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4069B1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Google Patents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4069B1 KR101204069B1 KR1020110024271A KR20110024271A KR101204069B1 KR 101204069 B1 KR101204069 B1 KR 101204069B1 KR 1020110024271 A KR1020110024271 A KR 1020110024271A KR 20110024271 A KR20110024271 A KR 20110024271A KR 101204069 B1 KR101204069 B1 KR 1012040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outer frame
- amplifier
- improved structure
- flexi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은: 적어도 프레임, 엣지 및 박막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 그리고 내측 프레임, 외측 프레임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은 단일 부재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는 상기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은 상기 단일 부재의 박막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이 매립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와 내측 프레임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이며, 그러한 만곡부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한다.
Description
본원 발명은 전체적으로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폭기의 단일 부재의 음향-방출 표면 상에 위치결정 슈래프널(positioning shrapnel)를 견고하게(firmly) 배치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위치결정 슈래프널은 박막의 진동 상태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고 그리고 밸런싱한다(position and balance).
종래의 증폭기 구조물은 전기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전자 장치이다. 보이스 코일이 대전된 후에 보이스 코일과 자석 부재는 상호 배타적이 되고, 피스톤과 유사한 운동이 활성화되어 자석 부재의 전방에서 박막을 밀어내고, 그리고 박막 앞에서 음파가 외측으로 방사된다. 증폭기 구조물 내의 원형 파장 구조물이 보이스 코일을 위치결정하고 자석 부재와 박막 사이에 배치되어 부피를 감소시키기가 어렵다. 그러한 제한으로 인해서, 얇은 부피의 전자 제품들이 또한 적용될 수 없다.
얇은 TV,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PDA, MP3 플레이어, 셀룰러 폰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은 슬림하고 운반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되며, 그에 따라 전술한 전자 제품들의 각각의 전체 부피의 치수(dimensions)는 매우 작아야 하며, 그에 따라 각 제품에서 증폭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제한된다. 따라서, 일부 평면형 타입의 증폭기가 개발되었다. 각각의 평면형 증폭기에 대한 작은 크기를 제공하기 위해서, 원형 파장 구조물이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낮은 파워 출력에서는 박막의 진폭이 작기 때문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다른 경우에(otherwise), 높은 파워 출력 중에는 큰 진폭으로 인해서 밸런싱되지 못한 진동 및 떨림이 발생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출력 음향/음성이 매우 불안정할 것이다. 그에 따라, 종래의 평면형 증폭기는 낮은 파워 출력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높은 파워 출력에는 적용될 수 없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원형 파장 구조물을 대체하기 위한 또는 높은 파워 출력 중에 안정적으로 사운드/음성을 출력하기 위해서 박막의 진동 상태를 효과적으로 위치결정 및 밸런싱하기 위한 증폭기용의 개선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 소위 당업자들에게 주요 문제가 되고 있다.
본원 발명의 주요 목적은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위치결정 슈래프널이 증폭기의 단일 부재의 음향-방출 표면 상에 견고하게(firmly) 배치되고, 상기 위치결정 슈래프널은 박막의 진동 상태를 위치결정하고 밸런싱하며, 그에 따라 개선된 구조물이 높은 파워 조건에 있을 때 박막으로부터의 밸런싱화되지 못한 진동 및 불안정한 주파수 상황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증폭기의 개선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은 슬림한 부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높은 파워 출력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증폭기가 적용 측면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위치결정 슈래프널이 증폭기의 여러 가지 타입의 단일 부재에 적합하고, 그에 따라 최적의 출력에 접근하기 위해서 가요성 브레이스(flexible brace)의 형성, 분량 및 벤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은: 적어도 프레임(111), 엣지(112) 및 박막(1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11); 그리고 내측 프레임(121), 외측 프레임(1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122)은 단일 부재(11)의 프레임(1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는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121)은 상기 단일 부재(11)의 박막(113)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1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1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1111)을 구비하며, 임의의(any of) 가요성 브레이스(123)와 내측 프레임(1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1231)이며, 그러한 만곡부는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높이차가 존재하는 동안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의 연결을 유지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는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만곡되며, 내측 프레임(121)은 평면형 부재이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은:적어도 프레임(211), 엣지(212) 및 박막(2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21); 그리고 외측 프레임(2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2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222)은 단일 부재(21)의 프레임(2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일단부(2231)는 외측 프레임(222)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타단부(2232)는 박막(213)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외측 프레임(222)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타단부는 박막(213)에 견고하게 배치된 홀딩 부분(2232)이며, 상기 프레임(2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2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2111)을 구비하며, 각각의 가요성 브레이스(223)는 만곡부(2231)이며, 그러한 만곡부는 홀딩 부분(2232)과 외측 프레임(222) 사이에 높이차가 존재하는 동안 홀딩 부분(2232)과 외측 프레임(222)의 연결을 유지한다.
