식별 정보가 인쇄되는 캡(100), 부착시 이용되는 핀프레임(310) 및 와셔(400), 전자인식표(1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10)이며, 이러한 구성은 가축의 도축, 사망, 방전된 후 폐기된다. 반면, 센서와 각종 회로로 구성되는 기판(220)의 경우 내부 데이터의 삭제 후 재활용되어, 전자인식표 사용에 따른 비용 소모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전자인식표(1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캡(100)은 핀프레임(300)과 결합하여,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회로부(200)를 외부와 밀폐하여 격리하는 역할하며, 개체식별번호가 인쇄되어 사람이 육안으로 개체를 구분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캡(100)은 원판상으로 형성되는 캡평부(110)와 캡평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캡원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캠평부(110)와 캡원주부(120)에 의해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U'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캡평부(110)의 외부면에는 개체식별번호가 인쇄되며, 회로부(200)의 램프(230)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 투광창(130)이 형성된다. 아울러, 캡원주부(120)의 내부면 즉, 핀프레임(310)과 접촉되는 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핀프레임(310)에 형성되는 나사산(311)과 나사결합되어 캡(100)이 핀프레임(300)에 긴밀히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투광창(130)은 회로부(200)의 램프(230)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투명 합성수지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램프(230)와 투광창(130)을 연결하며, 램프(230)의 광이 빛샘없이 투광창(130)을 통해 방출될 수 있도록 램프(230)와 투광창(130) 사이에 광튜브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회로부(200)는 가축 개체의 전자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며, 외부에 데이터 전송시 저장된 전자식별정보에 의해 외부장치가 데이터를 개체별로 구분하여 가공 및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회로부(200)는 부착된 가축 개체의 생체정보를 수집 및 작성하고, 외부장치의 요청에 따라 작성된 생체정보를 전자식별정보와 함께 무선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회로부(200)는 생체정보 수집을 위한 센서부(260), 데이터의 처리 및 무선 통신 등 전자인식표(10)의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연산부(240), 연산부(240)의 제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 되는 램프(230), 데이터 처리 및 외부장치와의 연동을 위한 실시간클럭신호를 제공하는 클럭발생기(또는 RTC : Real Time Clock, 241), 외부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모듈(250) 및 안테나(2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회로부(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핀프레임(300)의 프레임부(310)에 마련되는 수납공간(312)에 수납되며, 원판상으로 가공된다. 전술한 연산부(240), 램프(230), 클럭발생기(241), 무선모듈(250) 및 안테나(251)는 회로부(200)의 기판(220) 상에 구성된다. 이와같이 판상으로 가공되는 기판(220)의 양면 중 캡(100)과 대면하는 제1면(221)에는 램프(230) 및 배터리(210)가 부착되며, 타면인 제2면(222)에는 센서부(260)가 구성된다. 센서부(260)는 제1센서(261)와 제2센서(2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센서(261)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면(222)의 임의의 위치에 실장된다. 제2센서(262)는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제2면(222)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기립하도록 제2면(222)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제2센서(262)는 회로부(200)의 조립시 핀홀(315) 내부에 삽입되며, 핀부(360)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감지하여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제1센서(261)는 광센서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고, 이를 통해 가축의 맥막, 호흡을 측정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센서(262)와 핀홀(315) 사이에는 열전달 효율이 우수한 열전달매체가 삽입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기판(220)에는 핀프레임(300)에 기판(2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229)이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루부(200)의 램프(230)는 외부 장치에서 전자인식표(10)의 호출시 점멸하거나, 배터리(220)의 기능저하, 회로 이상 등에 따라 점멸하여 관리자가 전자인식표(1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관리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특별 개체를 식별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전자식별정보를 가진 전자인식표(10)를 선택하면, 이에 따라 램프(230)가 점등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번호의 개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회로부(200)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51)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로부(200)는 GPS모듈(251)을 이용하여 전자인식표(10)가 부착된 가축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외부장치의 요청시 습득된 위치정보를 생체정보 및 전자식별정보와 함게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GPS모듈(251)의 이용을 통해, 가축의 허가되지 않은 이동을 통제하고, 밀도축과 같은 부정행위를 감시함과 아울러 정상적인 유통 및 사육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GPS모듈(251)을 이용한 예를 도시하였으나, 위치정보의 획득이 가능한 다른 형태의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프레임(300)은 회로부(200)를 수납하고, 캡(100)과 결합하여 회로부(200)를 외부와 격리하여 밀폐한다. 또한, 핀프레임(300)은 와셔(400)와 함께 전자인식표(10)가 가축의 신체 특히, 귀와 같은 신체부위에 고정되어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핀프레임(300)은 회로부(200)의 수납공간 역할을 하는 프레임부(310)와 전자인식표(10)를 가축 신체에 설치 및 고정되도록 하는 핀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부(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베이스(313)와 프레임 베이스(313)의 가장자리로부터 핀부(360)와 반대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사이드(314)로 구성된다. 