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102B1 -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 Google Patents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4102B1
KR101204102B1 KR1020100095787A KR20100095787A KR101204102B1 KR 101204102 B1 KR101204102 B1 KR 101204102B1 KR 1020100095787 A KR1020100095787 A KR 1020100095787A KR 20100095787 A KR20100095787 A KR 20100095787A KR 101204102 B1 KR101204102 B1 KR 101204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ylindrical member
curved portion
curved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318A (ko
Inventor
김혜삼
박효국
배상현
이영재
Original Assignee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지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지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5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1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4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340/0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 F01N2340/04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exhaust system, e.g. length, diameter or volume of the apparatus; Spatial arrangements of exhaust apparatus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n exhaust pipe, manifold or apparatus in relation to vehicle frame or particular vehicle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원통형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및 상기 원통형부재와 상기 만곡부를 둘러싸는 밴드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길이방향이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체결부 슬릿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이용하면,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외경의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원통형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고,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 변경 시 체결브라켓의 파열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원통형부재의 고정이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Cylindrical members fixing bracket}
본 발명은 차량의 머플러나 매연저감기 등과 같은 원통 형상의 부재를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원통형부재의 외경이 다양한 크기로 변경되더라도 상기 원통형부재의 외주면을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할 수 있는 고정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기관의 연소과정에서 완전 연소되지 못한 연료는 매연이 되어 차량의 배기가스와 함께 대기중으로 배출되므로 이러한 매연은 공기중으로 확산되어 결국 인체에까지 침투하여 기관지염은 물론 암을 유발시키는 등 엄청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차량은 공해 방지를 위해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관 또는 기타 부분에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엔진 자체에서 공해 물질을 적게 배출하려는 전처리 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나, 배기가스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배기가스 정화 목적의 후처리 장치의 장착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상기의 후처리 장치로는 크게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와 디젤산화촉매장치(DOC :Diesel Oxidation Catalyst)와 질소산화물제거장치(DeNOx)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의 장치들은 매연저감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이 장착된 버스나 대형트럭에 하나 이상 결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매연저감기들은 차량에 장착되는 머플러에 비해 중량이 2배 이상 무거우므로, 상기 매연저감기들이 머플러에 장착되는 경우 머플러가 아래로 처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매연저감기나 머플러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때, 매연저감기나 머플러들은 통상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브라켓은 차체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프레임브라켓과 상기 원통형부재를 둘러싸며 프레임브라켓에 걸쳐지는 밴드클램프로 구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차체프레임(70)에 고정된 프레임브라켓(10)에 장착되는 체결브라켓(20)과, 원통형부재(50)를 둘러싸 상기 체결브라켓(20)에 걸쳐지는 밴드클램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20)은, 별도의 결합수단(30)에 의해 프레임브라켓(10)에 결합되는 체결부(21)와,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만곡지게 형성되어 폭방향 일측이 상기 체결부(21)의 하단에 결합되는 만곡부(22)와, 상기 만곡부(22)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이탈방지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밴드클램프(40)는 중단이 만곡부(22)의 폭방향 양측 사이 즉, 체결부(21)와 이탈방지부(24) 사이에 걸쳐지며, 상기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을 둘러싼 후 길이방향 양단이 볼트(51) 및 너트(52)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원통형부재(50)를 둘러싸는 밴드클램프(40)는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는 반면, 프레임브라켓(10)에 결합되는 체결브라켓(20)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밴드클램프(40)보다 경도가 큰 재료로 제작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22)의 곡률이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 곡률보다 작은 경우, 밴드클램프(40)과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과 만곡부(22)의 상면을 둘러싸더라도 만곡부(22)의 길이방향 양단은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바,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과 밴드클램프(4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과 밴드클램프(4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발생되면, 차량의 자체진동이나 주행진동 등이 발생되었을 때 상기 원통형부재(50)가 고정되지 못하고 흔들리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만곡부(22)를 강제적으로 휘어 상기 만곡부(22) 전체가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면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과 밴드클램프(40) 사이의 이격공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므로 원통형부재(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지만, 만곡부(22)를 강제적으로 휘게 되면 체결부(21)와 만곡부(22) 사이의 연결부위가 찢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체결부(21)와 만곡부(22) 사이의 연결부위가 조금이라도 찢어지게 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단부위가 점차적으로 커지게 되고, 종국에는 체결부(21)와 만곡부(22)가 분리되어 원통형부재(50)가 낙하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외경의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원통형부재를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할 수 있고,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 변경 시 체결브라켓의 파열이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구성되는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원통형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및 상기 원통형부재와 상기 만곡부를 둘러싸는 밴드클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길이방향이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체결부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 슬릿은, 상기 만곡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 슬릿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 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와 상기 만곡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강성보강부가 형성된다.