증폭기용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311), 엣지(312) 및 박막(3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31); 그리고 외측 프레임(322) 및 상기 외측 프레임(322)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3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322)은 단일 부재(31)의 프레임(3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일단부는 외측 프레임(322)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타단부는 박막(313)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3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3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3111)을 구비하며, 각각의 가요성 브레이스(323)는 만곡되게 배치된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611), 엣지(612), 박막(613), 보이스 코일(615), 및 분진-방지 커버(614)를 구비하는 단일 부재(61); 그리고 내측 프레임(621), 외측 프레임(6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6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622)은 단일 부재(61)의 프레임(6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623)는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621)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분진-방지 커버(6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621)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보이스 코일(615)와 분진-방지 커버(614) 사이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6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6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6111)을 구비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623)와 내측 프레임(6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6231)이고, 그러한 만곡부는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할 때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의 연결을 유지하며, 상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623)가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만곡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621)이 평면형 부재가 된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711), 엣지(712), 박막(713), 보이스 코일(715), 및 분진-방지 커버(714)를 구비하는 단일 부재(71); 그리고 외측 프레임(7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722)은 단일 부재(71)의 프레임(7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일단부는 외측 프레임(7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타단부는 분진-방지 커버(7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외측 프레임(7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분진-방지 커버(7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 홀딩 부분(7232)이며, 상기 프레임(7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7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7111)을 구비하며, 각각의 가요성 브레이스(723)는 홀딩 부분(7232)과 외측 프레임(7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 홀딩 부분(7232)과 외측 프레임(722)의 연결을 유지하는 만곡부(7231)를 구비하여, 상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는 만곡되게 배치된다.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 이점 및 이득 그리고 추가적인 특징, 이점 및 이득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개략적인 설명 및 이하의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예시적이고 설명적인 것이고 본원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본원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되고 구성된 것이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원 발명의 전체적인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본원 명세서를 통해서, 유사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목적, 사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 및 구체적인 설명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1b는 도 1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3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4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6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9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1b는 도 1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2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3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4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이다.
도 6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9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목적 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도면들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 및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1)은: 적어도 프레임(111), 엣지(112) 및 박막(113)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단일 부재(11)로서, 상기 프레임(1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1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111)을 구비하는 직사각형 단일 부재; 그리고 내측 프레임(121), 외측 프레임(1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122)은 단일 부재(11)의 홈(11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123)는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121)은 상기 단일 부재(11)의 박막(113)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와 내측 프레임(1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1231)이며, 그러한 만곡부은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높이차(도면에서, 내측 프레임이 외측 프레임 보다 낮다)가 존재하는 동안 내측 프레임(121)과 외측 프레임(122)의 연결을 유지하며; 다른 경우에, 상기 만곡부는 반대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1)은 단일 부재(11) 및 위치결정 슈래프널(12)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은 단일 부재(11)의 음향-방출 표면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박막(113)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1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의 외측 프레임(122)의 4개의 연결 지점(1221)을 통해서 밸런싱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직사각형 단일 부재(11)가 진동하여 박막(113)과 동기화(synchronize)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1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을 