프레임 사이드(314)의 외면에는 나사산(316)이 형성되어, 캡(100)의 나사산(121)과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프레임부(310)는 프레임베이스(313)와 프레임사이드(314)에 의해 수납공간(312)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에는 회로부(200)가 수납 및 고정된다. 한편, 프레임부(310)의 수납공간(312) 구체적으로, 프레임베이스(313)에는 핀홀(315)이 형성되며, 핀홀(315)에는 회로부(200)의 제2센서(262)가 삽입된다. 또한, 프레임부(310)의 프레임베이스(313) 바닥에는 플라이어 삽입부(320)가 형성된다. 이 플라이어 삽입부(320)는 핀홀(315)과 수직인 방향 즉, 프레임베이스(313) 면과 수평인 방향으로 형성된 홀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홀 외면이 프레임베이스(313) 면에서 수납공간으로 융기되어 형성된다. 다시말하면, 플라이어 삽입부(320)는 프레임부(310)의 프레임베이스(313) 외부면 즉, 프레임부(310)의 바닥면(325)으로부터 핀부(360)의 신장방향이 아닌, 수납공간 내부로 돌출되어 플라이어 삽입부(3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는 프레임부(310)의 바닥면(325)이 가축의 피부 또는 얇은 신체조직에 밀착할 수 있도록 바닥면(325)의 평편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플라이어 삽입부(320)는 일측이 프레임부(310)의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326)가 형성되며, 종단은 자석수납부(321)에 의해 밀폐된다. 또한, 플라이어 삽입부(320)의 종단에 형성되는 자석수납부(321)에는 자석(322)이 수납된다. 이 플라이어 삽입부(320)는 전자인식표(10)를 가축의 피부 또는 신체에 설치하는 경우 설치용 플라이어의 노즈가 삽입되어 전자인식표(10)를 가축의 피부 또는 신체에 가압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러한 별도의 플라이어 삽입부(320)는 플라이어가 회로부(200)를 가압하지 않고 핀프레임(300) 만을 가압하도록 하여 회로부(2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플라이어 삽입부(320)의 종단에 수납되는 자석(322)은 플라이어의 노즈가 플라이어 삽입부(320)에 삽입되는 경우 플라이어의 노즈로부터 전자인식표(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자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한편, 핀부(360)는 프레임부(310) 바닥면(325)에 수직인 방향 즉, 수납공간(312)과 반대 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며, 내부는 핀홀(3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핀부(360)는 전자인식표(10)의 설치시 가축의 피부 또는 신체를 관통함과 아울러, 와셔(400)와 결합하여 전자인식표(10)를 가축의 신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핀부(360)는 가축의 신체를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끝이 뾰족하게 가공되는 첨두부(361)가 핀부(360)의 종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핀부(360)에는 와셔(400)와의 결합을 위한 홈부(362)가 형성된다. 홈부(362)는 핀부(360)가 와셔(400)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와셔홀(410)의 내면이 안착되며, 이를 통해 와셔(400)와 핀프레임(300)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한 채 견고히 결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와셔홀(410)의 직경은 홈부(462)의 직경과 같게 형성된다. 아울러, 핀부(360)의 형상은 원형 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전자인식표(1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형상이 다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로부(200)의 제1센서(261)는 기판(22)과 프레임베이스(313)이 마주대하는 면인 제2면(222)에 실장된다. 특히, 제1센서(261)는 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센서(261)가 광센서로 구성되는 경우 프레임베이스(313)는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와셔(400)는 가축의 신체를 관통한 전자인식표(10)의 핀프레임(300), 구체적으로 핀부(360)에 결합되어, 전자인식표(10)를 가축의 신체에 고정함과 아울러, 핀프레임(300)의 바닥변(325)이 가축의 피부와 밀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와셔(400)는 원판상 또는 각형 판상의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에 와셔홀(410)이 형성된다. 와셔홀(4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핀부(360)의 홈부(362)에 끼움결합되어, 와셔(400)와 핀부(36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와셔(400)는 와셔(400)와 핀프레임(300)의 결합시 핀프레임(300)과 가축 피부의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복수의 판스프링(43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복수의 판스프링(4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종단은 와셔(400)와 연결되고 타측종단은 제1면(420)의 면과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면(420)은 핀프레임(300)의 바닥면(325)과 마주대하는 면이며, 판스프링(430)은 제1면(420)에 비해 돌출된 일측종단은 제1면(420)과 평행하고, 일측종단과 와셔(400)를 연결하는 면은 경사지도록 하여 형성된다. 이를 통해, 와셔(400)의 판스프링(430)은 와셔(400)와 핀프레임(300)의 결합시 가축의 피부를 부드럽게 가압하여 핀프레임(300)의 바닥면(325)과 밀착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면(420)과 대를 이루는 제2면 방향으로는 와셔홀(4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면(421)과 수직을 이루도록 홀가이드(411)가 형성된다. 이 홀가이드(411)는 핀부(360)의 단면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와셔(400)와 핀프레임(300)의 결합시 홈부(362)와 첨두부(361) 사이의 핀부(360)가 위치하며, 이를 통해 핀부(360)의 고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 홀가이드(411)는 핀부(360)의 단면 형상이 각형인 경우 핀프레임(300)과 와셔(4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의 사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인식표(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의 신체 특히, 귀부분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인식표(10)는 캡(100)의 외면에는 관리자에 의해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일련번호가 인쇄되며, 회로부(200)는 일련번호를 데이터로 변환한 전자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유지 및 관리하게 된다.