상기 강성보강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만곡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 일부를 타격하는 압입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타측에는 이탈방지부가 마련되고, 상기 만곡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이탈방지부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은, 상기 만곡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이용하면,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을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외경의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원통형부재를 보다 확실하게 감싸 고정할 수 있고, 체결브라켓의 만곡부 곡률 변경 시 체결브라켓의 파열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원통형부재의 고정이 장기간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원통형부재에 장착된 종래의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원통형부재에 장착된 종래의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에 포함되는 체결브라켓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원통형부재에 장착된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에 포함되는 체결브라켓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원통형부재에 장착된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의 사시도 및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차량의 머플러나 매연저감기 등과 같은 원통 형상의 부재(이하 '원통형부재(50)'라 약칭함)를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차체프레임(70)의 프레임 브라켓(10) 등에 결합됨으로써 차체프레임(70)에 고정되는 체결브라켓(100)과, 상기 체결브라켓(100)에 밀착된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을 둘러싼 후 상기 체결브라켓(100)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원통형부재(50)를 체결브라켓(100)에 결합시키는 밴드클램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100)은,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만곡 플레이트 형상의 만곡부(110)와, 상기 만곡부(110)의 폭방향 일측(도 4 및 도 6에서는 우측)에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120)와, 상기 만곡부(110)의 폭방향 타측(도 4 및 도 6에서는 좌측)에 마련되는 이탈방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120)는 차체프레임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 이상의 면적과 높이를 갖도록 제작되며, 상기 이탈방지부(130)는 만곡부(110)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된 밴드클램프(200)가 만곡부(110)의 폭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지지 아니하도록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물론, 만곡부(110)의 상면을 둘러싸도록 장착된 밴드클램프(200)가 만곡부(110)의 폭방향으로 미끄러져 빠질 우려가 없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130)는 생략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원통형부재(50)의 외경에 따라 만곡부(110)의 곡률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도록 즉, 상기 만곡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쉽게 벤딩될 수 있도록, 상기 만곡부(110)와 상기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된 부위에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되면, 상기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된 부위의 만곡부(110)가 벤딩된다 하더라도 상기 체결부(120)에는 인장력이 발생되지 아니하므로 상기 체결부(120)가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체결부(120)의 폭을 줄이게 되면 만곡부(110)와의 연결부위가 좁아지므로 별도의 체결부 슬릿(140)을 형성하지 아니하더라도 만곡부(110) 벤딩에 따른 체결부(120)의 변형 및 파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이와 같이 체결부(120)의 폭을 줄이게 되면 체결부(120)와 차체프레임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과 같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체결부 슬릿(140)을 형성하게 되면, 체결부(120)의 폭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보하더라도 만곡부(110) 벤딩에 따른 체결부(120)의 변형 및 파열 현상이 감소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된 부위에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되면, 체결부 슬릿(140)의 길이만큼 체결부(120)와 연결되지 아니한 만곡부(11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만곡부(110)를 벤딩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만곡부(110)의 상면에 안착된 밴브클램프의 이탈을 위한 이탈방지부(130)가 폭이 좁은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만곡부(110) 벤딩 시 만곡부(110)와 이탈방지부(130) 간의 결합부위가 파열되거나 이탈방지부(130)가 변형될 우려가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130)가 체결부(120)만큼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만곡부(110)와 이탈방지부(130)가 연결된 부위에 이탈방지부 슬릿(150)이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150)은 체결부 슬릿(140)과 비교하였을 때 