통해서 밸런싱 상태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개선된 구조물(1)이 높은 파워 조건하에 있을 때 박막(113)이 밸런싱을 이루지 못하고 진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불안정한 주파수 상황에 놓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 및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제 2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차이점은 직사각형 단일 부재(2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2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22)은 외측 프레임(222) 및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에 의해서 조립되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은 홀딩 부분(2232)이고,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2개의 단부는 외측 프레임(222)의 일 측부와 연결되며,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223)는 박막(113)에 견고하게 배치된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2232)으로서 형성된다. 외측 프레임(222)과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2232)의 4개의 연결 지점(2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직사각형 단일 부재(21)가 진동하여 박막(1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2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2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 및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3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제 3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차이점은 직사각형 단일 부재(3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3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32)은 외측 프레임(322) 및 4개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에 의해서 조립되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외측 프레임(322)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타단부(3231)가 박막(313)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외측 프레임(322)과 단부(3231)의 4개의 연결 지점(3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직사각형 단일 부재(31)가 진동하여 박막(3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3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3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 및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4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직사각형 단일 부재(4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42)에 있다.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2개의 위치결정 슈래프널(42)이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42)은 외측 프레임(422) 및 상기 외측 프레임(422)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423)에 의해서 조립된다.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423)의 2개의 단부에는 박막(413)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4232)이 형성된다. 외측 프레임(422)과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4232)의 4개의 연결 지점(4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직사각형 단일 부재(41)가 진동하여 박막(4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4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4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2, 제 3 및 제 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가요성 브레이스들의 각각이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여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에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하는 만곡부을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5a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직사각형 단일 부재를 대체하는 둥근 단일 부재(51) 그리고 그러한 둥근 단일 부재(5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있으나,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론은 제 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론과 동일하다.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은 내측 프레임(521), 외측 프레임(522) 및 4개의 가요성 브레이스(523)에 의해서 조립되며, 상기 외측 프레임(522)은 둥근 단일 부재(51)의 홈(51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523)는 곡선형이 되고 내측 프레임(521)과 외측 프레임(5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521)은 둥근 단일 부재(51)의 박막(513)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523)와 내측 프레임(5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5231)이며, 그러한 만곡부는 내측 프레임(521)과 외측 프레임(522) 사이에 높이차(도면에서, 내측 프레임이 외측 프레임 보다 낮다)가 존재하는 동안 내측 프레임(521)과 외측 프레임(522)의 연결을 유지하며; 다른 경우에, 상기 만곡부는 반대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5)은 둥근 단일 부재(51) 및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을 구비하며,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은 둥근 단일 부재(51)의 음향-방출 표면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박막(513)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5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의 외측 프레임(522)의 4개의 연결 지점(5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둥근 단일 부재(51)가 진동하여 박막(5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5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개선된 구조물(5)이 높은 파워 조건하에 있을 때 박막(513)이 밸런싱을 이루지 못하고 진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불안정한 주파수 상황에 놓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5b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6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둥근 단일 부재(5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은 내측 프레임(521), 외측 프레임(522) 및 3개의 가요성 브레이스(523)에 의해서 조립되고 둥근 단일 부재(51)의 음향-방출 표면상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박막(513)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5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의 외측 프레임(522)의 3개의 연결 지점(5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단일 부재(51)가 진동하여 