가축의 신체에 설치된 전자인식표(10)는 미리 지정된 주기 또는 조건에 따라 가축의 생체정보를 관측, 수집하여 저장하고, 이를 외부 장치에서 요청하는 경우 전자식별정보와 함께 생체정보를 외부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전자인식표(10)에 의해 수집되어 전달되는 정보는 관리자(또는 농장주)의 단말(60) 또는 질병관리본부(40) 또는 이의 유관기관(50)으로 전달되어 가축 관리 정보로 이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전자인식표(10)를 사용하는 농장에는 전자인식표(10)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AP)의 역할을 하는 중계기(20), 중계기(20)와 연결되어, 농장에서 사용되는 전자인식표(10) 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지정된 대상에게 전달하는 수집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전자인식표 100 : 캡
110 : 캡평부 120 : 캡 원주부
121 : 나사산 130 : 투광창
200 : 회로부 210 : 배터리
220 : 기판 221 : 제1면
222 : 제2면 229 : 고정홀
230 : 램프 261 : 제1센서
262 : 제2센서 300 : 핀프레임
310 : 프레임부 311 : 나사산
312 : 수납공간 313 : 프레임베이스
314 : 프레임사이드 316 : 나사산
320 : 플라이어 삽입부 321 : 자석수납구
322 : 자석 325 : 바닥면
326 : 개구부 360 : 핀부
361 : 첨두부 362 : 홈부
400 : 와셔 410 : 와셔홀
411 : 홀가이드 420 : 제1면
421 : 제2면 430 : 판스프링

Claims (5)

  1. 삭제
  2. 원판상의 캡평부와 상기 캡평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캡평부의 하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신장되는 캡원주부를 가지는 캡;
    원판상의 프레임베이스,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에 수직으로 신장되는 프레임사이드,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에 수직으로 신장되고, 홈부와 첨두부가 형성된 핀부를 가지며, 상기 캡과 결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핀프레임;
    원판상의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제1면에 결합되는 배터리, 상기 기판의 제2면에 실장되는 온도센서 및 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고정되는 회로부; 및
    중앙에 와셔홀이 형성되고, 상기 핀부가 상기 와셔홀을 관통하여, 상기 핀부의 상기 홈부에 상기 와셔홀의 테두리가 안착되어 상기 핀프레임에 결합되는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핀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내부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사이드를 관통하게 형성하는 개구부에 의해 내부의 홀을 외부와 연통되게 하며, 상기 수납공간으로 돌출되게 한 플라이어 삽입부가 조성되는 한편,
    상기 플라이어 삽입부에서 내부의 홀 종단에는 자석이 수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인식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과 마주 대하는 제1면으로부터 상기 프레임베이스의 하면 방향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판스프링;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인 제2면에 상기 와셔홀을 둘러싸도록 상기 제2면과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어 형성되는 홀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인식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핀부 내부에 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핀홀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인식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지피에스(GPS)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인식표.