형성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형상 및 기능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150)에 대한 형상 및 기능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만곡부(110)는 통상적으로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 중 상측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상기 체결부(120)는 만곡부(110)의 중단에 마련되며, 상기 만곡부(110)를 벤딩시킬 때에는 만곡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힘을 가함으로써 길이방향 양측이 구부러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된 부위 중 어느 일측에만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되면 만곡부(110)의 길이방향 양측을 구부릴 때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되지 아니한 측에서는 체결부(120)의 변형 또는 체결부(120)의 파열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 슬릿(14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150) 역시 상기 만곡부(110)와 상기 이탈방지부(130)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 각각 체결부 슬릿(140)이 형성되더라도, 상기 만곡부(110)가 과도하게 벤딩되는 경우에는 체결부 슬릿(140)의 내측 끝단으로 응력이 집중되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 간의 연결부위가 파열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은 상기와 같은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 슬릿(140)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142)가 체결부 슬릿(140)의 내측 끝단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 슬릿(140)의 내측 끝단에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142)가 형성되면, 체결부 슬릿(140)의 내측 끝단으로 전달된 응력이 크랙방지부(142)의 둘레를 통해 분산되므로, 만곡부(110)와 체결부(120) 간의 연결부위가 파열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이탈방지부 슬릿(150)의 내측 끝단에도 이탈방지부 슬릿(150)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152)를 형성함으로써, 만곡부(110)와 이탈방지부(130) 간의 결합부위가 파열되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차체프레임과 결합되는 체결부(120)는, 차체프레임과의 밀착성 향상이나 제작의 편의성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작되며, 차체프레임과의 체결 편의성을 위해 만곡부(110)의 폭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어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연결되는 부위에 직각으로 오목한 코너가 형성되면, 원통형부재(50)의 자중이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 상기 코너 부위로 집중되는바, 만곡부(110)와 체결부(120) 간의 연결부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120)와 상기 만곡부(110)가 연결되는 부위에 강성보강부(16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성보강부(160)는, 상기 만곡부(110)와 체결부(120)가 만나는 코너 부위에 별도의 보강물을 채우는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강성 보강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으나, 별도의 보강물 재료를 준비해야 하므로 제조원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강성보강부(16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20)와 만곡부(110)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상기 코너가 형성되는 면의 배면) 일부를 타격하는 압입하는 공정을 통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20)와 만곡부(110)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 일부를 타격하여 압입하게 되면, 오목하게 코너가 형성된 측면에서는 상기 타격 부위가 돌출되어 강성보강부(160)가 형성되는 결과가 발생되는바, 별도의 보강물을 추가하지 아니하더라도 만곡부(110)와 체결부(120) 간의 연결부위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절곡된 부위를 타격하여 압입함으로써 절곡된 부위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방법은 판금 및 프레스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원통형부재(50)를 고정시켰을 때, 밴드클램프(200)가 원통형부재(50)를 감싸는 형상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이용하면, 최초 만곡부(110)의 곡률과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 곡률이 상이하더라도 상기 만곡부(110)를 벤딩시킴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부(110)의 일면(도 5에서는 저면) 전체를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만곡부(110)의 일면 전체가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에 밀착되면 밴드클램프(200)로 만곡부(110)와 원통형부재(50)를 둘러 감쌌을 때,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에 비해 밴드클램프(200)가 원통형부재(50)에 밀착되는 구간이 증대되므로, 상기 원통형부재(50)가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을 이용하면, 원통형부재(50)의 외주면 곡률에 맞춰 만곡부(110)를 쉽게 벤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면적의 원통형부재(50) 외주면이 밴드클램프(200)에 의해 감싸지게 되므로 상기 원통형부재(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차체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밴드클램프(200)의 양단이 원통형부재(50)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밴드클램프(200)의 양단은 원통형부재(50)의 좌우측 또는 상측에서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밴드클램프(200)의 양단이 결합되는 구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체결브라켓 110 : 만곡부