박막(5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5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5c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7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둥근 단일 부재(5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은 내측 프레임(521), 외측 프레임(522) 및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523)에 의해서 조립되고 둥근 단일 부재(51)의 음향-방출 표면상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박막(513)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5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52)의 외측 프레임(522)의 2개의 연결 지점(5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단일 부재(51)가 진동하여 박막(5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5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5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3차원적인 분해도 및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6)은: 적어도 프레임(611), 엣지(612), 박막(613), 보이스 코일(615), 및 분진-방지 커버(614)를 구비하는 단일 부재(61)로서, 상기 프레임(611)의 둘레는 외측 프레임(622)이 매립될 수 있는 홈(6111)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61); 그리고 내측 프레임(621), 외측 프레임(622) 및 4개의 가요성 브레이스(6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622)은 단일 부재(61)의 프레임(611) 내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623)는 곡선형이 되고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621)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분진-방지 커버(6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며; 임의의 가요성 브레이스(623)와 내측 프레임(6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6231)이고, 그러한 만곡부은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높이차(도면에서, 내측 프레임이 외측 프레임 보다 낮다)가 존재할 때 내측 프레임(621)과 외측 프레임(622)의 연결을 유지하며; 다른 경우에, 상기 만곡부가 반대로 디자인될 수 있을 것이다.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6)은 둥근 단일 부재(61) 및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을 구비하며,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은 둥근 단일 부재(61)의 음향-방출 표면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분진-방지 커버(614)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6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의 외측 프레임(622)의 4개의 연결 지점(6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둥근 단일 부재(61)가 진동하여 박막(6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6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6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개선된 구조물(6)이 높은 파워 조건하에 있을 때 박막(613) 및 분진-방지 커버(614)가 밸런싱을 이루지 못하고 진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불안정한 주파수 상황에 놓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9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7a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9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3개의 가요성 브레이스(723)만을 구비하는 개선된 구조물(7)에 있다.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은 곡선형이고 그리고 내측 프레임(이러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음)과 외측 프레임(722) 사이에 배치된다. 내측 프레임은 보이스 코일(715)과 분진-방지 커버(714) 사이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보이스 코일(715)과 분진-방지 커버(714) 사이에 견고하게 배치된 내측 프레임(721)과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의 외측 프레임(722)의 2개의 연결 지점(7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단일 부재(71)가 진동하여 박막(7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7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7b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10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둥근 단일 부재(7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7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은 외측 프레임(722) 및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에 의해서 조립된다.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이 곡선화되어 홀딩 부분(7232)을 형성하고,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2개의 단부는 외측 프레임(722)의 일 측부와 연결되며, 2개의 가요성 브레이스(723)는 분진-방지 커버(714)에 견고하게 배치된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7232)으로서 형성된다. 2개의 대응하는 홀딩 부분(7232)과 외측 프레임(722)의 4개의 연결 지점(7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둥근 단일 부재(71)가 진동하여 박막(7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7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7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의 제 1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도 7c를 참조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제 1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차이점은 둥근 단일 부재(71)와 협력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72)에 있다.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은 외측 프레임(722) 및 4개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에 의해서 조립된다.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외측 프레임(722)과 연결되도록 곡선화되고,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타단부(7231)가 분진-방지 커버(714)에 견고하게 배치된다. 4개의 가요성 브레이스(723)과 외측 프레임(722)의 4개의 연결 지점(7221)을 통해서 밸런스 상태가 만들어진다. 그에 따라, 둥근 단일 부재(71)가 진동하여 박막(713)과 동기화되는 동안에, 진동하는 박막(713)이 위치결정 슈래프널(72)에 의해서 밸런스 상태 하에서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 9, 제 10 및 제 1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 7a, 7b 및 7c의 가요성 브레이스는 제 8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 6a 및 도 6b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각각의 가요성 브레이스가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만곡부는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에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진다:
1. 본원 발명의 경우에, 위치결정 슈래프널이 단일 부재의 음향-방출 표면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박막의 진동 상태를 위치결정하고 그리고 밸런스 상태로 만들며, 그에 따라 개선된 구조물이 높은 파워 조건하에 있을 때 박막이 밸런싱을 이루지 못하고 진동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불안정한 주파수 상황에 놓이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된다.