KR1020110054785A 2011-06-07 2011-06-07 축산용 전자 인식표 KR101204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5A KR101204277B1 (ko) 2011-06-07 2011-06-07 축산용 전자 인식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785A KR101204277B1 (ko) 2011-06-07 2011-06-07 축산용 전자 인식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277B1 true KR101204277B1 (ko) 2012-11-27

Family

ID=4756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785A KR101204277B1 (ko) 2011-06-07 2011-06-07 축산용 전자 인식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2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42A1 (ko) * 2015-03-17 2016-09-22 강승완 가축용 귀표 및 그 귀표를 성형하는 금형 및 그 금형을 이용한 귀표 제조방법
CN107529735A (zh) * 2015-04-30 2018-01-02 斯马特博有限公司 动物耳标
CN109673535A (zh) * 2019-02-25 2019-04-26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佩戴式设备
WO2021001481A1 (fr) * 2019-07-02 2021-01-07 Ardes Boucle d'oreille d'identification pour animaux, comprenant une partie intégrant une partie d'un système d'identification uhf et une partie configurée pour plaquer et maintenir appliquée la partie uhf contre une oreille de l'animal
US20220369593A1 (en) * 2019-11-04 2022-11-24 mOOverment Holding B.V,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monitoring of livestock and the like
EP4183250A1 (en) * 2021-11-18 2023-05-24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Electronic t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900A (ja) * 2005-01-17 2006-07-27 Kokusai Chart Co 動物用識別タ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900A (ja) * 2005-01-17 2006-07-27 Kokusai Chart Co 動物用識別タ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8342A1 (ko) * 2015-03-17 2016-09-22 강승완 가축용 귀표 및 그 귀표를 성형하는 금형 및 그 금형을 이용한 귀표 제조방법
CN107529735A (zh) * 2015-04-30 2018-01-02 斯马特博有限公司 动物耳标
CN109673535A (zh) * 2019-02-25 2019-04-26 众安信息技术服务有限公司 佩戴式设备
WO2021001481A1 (fr) * 2019-07-02 2021-01-07 Ardes Boucle d'oreille d'identification pour animaux, comprenant une partie intégrant une partie d'un système d'identification uhf et une partie configurée pour plaquer et maintenir appliquée la partie uhf contre une oreille de l'animal
FR3098084A1 (fr) * 2019-07-02 2021-01-08 Ardes Boucle d’oreille d’identification pour animaux, comprenant une partie intégrant une partie d’un système d’identification UHF et une partie configurée pour plaquer et maintenir appliquée la partie UHF contre une oreille de l’animal
CN114340382A (zh) * 2019-07-02 2022-04-12 Ardes公司 包括收纳uhf识别系统部分的部分和配置成使所应用的uhf部分压靠并保持在动物的耳朵上的部分的用于动物的识别耳标
CN114340382B (zh) * 2019-07-02 2024-03-01 Ardes公司 包括收纳uhf识别系统部分的部分和配置成使所应用的uhf部分压靠并保持在动物的耳朵上的部分的用于动物的识别耳标
US20220369593A1 (en) * 2019-11-04 2022-11-24 mOOverment Holding B.V,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monitoring of livestock and the like
EP4183250A1 (en) * 2021-11-18 2023-05-24 Max-Planck-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Wissenschaften e.V. Electronic t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277B1 (ko) 축산용 전자 인식표
US11889818B2 (en) Social group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2109358B1 (en) Animal management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including radio animal tag and additional transceiver(s)
US79925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detecting mating of animals
CN112970615B (zh) 动物标签
DK2124746T3 (en) System and method for animal monitoring
US20070008150A1 (en) Long-range cattle identification system
CN115039713A (zh) 用于追踪动物群体的健康的方法和系统
CN111246730A (zh) 用于追踪动物群体的健康的方法和系统
KR20140067195A (ko) 가축의 경구투여용 생체정보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BRPI0709329A2 (pt) método para determinar uma relação entre um primeiro animal e um segundo animal, e um sistema para determinar uma relação entre um primeiro animal e um segundo animal
US9007218B2 (en) Animal identific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
JP2004298020A (ja) 体温測定用耳票、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頭飼育用体温管理システム、ならびに多頭飼育用体温管理方法
CN105993992A (zh) 犊牛饲喂机器人
KR20160109020A (ko) 카메라를 이용한 소의 승가현상을 판별하는 시스템
Ruhil et al.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A cost effective tool to improve livestock sector
KR101290591B1 (ko) 축산 가축용 전자인식표
JP2005278547A (ja) 家畜健康状態測定システムおよび家畜健康状態測定プログラム
MXPA06001450A (es) Mejoras en la identificacion de animales.
CN203136763U (zh) 一种自动识别家畜发情状态的装置
CN220140498U (zh) 一种防止脱漏的畜牧项圈
CN218417888U (zh) 一种饲料槽及猪只生命健康侦测系统
JP4512761B2 (ja) 動物管理システム
TWM480862U (zh) 電子耳標
Benjamin et al. 19 Precision Livestock Farming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