120 : 체결부 130 : 이탈방지부
140 : 체결부 슬릿 150 : 이탈방지부 슬릿
160 : 강성보강부 200 : 밴드클램프

Claims (9)

  1. 원통형부재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곡률을 갖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일측에 마련되어 차체프레임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 타측에는 마련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체결브라켓; 및
    상기 원통형부재와 상기 만곡부를 둘러싸는 밴드클램프;
    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부와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체결부 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와 상기 이탈방지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에는 상기 만곡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이탈방지부 슬릿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 슬릿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체결부 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이탈방지부 슬릿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는 관통공 형상의 크랙방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만곡부의 폭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와 상기 만곡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강성보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보강부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만곡부가 만나는 모서리 부위 일부를 타격하는 압입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095787A 2010-10-01 2010-10-01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KR101204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87A KR101204102B1 (ko) 2010-10-01 2010-10-01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787A KR101204102B1 (ko) 2010-10-01 2010-10-01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318A KR20120034318A (ko) 2012-04-12
KR101204102B1 true KR101204102B1 (ko) 2012-11-22

Family

ID=4613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787A KR101204102B1 (ko) 2010-10-01 2010-10-01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1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7362B2 (en) * 2014-09-12 2016-05-24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Adjustable mounting system for aftertreatment or exhaust componen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432A (ja) * 1996-08-06 1998-02-20 Tokai Rubber Ind Ltd 円筒型防振マウント用ブラケット及び円筒型防振マウン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7432A (ja) * 1996-08-06 1998-02-20 Tokai Rubber Ind Ltd 円筒型防振マウント用ブラケット及び円筒型防振マウ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318A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17574A1 (en) Strap for securing exhaust treatment device
KR101204102B1 (ko) 원통형부재 고정브라켓
WO2007086277A1 (ja)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ールド
JP2011140932A (ja) 建設機械
KR101478590B1 (ko)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또는 어쿠스틱 장치에 다층 배트, 블랭킷 또는 매트를 설치하는 방법
JP2005320907A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KR20130092581A (ko) 테이퍼 형상의 에지를 가진 매트
US7323145B2 (e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0204938A (ja) セラミックハニカム構造体を有するガス流路
JP4692232B2 (ja) 排気管構造
JP2006161667A (ja) 触媒コンバーター保持構造
KR101550315B1 (ko) 후륜 구동 디젤 차량용 배기장치의 고정 구조
KR102463474B1 (ko) 자동차용 촉매컨버터의 히터커버 장치
JPH06117242A (ja) 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系の接続構造
JP2009061950A (ja) 排気ターボ過給機付き内燃機関における排気ガス管路の支持装置
KR200438614Y1 (ko) 차량용 매연저감기 고정장치
JP2014092096A (ja) 尿素水タンクの固定構造
JP6970002B2 (ja) 質量体付き排気系部品
KR100965635B1 (ko) 체결부재용의 스터드볼트
JP4212442B2 (ja) 排気管共振抑止装置
JP4486522B2 (ja) 排気管共振抑止装置
US20230063545A1 (en) Process for increasing mass flow of an exhaust gas through a catalytic converter
US20230122518A1 (en) Exhaust assembly
JP6794804B2 (ja) ブラケットおよびブラケットの支持構造
JP4453151B2 (ja) 排気ガス浄化用触媒コンバ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