2. 본원 발명은 슬림한 부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높은 파워 출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증폭기가 적용 측면에서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본원 발명의 경우에, 위치결정 슈래프널이 증폭기의 여러 가지 타입의 단일 부재에 적합하고, 그에 따라 최적의 출력에 접근하기 위해서 가요성 브레이스의 형성, 분량 및 벤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원 발명의 원리는 소위 당업자에게 자명한 수많은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원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Claims (25)
- 삭제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111), 엣지(112) 및 박막(1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11); 그리고
내측 프레임(121), 외측 프레임(1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에 의해서 조립된 위치결정 슈래프널(1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122)은 상기 단일 부재(11)의 상기 프레임(1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123)는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상기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121)은 상기 단일 부재(11)의 박막(113)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1)의 둘레는 상기 외측 프레임(122)이 매립되는 홈(1111)을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123)와 상기 내측 프레임(1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1231)이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상기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상기 외측 프레임(122)의 연결을 유지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123)가 상기 내측 프레임(121)과 상기 외측 프레임(122) 사이에 배치되도록 곡선형이 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121)이 평면형 부재인,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211), 엣지(212) 및 박막(2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21); 그리고
외측 프레임(2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에 의해서 조립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2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222)은 상기 단일 부재(21)의 상기 프레임(2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일단부(2231)는 상기 외측 프레임(222)과 연결되고,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타단부(2232)는 박막(213)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외측 프레임(2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박막(213)에 견고하게 배치된 홀딩 부분(2232)인,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11)의 둘레는 상기 외측 프레임(222)이 매립되는 홈(2111)을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223)의 각각은 만곡부(2231)를 가지며, 상기 만곡부는 상기 홀딩 부분(2232)과 상기 외측 프레임(2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홀딩 부분(2232)과 상기 외측 프레임(222)의 연결을 유지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223)가 곡선형인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311), 엣지(312) 및 박막(313)을 구비하는 단일 부재(31); 그리고
외측 프레임(322) 및 상기 외측 프레임(322)으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에 의해서 조립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3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322)은 상기 단일 부재(31)의 상기 프레임(3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3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323)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박막(313)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11)의 둘레는 상기 외측 프레임(322)이 매립되는 홈(3111)을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323)가 만곡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611), 엣지(612), 박막(613), 보이스 코일(615), 및 분진-방지 커버(614)를 구비하는 단일 부재(61); 그리고
내측 프레임(621), 외측 프레임(6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623)에 의해서 조립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6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622)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상기 프레임(6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623)는 상기 내측 프레임(621)과 상기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621)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분진-방지 커버(6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621)은 상기 단일 부재(61)의 상기 보이스 코일(615)과 상기 분진-방지 커버(614) 사이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611)의 둘레는 상기 외측 프레임(622)이 매립되는 홈(6111)을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623)와 상기 내측 프레임(621)의 각각의 연결부는 만곡부(6231)이고, 상기 만곡부는 상기 내측 프레임(621)과 상기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할 때 상기 내측 프레임(621)과 상기 외측 프레임(622)의 연결을 유지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623)는 상기 내측 프레임(621)과 상기 외측 프레임(622) 사이에 배치되도록 만곡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레임(621)이 평면형 부재인,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로서:
적어도 프레임(711), 엣지(712), 박막(713), 보이스 코일(715), 및 분진-방지 커버(714)를 구비하는 단일 부재(71); 그리고
외측 프레임(722) 및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에 의해서 조립되는 위치결정 슈래프널(72)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프레임(722)은 단일 부재(71)의 프레임(711)에 견고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7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분진-방지 커버(7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외측 프레임(722)과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의 타단부는 상기 분진-방지 커버(714) 상에 견고하게 배치된 홀딩 부분(7232)인,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11)의 둘레는 상기 외측 프레임(722)이 매립되는 홈(7111)을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723)의 각각은 상기 홀딩 부분(7232)과 상기 외측 프레임(722) 사이에 높이 차가 존재하는 동안 상기 홀딩 부분(7232)과 상기 외측 프레임(722)의 연결을 유지하는 만곡부(7231)를 구비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브레이스(723)가 만곡되게 배치되는,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TW100101902 | 2011-01-19 | ||
TW100101902A TWI442788B (zh) | 2011-01-19 | 2011-01-19 | Speaker structure improv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634A KR20120084634A (ko) | 2012-07-30 |
KR101204069B1 true KR101204069B1 (ko) | 2012-11-23 |
Family
ID=4555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4271A KR101204069B1 (ko) | 2011-01-19 | 2011-03-18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768000B2 (ko) |
EP (1) | EP2480006A3 (ko) |
JP (1) | JP5237412B2 (ko) |
KR (1) | KR101204069B1 (ko) |
TW (1) | TWI442788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97489B2 (ja) * | 2013-05-30 | 2018-09-26 | シュアー アクイジッション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Shure Acquisition Holdings,Inc. | マイクロホンダイヤフラム用スタビライザ |
US9639115B2 (en) * | 2014-11-21 | 2017-05-02 | Dell Products L.P. | Method and system for internal shock isolation |
EP3668112A3 (en) * | 2018-12-10 | 2020-07-29 | Ask Industries Societa' per Azioni | Acoustic panel assembly with suspension system |
CN110324765B (zh) * | 2019-06-21 | 2021-05-11 | 菏泽韩升元电子股份有限公司 | 一种弹片式接触手机扬声器的弹片组件及其加工方法 |
CN110829229B (zh) * | 2019-11-27 | 2020-12-18 | 笑聪精密机械(苏州)有限公司 | 一种带非线性框架减振结构的电力柜 |
CN212211382U (zh) * | 2020-06-24 | 2020-12-22 | 深圳市创想听力技术有限公司 | 一种弹片及扬声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2305B1 (ko) | 1996-11-29 | 2000-11-15 | 모리시타 요이찌 | 전기-기계-음향변환기,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및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내장한휴대단말장치 |
KR100902120B1 (ko) * | 2008-10-15 | 2009-06-09 | 주식회사 비에스이 | 다기능 스피커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40079Y2 (ja) * | 1979-12-19 | 1985-12-02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振動板安定作動装置 |
NL8301460A (nl) * | 1983-04-26 | 1984-11-16 | Philips Nv | Elektroakoestische omzettereenheid met verlaagde resonantiefrekwentie. |
JPS62241499A (ja) * | 1986-04-12 | 1987-10-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スピ−カ |
JPH0247897U (ko) * | 1988-09-27 | 1990-04-03 | ||
JPH08163692A (ja) * | 1994-11-30 | 1996-06-21 | Kenwood Corp | スピーカの配線構造及び配線方法 |
JP3506855B2 (ja) * | 1996-09-17 | 2004-03-15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スピーカ用ダンパ |
JP4134450B2 (ja) * | 1999-07-14 | 2008-08-2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スピーカ |
FI20020283A (fi) * | 2001-08-17 | 2003-02-18 | Samsung Electro Mech | Monitoimielin |
JP3944848B2 (ja) * | 2003-02-12 | 2007-07-18 | ミネベア株式会社 | スピーカ |
JP2006041783A (ja) * | 2004-07-26 | 2006-02-09 | Orient Sound Kk | 薄型スピーカ |
JP4694176B2 (ja) * | 2004-10-29 | 2011-06-08 | フォスター電機株式会社 | スピーカ |
JP4604900B2 (ja) * | 2005-07-28 | 2011-01-05 | ソニー株式会社 | スピーカ用ダンパー及びスピーカ用ダンパー組み付け方法 |
JP4912922B2 (ja) * | 2007-02-28 | 2012-04-11 | ミネベア株式会社 | スピーカ |
KR101063350B1 (ko) * | 2009-04-01 | 2011-09-07 | (주)소넥스 | 댐퍼를 구비한 평판형 스피커 |
KR100930537B1 (ko) * | 2009-09-03 | 2009-12-09 | 주식회사 블루콤 | 고출력 진동판 결합 구조를 갖춘 마이크로 스피커 |
KR100963561B1 (ko) * | 2009-09-07 | 2010-06-15 | 범진아이엔디(주) | 초슬림 다이내믹형 스피커의 댐퍼 |
-
2011
- 2011-01-19 TW TW100101902A patent/TWI442788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3-18 KR KR1020110024271A patent/KR10120406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4-18 US US13/088,530 patent/US876800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4-22 JP JP2011096211A patent/JP5237412B2/ja active Active
-
2012
- 2012-01-19 EP EP12151713.0A patent/EP2480006A3/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2305B1 (ko) | 1996-11-29 | 2000-11-15 | 모리시타 요이찌 | 전기-기계-음향변환기,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및전기-기계-음향변환장치를내장한휴대단말장치 |
KR100902120B1 (ko) * | 2008-10-15 | 2009-06-09 | 주식회사 비에스이 | 다기능 스피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80006A2 (en) | 2012-07-25 |
TW201233199A (en) | 2012-08-01 |
JP5237412B2 (ja) | 2013-07-17 |
TWI442788B (zh) | 2014-06-21 |
US8768000B2 (en) | 2014-07-01 |
KR20120084634A (ko) | 2012-07-30 |
EP2480006A3 (en) | 2017-01-04 |
JP2012151821A (ja) | 2012-08-09 |
US20120183157A1 (en) | 2012-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4069B1 (ko) | 증폭기를 위한 개선된 구조물 | |
US9386377B2 (en) | Magnetic assembly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ing same | |
US8965035B2 (en) | Thin speaker structure | |
CN105101022A (zh) | 振动发声装置 | |
US10708694B2 (en) | Continuous surround | |
US9998833B2 (en) | Speaker | |
US11575993B2 (en) | Speaker and speaker module | |
US9288582B2 (en) | Suspension system for micro-speakers | |
US9820052B2 (en) | Speaker | |
US20170034626A1 (en) | Speaker | |
US9271084B2 (en) | Suspension system for micro-speakers | |
JP2023123528A (ja) | 分布モードスピーカの強化アクチュエータ | |
JPWO2014024528A1 (ja) | 音響発生器、音響発生装置および電子機器 | |
CN105578337A (zh) | 共振音响 | |
WO2017166399A1 (zh) |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 |
US1082724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a vibration actuator speaker system assembly | |
US10149060B2 (en) | Long stroke speaker | |
US9420364B2 (en) | Display device with sound generation regions having different areas | |
US9807511B2 (en) | Speaker with a coil stabil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9807508B2 (en) | Long stroke speaker | |
CN104780494A (zh) | 扬声器料盘 | |
CN218998263U (zh) | 扬声器箱 | |
KR102167417B1 (ko) | 액추에이터 | |
CN204014045U (zh) | 电声换能器 | |
WO2024193435A1 (zh) | 一种振动模组、压电扬声器及终端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7 |